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836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836A
KR20140068836A KR1020140058337A KR20140058337A KR20140068836A KR 20140068836 A KR20140068836 A KR 20140068836A KR 1020140058337 A KR1020140058337 A KR 1020140058337A KR 20140058337 A KR20140058337 A KR 20140058337A KR 20140068836 A KR20140068836 A KR 20140068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vailable power
information
power inform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361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6883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6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Abstract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단말은 역방향 전송 자원을 획득하는 과정과,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가용 전력 정보가 마지막 전송된 이후 상기 경로 손실이 기준 값 이상 변화한 경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가용 전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of U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은 유럽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를 기반으로 하여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한다)을 사용하는 제 3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현재 UMTS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UMTS 시스템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LTE는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로서 2010년 정도에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논의 중에 있다.
도 1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UMTS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10, 112; Evolved Radio Access Network, 이하 "E-RAN"라 한다)는 차세대 기지국(120, 122, 124, 126, 128; Evolved Node B, 이하 "ENB"라 한다)과, 차세대 상위 노드(130, 132; Enhanced 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EGGSN"라 한다)의 2 노드 구조로 단순화된다. 사용자 단말(101; User Equipment, 이하 "UE"라 한다)은 E-RAN(110, 112)에 의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한다) 네트워크(114)로 접속한다.
ENB(120, 122, 124, 126, 128)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되며, UE(101)와 무선 채널로 연결된다. 기존의 노드 B와 달리 상기 ENB(120, 122, 124, 126, 128)는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하 "LTE"라고 한다)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상황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20, 122, 124, 126, 128)가 담당한다. 최대 100 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는 최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ENB(이하 ENB와 기지국을 혼용한다)는 단말들에게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동작, 즉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서 단말들로부터 여러 가지 정보를 보고 받는데, 이러한 정보의 예로서,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과 종류에 관한 정보(Buffer Status Report, 이하 "BSR"이라 한다)와 단말의 가용 전력에 관한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BSR은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을 우선 순위 별로 지시하는 정보로서,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단말이 생성해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특정 조건은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단말에 새로운 데이터가 발생했다든지, BSR을 전송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용 전력 정보는 단말의 현재 채널 상황을 감안했을 때, 단말이 역방향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가용 전력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이때, 가용 전력 정보의 크기는 수 바이트에 불과하지만, OFDM 통신 시스템의 특성 상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최소 전송 자원 단위인 1 RB(Resource Block)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5 MHz 대역폭의 시스템에 도합 25개의 RB가 존재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가용 전력 정보를 꼭 필요한 경우에만 생성/전송함으로써 가용 전력 정보의 전송 빈도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의 전송 빈도를 줄일 수 있는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의 전송 빈도를 줄임으로써 역방향 전송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이 역방향 전송 자원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가용 전력 정보가 마지막 전송된 이후 상기 경로 손실이 기준 값 이상 변화한 경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가용 전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가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가용 전력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의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가용 전력 정보는, 상기 단말이 역방향 전송 자원을 획득하고,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가용 전력 정보가 마지막 전송된 이후 상기 경로 손실이 기준 값 이상 변화한 경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으로 수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는, 역방향 전송 자원을 획득하고,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상기 경로 손실이 가용 전력 정보가 마지막 전송된 이후 기준 값 이상 변화한 경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가용 전력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 장치는, 가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수신된 가용 전력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의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용 전력 정보는, 상기 단말이 역방향 전송 자원을 획득하고,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가용 전력 정보가 마지막 전송된 이후 상기 경로 손실이 기준 값 이상 변화한 경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으로 수신된다.
도 1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구조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가용 전력 정보전송을 위한 조건 1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가용 전력 정보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표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혹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UMTS 시스템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는 기지국의 스케줄러가 단말에게 공격적으로 전송 자원을 할당할 때 필요성이 증대된다. 다시 말해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많은 전송 자원을 할당하려면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의 효용이 증가하지만, 기지국이 단말에게 적은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가용 전력 정보가 거의 필요치 않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에서 가용 전력의 정의 및 단말이 역방향 데이터 전송 시 역방향 전송 출력을 설정하는 방식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단말의 가용 전력(Power Headroom)은 통상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서 산출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PMAX는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Ptx _ lowest _ mcs는 단말이 가장 낮은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레벨을 적용해서 하나의 RB(Resource Block)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요구되는 전송 출력이다. 그리고 상기 PMAX 는 단말의 장치적 특성에 따라 정해질 수 있고, 또는 기지국이 호 설정과정에서 단말별로 지정할 수 있다.
