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168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168A
KR20140070168A KR1020120138330A KR20120138330A KR20140070168A KR 20140070168 A KR20140070168 A KR 20140070168A KR 1020120138330 A KR1020120138330 A KR 1020120138330A KR 20120138330 A KR20120138330 A KR 20120138330A KR 20140070168 A KR20140070168 A KR 20140070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layer
layer
dopa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068B1 (ko
Inventor
이세희
권순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068B1/ko
Priority to US14/087,476 priority patent/US9905788B2/en
Priority to CN201310629714.4A priority patent/CN103855189B/zh
Publication of KR2014007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Abstract

본 발명은 시야각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 각각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 각각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을 구비하며, 상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은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 제1 발광층과;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정공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지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은 시야각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평판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구비하며,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재결합하여 정공-전자쌍인 여기자를 형성하고, 다시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돌아오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종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층은 호스트와 도펀트를 혼합 증착(co-deposition)하여 형성한다. 그러나, 호스트와 도펀트로 이루어진 발광층 내에서 도핑 농도가 불균일하게 도핑되면, 도핑이 되지 않은 호스트에 따른 발광이 발생되어 시야각 및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이 균일하게 도핑된 경우 시야각이 0도일 때 1개의 발광 피크를 가지는 반면에, 발광층이 불균일하게 도핑된 경우, 2개의 발광 피크를 가진다. 이에 따라, 발광층이 불균일하게 도핑된 경우, 시야각 0도 일 때 2개의 발광 피크에 해당하는 색이 혼합되어 보이므로 시야각에 따른 색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야각의 색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 각각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 각각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을 구비하며, 상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은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 제1 발광층과;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정공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지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발광층은 0.5Å~1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발광층은 순수 유기물 또는 금속 착화합물로 이루어진 발광 도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는 동일한 재질의 인광 도펀트 또는 형광 도펀트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층의 발광 호스트는 인광 호스트 또는 형광 호스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색 및 청색 발광층은 상기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발광층과;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정공 수송층 각각과, 상기 제1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지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녹색 발광층은 상기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 각각은 상기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발광층과;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정공 수송층 각각과, 상기 제1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지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전극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층은 금속, 무기물, 금속 혼합층 또는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층이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층이 금속과 금속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은 Ag, Mg, Yb, Li 또는 Ca로 형성되며, 무기물은 LiO2, CaO, LiF 또는 MgF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전극의 투과율은 430nm의 파장대에서 30~60%이며, 550nm의 파장대에서 20~50%이며, 650nm의 파장대에서 15~40%이며, 상기 제2 전극은 100~400Å의 두께를 가지며, 면저항이 40Ω/□이하이며, 상기 제 2 전극은 일함수가 3~5.3eV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전극 상에 유기층과 무기층이 수회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전면 실링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 제1 발광층과, 전자 수송층 및 정공 수송층 각각과 제1 발광층 사이에 발광 도펀트로만 이루어진 제2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시야각에 따른 색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파장에 따른 전류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파장에 따른 전류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비교예들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비교예 1와 본 발명의 실시 예 1의 시야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1) 상에 형성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셀을 구비한다.
적색, 녹색 발광셀 및 청색 발광셀 각각은 기판(10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 전극(102), 정공 주입층(112), 제1 정공 수송층(114), 발광층(110), 전자 수송층(116), 제2 전극(104) 및 전면실링층(120)을 구비한다. 또한, 적색 및 녹색 발광셀은 제1 정공 수송층(114)과 발광층(11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정공 수송층(118)을 더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전극(102,1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 전극으로 형성된다. 제1 전극(102)이 투명 전극이고, 제2 전극(104)이 불투명 전극인 경우, 하부로 광을 출사하는 배면 발광 구조이다. 제2 전극(104)이 투명 전극이고, 제1 전극(102)이 불투명 전극인 경우, 상부로 광을 출사하는 전면 발광 구조이다. 제1 및 제2 전극(102,104) 모두 투명 전극인 경우, 상하부로 광을 출사하는 양면 발광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전극(102)이 애노드로서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104)이 캐소드로서, 불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전극(102)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 이하,ITO), IZO(Indum Zinc Oxide; 이하,IZO)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제2 전극(104)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지며, 제2 전극(104)을 이루는 각 층은 금속, 무기물, 금속 혼합층 또는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형성된다. 이 때, 각 층이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며, 각 층이 금속과 금속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된다. 제2 전극(104)을 이루는 금속은 Ag, Mg, Yb, Li 또는 Ca로 형성되며, 무기물은 Li2O, CaO, LiF 또는 MgF2로 형성되며, 전자 이동을 도와 발광층(110)으로 전자들이 많이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 전극(104)은 100~400Å의 두께를 가지며, 면저항이 40Ω/□이하이며, 일함수가 3~5.3eV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2 전극(104)의 투과율은 430nm의 파장대에서 30~60%이며, 550nm의 파장대에서 20~50%이며, 650nm의 파장대에서 15~40%이다.
