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907A - A slim type cross two-way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slim type cross two-way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907A
KR20140065907A KR1020120132961A KR20120132961A KR20140065907A KR 20140065907 A KR20140065907 A KR 20140065907A KR 1020120132961 A KR1020120132961 A KR 1020120132961A KR 20120132961 A KR20120132961 A KR 20120132961A KR 20140065907 A KR20140065907 A KR 20140065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c
slab
plate
slabs
crc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7814B1 (en
Inventor
유광준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주)이지파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주)이지파트너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2012013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814B1/en
Publication of KR2014006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8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structure requiring a long span. The de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of a deck, wherein the structure is capable of securing the required length of the span; reducing the weight of the deck by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deck; and securing economic feasibility and the safety of an underground work. The de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deformed steel beams in which the widths of lower flanges are larger than the widths of upper flanges; U-shaped PC slabs held on the deformed steel beams; CRC boards held on the UPC slabs; lower reinforcing bar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CRC boards and between the UPC slabs; and topping concrete plac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UPC slabs and the CRC boards. The UPC slab includes: an upper plate; side plates downwardly bent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lower plates horizontally bent from the ends of the side plates, and has a shield plate in the lower space of the end thereof, wherein the lower space is formed by the upper plate and the side plates. The UPC slab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simply hel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ower flanges of the deformed steel beams, and the CRC boards are continuously hel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ower plates of the UPC slabs.

Description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A slim type cross two-way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way reinforced concrete slip floor structure using a UPC slab,

본 발명은 장스팬이 요구되는 바닥판 구조에 있어서, 특히 역타공법에 의해 지하구조물의 바닥판을 시공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스팬의 길이를 확보하면서도 바닥판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자중을 경감시키고 경제성 및 지하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의 구조 및 이를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om plate structure in which a long span is required, particularly when a bottom plat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is constructed by a backhoe method,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is minimized while ensuring the required span leng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reinforced concrete slim bottom plate capable of ensuring the safety of an underground wor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라 요구되는 건축물 이용공간은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제한된 대지면적의 공급으로 인하여, 대지의 이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형 지하쇼핑몰 등 지하공간의 이용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상에서의 쾌적한 환경을 위한 녹지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아파트 등의 주거공간에서도 주차장 등을 모두 지하에 설치하는 등 근래에 들어 지하구조물의 구축이 매우 활발해지고 있다.Although the space required for the use of buildings 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s increasing exponentially, measures for maximizing the utilization rate of the land have been continuously studied due to the provision of the limited land area, The utilization rate is greatly increasing.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a green space for a comfortable environment on the ground, underground structures are becoming very active in recent years, such as parking lots in residential areas such as apartments all underground.

그러나 지하구조물의 구축은 지반을 굴토하여 구조물 구축공간을 형성시켜야 한다는 특성 때문에 지상구조물의 공사와는 다른 새로운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필요로 한다. 특히 지하층이 깊고 대지가 협소한 도심지에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 대지의 이용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인접 대지와의 경계선에까지 굴토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인접 건물에 대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소음이나 분진 등에 의한 민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도심지 굴토공사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시공성을 향상시킨 역타공법(Top-Down Method)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Howeve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requires the solution of the new problems different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struc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the structure building space should be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Especially, in case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s in urban areas with a deep basement layer and narrow ground, the excava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the boundary line with the neighboring land so as to maximize the use of the ground. Or dust, etc. should be avoided. Therefore, in recent years, a top-down method, which improves workability while solving the problems in the urban excavation work as described above, is mainly used.

이러한 역타공법은 지상층과 동시에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므로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흙막이 벽으로 영구지하구조체인 지하연속벽을 구축하여 차수성을 확보하고, 상기 지하연속벽을 철골보나 슬래브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배면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인접 대지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음과 진동이 적고 날씨에 관계없이 지하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uch a backfill method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ecaus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underground structure at the same time as the ground layer. The underground continuous wall, which is a permanent underground structure, is constructed by the earth retaining wall to secure water repellency and the underground continuous wall is supported by a steel ball or a sla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adjacent site by secu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gainst the back earth pressur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underground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regardless of the weather with less noise and vibration.

