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733A -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733A
KR20140070733A KR1020120134442A KR20120134442A KR20140070733A KR 20140070733 A KR20140070733 A KR 20140070733A KR 1020120134442 A KR1020120134442 A KR 1020120134442A KR 20120134442 A KR20120134442 A KR 20120134442A KR 20140070733 A KR20140070733 A KR 20140070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turbine
plate
turbine blade
cor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072B1 (ko
Inventor
박희상
최만용
박정학
허용학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0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72Investigating presence of fl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7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bla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블레이드 접착면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판, 하부판 및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 공간 일측에 구비되는 코어를 포함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이 접합되는 접착면에 근접하게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상기 접착면의 주위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및 풍력블레이드의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검사 시스템{Infrared thermography system and method for adhesive surface of wind blade}
본 발명은 풍력블레이드 접착면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블레이드의 상부판과 하부판 및 코어의 접착면과 근접한 위치에 발열체를 부착하여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접착면의 결함을 보다 정확히 검사할 수 있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열화상 기술(Infrared Thermography)은 대상체의 표면 복사에너지를 검출하고 이를 온도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이다.이와 같은 적외선 열화상 기술은 물체의 표면 온도 변화를 비접촉, 비파괴,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여 재료의 열적특성평가, 열화진단, 결함검사, 체열측정을 통한 의료진단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화상 검사 장치는 최근 풍력발전기의 날개에 해당하는 풍력블레이드의 결함을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도 1a는 수평으로 거치된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6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b는 수직으로 거치된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6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60)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열화상 검사장치(60)는 크게 적외선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10)와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풍력블레이드(1)의 결함을 분석하는 분석장치(30), 풍력블레이드(1)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램프(20)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은 풍력블레이드(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풍력블레이드(1)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풍력블레이드(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블레이드(1)는 상부판(2)과 하부판(3) 그리고, 상부판(2)과 하부판(3) 사이에 구비되는 코어(4)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부판(2)의 단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하부판(3)은 하부로 볼록판 형태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풍력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어(4)의 하단면은 하부판(3)의 상부면 일측에 연결되고, 코어(4)의 상단면은 상부판(2)의 하부면에 구비된 코어(4) 접착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게 된다. 또한, 상부판(2)과 하부판(3) 각각의 테두리 역시 접착면으로 구비되어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풍력블레이드 검사장치의 경우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을 제외한 부분의 결함 검출, 분석은 가능하나, 접착면에서의 결함, 접착정도, 완전한 면접함이 되어있는지는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을 보다 정확하게 열화상 검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755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3533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풍력블레이드의 상부판과 하부판 및 코어의 접착면과 근접한 위치에 발열체를 부착하여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접착면의 결함을 보다 정확히 검사할 수 있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갖는 지지틀에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에 카메라 구동부를 구비하여 풍력블레이드의 형상, 거치 형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열화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부판, 하부판 및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 공간 일측에 구비되는 코어를 포함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부판과 하부판이 접합되는 접착면에 근접하게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접착면으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및 풍력블레이드의 적외선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상부판의 단면은 상부로 볼록한 판 형상이며, 하부판의 단면은 하부로 볼록한 판 형상이고, 접착면은 상부판과 하부판 각각의 테두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코어는, 하단면이 하부판의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지고, 코어의 상단면은 상부판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접착면에 접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발열체는 코어접착면에 근접하게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풍력블레이드의 상부판 또는 하부판의 접착면과 근접하게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체를 부착시키는 단계; 접착제로 상부판과 하부판을 결합시키는 단계; 발열체에서 발열된 열이 전도되어 접착면에 가해지는 단계; 및 열화상카메라가 열이 가해진 접착면의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부착시키는 단계는, 접착면은 상부판과 하부판 각각의 테두리부에 위치하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구비되는 코어의 상단면은 상부판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접착면에 접착되어 지고, 발열체를 코어접착면에 