KR20140070893A -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893A
KR20140070893A KR1020120136822A KR20120136822A KR20140070893A KR 20140070893 A KR20140070893 A KR 20140070893A KR 1020120136822 A KR1020120136822 A KR 1020120136822A KR 20120136822 A KR20120136822 A KR 20120136822A KR 20140070893 A KR20140070893 A KR 20140070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information
display unit
weathe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663B1 (ko
Inventor
박정열
조상은
강신애
김준모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6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에는,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제어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는, 외부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외기 정보로부터 필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산출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A control system for an air conditioner and a us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상세히,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이에 따라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에는 외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가 포함되며, 실내기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된다. 공기 조화기는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특정 지역 또는 위치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운전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운전조건에는 외기온도 및 습도와 같은 외기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외기 정보에 따라 냉동 사이클의 고압(응축 압력) 및 저압(증발 압력)의 설정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압 및 저압의 설정범위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장비들의 능력 또는 용량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화기가 설치된 이후 운전되는 과정에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성능이 모니터링 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공기 조화기가 원하는 운전성능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 설정된 외기 정보가 실제 외기 정보에 대응하여 제대로 설정이 되어 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의 설치 과정에서 정확한 외기 정보가 설정되지 않아, 공기 조화기의 냉난방 운전성능이 확보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의 운전 과정에서 운전성능이 확보되지 않고 그 원인이 잘못된 외기 정보에 기인하는 경우, 최신의 외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잘못된 외기 정보가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상태에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이 지속되는 경우 공기 조화기에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에 정확한 외기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에는,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제어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는, 외부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외기 정보로부터 필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산출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의 이용방법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지역에 존재하는 기상 관측소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기상 관측소로부터 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기 정보로부터 필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이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적용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웹 서버로부터 획득한 지역 날씨정보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 즉 외기 정보를 산출하여 공기 조화기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원하는 운전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신의 외기 정보를 확보하여 운전조건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운전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의 운전성능을 모니터링 하는 경우, 또는 공기 조화기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도, 최신의 외기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운전조건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운전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장비의 성능 또는 용량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부터 획득한 지역 날씨정보를 적절히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 조건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 맞춤형 셋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로부터 기상 관측소 정보를 획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외기 정보 중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 조건을 산출 및 입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제어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10)에는, 공기 조화기(100)와, 공기 조화기(1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 및 상기 제어장치(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버(300)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는, 실외기(130) 및 실내기(140)를 포함하며,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20) 및 상기 제어장치(2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부(110)가 포함된다. 상기 메모리부(120) 및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실외기(130) 또는 실내기(1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과정, 성능시험 또는 고장판별 과정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조건을 설정 또는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어장치(200)에는, PC, 노트북 또는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최초 설치시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 조건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을 모니터링 하거나,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고장 여부 또는 고장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에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통신 연결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2 통신부(210)와,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250)와, 상기 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35)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통신부(210)와 제 1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통신부(210)와 제 1 통신부(110)가 유선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실외기(130)에 케이블 연결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2 통신부(210)와 제 1 통신부(110)가 무선 연결되는 경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서버(300)에는, 상기 제 2 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통신부(310) 및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설치 지역에 대한 날씨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메모리(32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3 통신부(310)와 제 2 통신부(210)는 인터넷에 의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300)는 웹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0)와 연결 가능한 서버(300)는 다수 개일 수 있다.