역타공법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상층에서 매층의 보와 슬래브를 상층으로 구축해 나가는 순타방식과는 반대로, 지상1층에서 매층의 보와 슬래브를 구축하면서 지하의 하층으로 구축해 나가게 된다. 한편 국내의 지층 구조는 평균적으로 지표하 10~20m 전후로 암반이 나타나게 되는데, 근래와 같이 건축물에 깊은 지하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의 암반을 효율적으로 굴착하여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지하구조물의 작업이 암반층에 도달하게 되면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동바리와 암반의 굴착을 위한 굴착기의 간섭으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by the backfill method is constructed as the lower layer of the underground while constructing the beam and the slab of every layer from the first floor to the ground, contrary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floor and the slab of every layer from the ground floo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omestic stratum structure, the rocks appear on the average at about 10 to 20 m under the ground. In the case where the structure has a deep underground structure as in recent years,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the rock is to be efficiently excavated. That is, when the work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reaches the rock layer,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creased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excavator for excavation of the rock and the rock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

한편, 역타공법은 사용부재에 따라 크게 철골조와 철근콘크리트조의 두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그 중 철골조 역타공법은 그 특성상 동바리가 불필요하고 시공성이 우수하여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나, 고가의 철골사용량이 대폭 증가되고 지간이 짧은 구조에서는 기둥이 많아지기 때문에 공사비가 증대되어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filling method is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absence of use: steel frame and reinforced concrete. Among them, the steel-framed steelwork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unnecessary for the nature of the steelworking method and spreads rapidly because of its excellent workability, but the cost of steelworking i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columns in the short- .

따라서 최근에는 철근콘크리트조의 역타공법을 사용하면서도 동바리를 없애는 다양한 시공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동바리공법으로는 대표적으로 현수식 방법과 브라켓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현수식 또는 브라켓 방법의 무동바리공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조의 역타공법은 8m 이내의 짧은 스팬에 대하여는 철골조에 비하여 구조형식상 저렴하다고는 하나, 이들 모두 철골지지틀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철골지지틀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지하공간에서의 작업량 증가로 인하여 전체적인 경제적 효과에서는 철골조에 비하여 그다지 효율적이라고 할 수 없다.Therefore, recently,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eliminate the tilting of the concrete using the reinforced concrete tanker method, and the tilting method and the bracket method have been proposed. For the short span of 8m or less, the steel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by the method of brace method or the bracket method is required to be inexpensive in terms of the structure type compared with the steel frame, but all of them require the steel support frame. Because of the increased workload in the underground space for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the overall economic effect is not much more efficient than the steel frame.

그러한 이유로 인하여 최근에는 지지틀 등 사용부재의 수와 지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1방향 철근콘크리트 바닥판구조의 형식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본 출원인이 출원번호 10-2012-0018771호(미공개)로 출원한 1방향 장선슬래브의 연속화 시공방법이 있다. 상기 선출원된 1방향 PC 장선슬래브의 연속화 시공방법은, 상판, 측판 및 하판으로 구성된 단위체의 1방향 PC 장선슬래브의 다수개를 연속하여 PC 보 위에 배치하고, 이로 인해 측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상에 강연선을 배치시킨 후 덧침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무동바리의 장스팬 바닥판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게 한다. For this reason, a new type of one-way reinforced concrete bottom plate structure has recently been proposed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used members and the amount of underground work such as a support frame.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n application This is a method of continuous construction of a single-direction long-line slab. The above-mentioned one-way PC girder slabs are sequentially construct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PC girder slabs of a unit composed of an upper plate, a side plate, and a lower plate continuously on the PC beam, Span bottom plate structure can be formed by placing a stranded wire on a concrete slab, and then applying a filler concrete.

그러나, 상기한 1방향 PC 장선슬래브는 고중량이어서 바닥판 구조 전체에 대하여 이를 배치시키는 것은, 역타공법에 의해 진행되는 좁은 지하의 굴토공간에서는 양중 및 설치작업에 위험이 따를 뿐 아니라, 제작단가가 높아 경제적인 시공에 한계가 있으며, 자중의 증가로 인한 기둥부재에 과하중의 부담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one-way PC girder slabs are heavy in weight, so that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m in the entire bottom plate structure in a narrow underground excavation space, There is a limitation in economical construc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excessive load may be imposed on the column member due to an increase in its own weight.

또 다른 한편으로, 건축물의 공간이용율 확대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지하층과 더불어 지상층에 대한 바닥판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건축물의 층고를 낮추고 바닥판의 자중을 줄이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one of the measures to expand the space utilization rate of buildings, a method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of the building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bottom floor by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floor floor to the ground floor is being studied continuously.

