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247A -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당화 단백질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당화 단백질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247A
KR20140070247A KR1020120138510A KR20120138510A KR20140070247A KR 20140070247 A KR20140070247 A KR 20140070247A KR 1020120138510 A KR1020120138510 A KR 1020120138510A KR 20120138510 A KR20120138510 A KR 20120138510A KR 20140070247 A KR20140070247 A KR 20140070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glycated
reaction chamber
glycated protein
cap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445B1 (ko
Inventor
김상규
이우창
송경미
오진미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8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4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 G01N33/721Haemoglobin
    • G01N33/723Glycosylated haemoglob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모세관을 이용한 정확한 초기값 측정을 통한 당화 단백질의 양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 측정용 카트리지, 시스템, 당화 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 및 당화 단백질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당화 단백질 측정 방법{Cartridge for detecting glycated protein in a sampl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glycated protein using the same}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당화 단백질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화 혈색소는 헤모글로빈에 당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헤모글로빈은 A 사슬에 당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화 혈색소는 A1a, A1b, A1c, 또는 이들의 조합이 있을 수 있다. A1a, A1b, 및 A1c 중 β-사슬의 N-말단의 발린 부위에 포도당이 결합된 형태인 헤모글로빈 A1c (HbA1c)가 약 60 내지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화혈색소는 환자의 지난 2~3달 동안의 평균 혈당 농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몸 안의 혈당 수치를 나타내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 기존의 포도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 방법은 측정 시 공복 혹은 식사 후인지에 따라 수치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나, 당화 혈색소를 기반으로 한 측정방법은 식사 여부 등 단기적인 편차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확인하는 방법 및/또는 당화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일 양상은 당화 단백질 측정용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모세관을 포함하는 제1 반응 챔버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반응 챔버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용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1 반응 챔버의 일부는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의 일 말단은 제2 반응 챔버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제1 반응 챔버 중 액체 일부를 보유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제1 반응 챔버 중 액체 일부를 보유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 현상이라 함은 폭이 좁은 관에서 액체 분자간의 인력과 상기 액체의 표면과 관의 표면 사이에 작용하는 상호 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한다. 상기 모세관은 폭이 좁은 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모세관 중 액체 일부는 상기 모세관 현상에 의해 중력에 반하여 일정하게 보유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복수의 모세관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모세관 다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상기 액체 일부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모세관에 일정하게 보유될 수 있도록 구현된 재질 또는 형상을 갖는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세관은 유리, 석영(Quartz), 테플론(Teflon) 및 내화학성 재질의 중합체(polyme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당화 단백질"은 당화된 폴리펩티드 또는 당화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당화 단백질"은 예를 들면, 당화 혈색소 (glycated hemoglobin), 당화 혈색소의 단편, 당화된 아미노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당화 혈색소는 A1a, A1b, A1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1 반응 챔버 및/또는 제2 반응 챔버는 측정기의 제1 검출영역 및/또는 제2 검출영역일 수 있다. 제1 반응 챔버 및/또는 제2 반응 챔버는 광투명한 것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검출 영역에는 그 영역에 존재하는 당화 단백질로부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 측정기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적 신호, 전기적 신호, 기계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하는 측정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제1 반응 챔버와 연결된 당화 단백질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은 상기 당화 단백질 시료의 함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화 단백질 (glycated protein), 예를 들면 당화 혈색소를 포함한 시료는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화 혈색소를 포함한 혈액, 또는 혈액 용해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는 세포를 포함하는 시료, 조직을 포함하는 시료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의 일 말단은 제1 반응 챔버와 유체 소통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용 영역의 일 말단과 제1 반응 챔버 사이에 채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채널은 내부에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개폐가능한 밸브는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의 일 말단은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은 상기 수용 영역의 일 말단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의 일 말단은 제1 반응 챔버를 대향하는 말단일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의 일 말단은 걸림턱(latc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은 상기 막은 개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막의 일 부분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걸림턱이 맞물리면(engage)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막은 벗겨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걸림턱의 맞물림은 상기 수용 영역의 회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 상기 돌출부와 걸림턱이 맞물리는 각도 이상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막은 벗겨질 수 있다. 상기 막은 실(seal)일 수 있다. 상기 실은 예를 들면, 호일 실(foil seal)일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수용 영역을 이동시키는 구동부(actu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동 영역을 이동, 예를 들면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의 이동은 상기 수용 영역의 함유물의 혼합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수용 영역의 이동은 상기 막의 돌출부와 걸림턱이 맞물려 상기 막의 개방을 허용한다.