근접하게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수평 또는 수직으로 거치된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에 있어서, 거치된 풍력블레이드의 상부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로 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양측 각각에 연결되는 세로 지지대를 구비한 지지틀; 풍력블레이드의 상부판과 하부판이 접합되는 접착면에 근접하게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접착면의 주위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세로지지대 또는 가로지지대에 설치되어 풍력블레이드의 적외선 열화상을 촬상하는 열화상카메라; 및 열화상카메라와 지지틀 사이에 구비되어 열화상카메라를 세로지지대 및 가로지지대 상에서 이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코어는 하단면이 하부판의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지고, 코어의 상단면은 상부판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접착면에 접착되어 지며, 발열체는 코어접착면에 근접하게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틀은 매트릭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틀의 하부 끝단에 구비되어 지지틀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부를 제어하여 열화상카메라의 위치를 조절 및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풍력블레이드의 상부판 또는 하부판의 접착면과 근접하게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체를 부착시키는 단계; 접착제로 상부판과 하부판을 결합시키는 단계; 블레이드 거치대에 풍력블레이드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거치시키는 단계; 풍력블레이드의 상부측으로 지지틀의 가로지지대가 위치하도록 지지틀을 이동시키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카메라 구동부가 구동되어 설정된 위치로 열화상카메라가 이동되는 단계; 발열체에서 발열된 열이 전도되어 접착면에 가해지는 단계; 및 열화상카메라가 열이 가해진 접착면의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제어부에 의해 카메라 구동부가 제어되어, 지지틀 상에서 열화상 카메라의 위치가 변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접착면은 상부판과 하부판 각각의 테두리부에 위치하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구비되는 코어의 상단면은 상부판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접착면에 접착되어 지고, 부착시키는 단계는, 발열체를 코어접착면에 근접하게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2목적과 제4목적에 따른 열화상 검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목적은 상부판, 하부판 및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 공간 일측에 구비되는 코어를 포함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부판과 하부판이 접합되는 접착면에 근접하게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접착면의 주위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풍력블레이드의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풍력블레이트 접착면의 결함을 분석하는 분석장치를 포함하고, 코어는 하단면이 하부판의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지고, 코어의 상단면은 상부면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접착면에 접착되어 지며, 발열체는 상부판과 하부판의 접착면과 코어접착면에 근접하게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 접착면 열화상 분석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풍력블레이드의 상부판과 하부판 및 코어의 접착면과 근접한 위치에 발열체를 부착하여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접착면의 결함을 보다 정확히 검사할 수 있고, 또한,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갖는 지지틀에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에 카메라 구동부를 구비하여 풍력블레이드의 형상, 거치 형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열화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a는 종래 수평 거치형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 수직 거치형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풍력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4는 풍력블레이드의 분해사시도,
도 5는 풍력블레이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체가 부착된 풍력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
도 7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체가 부착된 풍력블레이드의 단면,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합 재료가 적층되어 구성된 풍력블레이트에서 발열체가 부착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체가 부착된 풍력블레이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의 제어부에 따른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 및 분석시스템(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 접착면 열화상 분석시스템(100)은 검사장치의 구성을 전부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분석시스템(100)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체(7)가 부착된 풍력블레이드(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체(7)가 부착된 풍력블레이드(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체(7)가 부착된 풍력블레이드(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에 사용되는 풍력블레이드(1)는 상부판(2)과 하부판(3)이 접합되는 접착면(5)과 코어(4)가 접합되는 코어접착면(6)에 근접하게 풍력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체(7)가 부착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발열체(7)는 발열 테이프, 발열선 또는 발열 코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풍력블레이드(1)가 다수의 복합재로가 적층되어 구성되어진 경우, 이러한 발열체(7)는 접착면(5)과 코어(4)가 접합되는 코어접착면(6)에 근접한 위치의 풍력블레이트(1)의 내부면 뿐 아니라, 복합재료들이 접합된 복합재료의 접합면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서는 상부판(2)에 발열체(7)가 부착되어 있으나 하부판(3)의 표면에 부착되어 질 수도 있고, 하부판(3)이 다수의 복합재료가 적층되어 구성되어진 경우 복합재료 들 사이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발열체(7)는 발열테이프, 발열선 등 발열 기능을 갖는 구성이라면 그 구체적인 재질이나, 형상, 재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부판(2)의 양측 끝단면과 하부판(3)의 양측끝단면이 접착면(5)이 되고, 코어(4)의 하단부는 하부판(3)의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지고, 코어(4)의 상단부는 상부판(2)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 접착면(6)에 접착되게 된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게 되는 접착면(5)과 코어접착면(6)에 근접하게 발열체(7)가 부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는 상부판(2)과 하부판(3)의 표면 외에도 내부로 삽입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부판(2)과 하부판(3)에 