임의의 MCS 레벨을 적용하고 임의의 n개의 RB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요구 전송 출력(PREQUIRED)은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서 산출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Po,
Figure pat00003
는 단말에 저장된 또는 호 설정 과정에서 기지국에 의해서 시그널링 되는 양의 실수, PL는 단말이 측정하는 경로 손실, delta_mcs는 MCS 레벨 별로 미리 설정된 임의의 정수 값, f(delta_i)는 단말이 현재 시점까지 명령 받은 역방향 전송 출력 조정 명령들을 소정의 함수 f()에 입력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그리고 단말이 실제로 사용하는 전송 출력은 상기 PMAX에 의해서 제한된다. 즉, 단말의 실제 전송 출력(P)는 하기의 <수학식 3>에 의해서 산출된다.
Figure pat00004
임의의 시점에 임의의 MCS 레벨을 적용해서 임의의 정수 개의 RB로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스케줄링 명령을 받으면, 단말은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해서 PREQUIRED 를 산출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PREQUIRED 값이 PMAX 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PREQUIRED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PMAX 를 초과하면 PMAX 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PREQUIRED가 PMAX 를 초과한다는 것은 필요한 전송 출력을 적용하지 못함을 의미하므로, 스케줄러는 가능한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말에게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MCS 레벨을 지시하여야 한다.
단말의 가용 전력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MCS 레벨을 지시함에 있어서, PREQUIRED가 PMAX를 초과하지 않도록 스케줄링을 할 수 있도록 기지국이 참조하는 정보이다.
<수학식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가용 전력은 Ptx _ lowest _ mcs 에 의해서 결정되고, Ptx _ lowest _ mcs 는 가장 낮은 MCS 레벨을 적용하고 하나의 RB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PREQUIRED이므로, 결국 가용 전력을 결정하는 요소는, Po,
Figure pat00005
, PL, f(delta_i)이다. 이 중, Po,
Figure pat00006
는 상수이고, 역방향 전송 출력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주체는 기지국이기 때문에, f(delta_i) 역시 기지국에 알려진 값이다. 한편, 경로 손실은 단말이 측정하는 것이므로, 기지국에게 알려 지지 않은 변수이며, 경로 손실의 급격한 변화로 단말의 가용 전력이 변하면 기지국은 이를 인지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경로 손실이 급격하게 변하면 변화된 가용 전력을 기지국에게 보고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그러나, 단말의 경로 손실의 급격한 변화 또는 이에 따라 가용 전력이 급격히 변화가 있더라도, 새로운 가용 전력을 기지국에게 항상 보고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가 필요한 경우는, 단말에게 많은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높은 MCS 레벨을 적용해서, PREQUIRED가 PMAX 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을 때이다. 그런데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양이 미미하다면, 단말에게 많은 전송 자원이 할당되고 높은 MCS 레벨이 적용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상기 사항에서 착안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 단말은 하기의 두 가지 조건을 이용하여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전송한다.
<조건 1>
경로 손실의 변화가 소정의 ㅿ 를 초과
<조건 2>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이 소정의 Y를 초과
상기 조건 1에서 경로 손실의 변화 대신 가용 전력의 변화 혹은 채널 품질 지시자(CQI : Channel Quality Information)의 변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조건 1에서 가용 전력의 변화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단말은 코드 포인트가 지시하는 가용 전력들을 영역 별로 분류한 후, 각 영역 마다 다른 기준 값을 적용하여 가용 전력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이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가용 전력이 크면 변화가 크더라도 변화된 가용 전력이 여전히 큰 값이기 때문에 기지국이 PREQUIRED가 PMAX 를 초과하도록 스케줄링 할 가능성이 낮지만, 가용 전력이 작으면 가용 전력이 조금 변하더라도, 기지국이 PREQUIRED가 PMAX 를 초과하도록 스케줄링 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가용 전력 정보가 8 비트이고, 가용 전력 정보의 각 코드 포인트가 지시하는 가용 전력이 <표 1>과 같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가용 전력 정보 가용 전력 영역
0 X0 영역 1
... ... ...
N-1 X(N-1) 영역 1
N XN 영역 2
... ... ...
M-1 X(M-1) 영역 2
M XM 영역 3
... ... ...