도 1은 2011. 1.12.자 등록특허공보에 등록번호 10-1006975호로 공고된 '연속 2방향 중공슬래브에 의한 슬림플로어 구조'라는 명칭의 발명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부플랜지가 하부플랜지보다 폭이 좁은 비대칭 H형강보(10); 단부가 상기 비대칭 H형강보의 하부플랜지에 거치되게 설치되는 평판 또는 춤이 낮은 골형판 형태의 데크판(20); 상기 데크판(20) 위로 상기 비대칭 H형강보의 웨브를 사이에 두고 양쪽 어긋난 위치에서 비대칭 H형강보의 웨브를 향하도록 배근되는 슬래브하부철근(30); 상기 슬래브하부철근(30) 위로 다수개가 서로 띄엄띄엄 배치되며, 길이가 짧은 블록형으로 마련되어 2방향으로 평행 배치되는 경량성형재(50); 상기 데크판(20) 위로 상기 비대칭 H형강보의 상부플랜지와 경량성형재(50)가 매입되는 높이로 타설 양생되는 콘크리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양쪽의 슬래브하부철근은 하나가 비대칭 H형강보의 웨브를 관통하도록 배근되어 서로 겹침 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1 illustrates the invention entitled 'Slim Floor Structure by Continuous Two-Way Hollow Slabs', which is published on Dec. 1, 2011,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1006975, wherein the upper flange is narrower than the lower flange An asymmetric H-shaped beam 10; A deck plate (20)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r a low-rigid frame, the end of which is mounted on a lower flange of the asymmetric H-shaped beam; A slab bottom reinforcing bar (30) placed on the deck plate (20) so as to face the web of the asymmetric H-shaped beam at positions shifted from both sides of the web of the asymmetric H-shaped beam; A lightweight molding material 50 having a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over the slab lower reinforcing bar 30 in a short block shape and arranged in parallel in two directions; And a concrete (40) cast on the deck plate (20) with a height at which the upper flange of the asymmetric H-shaped beam and the lightweight molding material (50) are embedded, wherein both the slab bottom reinforcing bars And are arrang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web of the asymmetric H-shaped beam and overlap each other.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2방향 바닥판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철골보 및 기둥의 설치 개소가 많아지고, 슬래브하부철근의 배근 및 경량성형재의 배치 등 현장의 작업량이 대폭 증가될 뿐 아니라, 바닥판을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까지 성형시키게 되어 바닥판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prior art is made of a two-way bottom plate structure,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steel beams and the columns are increased, the work load on the site such as the arrangement of the lower reinforcing bars of the slab and the arrangement of the lightweight molding material is greatly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ntir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can not be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바닥판 자체가 자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부재를 경량화시키고 바닥구조를 슬림화하여 지상층 뿐만 아니라 역타공법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구축에 있어서도 현장 시공의 용이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고,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스팬 슬림구조의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 structure which has a structure capable of self-standing and lighten the installation member and slim the floor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inforced concrete bottom plate having a long span slim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플랜지의 폭이 상부 플랜지의 폭보다 큰 이형 철골보와, 상기 이형 철골보에 거치되는 U자 형상의 UPC 슬래브(이하 'UPC 슬래브'라 한다)와, 상기 UPC 슬래브에 거치되는 CRC 보드(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Board), 상기 CRC 보드 상면에서 UPC 슬래브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철근 및, 상기 UPC 슬래브와 CRC 보드 상면에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UPC 슬래브는 상판과, 상판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 및 상기 측판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과 측판에 의해 형성되는 UPC 슬래브 단부의 하부공간에 막이판이 형성되며, 다수 개 UPC 슬래브가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면서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 상면에 단순 거치되며, 상기 CRC 보드는 상기 UPC 슬래브의 하판 상면에 연속하여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haped sla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PC slab')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upper flange and a U-shaped slab A CRC board mounted on the UPC slab, a lower reinforcing bar provided between the UPC slab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C board, and an embossed concrete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C slab and the CRC board. Wherein the UPC slab comprises a top plate, a side plate bent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horizontally bent at an end of the side plate, wherein a plate is formed in a lower space of the UPC slab end formed by the top plate and the side plate And the plurality of UPC slabs are simply mounted on the upper flange of the deformed steel bar with a constant spacing, Wherein the UPC slab is continuous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the UPC slab.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막이판은 UPC 슬래브의 상판과 측판에 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ossed two-way reinforced concrete slip bottom structure using a UPC slab, wherein the plate is detached from the upper plate and the side plate of the UPC slab.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UPC 슬래브의 상판에는 상부로 돌출된 연결철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C slab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철근은 양 단부가 절곡되어 UPC 슬래브의 상판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ossed two-way reinforced concrete concrete slip bottom structure using UPC slabs, wherein the lower reinforcing bars are bent at both ends and over an upper plate of a UPC slab.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a)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기둥에 이형 철골보를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에 다수 개의 UPC 슬래브를 단순 거치시키는 단계; d) 상기 UPC 슬래브에 CRC 보드를 거치시키고 하부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e) 상기 UPC 슬래브 및 CRC 보드의 상부에 온도철근을 배근하고 덧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providing a column; b) mounting a deformed steel beam on the column; c) simply mounting a plurality of UPC slabs on the lower flange of the deformed steel beam; d) placing a CRC board on the UPC slab and laying a lower reinforcing bar; e) placing a reinforcing steel on top of the UPC slab and the CRC board and casting overburdened concrete; And the UPC slab is used to construct a two-way reinforced concrete slim bottom slab structure using the UPC slab.