상기 수용 영역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자는 라텍스(lartex) 입자, 금 나노입자, 아가로즈(agarose) 입자, 세파로즈(sepharose) 입자, 유리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입자는 비드(bead)일 수 있다. 상기 입자는 당화 단백질에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흡착을 통하여 비특이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자가 비특이적으로 당화 단백질과 흡착하므로, 추후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과의 응집 반응 후 신호에서 단순히 입자와의 흡착 후 신호를 뺌으로서 당화 단백질의 양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는 표면에 당화 단백질, 예를 들면 당화 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2 반응 챔버는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은 항체, 보론산, 콘카나발린, 응집제(agglutinato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전체 항체, 항체 단편, 다기능성 항체 응집체(polyfunctional antibody aggregate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당화 혈색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에피토프 결합 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응집제 면역분석법(agglutination immunoassay)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응집제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은 검출가능한 표지로 표지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검출가능한 표지는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지는 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표지, 방사성 표지 및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표지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지는 형광신호를 발생시키는 형광물질일 수 있다. 상기 형광물질에는 Cal610, 플루오레세인 (fluorescein), 로다민 (rhodamine), Cy3 및 Cy5를 포함하는 시아닌 (cyanines), 금속 포르피린 복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와 입자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 단백질과 상기 입자의 혼합물을 모세관을 통하여 흐르게 하는 단계, 상기 모세관을 통하여 흐르는 상기 혼합물로부터 제1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을 응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과의 응집물로부터 제2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모세관은 상술한 카트리지에 따른 모세관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를 용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해는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가 용혈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용혈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용혈 버퍼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혈은 혈액과 물의 혼합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와 입자를 혼합시키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시(simultaneously)"란 반드시 시간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일어나는 것만이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반응 과정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을 건조시켜 고체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측정은 광학적 신호, 전기적 신호, 기계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신호의 측정은 응집된 당화 단백질 자체의 신호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당화 단백질은 당화 혈색소이고, 상기 신호의 측정은 상기 당화 혈색소 자체에 특이적인 광학적 신호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색소에 특이적인 흡광도, 예를 들면 400nm 내지 43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신호의 측정은 상기 응집에 의한 흡광도 변화만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의 측정은 총혈색소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와 입자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 단백질과 상기 입자의 혼합물을 모세관을 통하여 흐르게 하는 단계, 상기 모세관을 통하여 흐르는 상기 혼합물로부터 제1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을 응집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과의 응집물로부터 제2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의 양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당화 단백질의 양을 확인하는 방법은 제2 신호에서 제1 신호를 뺀 값으로부터 당화 단백질의 양을 알아내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제2 신호에서 제1 신호를 뺀 값에 총 혈색소에 대한 당화 혈색소의 비율을 곱하여 상기 당화 단백질의 양을 알아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모세관을 포함하는 제1 반응 챔버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반응 챔버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용 카트리지; 및 측정기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측정기는 상기 신호 측정기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측정기는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기는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카트리지에 의하면, 정확한 초기값 측정을 이용하여 당화 단백질의 양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보다 카트리지를 소형화할 수 있어, 1회용 카트리지로 적합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방법은 모세관을 이용하여 액체의 분할을 통한 초기값 측정이 가능하여, 당화 단백질의 양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당화 단백질과 상기 당화 단백질에 결합하는 물질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관찰함으로써 상기 반응을 카이네틱(kinetic)으로 측정 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구체예에 따른 당화 단백질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구체예에 따른 회전할 수 있는 수용 영역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구체예에 따른 뚜껑 및 시료의 함유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의하면, 당화 단백질 측정용 카트리지(1000)은 모세관(110)을 포함하는 제1 반응 챔버(10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반응 챔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응 챔버(200)에는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60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600)은 액상 또는 고체상일 수 있다.