255 X255 영역 3
<표 1>을 참조하면, 가용 전력 X0에서 X(N-1)사이는 영역 1로, XN에서 X(M-1)사이는 영역 2로, X(M-1)에서 X255사이는 영역 3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상기 <표 1>을 근거로, 가장 최근에 보고한 가용 전력이 영역 1에 속한다면, 현재 가용 전력이 상기 가장 최근에 보고한 가용 전력과 ㅿ1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만 가용 전력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 변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단말은 가장 최근에 보고한 가용 전력이 영역 2에 속한다면, 현재 가용 전력이 상기 가장 최근에 보고한 가용 전력과 ㅿ2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만 가용 전력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 변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단말은 가장 최근에 보고한 가용 전력이 영역 3에 속한다면, 현재 가용 전력이 상기 가장 최근에 보고한 가용 전력과 ㅿ3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만 가용 전력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 변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가용 전력의 변화로 상기 조건 1의 충족 여부를 판단할 경우, 단말은 도 2와 같이 동작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가용 전력 정보전송을 위한 조건 1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205 단계에서 호 설정 과정 등을 통해 가용 전력 정보, 가용 전력 영역, 및 각 영역 별 변화 기준치를 인지한다. 상기 205 단계에서 단말이 가용 전력 정보를 인지한다는 것은 가용 전력 정보의 코드 포인트와 가용 전력 간의 매핑 관계를 인지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205 단계에서 단말이 상기 가용 전력 영역을 인지한다는 것은 가용 전력이 속하는 영역을 인지한다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가용 전력 정보의 최소 값에 매핑되는 가용 전력과 최대 값에 매핑되는 가용 전력 사이의 모든 가용 전력에 대해서, 임의의 가용 전력이 어떤 영역에 속하는지를 인지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205 단계에서 단말이 상기 영역 별 변화 기준치를 인지한다는 것은 상기 가용 전력 영역이 n개의 영역으로 정의되었다면, 상기 정의된 n개의 가용 전력 영역마다 정의되는 변화 기준치들, ㅿ1,ㅿ2 , .. , ㅿn 을 인지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말은 210 단계에서 통상적인 역방향 데이터 전송 과정을 수행하면서,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해서 전송한다.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성공적으로 전송한 후, 단말은 215 단계에서 상기 가용 전력 정보에서 보고된 가용 전력이 속하는 영역을 확인한다. 이?, 보고된 가용 전력 영역을 k라 정의한다.
단말은 220 단계로 진행하여 지속적으로 가용 전력을 측정한다. 이어, 22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측정된 현재 가용 전력과 보고된 가용 전력의 차이 값을 산출하고, 차이 값이 영역 k의 변화 기준치인 ㅿk 보다 큰지 검사한다. 상기 225 단계에서 검사결과, 측정된 현재 가용 전력과 보고된 가용 전력의 차이가 기준치인 ㅿk 보다 큰 경우 230 단계로 진행해서 조건 1이 만족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230 단계에서 조건 1이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면 단말은 상기 220 단계로 되돌아가서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하는 등의 필요한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거나 상황에 따라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25 단계에서 검사 결과, 측정된 현재 가용 전력과 보고된 가용 전력의 차이가 기준치인 ㅿk 보다 작으면 단말은 235 단계로 진행해서 조건 1이 불만족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225 단계에서 조건 1 불만족 여부를 판단한 단말은 상기 235 단계에서 다시 상기 220 단계로 회귀해서 가용 전력 측정을 지속한다. 또한, 단말은 상기 235 단계에서 상황에 따라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가용 전력 정보 생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조건 2를 이용하는 이유는,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이 작으면, 가용 전력 정보의 효용도 떨어지기 때문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이면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전송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극단적인 예로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가용 전력 정보의 효용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조건 2의 기준 데이터 양 Y와 가용 전력 정보 발생 빈도는 반비례하는 속성을 가진다. 즉 Y가 높을 수록 가용 전력 정보발생 빈도는 줄어들고, Y가 낮을 수록 가용 전력 정보 발생 빈도는 높아진다. 네트워크는 단말의 성격이나 셀 상황 등에 따라서 차별적인 Y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미엄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에게는 보다 많은 전송 자원을 할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준 데이터 양 Y를 낮게 설정해서 가용 전력 정보가 자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셀 로드가 높은 상황에서는 임의의 단말에게 많은 전송 자원을 할당할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기준 데이터 양 Y를 높게 설정해서 가용 전력 정보 발생 빈도를 낮출 수 있다.