본 발명은 장선기능을 하는 UPC슬래브의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하여 장스팬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도록 하면서 바닥판의 두께를 초슬림화하여 층고를 낮추면서 실내의 천정고를 높여 실내 공간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concrete member of a UPC slab that functions as a joining line to improve structural efficiency of a long span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to increase the ceiling of the room while improv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indoor space I will.

또한 본 발명은 가볍고 저렴한 CRC 보드를 사용함으로써 노출콘크리트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부재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이 시공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중량부재의 양중, 거치 등의 작업 등으로 인하여 빈번하게 발생했던 안전사고 등의 발생요인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n economical construction capable of showing the effect of exposed concrete by using a light and inexpensive CRC board, facilitating the operation and greatly reducing the cost of the memb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or the like which frequently occurred due to the operation such as lifting of the weight member, mounting, etc. in a narrow working spa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슬림플로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UPC 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이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철골보에 UPC 슬래브를 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기 UPC 슬래브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UPC 슬래브와 UPC 슬래브 사이의 공간에 CRC 보드를 거치시킨 후 하부철근을 배근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UPC 슬래브와 UPC 슬래브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CRC 보드의 상부에 덧침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lim floor struct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two-way reinforced concrete slim bottom slip using a UPC slab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PC slab is mounted on a steel beam,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C slab in a bottom view.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C board is mounted in a space between a UPC slab and a UPC slab, and a lower reinforcing bar is lai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verburden concrete is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a CRC board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a UPC slab and a UPC slab.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UPC 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SF)을 설치한 구조의 전체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SF) 구조는, 기둥(10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철골보(200)들 사이에 다수 개의 UPC 슬래브(300)를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어 거치시키고, UPC 슬래브(300)들 사이의 상기 이격거리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CRC 보드(400)를 연속하여 거치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cept of a structure in which an intersecting two-way reinforced concrete slip floor (SF) using a UPC slab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PC slabs 300 are placed between a steel beam 200 installed horizontally on a column 100 at a predetermined spacing distance And a space between the UPC slabs 300, the CRC board 400 being continuously mounted.

도 3a는 철골보(200)에 UPC 슬래브(300)를 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에 의하면 상기 철골보(200)는 하부 플랜지(220)의 폭이 상부 플랜지(2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형 철골보이고, UPC 슬래브(300)는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 상면에 단순 거치된다.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PC slab 300 is mounted on a steel beam 200. FIG. 3A, the steel frame 200 has a deformed steel frame in which the width of the lower flange 220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210, and the UPC slab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20 of the deformed steel frame It is simply mounted.

이때 설치되는 상기 UPC 슬래브(300)는 상판(310)과, 상판(310)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320) 및 상기 측판(320)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판(330)으로 이루어져 U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의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UPC 슬래브(300)는 구조적으로 장선의 역할을 함으로써 철골보(200)와 철골보(200) 사이에 설치되는 작은 보의 설치를 생략 가능하게 하며, CRC 보드 상면의 하부철근(410)과 상부의 온도철근(510)만을 배근하도록 하여 철근 사용량을 최소화시킨다.The UPC slab 300 installed at this time includes an upper plate 310, a side plate 320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310, and a lower plate 330 horizontally bent from the end of the side plate 320 to form U Shape. The UPC slab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hape can obviate the installation of a small beam installed between the steel frame 200 and the steel frame 200 by structurally acting as a joist, Only the reinforcing bars 410 and the upper temperature reinforcing bars 510 are arranged to minimize the amount of reinforcing bars used.