상기 서버 메모리(320)에 저장된 날씨 정보는, 상기 제 3 통신부(310)를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고, 전달된 날씨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조건 설정에 필요한 정보로 가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소정의 날씨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는 제어정보 표시부(240)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어정보 표시부(24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설계조건 입력부(241)가 포함된다. 상기 설계조건 입력부(241)는 입력 가능한 탭(tab)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계조건 입력부(241)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정보 표시부(240)에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지역과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는 지역정보 입력부(242)가 포함된다. 상기 지역정보 입력부(242)에는, 국가명, 지역명, 도시명이 선택될 수 있는 다수의 선택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정보 표시부(240)에는, 상기 지역정보 입력부(242)에 입력된 지역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지도정보 표시부(243)가 포함된다. 상기 지역정보 입력부(242)에 소정의 지역정보를 입력한 후 상기 지도정보 표시부(243)를 선택하면, 상기 소정의 지역 주변에 관한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지도에는, 외기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상 관측소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 표시부(240)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 일례로 냉방 및 난방운전에 따른 건구온도, 습구온도 및 상대습도에 관한 정보가 산출되어 표시되는 운전조건 표시부(245)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5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외기정보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로부터 상기 운전조건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운전조건에 관한 정보가 상기 운전조건 표시부(245)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지역정보 표시부(242)에 공기 조화기의 설치지역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 후 상기 지도정보 표시부(243)를 선택하면, 상기 설치지역 주변의 지도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지도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장치(200)와 연결되는 서버를 "제 1 서버"라 이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설명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로부터 기상 관측소 정보를 획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30)에는, 공기 조화기 설치지역의 외기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이용 가능한 외기정보 검색 표시부(250)가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지도정보 표시부(243)를 선택하면, 도 3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외기정보 검색 표시부(250)에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지역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입력 가능한 위치검색 입력부(251)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지역에 대응하는 외기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입력 가능한 외기정보 검색 입력부(252)가 포함된다.
상기 위치검색 입력부(251)를 입력하면, 상기 외기정보 검색 표시부(250)에는 설치지역 정보 및 외기정보의 검색 툴(tool)을 표시하는 데이터베이스 표시부(253)와, 공기 조화기의 설치지역으로 선택된 지역정보를 표시하는 지역 표시부(254)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지역 주변에 존재하는 기상 관측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관측소 검색 표시부(255) 및 공기 조화기의 설치지역 주변을 지도로 보여주는 지도 표시부(256)가 포함된다. 상기 지도정보 표시부(256)는 도 2에서 설명한 지도정보 표시부(243)에 대응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표시부(253)에는, 일례로, "인터넷 지도 서비스"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역 표시부(254)에는, 상기 지역정보 표시부(242)에 입력한 내용에 대응하여, 일례로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지도 표시부(256)에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가 표시되는 설치위치 표시부(256a)가 포함된다. 상기 설치위치 표시부(256a)는 아이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의 입력방법에는, 설치위치의 좌표(위도,경도)입력 또는 지도에서 특정 지점을 직접 선택하는 방법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지도 표시부(256)에는 입력된 정보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설치위치 표시부(256a)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의 입력은 생략될 수도 있다.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인식되지 않더라도, 공기 조화기 설치지역 주변의 외기정보는 대략 유사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역 표시부(254)에 표시된 도시명에 근거하여, 설치위치가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도시명("김해시")을 이용하여 설치위치를 검색하는 경우, "김해시청"의 위치가 설치위치로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관측소 검색 표시부(255)에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 주변의 기상 관측소 리스트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관측소 검색 표시부(255)에 표시된 리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지도 표시부(256)에는 관측소 표시부(256b)가 표시된다. 상기 관측소 표시부(256b)는 아이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위치 표시부(256a)의 위치와 비교 가능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기상 관측소 리스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상 관측소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기상 관측소 정보에는, 관측소 고유의 ID 정보 및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상 관측소 리스트는, 상기 설치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관측소를 최상단에 위치시키고 이격된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관측소의 위치를 후순위로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측소 검색 표시부(255)는 상기 설치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1개의 관측소를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동일한 2개 이상의 관측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치위치와의 고도차가 가장 작은 관측소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상기 리스트의 최상단에 관측소 정보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측소 검색 표시부(255)의 최상단에 위치한 기상 관측소 정보, 즉 ID : 560910, 설치위치로부터 9km 이격된 관측소(이하, 제 1 관측소)를 선택하면, 상기 지도 표시부(256)에는 상기 제 1 관측소의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관측소 정보 표시부(257)사 표시된다. 상기 상세정보에는, 제 1 관측소의 설치년도, 위도, 경도, 설치위치로부터의 거리 및 고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기정보 검색 표시부(250)의 하단에 위치한 "확인" 버튼을 입력하면, 상기 제 1 관측소의 서버에 접속하여 외기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관측소의 서버는 상기 지도를 검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서버(제 1 서버)와는 다른 서버로서, "제 2 서버"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추천된 관측소 이외에 다른 관측소의 정보를 확인하고 외기정보를 불러올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예로 돌아가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는, 상기 제 1 관측소의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외기정보 중,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설계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추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외기 정보 중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에 관한 도면이다.