이하, 상기 설명한 조건 1 및 조건 2을 이용하여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5 단계에서 단말은, 가용 전력 정보 생성 조건인 조건 1과 조건 2를 인지한다. 조건 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로 손실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 변했을 때 혹은 가용 전력이 영역 별로 정의된 소정의 기준치 이상 변했을 때 혹은 CQI의 변화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 변했을 때 충족된다.
그리고, 310 단계에서 단말은 소정의 절차에 따라 역방향 데이터 전송 과정을 시작한다. 이어 315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면서 가용 전력을 측정한다. 즉, 단말은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해 역방향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맞춰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정해진 소정의 기간을 주기로 경로 손실 혹은 가용 전력(Power Headroom) 혹은 순방향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역방향 스케줄링 정보는 할당된 전송 자원과 적용할 MCS 레벨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그리고, 단말은 320 단계에서 조건 1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말은 상기 일정 주기로 측정한 현재 경로 손실과 가장 최근에 성공적으로 전송한 가용 전력 정보의 가용 전력을 계산할 때 사용한 경로 손실의 차이 값이, 조건 1에서 지시된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혹은 단말은 상기 일정 주기로 측정한 현재 가용 전력과 가장 최근에 성공적으로 보고한 가용 전력의 차이 값이, 조건 1에서 지시된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검사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조건 1에서 지시된 소정의 기준치는 영역별로 달리 정의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가장 최근에 성공적으로 보고한 가용 전력이 속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기준치가 사용될 수 있다. 혹은 단말은 상기 일정 주기로 측정한 순방향 채널 품질을 반영하는 CQI와 가장 최근에 성공적으로 보고한 가용 전력 정보의 가용 전력을 계산할 때 사용한 CQI의 차이 값이, 조건 1에서 지시된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단말은 상기 320 단계에서 조건 1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면 325 단계로 진행하고, 조건 1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315 단계로 회귀해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 및 가용 전력 측정을 수행한다.
상기 325 단계에서 단말은 조건 2 충족 여부를 검사한다. 즉, 단말은 325 단계에서 현재 시점에서 저장하고 있는 역방향 데이터의 총합이 조건 2에서 지시된 소정의 Y를 초과하는지 검사하여, 저장된 데이터의 총합이 Y를 초과하면 330 단계로, 초과하지 않으면 315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단말에 따라서 상기 Y는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단말의 버퍼가 비어있지 않으면 조건 2가 만족한 것으로 판단될 수도 있다. 이어 330 단계에서 단말은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해서 소정의 절차에 따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315 단계로 회귀하거나 단말의 상황에 따라 종료한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 조건 1과 조건 2의 만족 여부를 항상 검사하지 않고 단말이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기 직전에 검사함으로써, 가용 전력 정보가 생성되더라도 별도의 전송 자원 할당 요청하지 않고, 전송할 역방향 데이터에 가용 전력 정보를 수납해서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사용하면, 가용 전력 정보 전송을 위해서 단말이 별도의 전송 자원을 요청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가용 전력 정보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5 단계에서 단말은 호 설정 과정 등을 통해서 가용 전력 정보 생성 조건인 조건 1과 조건 2를 인지한다. 조건 1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경로 손실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 변했을 때 혹은 가용 전력이 영역 별로 정의된 소정의 기준치 이상 변했을 때 혹은 CQI의 변화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 변했을 때 충족된다. 조건 2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일 때 충족된다. 호 설정 과정을 완료한 단말은 410 단계에서 소정의 절차에 따라 BSR을 전송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통보한다. 상기 BSR을 통해서 전송할 데이터가 없었던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가 새롭게 발생했다는 사실을 보고하는 것이라면, 단말은 BSR을 전송하면서 가용 전력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410 단계에서 BSR과 가용 전력 정보를 성공적으로 전송한 후 413 단계로 진행하여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한다. 이때, 단말은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면서 필요 시 경로 손실이나 순방향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측정한 순방향 채널 상태를 바탕으로 기지국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값을 결정한다. 단말은 상기 413 단계에서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다가, 415 단계에서 역방향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여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받는다. 이후, 420 단계로 진행해서 조건 1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420 단계의 조건 1 만족 여부 판단 과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320 단계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420 단계에서 단말은 조건 1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면 425 단계로 진행하고, 조건 1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44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5 단계에서 단말은 조건 2의 충족 여부를 검사한다. 즉, 단말은 425 단계에서 현재 시점에 저장하고 있는 역방향 데이터의 총합이 조건 2에서 지시된 소정의 Y를 초과하는지 검사하여, 저장된 데이터의 총합이 Y를 초과하면 430 단계로, 초과하지 않으면 44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5 단계에서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역방향 데이터의 총합은, 현재 시점의 총 데이터 양에서 상기 415 단계에서 할당된 전송 자원을 이용해서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차감한 값이다. 예를 들어 상기 415 단계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500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였고, 상기 425 단계에서 단말이 모두 1000 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면, 상기 단말은 상기 1000 바이트에서 500 바이트를 차감한 값과 소정의 Y를 비교한다.