또한 역타공법에 의한 흙막이 벽체의 합벽부분과 접합되는 바닥판 시공시 상기 UPC 슬래브(300)만을 거치시킴으로서, 작은 보를 설치하는 통상적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작은 보와 흙막이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야 하는 연결부재를 함께 생략시킬 수 있어 작업이 단순하고 명확해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only a UPC slab 300 is installed at the time of constructing a bottom plate to be joined to the joint wall of the earth retaining wall by the backhoe method, in a typical case where a small beam is installed, a connecting member to be installed between the small beam and the earth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omit it together, so that the work is simple and clear.

아울러 상기와 같이 UPC 슬래브(300)를 단순거치시킨 후, 후술하는 덧침 콘크리트(500)를 타설하여 보에 강결시키기 때문에, 상기 철골보(200)와 UPC 슬래브(300)의 결합부위에 발생되는 부모멘트는 최소화되어 상기 결합부위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Since the UPC slab 300 is simply moun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overwritten concrete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poured into the beam so that the UPC slab 300 is inserted into the UPC slab 300, Can be minimized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inding site.

도 3b는 상기 UPC 슬래브(300)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C 슬래브(300)의 상판(310)과 측판(320)의 내면은 속이 빈 하부공간을 형성시키게 되며, 이러한 하부공간은 UPC 슬래브(300)가 철골보(200)의 하부 플랜지(220)에 거치된 상태에서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500)의 유출통로가 될 수 있다.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C slab 300 viewed from the bottom. 3B,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10 and the side plate 320 of the UPC slab 300 forms a hollow space below the UPC slab 300, It can be an outflow passage of the overwritting concrete 500 which is installed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lange 220.

따라서 상기 철골보(200)에 거치되는 UPC 슬래브(300) 단부의 하부공간에는 막이판(340)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막이판(340)은 UPC 슬래브(30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UPC 슬래브(300)와는 분리 성형되어, UPC 슬래브(300)의 상판(310)과 측판(320)에 탈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plate 340 can be further formed in the lower space of the end of the UPC slab 300 that is mounted on the steel bar 200. The membrane plate 3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C slab 300 and separated from the UPC slab 300 to be detached from the upper plate 310 and the side plate 320 of the UPC slab 300 .

도 4는 UPC 슬래브(300)와 UPC 슬래브(300) 사이의 공간에 CRC 보드(400)를 거치시킨 후 하부철근(410)을 배근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RC 보드(400)는 시멘트와 목질섬유를 혼합하여 고온 고압으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경량이면서 강도가 크고 불연성 및 내습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노출콘크리트의 자연적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CRC 보드(400)는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의 거푸집 기능과 바닥판에 대한 보강기능을 겸하면서 바닥판 하면에 대한 전체적인 동질감을 갖도록 하여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C board 400 is placed in a space between a UPC slab 300 and a UPC slab 300 and a lower reinforcing bar 410 is laid. The CRC board 400 has a merit of being lightweight, high strength, nonflammable and moisture-resistant, and exhibiting a natural texture of exposed concrete, which is formed by mixing cement and wood fiber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erefore, the CRC board 400 has the function of forming the overburdened concrete and the reinforcing function of the bottom plate, thereby achieving an overall feeling of homogeneit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상기 CRC 보드(400)의 상면에는 UPC 슬래브(300)의 측판(320)에 수직인 방향으로 하부철근(410)이 배근된다. 상기 하부철근(410)은 CRC 보드(400)의 상면의 콘크리트 바닥판으로 하여금 UPC 슬래브(300)에 대한 1방향 바닥판 구조를 이루게 하며, 이는 이형 철골보에 대한 UPC 슬래브(300)의 1방향 바닥판 구조와 함께 교차되는 2방향 바닥판 구조를 형성시킨다. A lower reinforcing bar 4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C board 4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plate 320 of the UPC slab 300. The lower reinforcing bar 410 forms a unidirectional bottom plate structure for the UPC slab 3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C board 400, Directional bottom plate structure that intersects with the plate structure.

본 발명의 상기한 '교차되는 2방향 바닥판 구조'는 도 1에서 설명한 2방향 바닥판 구조와는 구조형식을 달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은 통상적인 2방향 바닥판 구조는 바닥판의 하중을 가로, 세로의 각 방향에 설치된 보에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여서 각 방향에 모두 보가 설치되어야 하나, 본 발명의 '교차되는 2방향 바닥판 구조'는 보에 작용하는 바닥판의 전체적인 하중은 1방향으로만 작용하고, 이에 교차되는 1방향성의 하중 전달구조는 바닥판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만 보를 설치하면 된다는 점에서 구조적 차이가 있다.The 'crossed two-way bottom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in structure from the two-way bottom plate structure described in FIG. More specifically, a typical two-way bottom plat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is a structure that transmits a load to a beam installed in each of later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load of the bottom plate, In the 'crossed two-way bottom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verall load of the bottom plate acting on the beam acts only in one direction and the unidirectional load transfer structure crossing the bottom plate is formed inside the bottom plate, There is a structural difference in that it is only necessary to install a beam.