부착되는 기타 복합재료와 상부판(2) 사이 또는 복합재료와 하부판(3)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체(7)가 부착된 풍력블레이드(1)는 발열체(7)에서 발생된 열이 전도되어 접착면(5)에 인가되면서, 열화상 카메라(10)에서 보다 정확한 측정, 접착정도, 결합유무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 열화상 분석 시스템(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 열화상 분석시스템(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내부 접착면(5)에 근접한 위치에 발열체(7)가 부착된 풍력블레이드(1), 가로 지지대(51)와 세로 지지대(52)를 갖는 지지틀(50), 지지틀(50) 상에 구비되는 열화상 카메라(10), 열화상 카메라(10)를 지지틀(50) 상에서 이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11) 등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틀(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를 갖고, 카메라 구동부(11)에 의해 열화상 카메라(10)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열화상 카메라(10)를 이동시키면서 정확한 열화상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접착면(5) 근처에 부착된 발열체(7)에서 발생된 열이 접착면(5)에 전도되면서 접착면(5)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적외선 열화상을 열화상 카메라(10)가 측정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 각도조절부(12)를 포함하여 열화상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카메라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열화상 카메라(1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변경하도록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틀(50)의 하부에는 다수의 휠(53)을 구비하여 지지틀(50)을 이동시킬 수 있고, 휠(53)에 의해 지지틀(50)을 이동시켜면서 발열체(7)에 의해 열리 전도된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5)의 열화상을 전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 열화상 분석시스템(100)은 열화상 카메라(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분석장치(30)를 포함하여, 열화상 카메라(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접착면(5)의 결함, 접착정도, 접착강도 등을 분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 열화상 분석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앞서 설명한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 열화상 분석시스템(100)을 이용한 것이다. 먼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 열화상 분석 시스템(100)의 제어부(40)에 따른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1)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카메라 구동부(11)와 열화상 카메라(10), 카메라 각도조절부(12)를 제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열화상 카메라(10)가 이동될 위치를 설정하게 되고, 카메라 구동부(11)를 구동시켜 열화상 카메라(10)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40)는 열화상 카메라(10)의 촬상 각도를 설정하고 카메라 각도조절부(12)를 구동하여 열화상 카메라(10)가 설정된 각도로 광 적외선 열화상과 초음파 적외선 열화상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블레이드(1) 열화상 분석 방법은 먼저, 풍력 블레이드(1)의 상부판(2) 또는 하부판(3)의 접착면(5)과 근접하게 풍력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체(7)를 부착시키고, 코어(4)가 접착되는 코어 접착면(5)과 근접하게 풍력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체(7)를 부착시키게 된다(S10).
그리고, 접착면(5)에 접착제를 바르고, 상부판(2)과 하부판(3)을 결합시키게 된다(S20). 상부판(2)과 하부판(3)이 결합되면, 블레이드(1) 거치대에 풍력블레이드(1)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거치시키게 된다(S30).
그리고 거치된 풍력블레이드(1)의 상부측으로 지지틀(50)의 가로 지지대(51)가 위치하도록 지지틀(50)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거치된 풍력블레이드(1)의 형상, 크기, 거치형태를 고려하여 열화상 카메라(10)가 이동될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40)에 의해 카메라 구동부(11)가 구동되어 설정된 위치로 열화상카메라(10)가 이동되게 된다(S40).
풍력블레이드(1)의 내면에 부착된 발열체(7)에서 발열된 열이 전도되어 접착면(5)에 가해지게 되고(S50), 열화상카메라(10)는 열이 가해진 접착면(5)의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촬상하게 된다(S60). 그리고, 분석장치(30)가 열화상 카메라(10)로부터 촬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풍력블레이트 접착면(5)의 결합을 분석하게 된다(S70).
1:풍력블레이드
2:상부판
3:하부판
4:코어
5:접착면
6:코어접착면
7:발열체
10:열화상 카메라
11:카메라 구동부
12:카메라 각도조절부
20:램프
30:분석장치
40:제어부
50:지지틀
51:가로 지지대
52:세로 지지대
53:휠
60:종래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
100: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분석시스템

Claims (17)

  1. 상부판, 하부판 및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 공간 일측에 구비되는 코어를 포함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이 접합되는 접착면에 근접하게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상기 접착면으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및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적외선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발열테이프, 발열선 또는 발열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단면은 상부로 볼록한 판 형상이며, 상기 하부판의 단면은 하부로 볼록한 판 형상이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각각의 테두리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부판과 하부판이 다수의 복합재료가 적층되어 구성된 경우 복합재료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하단면이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지고,
    상기 코어의 상단면은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접착면에 접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코어접착면에 근접하게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
  6. 풍력블레이드의 상부판 또는 하부판의 접착면과 근접하게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체를 부착시키는 단계;
    접착제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발열체에서 발열된 열이 전도되어 상기 접착면에 가해지는 단계; 및
    열화상카메라가 열이 가해진 상기 접착면의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접착면은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각각의 테두리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구비되는 코어의 상단면은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접착면에 접착되어 지고,
    상기 발열체를 상기 코어접착면에 근접하게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방법.