상기 430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해당 시점의 경로 손실 등을 이용해서 가용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용 전력을 수납한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말은 43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포함한 역방향 데이터를 생성한 후 44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5단계에서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 받았더라도 조건 1이나 조건 2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단말은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440 단계로 진행하여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역방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44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4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435 단계에서 생성된 역방향 데이터를 할당 받은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한다. 그리고 413 단계로 귀환하여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거나 단말의 상황에 따라 종료한다.
<제3 실시 예>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조건 2를 검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조건 2를 검사하는 이유는 가용 전력 정보가 수납된 데이터를 전송한 후 단말에 남아 있는 데이터의 양이 일정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조건 2의 검사를 가용 전력 정보가 수납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수행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되고 조건 1이 충족되면 가용 전력 정보가 수납된 데이터를 생성한 후 단말에 남아 있는 잔여 데이터의 양과 Y를 비교해서, 가용 전력 정보가 수납된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하거나, 가용 전력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로 대체한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5 단계에서 단말은 호 설정 과정 등을 통해서 가용 전력 정보 생성 조건인 조건 1과 조건 2를 인지한다. 조건 1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경로 손실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 변했을 때 등 이다. 조건 2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일 때 충족된다.
호 설정 과정을 완료한 단말은 510 단계에서 소정의 절차에 따라 BSR을 전송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통보한다. 상기 BSR 을 통해서 전송할 데이터가 없었던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가 새롭게 발생했다는 사실을 보고하는 것이라면, 단말은 BSR을 전송하면서 가용 전력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510 단계에서 BSR과 가용 전력 정보를 성공적으로 전송한 후 513 단계로 진행하여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한다. 이때, 단말은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면서 필요 시 경로 손실이나 순방향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측정한 순방향 채널 상태를 바탕으로 기지국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CQI 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515 단계에서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다가 역방향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여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받는다. 이후, 단말은 520 단계로 진행해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가용 전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가용 전력을 근거로, 조건 1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520 단계의 조건 1 만족 여부 판단 과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320 단계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520단계에서 단말은 조건 1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면 525 단계로 진행하고, 조건 1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54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5 단계에서 단말은 해당 시점의 경로 손실 등을 이용해서 가용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용 전력을 수납한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530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포함한 역방향 데이터를 생성한 후 535 단계로 진행한다. 535 단계에서 단말은 단말의 버퍼에 남아 있는 잔여 데이터의 총 합이 소정의 Y 이상인지 검사하고, Y 이상이면 550 단계로 진행하고 Y보다 작은 양의 데이터가 남아 있으면 545 단계로 진행한다. 545 단계로 진행했다는 것은 남아 있는 데이터의 양이 작기 때문에 가용 전력 정보의 효용이 떨어지므로, 가용 전력 정보 대신 사용자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효율적임을 의미한다. 545 단계에서 단말은 가용 전력 정보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잔여 데이터를 수납한 역방향 데이터를 새로 구성하고 55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50 단계에서 단말은 이전 단계에서 생성된 역방향 데이터를 할당 받은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한다. 그리고 513 단계로 귀환하여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거나 단말의 상황에 따라 종료한다. 520 단계에서 조건 1이 만족하지 않으면 단말은 540 단계로 진행해서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역방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550 단계로 진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상위 계층 장치(601), 다중화 장치(605), 제어부(610), 순방향 제어 채널 처리부(615) 및 송수신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610)는 호 설정을 담당하는 상기 상위 계층 장치(601)로부터 조건 1과 조건 2를 통보받는다. 상기 제어부(610)는 역방향 데이터 및 필요한 제어 정보를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62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10)는 소정의 주기로 가용 전력 및 경로 손실 및 순방향 채널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10)는 조건 1과 조건 2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여, 만족되면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 장치(605)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제어부(610)는 제1 실시 예에 따라 역방향 데이터가 전송되면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측정된 가용 전력을 근거로, 조건 1과 조건 2가 모두 만족되면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10)는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어채널 처리부(615)로부터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됨을 통보받은 경우 조건 1과 조건 2가 모두 만족되면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10)는 제3 실시 예에 따라 제어채널 처리부(615)로부터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됨을 통보받은 경우 조건 1이 만족되면 가용 전력 정보를 생성한 후, 다시 조건 2가 만족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다중화 장치(605)는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역방향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510)에서 생성된 가용 전력 정보를 다중화한다. 즉, 상기 다중화 장치(605)는 상기 제어부(510)에서 생성된 가용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역방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송수신부(62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역방향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제어채널 처리부(615)는 상기 송수신부(620)가 수신한 순방향 제어 채널(예로써, 역방향 전송 자원 할당 정보가 제공되는 채널)을 감시하고,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되면 이를 상기 제어부(610)에 통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28)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역방향 전송 자원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가용 전력 정보가 마지막 전송된 이후 상기 경로 손실이 기준 값 이상 변화한 경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가용 전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전력 정보는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과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의 차이에 근거하여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은 상기 경로 손실 및 MCS(Modulation Coding Scheme)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역방향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역방향 데이터와 다중화함으로써 상기 역방향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준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전송 방법.