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600)은 고체화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100)은 복수의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모세관 다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폭이 좁은 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모세관(110)의 직경 또는 상기 모세관(110)의 재질에 따라 상기 모세관(110) 내 보유할 수 있는 액체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의 재질은 표면장력과 접촉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의 직경 또는 재질은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당화 단백질과 입자의 혼합물을 제1 반응 챔버에 주입할 수 있다. 제1 반응 챔버(100)는 모세관(110)을 통하여 당화 단백질과 입자의 혼합물 일부를 보유할 수 있다. 제1 반응 챔버(100)는 상기 모세관(110)을 통하여 상기 혼합물이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과 응집하기 전의 상태를 보유할 수 있다. 당화 단백질, 예를 들면, 당화 혈색소와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과의 응집 반응이 개시되면, 상기 반응 초기에 흡광도의 변화가 빠르게 발생한다. 따라서 정확한 초기값 측정을 위하여, 제1 반응 챔버의 모세관을 통하여 상기 당화 혈색소와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의 응집 반응이 개시되기 전의 신호 측정을 통하여, 상기 응집 반응 전의 입자의 분산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구체예에 따른 당화 단백질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의하면, 카트리지(1000)는 제1 반응 챔버와 연결된 당화 단백질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300)은 입자(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의 제1 반응 챔버와 대향하는 일 말단은 막 (layer) (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의 일 말단은 걸림턱(latch)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은 개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막의 일 부분은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걸림턱(320)이 맞물리면(engage) 상기 돌출부(330)를 포함하는 막(310)은 벗겨질 수 있다. 상기 막은 실(seal) (310)일 수 있다. 상기 실(310)은 예를 들면, 호일 실(foil seal)일 수 있다. 상기 막의 개방으로 수용 영역에 있는 액체는 중력에 의하여 제1 반응 챔버로 흐를 수 있다.
도 3은 일 구체예에 따른 회전할 수 있는 수용 영역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의하면, 상기 수용 영역(300)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은 구동부(actuator)(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3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330)와 걸림턱(320)의 맞물림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회전이 상기 돌출부(330)와 걸림턱(320)이 맞물리는 각도 이상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막(310)은 벗겨질 수 있다. 상기 수용 영역의 회전은 상기 수용 영역의 함유물의 혼합을 허용한다. 상기 회전 각도는 y축을 기준으로 +45°내지 -45°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회전 진동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각도 및/또는 회전 진동수를 통하여 수용 영역 내 액체의 혼합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영역의 회전은 상기 막의 돌출부와 걸림턱이 맞물려 상기 막의 개방을 허용한다. 상기 함유물의 혼합 및 상기 막의 개방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000)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0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카트리지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각도는 y축을 기준으로 +45°내지 -45°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회전 진동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각도 및/또는 회전 진동수를 통하여 제2 반응 챔버(200) 내로 유입되는 액체와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600) 간의 혼합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600)은 건조되어 고체화될 수 있다. 상기 혼합 효율 조절을 통하여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과의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4는 일 구체예에 따른 뚜껑 및 시료의 함유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의하면, 상기 수용 영역(300)은 이에 수용될 수 있는 시료의 함유부(400) 및 수용 영역을 뚜껑(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의 함유부(400)는 시료의 채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의 채취부는 카트리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시료의 함유부(400)를 통해 당화 단백질 시료가 상기 수용 영역(300)에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뚜껑(500)은 상기 수용 영역(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뚜껑(500)은 상기 수용 영역(300) 중 함유물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건조된 항체와의 응집 반응을 통한 당화혈색소 확인
혈액 1 ul를 증류수 50 ul에 넣고 수 초간 흔들어 용혈시켰다. 용혈액 51 ul를 라텍스 입자 75 ul(IVD lab, 한국)와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상기 용혈액 안에 있는 총혈색소 및 HbA1c를 라텍스 입자와 비특이적으로 흡착된다. 이 경우의 흡광도, 제1 흡광도를 66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다음 반응물은 응집제(agglutinator) (IVD lab, 한국) 25 ul가 건조된 튜브에 추가하여 5분 동안 흡광도, 제2 흡광도의 변화를 660 nm에서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응집제는 마우스 항-인간 HbA1c 단일클론 항체와 염소(goat) 항-마우스 IgG 다중클론 항체가 혼합된 용액이었다. 이때 상기 항체가 혼합된 용액에 상기 항체의 활성 유지를 위해 1% 수크로오스를 넣어 건조시켰다.