외기정보를 수신할 관측소를 상기 제 1 관측소로 선택하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제 1 관측소의 서버(300) 또는 서버 메모리(320)로부터 제 1 관측소 지역의 외기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외기정보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 설정에 필요한 일부 정보가 추출될 수 있으며, 추출된 정보는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될 수 있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정보 표시부(240)에는, 관측소로부터 수신한 외기정보 중 추출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추출 데이터 표시부(258)가 표시된다. 이 때에는, 상기 외기정보 검색 입력부(252)가 활성화 된 상태이다.
상기 추출 데이터 표시부(258)에는, 냉방설계용 온도표시부(258a) 및 난방설계용 온도표시부(258b)가 포함된다.
상기 냉방설계용 온도표시부(258a)에는, 월별 건구온도, 습구온도 및 평균 일교차 온도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월별 건구온도 및 습구온도는, 해당 월의 최고온도 값으로 이해된다.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시, 최고 외기온도 값은 중요한 인자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난방설계용 온도표시부(258b)에는, 월별 건구온도, 습구온도 및 평균 일교차 온도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월별 건구온도 및 습구온도는, 해당 월의 최저온도 값으로 이해된다. 공기 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최저 외기온도 값은 중요한 인자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냉방설계용 온도표시부(258a)에 포함된 다수의 온도 값 중, 최고 외기온도값을 가지는 8월의 건구온도(34℃) 및 습구온도(25℃)가,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조건 설계를 위한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방설계용 온도표시부(258b)에 포함된 다수의 온도 값 중, 최저 외기온도값을 가지는 1월의 건구온도(-4℃) 및 습구온도(-4.7℃)가, 공기 조화기의 난방운전조건 설계를 위한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냉방 및 난방설계용 온도정보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또는 수식)을 통하여 가공되며, 가공된 정보는 상기 제어정보 표시부(240)의 운전조건 표시부(245)에 반영될 수 있다.
즉, 상기 추출 데이터 표시부(258)가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정보 표시부(240) 하단의 "확인" 버튼을 입력하면, 도 6과 같이 상기 운전조건 표시부(245)에는 온도정보가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냉방운전시 운전조건으로서 건구온도 31.8℃, 습구온도 24.7℃ 및 난방운전시 운전조건으로서 건구온도 -12.1℃가 가공된 정보로서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된 온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정 가능하다.
한편, 그 외의 외기정보, 예를 들어 냉난방 운전시 상대습도, 난방운전시 습구온도 및 고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 장치(200)에서 미리 설정된 값이 입력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값들도 사용자에 의하여 수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기상 관측소로부터 외기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기정보로부터 운전조건 설계를 위한 필요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필요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조건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운전조건의 설계가 가능하며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제어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설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지역정보, 즉 국가명, 지역명 및 도시명을 입력한다(S11). 그리고, 상기 입력된 지역정보에 대응하여, 지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버(300)에 접속한다(S12).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일례로 설치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입력하거나, 지도상의 특정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3).
입력된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그 주변의 기상 관측소를 검색한다(S14).
검색된 하나 이상의 기상 관측소 중 설정조건에 맞는 기상 관측소가 추천될 수 있다. 상기 설정조건에는, 설치위치로부터 거리가 가까운지 여부 또는 설치위치와의 고도차이가 작은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추천된 기상 관측소를 선택하거나, 그 이외의 기상 관측소를 선택할 수 있다(S15).
상기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50)는 선택된 기상 관측소로부터 외기조건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며, 입수된 정보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 설계에 필요한 필요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필요정보를 가공하고, 가공된 외기조건 정보로부터 운전조건 정보를 산출한다.
산출된 운전정보에는, 냉방운전 설계를 위한 건구온도 및 습구온도와, 난방운전 설계를 위한 건구온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16,S17).
산출된 운전조건은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공기 조화기(100)로 전송되어,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조건 설정에 활용될 수 있다(S1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가 자동으로 인식되는 점에서 이전 실시예와 구별되므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0)에는, 공기 조화기(100)와, 제어장치(200) 및 서버(300)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는, 공기 조화기(100)의 설치위치가 인식되도록 하는 위치검색 모듈(170, 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이 포함된다. 상기 위치검색 모듈(170)에 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0)가 설치된 위치는 자동으로 인식된다.