  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역방향 전송 자원을 획득하고,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상기 경로 손실이 가용 전력 정보가 마지막 전송된 이후 기준 값 이상 변화한 경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가용 전력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과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손실 및 MCS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을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역방향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다중화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기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가용 전력 정보와 다중화함으로써 상기 역방향 데이터 패킷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준 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가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가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가용 전력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의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가용 전력 정보는,
    상기 단말이 역방향 전송 자원을 획득하고,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가용 전력 정보가 마지막 전송된 이후 상기 경로 손실이 기준 값 이상 변화한 경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으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수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전력 정보는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과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의 차이에 근거하여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수신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은 상기 경로 손실 및 MCS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수신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역방향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수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역방향 데이터와 다중화함으로써 상기 역방향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수신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수신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 전력 정보 수신 방법.
  2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가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수신된 가용 전력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의 역방향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용 전력 정보는,
    상기 단말이 역방향 전송 자원을 획득하고,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가용 전력 정보가 마지막 전송된 이후 상기 경로 손실이 기준 값 이상 변화한 경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기 역방향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으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전력 정보는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과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의 차이에 근거하여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은 상기 경로 손실 및 MCS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역방향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용 전력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역방향 데이터와 다중화함으로써 상기 역방향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기준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KR1020140058337A 2008-01-11 2014-05-1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688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3669 2008-01-11
KR1020080003669 2008-01-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513A Division KR20090077647A (ko) 2008-01-11 2008-06-2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836A true KR20140068836A (ko) 2014-06-09

Family

ID=413361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513A KR20090077647A (ko) 2008-01-11 2008-06-2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방법 및 장치
KR1020140058337A KR20140068836A (ko) 2008-01-11 2014-05-1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513A KR20090077647A (ko) 2008-01-11 2008-06-2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5) US8768399B2 (ko)
EP (3) EP3764565B1 (ko)
JP (3) JP2011509622A (ko)
KR (2) KR20090077647A (ko)
CN (2) CN101971525A (ko)
BR (1) BRPI0906884B8 (ko)
MX (1) MX2010007583A (ko)
MY (1) MY159585A (ko)
RU (1) RU2451394C2 (ko)
SG (2) SG10201605611QA (ko)
WO (1) WO2009088228A2 (ko)
ZA (1) ZA2010048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647A (ko) * 2008-01-11 200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방법 및 장치
EP2317815A1 (en) 2009-11-02 2011-05-04 Panasonic Corporation Power-limit repor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KR101716493B1 (ko) * 2009-11-06 201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헤드룸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101640542B1 (ko) * 2010-01-18 201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집합 프레임 구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881891B1 (ko) * 2010-08-10 2018-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집적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용 전송 출력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9344977B2 (en) 2010-08-10 2016-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US9526077B2 (en) 2010-08-10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WO2012096520A2 (en) 2011-01-11 201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776873B1 (ko) * 2011-01-11 2017-09-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589672B1 (ko) * 2011-01-18 201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가용 전력 보고 방법 및 장치
US9369971B2 (en) * 2011-09-28 2016-06-14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EP3451750B1 (en) * 2012-05-31 2021-04-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vice-to-device (d2d) cross link power control