도 5는 일 구체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HbA1c 농도에 따른 흡광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의하면, HbA1c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2 흡광도 - 제1 흡광도, 즉ΔAbs가 증가하였다. 상기 HbA1c 농도는 각각 5.4%, 8.5% 및 11.9%이다. ΔAbs와 HbA1c(%)의 상관관계는 y=0.0625x-0.2193 (y는 ΔAbs, x는 HbA1c(%))로서, 상관계수 R2는 0.9789이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카트리지에 혈액 주입을 통한 당화혈색소 확인
혈액 2 ul를 라텍스 입자 75 ul(IVD lab, 한국)와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상기 용혈액 안에 있는 총혈색소 및 HbA1c를 라텍스 입자와 비특이적으로 흡착된다. 이 경우의 흡광도, 제1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다음 반응물은 응집제(agglutinator) (IVD lab, 한국) 25 ul가 건조된 튜브에 추가하여 5분 동안 흡광도, 제2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사용한 응집제는 마우스 항-인간 HbA1c 단일클론 항체와 염소(goat) 항-마우스 IgG 다중클론 항체가 혼합된 용액이었다. 이때 상기 항체가 혼합된 용액에 상기 항체의 활성 유지를 위해 1% 수크로오스를 넣어 건조시켰다.
도 6은 일 구체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HbA1c 농도에 따른 흡광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의하면, HbA1c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2 흡광도 - 제1 흡광도, 즉ΔAbs가 증가하였다. ΔAbs와 HbA1c(%)의 상관관계는 y=0.0720x-0.3236 (y는 ΔAbs, x는 HbA1c(%))로서, 상관계수 R2는 0.9974이었다.
혈액을 상기 카트리지에 바로 주입하여도 HbA1c 농도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카트리지 내에서 상기 혈액의 용혈과 상기 라텍스 입자와의 흡착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제1 반응 챔버 110: 모세관
200: 제2 반응 챔버 300: 수용 영역
310: 막 320: 걸림턱
330: 돌출부 400: 혈액 함유부
500: 뚜껑 600: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
700: 입자 1000: 카트리지

Claims (20)

  1. 모세관을 포함하는 제1 반응 챔버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반응 챔버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용 카트리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반응 챔버 및 제2 반응 챔버는 검출 영역인 것인 카트리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반응 챔버 및 제2 반응 챔버는 광투명한 것인 카트리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제1 반응 챔버와 연결된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영역과 제1 반응 챔버 사이에 막 및 걸림턱이 배치된 것인 카트리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영역을 이동시키는 구동부(actuator)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영역은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라텍스(lartex) 입자, 금 나노 입자, 아가로즈(agarose) 입자, 세파로즈(sepharose) 입자, 유리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카트리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반응 챔버는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은 항체, 보론산, 콘카나발린, 응집제(agglutinato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카트리지.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화 단백질은 당화 폴리펩티드 또는 당화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화 단백질은 당화 혈색소, 당화 혈색소의 단편, 당화 아미노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카트리지.