상기의 하부철근(410)은 통상적인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배근할 수도 있으나, 양 단부를 절곡시켜 서로 대향하는 두 UPC 슬래브(300)의 상판(310)에 걸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침배근 방식은 배근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스페이서가 이탈되는 경우 하부철근이 CRC 보드와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lower reinforcing bar 410 may be laid using conventional spacer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reinforcing bars 410 are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plate 310 of two UPC slabs 300 facing each other by bending both ends thereof. The straddle-type straddle-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

다른 한편으로, UPC 슬래브(300)의 하판(3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CRC 보드(400)를 거치시키는 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상판(310) 및 측판(320)과 더불어 철골보(200)에 대한 1방향 장선 기능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두께와 폭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장선기능을 충분히 하기 위해 설계된 상기 하판(330)의 폭이 너무 커지는 경우에는 CRC 보드(400)의 길이를 불필요하게 길게 하거나, 적정 길이만큼만 거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UPC 슬래브(300)의 하판(330)에 단차진 거치면(331)을 더 형성시켜 CRC 보드(400)가 과다한 길이로 거치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late 330 of the UPC slab 300 not only provides a space for mounting the CRC board 400 as described above, but also provides a space for supporting the CRC board 400, in addition to the upper plate 310 and the side plate 320, It is required to have a certain thickness and width because it has a one-way joining function. However, when the width of the lower plate 330 designed to provide a sufficient joining function is excessively large, the length of the CRC board 400 may be unnecessarily long or it may be troublesome to mount the CRC board 400 only for a proper length.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a stepped mounting surface 331 on the lower plate 330 of the UPC slab 300 to solve the problem of mounting the CRC board 400 to an excessive length.

도 5는 UPC 슬래브(300)와 UPC 슬래브(30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CRC 보드(400)의 상부에 덧침 콘크리트(500)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덧침 콘크리트(500)는 UPC 슬래브(300) 및 이들 UPC 슬래브(300) 사이에 타설되는 바닥판과 일체가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조의 바닥판을 구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UPC 슬래브(300)의 상판(310)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덧침 콘크리트(500)에 매립되는 연결철근(350)을 미리 설치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verburden concrete 500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CRC board 400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a UPC slab 300 and a UPC slab 300. FIG. The overwritting concrete 5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C slab 300 and the bottom plate placed between the UPC slabs 300, thereby forming a bottom plate having a stable structure as a whole. To this end, the upper plate 310 of the UPC slab 3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350 protruding upward to be embedded in the overwhelming concrete 500.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시공방법은, a) 기둥(100)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기둥(100)에 이형 철골보를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에 다수 개의 UPC 슬래브(300)를 단순 거치시키는 단계; d) 상기 UPC 슬래브(300)에 CRC 보드(400)를 거치시키고 하부철근(410)을 배근하는 단계; e) 상기 UPC 슬래브 및 CRC 보드의 상부에 온도철근(510)을 배근하고 덧침 콘크리트(500)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concrete slim bottom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ethod comprises: a) providing a column (100); b) mounting a deformed steel beam on the column (100); c) simply mounting a plurality of UPC slabs (300) on the lower flange (220) of the deformed steel beam; d) placing the CRC board (400) on the UPC slab (300) and lay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410); e) placing a reinforcing steel (510) on top of the UPC slab and CRC board and casting an overwritting concrete (500); .

a) 기둥(100)을 설치하는 단계a) installing the column (100)

먼저, 철골보(200) 및 바닥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100)을 설치한다. 역타공법에 의해 지하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철골기둥이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First, a steel column 200 and a column 100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bottom plate are installed. When an underground structure is constructed by a backhoe method, a steel column is usually used,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b) 상기 기둥(100)에 이형 철골보를 거치하는 단계b) mounting a deformed steel beam on the column (100)

설치된 기둥(100)에 하부 플랜지(220)의 폭이 상부 플랜지(2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이형 철골보를 설치한다.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는 후술하는 UPC 슬래브(300)의 거치면을 제공한다.
A deformed steel beam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210 is installed on the installed column 100. The lower flange 220 of the deformed steel frame provides a mounting surface of a UPC slab 300 to be described later.