US9002391B1 (en) 2012-06-20 2015-04-07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with adjusted power headroom reports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US20140241272A1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Interface between low power node and macro cell to enable decoupled uplink and downlink communication
CN106416359B (zh) * 2014-03-21 2019-05-31 阿尔卡特朗讯 用于低成本机器类型通信的方法和装置
US10412690B2 (en) * 2015-07-10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low cost machine type communication
US10231194B2 (en) 2016-10-12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Reception of transmit power related information
KR102434749B1 (ko) 2017-03-22 2022-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JP7116279B2 (ja) 2017-08-25 2022-08-10 国立大学法人岩手大学 冷凍米飯用改質剤、冷凍米飯、冷凍米飯の製造方法および冷凍米飯の解凍方法。
US10631256B2 (en) * 2017-09-25 2020-04-21 Apple Inc. Power headroom of grantless uplink
US10972987B2 (en) * 2017-09-26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fast power headroom reporting
US11716694B2 (en) 2019-01-31 2023-08-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Estimating and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user equipment by a base station
CN111465055B (zh) * 2020-03-30 2020-10-09 广西民族大学 一种数据挖掘算法受控切换消息的传输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5044B1 (en) * 2000-09-29 2004-06-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vailable transmit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44526A (ko) * 2000-12-05 2002-06-15 윤종용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 통신시스템의 패킷채널 송신 전력 통보 장치 및 방법
KR20020069683A (ko) * 2001-02-27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신호대 잡음비 측정장치 및 방법
JP4009133B2 (ja) 2002-05-07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040117504A1 (en) * 2002-12-12 2004-06-17 Pedersen Klaus I. Communication channel
US20040147276A1 (en) * 2002-12-17 2004-07-29 Ralph Gholmieh Reduced signaling power headroom feedback
JP4167485B2 (ja) 2002-12-26 2008-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US7142548B2 (en) * 2003-03-06 2006-11-28 Nortel Networks Limited Communicating in a reverse wireless link information relating to buffer status and data rate of a mobile station
US9078225B2 (en) * 2003-06-16 2015-07-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mobile power headroom threshold for determining rate increases in the reverse traffic channel of a CDMA network
JP4243229B2 (ja) * 2003-08-16 2009-03-25 三星電子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での上りリンクパケットの伝送のためのスケジューリング割当方法及び装置
US7302276B2 (en) * 2003-11-25 2007-11-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uplink/downlink path-loss difference
KR20050081528A (ko) 2004-02-14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반송파 통신시스템을 위한 채널 상태정보 피드백 방법
KR20060013466A (ko) * 2004-08-07 2006-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핸드오프 영역에서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단말들의 상태 정보 시그널링 방법
US7702351B2 (en) * 2005-02-17 2010-04-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lobal power control
US20060268924A1 (en) * 2005-04-01 2006-11-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deferred transmission level and a transmission power lev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6130272A2 (en) * 2005-04-26 2006-12-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ontrol i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s
US7616596B2 (en) * 2005-10-27 2009-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uplink priority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098644B2 (en) * 2006-01-18 2012-01-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616566B2 (en) * 2006-04-28 2009-11-10 Samsung Electroncis Co., Ltd Data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for reverse communication from high speed communication device to wireless network
KR100964546B1 (ko) * 2006-07-04 2010-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957311B1 (ko) * 2006-08-11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US8274952B2 (en) * 2006-10-10 2012-09-25 Alcatel Lucent Transmission power management
JP5014820B2 (ja) * 2007-01-09 2012-08-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KR20090115217A (ko) * 2007-03-01 2009-11-04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A2679611A1 (en) * 2007-03-01 2008-09-12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8391219B2 (en) * 2007-03-01 2013-03-05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129149A4 (en) * 2007-03-01 2014-07-23 Ntt Docomo Inc BASIC ST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08108227A1 (ja) * 2007-03-01 2008-09-12 Ntt Docomo, Inc.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01296359A (zh) 2007-04-24 2008-10-29 宋亚民 基于广告付费的视频节目数字版权管理方法
JP5232224B2 (ja) * 2007-06-20 2013-07-10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 ユキチュア パワーヘッドルームの報告方法
US20090175187A1 (en) * 2008-01-07 2009-07-09 Kristina Jersenius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iggering Power Headroom Report Transmission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090077647A (ko) * 2008-01-11 200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방법 및 장치