  13.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와 입자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 단백질과 상기 입자의 혼합물을 모세관을 통하여 흐르게 하는 단계,
    상기 모세관을 통하여 흐르는 상기 혼합물로부터 제1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을 응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과의 응집물로부터 제2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세관은 모세관을 포함하는 제1 반응 챔버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반응 챔버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용 카트리지의 모세관인 것인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를 용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당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와 입자를 혼합시키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당화 단백질 결합 물질을 건조시켜 고체화시키는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측정은 광학적 신호, 전기적 신호, 기계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하는 것인 방법.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측정은 응집된 당화 단백질 자체의 신호를 측정하는 것인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당화 단백질은 당화 혈색소이고, 신호의 측정은 당화 혈색소 자체에 특이적인 광학적 신호를 측정하는 것인 방법.
  20. 모세관을 포함하는 제1 반응 챔버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반응 챔버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용 카트리지; 및
    측정기를 포함하는 당화 단백질 측정용 시스템.
KR1020120138510A 2012-11-30 2012-11-30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당화 단백질 측정 방법 KR101959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510A KR101959445B1 (ko) 2012-11-30 2012-11-30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당화 단백질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510A KR101959445B1 (ko) 2012-11-30 2012-11-30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당화 단백질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247A true KR20140070247A (ko) 2014-06-10
KR101959445B1 KR101959445B1 (ko) 2019-03-18

Family

ID=5112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510A KR101959445B1 (ko) 2012-11-30 2012-11-30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당화 단백질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4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4699A (en) * 1993-06-08 1997-10-07 Chronomed, Inc. Two-phase optical assay
KR100662021B1 (ko) * 2005-12-30 2006-12-27 주식회사 인포피아 바이오 카트리지
KR100776394B1 (ko) * 2006-11-21 2007-11-28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및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KR100798471B1 (ko) * 2007-10-08 2008-01-28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측정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4699A (en) * 1993-06-08 1997-10-07 Chronomed, Inc. Two-phase optical assay
KR100662021B1 (ko) * 2005-12-30 2006-12-27 주식회사 인포피아 바이오 카트리지
KR100776394B1 (ko) * 2006-11-21 2007-11-28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및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KR100798471B1 (ko) * 2007-10-08 2008-01-28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측정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445B1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0362B1 (en) Centrifugal micro-fluidic structure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centrifugal micro-fluidic device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Drescher et al.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analysis of binding interactions of proteins in inner-ear sensory epithelia
JP3299271B2 (ja) 毛細管血液抗原試験装置
EP2306176B1 (en) Optical analysis-use chip
JP5348901B2 (ja) 分析用デバイスを用いた分析方法
JP5738328B2 (ja) 凝集試薬の製造方法、および分析対象物測定方法、ならびに試験キットおよび分析デバイス
JP2004340923A (ja) 全血中の分析対象物の計測に対するヘマトクリットの影響を減らす方法ならびに当該方法で有用な試験キット及び試験用品
WO2014112318A1 (ja) 検体中のヘモグロビンA1cの免疫測定方法
CN106226526A (zh) 一种锌转运蛋白8抗体化学发光免疫检测试剂盒及其制备方法
JP4184356B2 (ja) センサ、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3447360B2 (ja) 分析検定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反応容器
US2014037777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Haematological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from a Biological Sample
EP2872901A1 (en) Flow conduit system for a biochemical sensor
TWI338781B (en) Electrochemical detection method
Drescher et al. Protein interaction analysis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CN110927076A (zh) 一种采用金纳米孔阵列芯片的生物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5267515B2 (ja) 検査対象受体
US201700168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centration of a component in a fluid sample
KR101412423B1 (ko) 검체 함유 유닛, 검체 측정 카세트, 검체 측정 유닛 및 검체 측정 장치
KR101959445B1 (ko) 시료 중의 당화 단백질을 측정하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당화 단백질 측정 방법
Wang et al. One-step ligand immobilization and single sample injection for regeneration-free surface plasmon resonance measurements of biomolecular interactions
CN109690291B (zh) 用于表面等离子体共振分析的阶梯式合并注入
Drescher et al.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analysis of binding interactions of inner-ear proteins
CN105301261A (zh) 一种检测糖化血红蛋白的试剂盒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2906567B (zh) 用于测定样品中的分析对象物质的检查器具及使用其的分析对象物质的测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