정공 주입층(112)은 제1 전극(102)으로부터의 정공을 제1 및 제2 정공 수송층(114,118)에 공급한다. 제1 및 제2 정공 수송층(114,118)은 정공 주입층(112)으로부터의 정공을 각 발광셀의 발광층(110)에 공급한다. 제2 정공 수송층(118)은 청색 발광셀에 형성되지 않고, 녹색 발광셀보다 적색 발광셀에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각 발광셀마다 제2 정공 수송층(118)의 두께를 조절하여 출사광을 보강간섭함으로써 각 발광셀에서의 수직 방향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116)은 제2 전극(104)으로부터의 전자를 각 발광셀의 발광층(110)에 공급한다.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발광층(110) 각각에서는 제1 및 제2 정공 수송층(114,118)을 통해 공급된 정공과 전자 수송층(116)을 통해 공급된 전자들이 재결합되므로 광이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발광층(110) 각각은 제1 발광층(110a)과, 제1 발광층(110a) 및 정공 수송층(114,118) 사이와, 제1 발광층(110a) 및 전자 수송층(116)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발광층(110b)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발광층(110a)은 적색(R) 발광층(110), 녹색(G) 발광층(110) 및 청색(B) 발광층 순으로 두께가 얇아진다. 즉, 각 발광셀마다 제1 발광층(110a)의 두께를 조절하여 출사광을 보강간섭함으로써 각 발광셀에서의 수직 방향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제1 발광층(110a)은 해당 색의 발광 호스트 및 해당 색의 발광 도펀트(예를 들어, 순수 유기물 또는 금속 착화합물로 형성됨)로 이루어지며, 제2 발광층(110b)은 도펀트 발광을 통해 호스트 발광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제1 발광층(110a)과 동일한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적색(R) 및 녹색(G) 발광층(110) 각각의 제1 발광층(110a)은 동일한 호스트로 형성된다. 즉, 적색(R) 및 녹색(G) 발광층(110) 각각의 제1 발광층(110a)의 호스트는 인광 호스트인 화학식 1의 BeBq2와 같은 Be complex계열, CBP계열, BCP계열, CDBP계열, TAZ계열, mCP계열 또는 Balq3계열로 형성된다.
Figure pat00001
적색(R) 발광층(110)의 제1 발광층(110a)의 발광 도펀트는 인광 도펀트인 Ir 복합 계열인 화학식 2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녹색(G) 발광층(110)의 제1 발광층(110a)의 발광 도펀트는 인광 도펀트인 Ir복합 계열인 화학식 3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청색(B) 발광층(110)의 제1 발광층(110a)은 화학식 4와 같은 발광 호스트와 화학식 5와 같은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한편, 적색(R) 및 녹색(G) 발광층(110) 각각에 포함되는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는 앞서 기재된 화학식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유도체 및 다양한 구조의 인광 또는 형광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적색(R) 발광층(110)의 제2 발광층(110b)은 적색 도펀트만을 이용하여 약 0.5Å~1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 때, 적색(R) 발광층(110)의 제2 발광층(110b)은 적색(R) 발광층(110)의 제1 발광층(110a)과 동일한 도펀트로 형성된다.
녹색(G) 발광층(110)의 제2 발광층(110b)은 녹색 도펀트만을 이용하여 약 0.5Å~1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 때, 녹색(G) 발광층(110)의 제2 발광층(110b)은 녹색(G) 발광층(110)의 제1 발광층(110a)과 동일한 도펀트로 형성된다.