c)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에 다수 개의 UPC 슬래브(300)를 단순 거치시키는 단계c) simply mounting a plurality of UPC slabs 300 on the lower flange 220 of the deformed steel beam,

이형 철골보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형 철골보와 또 다른 이형 철골보 사이에 UPC 슬래브(300)를 단순 거치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PC 슬래브(300)의 단순 거치는 UPC 슬래브(300) 자중에 의한 변위가 자체적으로 흡수됨으로써 향후 철골보(200)에 발생되는 부모멘트의 발생량을 감소시켜 철골보(200)와 바닥판의 연결부위에 대한 보강철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게 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deformed steel beam is completed, the UPC slab 300 is simply mounted between the deformed steel beam and another deformed steel beam.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placement of the UPC slab 300 due to its own weight is absorbed by the self-weight of the UPC slab 300, the generation amount of the momentum generated in the steel wire 200 is reduced, A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rebar used at the connection site.

상기 UPC 슬래브(300)는 상판(310)과, 상판(310)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320) 및 상기 측판(320)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판(330)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판(330)이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에 면접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거치되도록 하는데, 이때 거치되는 간격은 UPC 슬래브(300) 및 이에 설치되는 데크 플레이트(400)의 각 규격에 따른 구조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UPC slab 300 includes a top plate 310, a side plate 320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top plate 310 and a bottom plate 330 bent at the end of the side plate 320, 3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lower flange 220 of the deformed steel bar. The spacing between the UPC slab 300 and the deck plate 400 is varied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UPC slab 300 and the deck plate 400 .

상기 상판(310)과 측판(320)에 의해 형성된 하부공간이 UPC 슬래브(300)의 단부측으로 개방된 경우 UPC 슬래브(300)를 상기 이형 철골보에 거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UPC 슬래브(300)를 철골보(200)의 하부 플랜지(220)에 거치시키기 전, 후에 막이판(340)을 이용하여 상기 단부측의 하부공간을 폐쇄시킴으로써 후술하는 단계에서의 덧침 콘크리트(500)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When the UPC slab 300 is mounted on the deformed steel bar when the lower space defined by the upper plate 310 and the side plate 320 is opened to the end side of the UPC slab 300, It is necessary to close the lower space on the side of the end by using the plate 340 so as to prevent the overburdened concrete 500 from flowing out in a step to be described later.

d) 상기 UPC 슬래브에 CRC 보드를 거치시키고 하부철근(410)을 배근하는 단계d) placing the CRC board on the UPC slab and plac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410

이형 철골보에 대한 UPC 슬래브(300)의 거치가 완료되면, 상기 UPC 슬래브(300)들 사이의 공간에 CRC 보드(400)를 거치시킨다. 상기 CRC 보드(400)에 의해 UPC 슬래브(300)들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면 그 상면에 하부철근(410)을 배근한다. 상기의 하부철근(410)은 양 단부를 절곡시켜 UPC 슬래브의 상판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두 UPC 슬래브의 측판 사이에 간단하게 배근시킬 수 있다
When the mounting of the UPC slab 300 on the deformed steel bars is completed, the CRC board 400 is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C slabs 300. When the space between the UPC slabs 300 is closed by the CRC board 400, the lower reinforcing bar 4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lower reinforcing bar 410 can be simply placed between the side plates of two UPC slabs facing each other by bending both ends so as to cover the upper plate of the UPC slab

e) 상기 UPC 슬래브 및 CRC 보드의 상부에 온도철근(510)을 배근하고 덧침 콘크리트(500)를 타설하는 단계e) placing the reinforcing steel (510) on the UPC slab and CRC board and placing the overwritting concrete (500)

UPC 슬래브(300) 및 CRC 보드(4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UPC 슬래브(300)와 CRC 보드(400)의 상부에 온도철근(510)을 배근한 후 덧침 콘크리트(500)를 타설함으로서 바닥판 구조체를 완성시킨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UPC slab 300 and the CRC board 400 is completed, a temperature reinforcing bar 510 is installed on the UPC slab 300 and the CRC board 400, and then the overwritten concrete 500 is installed. Thereby completing the plate structur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thereof.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100: 기둥 200: 철골보
210: 상부 플랜지 220: 하부 플랜지
300: UPC 슬래브 310: 상판
320: 측판 330: 하판
340: 막이판 350: 연결철근
400: CRC 보드 410: 하부철근
500: 덧침 콘크리트 510: 온도철근
SF: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100: Column 200: steel frame
210: upper flange 220: lower flange
300: UPC slab 310: top plate
320: side plate 330: bottom plate
340: membrane plate 350: connection reinforcing bar
400: CRC board 410: lower reinforcing bar
500: Overburdened concrete 510: Tempered steel
SF: Reinforced concrete slim bottom plate