인식된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설치 위치는 상기 제 1 통신부(110)로부터 상기 제 2 통신부(21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 위치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설치위치 표시부(256a)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위치 표시부(256a)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기상 관측소가 검색될 수 있으며, 검색된 기상 관측소를 선택하여 외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외기정보로부터 필요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 설계를 위한 가공 과정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100)에 위치검색 모듈이 구비되어, 공기 조화기(100)의 설치위치가 자동적으로 인식되고 인식된 설치위치로부터 관측소의 검색이 가능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10 : 제어 시스템 100 : 공기 조화기
110 : 제 1 통신부 200 : 제어장치
210 : 제 2 통신부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제어정보 표시부 241 : 설계조건 입력부
242 : 지역정보 입력부 243 : 지도정보 표시부
245 : 운전조건 표시부 250 : 외기정보 검색 표시부
251 : 위치검색 입력부 252 : 외기정보 검색 입력부
255 : 관측소 검색 표시부 256 : 지도 표시부
256a : 관측소 표시부 256a : 설치위치 표시부
300 : 서버 310 : 제 3 통신부
320 : 서버 메모리

Claims (16)

  1.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제어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는,
    외부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외기 정보로부터 필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산출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산출된 운전 조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지역의 지도 정보를 표시하는 지도 표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지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상 관측소를 포함하는 관측소 검색표시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관측소 검색표시부에 포함되는 기상 관측소의 정보는 상기 지도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표시부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설치위치 표시부; 및
    상기 기상 관측소의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설치위치 표시부의 위치와 비교 가능하게 표시되는 관측소 표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관측소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순서로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동일한 복수의 기상 관측소가 존재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설치된 고도와 차이가 작은 고도를 가지는 기상 관측소가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정보에는 외기 온도값이 포함되며,
    상기 필요정보에는, 월별 건구온도 및 습구온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운전조건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적용되는 건구온도 및 습구온도 정보;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적용되는 건구온도 정보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지역의 지도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제 1 서버; 및
    상기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지역의 외기온도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제 2 서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제어장치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위치검색 모듈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는,
    PC, 노트북 또는 단말기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13.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지역에 존재하는 기상 관측소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기상 관측소로부터 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기 정보로부터 필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이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적용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관측소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치지역을 보여주는 지도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관측소 중,
    상기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위치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기상 관측소가 추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정보는 상기 기상 관측소의 외기 온도정보이며,
    상기 필요 정보는 상기 외기 온도정보 중 월별 최고 온도 및 최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KR1020120136822A 2012-11-29 2012-11-29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97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822A KR101970663B1 (ko) 2012-11-29 2012-11-29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822A KR101970663B1 (ko) 2012-11-29 2012-11-29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893A true KR20140070893A (ko) 2014-06-11
KR101970663B1 KR101970663B1 (ko) 2019-04-22

Family

ID=5112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822A KR101970663B1 (ko) 2012-11-29 2012-11-29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6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029A (ko) *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서부에너지기술 지역 인프라를 이용한 가시적 기상정보 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
KR20120070726A (ko) * 2010-12-22 2012-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029A (ko) *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서부에너지기술 지역 인프라를 이용한 가시적 기상정보 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
KR20120070726A (ko) * 2010-12-22 2012-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663B1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1392B2 (en) Smart HVAC manifold system
US202203458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applications of hvac systems
EP321711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10924296B2 (en) Terminal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nstallation-location-ascertainment support system, installation-location-setting support system, installation-location-ascertainment support method, installation-location-setting support method, and program
US20150292985A1 (en) Smart hvac manifold system
RU26749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множества исполнительных механизмов
US20150295784A1 (en)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AU2020289869B2 (en) Equipment installation support system
JP2015031473A (ja) 空気調和機
US20170307239A1 (en) Location-based information retrieval, viewing, and diagnostics for refrigeration, hvac, and other building systems
US20170191689A1 (en) Display device, method, and program
JP2009093292A (ja) 製品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の情報処理端末及びサービス管理装置
KR101970663B1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852633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234156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proper operation of an HVAC system
JP7204046B2 (ja) 管理装置
JP7012831B2 (ja) 空調機器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及びメンテナンス支援方法
EP3683740A1 (en) Interfaces for resolving maintenance activities
KR102203206B1 (ko) 중앙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100614224B1 (ko) 냉난방 사이클을 이용한 자동배관 탐색장치 및 방법
CN111412632A (zh)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KR101172984B1 (ko) 실내에 존재하는 사물의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