청색(B) 발광층(110)의 제2 발광층(110b)은 청색 도펀트만을 이용하여 약 0.5Å~1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 때, 청색(B) 발광층(110)의 제2 발광층(110b)은 청색(B) 발광층(110)의 제1 발광층(110a)과 동일한 도펀트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발광층(110b)은 해당색의 발광 도펀트로만 형성되므로 각 발광도펀트의 호모(HOMO) 및 루모(LUMO) 레벨에 의해 전자 수송층(116)으로부터의 전자와 정공 수송층(114,118_으로부터의 전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엑시톤을 축적시키는 영역이 된다. 제2 발광층(110b)에 축적된 엑시톤은 그 밀도가 적정 수준에 도달하면 거의 동시에 소멸되어 도펀트 발광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발광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색 발광층이 균일하게 도핑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야각이 0도일 때 1개의 발광 피크를 가지므로 시야각에 따른 색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발광층(110b)을 통한 도펀트 발광을 통해 호스트 발광을 억제시켜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전면 실링층(12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차단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면 실링층(120)은 유기층과 무기층이 수회 교번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무기층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1차적으로 차단하도록 알루미늄 옥사이드(AlxOx), 산화실리콘(SiOx), SiNx, SiON 및 LiF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유기층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2차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유기층은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휘어짐에 따른 각 층들 간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역할을 하며, 평탄화 성능을 강화한다. 이러한 유기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머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발광층(110) 각각이 제1 및 제2 발광층(110a,110b)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G) 발광층(110)을 제외한 적색(R) 및 청색(B) 발광층(110)이 제1 및 제2 발광층(110a,110b)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녹색(G) 발광층(110)에서 구현되는 녹색에 대한 민감도는 다른 색에 비해 낮기 때문에 녹색의 색쉬프트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사람 눈에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G) 발광층(110)을 호스트 및 도펀트로 이루어진 단층으로 형성하고, 적색(R) 및 청색(G) 발광층(110)을 제1 및 제2 발광층(110)으로 형성하여도 도 2의 구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자 수송층(116)과 제1 발광층(110a) 사이와, 정공 수송층(114,118)과 제1 발광층(110a) 사이에 제2 발광층(110b)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엑시톤 형성 영역에 따라서, 전자 수송층(116)과 제1 발광층(110a) 사이 또는 정공 수송층(114,118)과 제1 발광층(110a) 사이에 제2 발광층(110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비교예들의 수명특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비교예1은 제2 발광층을 구비하지 않고 호스트와 도펀트로 이루어진 적색 발광층을 가진 구조(기판/제1 전극/정공 주입층/적색 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제2 전극)이다. 비교예 2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하지 않고 호스트와 도펀트로 이루어진 청색 발광층을 가진 구조(기판/제1 전극/정공 주입층/청색 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제2 전극)이다. 실시 예1은 제1 발광층(호스트+도펀트)과, 제1 발광층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발광층(2~3Å의 두께를 가지는 Ir 복합물로이루어진 적색 도펀트)으로 이루어진 적색 발광층을 가진 구조(기판/제1 전극/정공 주입층/제2 적색발광층/제1 적색발광층/제2 적색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제2 전극)이다. 실시 예2는 제1 발광층(호스트+도펀트)과, 제1 발광층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발광층(1~2Å의 두께를 가지는 페릴렌 유도체로 이루어진 청색 도펀트)으로 이루어진 청색 발광층(기판/제1 전극/정공 주입층/제2 청색발광층/제1 청색발광층/제2 청색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제2 전극)을 가진 구조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공 수송층(114,118) 및 전자 수송층(116) 각각과 제1 발광층(110) 사이에 도펀트로만 이루어진 제2 발광층(110b)을 가지는 실시 예 1 및 2는 호스트와 도펀트가 불균일하게 도핑된 발광층을 가지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수명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1과 비교예 1의 시야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1은 정면에서 바라보는 0°에서 점차 15°, 30°, 45°, 60°에서 기울여 바라보며 측정한 결과, 시야각 변화에 따른 적색의 시감 변화폭이 작은 반면에, 비교예 1은 시야각 변화에 따른 적색의 시감 변화폭이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각이 30도 이후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 시야각 개선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2 : 제1 전극 104 : 제2 전극
110 : 발광층 116 : 전자 수송층

Claims (9)

  1.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 각각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 각각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을 구비하며,
    상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은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 제1 발광층과;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정공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지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층은 0.5Å~1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층은 순수 유기물 또는 금속 착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는 동일한 재질의 인광 도펀트 또는 형광 도펀트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층의 발광 호스트는 인광 호스트 또는 형광 호스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및 청색 발광층은
    상기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발광층과;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정공 수송층 각각과, 상기 제1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지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하며,
    상기 녹색 발광층은 상기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 각각은
    상기 발광 호스트 및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발광층과;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정공 수송층 각각과, 상기 제1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도펀트로 이루어지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층은 금속, 무기물, 금속 혼합층 또는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층이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층이 금속과 금속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은 Ag, Mg, Yb, Li 또는 Ca로 형성되며, 무기물은 LiO2, CaO, LiF 또는 MgF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의 투과율은 430nm의 파장대에서 30~60%이며, 550nm의 파장대에서 20~50%이며, 650nm의 파장대에서 15~40%이며,
    상기 제2 전극은 100~400Å의 두께를 가지며, 면저항이 40Ω/□이하이며,