AU2009228928B2 (en) * 2008-03-26 2014-04-03 Cellular Communications Equipment Llc Extension of power headroom reporting and trigger conditions
US8223708B2 (en) * 2008-06-10 2012-07-17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cheduling information report
EP2136586B1 (en) * 2008-06-18 2017-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headroom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082888A1 (en) * 2009-01-14 2010-07-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8634B2 (en) * 2009-04-28 2014-09-30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of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of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068868B2 (en) * 2009-12-28 2011-11-29 Motorola Mobility, Inc. Uplink power alignment esti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315661B2 (en) * 2009-12-31 2012-11-20 Cellco Partnership Enhanced power headroom reporting
US8537767B2 (en) * 2010-04-06 2013-09-17 Sunplu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headroom reporting procedure and PHR MAC control element
EP2720499B1 (en) * 2010-05-04 2015-04-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carrier aggregation
WO2011159123A2 (en) * 2010-06-17 2011-12-22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KR20110137983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WO2012002684A2 (en) * 2010-06-28 2012-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120001535A (ko) * 2010-06-29 2012-01-04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보고장치 및 방법
US9526077B2 (en) * 2010-08-10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US10728859B2 (en) * 2010-10-12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aximum transmission power per carri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US9185665B2 (en) * 2010-11-05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headroom re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JP5970158B2 (ja) * 2011-02-10 2016-08-17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非接触給電装置
JP6125437B2 (ja) * 2011-02-21 2017-05-10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端末送信電力量を效率的に報告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867314B1 (ko) * 2011-11-15 2018-06-15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37388B1 (ko) * 2013-04-05 2019-10-28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잉여전력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EP3209053B1 (en) * 2013-04-25 2022-12-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t power in inter-base station carrier aggregation, base station,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71988A1 (en) 2011-07-14
JP6141797B2 (ja) 2017-06-07
RU2010128537A (ru) 2012-01-20
BRPI0906884B1 (pt) 2021-04-20
EP2244392B1 (en) 2019-03-06
MX2010007583A (es) 2010-08-06
US20180376432A1 (en) 2018-12-27
EP3764565B1 (en) 2021-07-07
JP2013225864A (ja) 2013-10-31
JP2014187713A (ja) 2014-10-02
JP6049078B2 (ja) 2016-12-21
CN103281767A (zh) 2013-09-04
EP3512123A1 (en) 2019-07-17
US8768399B2 (en) 2014-07-01
CN101971525A (zh) 2011-02-09
EP2244392A4 (en) 2013-02-27
WO2009088228A2 (ko) 2009-07-16
BRPI0906884A2 (pt) 2015-07-07
US10932203B2 (en) 2021-02-23
BRPI0906884B8 (pt) 2021-07-20
US10070394B2 (en) 2018-09-04
EP2244392A2 (en) 2010-10-27
EP3764565A1 (en) 2021-01-13
SG187461A1 (en) 2013-02-28
US20200077345A1 (en) 2020-03-05
JP2011509622A (ja) 2011-03-24
EP3512123B1 (en) 2020-11-04
ZA201004897B (en) 2011-10-26
WO2009088228A3 (ko) 2009-10-22
JP6141797B6 (ja) 2023-10-24
RU2451394C2 (ru) 2012-05-20
SG10201605611QA (en) 2016-08-30
KR20090077647A (ko) 2009-07-15
US10932204B2 (en) 2021-02-23
MY159585A (en) 2017-01-13
US9467952B2 (en) 2016-10-11
CN103281767B (zh) 2018-04-27
US20170034789A1 (en) 2017-02-02
US20140254527A1 (en)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2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vailable power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22537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4884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uplink data transmission
TWI419491B (zh) 分頻多重存取通信系統中用於上鏈資源分配之方法及裝置
KR10156813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ach 액세스 방법
KR10136492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20090305715A1 (en) Channel quality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166714A1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551110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クラス別無線リソースの使用量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563746B1 (ko)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54617A (ko) 적응 변조 및 코딩 기법을 위한 공통 제어 채널 업링크전력 제어
EP1743503A1 (en)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uplink enhanced dedicated channel (e-dch)
EP3562166B1 (en)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1600484B1 (ko) QoS 파라미터를 이용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EP1370010A1 (en) A method for estimating the radio resource consumed by a service and its application for overload control
EP1463356B1 (en) Equipment and method of call admission in cdma based system
KR20070081477A (ko) 호 수락 제어 시 서비스 전송률 결정 장치 및 방법
CN110461048B (zh) 一种调整通信处理能力的方法及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25

Effective date: 20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