  8. 수평 또는 수직으로 거치된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장치에 있어서,
    거치된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상부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로 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측 각각에 연결되는 세로 지지대를 구비한 지지틀;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상부판과 하부판이 접합되는 접착면에 근접하게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상기 접착면의 주위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상기 가로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적외선 열화상을 촬상하는 열화상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지지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열화상카메라를 상기 세로지지대 및 상기 가로지지대 상에서 이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하단면이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지고, 상기 코어의 상단면은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접착면에 접착되어 지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코어접착면에 근접하게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은 매트릭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의 하부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틀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열화상카메라의 위치를 조절 및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
  13. 풍력블레이드의 상부판 또는 하부판의 접착면과 근접하게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체를 부착시키는 단계;
    접착제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결합시키는 단계;
    블레이드 거치대에 풍력블레이드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거치시키는 단계;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상부측으로 지지틀의 가로지지대가 위치하도록 지지틀을 이동시키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카메라 구동부가 구동되어 설정된 위치로 열화상카메라가 이동되는 단계;
    상기 발열체에서 발열된 열이 전도되어 상기 접착면에 가해지는 단계; 및
    열화상카메라가 열이 가해진 상기 접착면의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 구동부가 제어되어,
    상기 지지틀 상에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위치가 변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은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각각의 테두리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구비되는 코어의 상단면은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접착면에 접착되어 지고,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발열체를 상기 코어접착면에 근접하게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검사방법.
  16. 제 6항 내지 제7항 및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화상 검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매체.
  17. 상부판, 하부판 및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 공간 일측에 구비되는 코어를 포함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열화상 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이 접합되는 접착면에 근접하게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상기 접착면의 주위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상기 풍력블레이드의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풍력블레이트 접착면의 결함을 분석하는 분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하단면이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지고, 상기 코어의 상단면은 상기 상부면의 하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코어접착면에 접착되어 지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접착면과 상기 코어접착면에 근접하게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블레이드 접착면 열화상 분석시스템.
KR1020120134442A 2012-11-26 2012-11-26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검사 시스템 KR101461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442A KR101461072B1 (ko) 2012-11-26 2012-11-26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442A KR101461072B1 (ko) 2012-11-26 2012-11-26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733A true KR20140070733A (ko) 2014-06-11
KR101461072B1 KR101461072B1 (ko) 2014-11-14

Family

ID=5112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442A KR101461072B1 (ko) 2012-11-26 2012-11-26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9280A (zh) * 2015-04-15 2015-08-19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连铸板坯表面纵裂纹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2352A (zh) * 2014-12-12 2015-04-0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监测钢管混凝土密实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724A (en) * 1984-07-09 1989-08-08 Lockheed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rmographic evaluation of spot welds
DE19703484A1 (de) * 1997-01-31 1998-08-06 Img Inst Fuer Maschinen Antrie Verfahren zur zerstörungsfreien Prüfung von Materialien und Materialverbunden auf innere Fehler mittels Thermografie
AU2003208301A1 (en) * 2002-02-15 2003-09-04 Lm Glasfiber A/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of polymer in a wind turbine blade
KR200364060Y1 (ko) * 2004-07-23 2004-10-08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터널 내부 천정 이동식 안전진단 기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9280A (zh) * 2015-04-15 2015-08-19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连铸板坯表面纵裂纹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072B1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1951B2 (ja) サーモグラフィを用いた試料の検査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6053247A (zh) 一种基于激光辐照加热的材料高温力学性能试验系统及方法
CN107144356B (zh) 非制冷红外焦平面探测器阵列热响应时间测试系统及方法
US7681453B2 (en) System and method to calibrate multiple sensors
Tashan et al. Investigation of the parameters that influence the accuracy of bond defect detection in CFRP bonded specimens using IR thermography
JP612833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uhn et al. A comparison between thermosonics and thermography for delamination detection in polymer matrix laminates
US9518946B2 (en) Thermographic inspection system
JP2008116451A (ja) 負荷がかかっているサンプルにおける故障事象を位置特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6896138A (zh) 一种扫描热激励红外成像检测系统及方法
KR101461072B1 (ko) 풍력블레이드의 접착면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검사 시스템
WO2014207545A1 (en) Modular device for structural diagnostics of various materials and structure, using thermographic techniques based on multiple excitations
KR20150137421A (ko) 용접부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187695B2 (ja) 放射散逸の解析による部品の非破壊検査装置
KR20130008187A (ko) 솔더링을 위한 플럭스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US7568833B2 (en) Method for the certification of heater blankets by means of infrared thermography
KR102131532B1 (ko) 철도차량 대차의 결함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519594B1 (ko) 초음파 적외선 최적 방열 검출 캘리브레이션 시험편 유닛, 그 시험편 유닛을 이용한 교정방법, 그 시험편 유닛을 이용한 열화상 비파괴 검사 시스템 및 검출방법
CN102052950A (zh) 影像测定胶量的方法
JP6232760B2 (ja) 光学非破壊検査方法及び光学非破壊検査装置
KR20140108413A (ko) 풍력블레이드 열화상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분석시스템
KR101328609B1 (ko) 압흔 검사장치
CN106324036A (zh) 热收缩带的红外热成像检测方法及装置
KR20100070814A (ko) Cog 접합부 검사장치
CN104749182A (zh) 一种红外无损检验热波激励光源的碘钨灯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