    상기 제 2 전극은 일함수가 3~5.3eV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상에 유기층과 무기층이 수회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전면 실링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20138330A 2012-11-30 2012-11-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330A KR102016068B1 (ko) 2012-11-30 2012-11-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087,476 US9905788B2 (en) 2012-11-30 2013-11-22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201310629714.4A CN103855189B (zh) 2012-11-30 2013-11-29 有机发光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330A KR102016068B1 (ko) 2012-11-30 2012-11-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168A true KR20140070168A (ko) 2014-06-10
KR102016068B1 KR102016068B1 (ko) 2019-08-29

Family

ID=5082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330A KR102016068B1 (ko) 2012-11-30 2012-11-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05788B2 (ko)
KR (1) KR102016068B1 (ko)
CN (1) CN10385518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0520B2 (en) 2014-12-05 2017-02-14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KR20170063305A (ko) * 2015-11-30 2017-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102906A (ko) * 2014-12-30 2017-09-12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725B1 (ko) 2012-10-31 2014-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3884B1 (ko) * 2013-04-26 2020-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5153B1 (ko) * 2013-11-29 2020-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US9570519B2 (en) * 2014-10-29 2017-02-1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multi-organic layers
KR102299838B1 (ko) * 2014-10-31 2021-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68135B1 (ko) * 2014-11-07 2021-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745491B1 (ko) * 2015-03-12 2017-06-13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47311B1 (ko) * 2015-10-28 2022-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20026B1 (ko) * 2015-12-30 2023-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EP3269444A1 (en) * 2016-07-14 2018-01-17 Base4 Innovation Ltd Method of identifying droplets in a stack and an associated sequencer
KR20230065378A (ko) 2016-11-30 2023-05-1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652A (ko) * 2004-02-19 2005-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50249972A1 (en) * 2004-05-04 2005-11-10 Eastman Kodak Company Tuned microcavity color OLED display
US20060055305A1 (en) * 2002-11-18 2006-03-16 Masakazu Funahashi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US20060232194A1 (en) * 2005-04-13 2006-10-19 Yeh-Jiun Tung Hybrid OLED having phosphorescent and fluorescent emitters
KR20070059838A (ko) * 2005-12-06 2007-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10032589A (ko) * 2009-09-23 2011-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1360B2 (en) 1999-06-08 2003-02-18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White and color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ing single emitting material by novel color change technique
JP3589960B2 (ja) * 1999-09-16 2004-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有機el素子
EP1365049B1 (en) * 2001-02-02 2006-05-03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mplex fiber excellent in post-process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7768194B2 (en) * 2005-06-01 2010-08-03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Fluorescent filtered electrophosphorescence
KR101058109B1 (ko) 2009-09-15 2011-08-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5305A1 (en) * 2002-11-18 2006-03-16 Masakazu Funahashi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KR20050082652A (ko) * 2004-02-19 2005-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50249972A1 (en) * 2004-05-04 2005-11-10 Eastman Kodak Company Tuned microcavity color OLED display
US20060232194A1 (en) * 2005-04-13 2006-10-19 Yeh-Jiun Tung Hybrid OLED having phosphorescent and fluorescent emitters
KR20070059838A (ko) * 2005-12-06 2007-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10032589A (ko) * 2009-09-23 2011-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0520B2 (en) 2014-12-05 2017-02-14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KR20170102906A (ko) * 2014-12-30 2017-09-12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204541B2 (en) 2014-12-30 2019-02-12 Kunshan Go-Visionox Opto-Electronics Co., Ltd. Display and drive method thereof
KR20170063305A (ko) * 2015-11-30 2017-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068B1 (ko) 2019-08-29
CN103855189A (zh) 2014-06-11
US20140151658A1 (en) 2014-06-05
CN103855189B (zh) 2017-01-04
US9905788B2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06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741781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12654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9997739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419249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2392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8075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932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6609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848084B (zh) 一种oled显示面板、制作方法及含有其的电子设备
KR2015006378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0340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77301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150124010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811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7998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N106486516A (zh) 有机发光装置
KR2011002748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98077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933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8023022A (zh)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电子设备
KR101849583B1 (ko)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11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95242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CN109285953B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