Claims (6)

하부 플랜지의 폭이 상부 플랜지의 폭보다 큰 이형 철골보와, 상기 이형 철골보에 거치되는 UPC 슬래브와, 상기 UPC 슬래브에 거치되는 CRC 보드, 상기 CRC 보드 상면에서 UPC 슬래브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철근 및, 상기 UPC 슬래브와 CRC 보드 상면에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UPC 슬래브는 상판과, 상판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 및 상기 측판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과 측판에 의해 형성되는 UPC 슬래브 단부의 하부공간에 막이판이 형성되며, 다수 개 UPC 슬래브가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면서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 상면에 단순 거치되며, 상기 CRC 보드는 상기 UPC 슬래브의 하판 상면에 연속하여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A UPC slab mounted on the UPC slab; a lower reinforcing bar provided between the UPC slab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C board; The UPC slab and the overburden concrete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C board,
The UPC slab comprises a top plate, a side plate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horizontally bent at an end of the side plate, and a plate is formed in a lower space of the UPC slab end formed by the top plate and the side plate, Wherein a plurality of UPC slabs are simply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a lower flange of the deformed steel bar with a predetermined spacing distance and the CRC board is continuous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the UPC slab. Slim bottom plat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판은 UPC 슬래브의 상판과 측판에 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The UPC slab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brane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upper plate and a side plate of a UPC sla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PC 슬래브(300)의 상판(310)에는 상부로 돌출된 연결철근(3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The UPC slab (3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late (310) of the UPC slab (300) is formed with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350) projecting upward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철근은 양 단부가 절곡되어 UPC 슬래브의 상판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2. The UPC slab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reinforcing bar is bent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cover the upper plate of the UPC slab.
건축물의 바닥판을 시공함에 있어서, a) 기둥(100)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기둥(100)에 철골보(200)를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철골보(200)의 하부 플랜지(220)에 다수 개의 UPC 슬래브(300)를 단순 거치시키는 단계; d) 상기 UPC 슬래브에 CRC 보드를 거치시키고 하부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e) 상기 UPC 슬래브 및 CRC 보드의 상부에 온도철근을 배근하고 덧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철골보(200)는 하부 플랜지(220)의 폭이 상부 플랜지(2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이형 철골보이고, 상기 UPC 슬래브(300)는 상판(310)과, 상판(310)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320) 및 상기 측판(320)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판(3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의 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floor plate of a building, comprising: a) installing a column (100); b) mounting the steel beam 200 on the column 100; c) simply mounting a plurality of UPC slabs (300) on the lower flange (220) of the steel frame (200); d) placing a CRC board on the UPC slab and laying a lower reinforcing bar; e) inserting a reinforcing steel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C slab and the CRC board, and placing overburdened concrete, wherein the steel frame beam 200 has a lower flange 220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210 The UPC slab 300 includes a top plate 310, a side plate 320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top plate 310 and a horizontally bent lower plate 330 at the end of the side plate 320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rossed two-way reinforced concrete slim bottom plate structure using the UPC slab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철근은 양 단부가 절곡되어 UPC 슬래브의 상판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의 시공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wer reinforcing bars are bent at both ends of the UPC slab so as to cover the upper plate of the UPC slab.
KR20120132961A 2012-11-22 2012-11-22 A slim type cross two-way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4878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2961A KR101487814B1 (en) 2012-11-22 2012-11-22 A slim type cross two-way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2961A KR101487814B1 (en) 2012-11-22 2012-11-22 A slim type cross two-way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07A true KR20140065907A (en) 2014-05-30
KR101487814B1 KR101487814B1 (en) 2015-01-29

Family

ID=5089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2961A KR101487814B1 (en) 2012-11-22 2012-11-22 A slim type cross two-way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81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7376A (en) * 2019-01-29 2019-04-23 天津城建大学 Novel superposed super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uitable for steel construction H profile steel beam
KR20210028869A (en) * 2019-09-05 2021-03-15 심남주 Installation structure of hollow core slab
KR102487497B1 (en) * 2022-09-30 2023-01-10 유광종 Bridge deck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using a precast de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30B1 (en) * 2007-09-04 2010-01-06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Hybrid deep deck of constructing long span slim floor and structure using hybrid deep deck
KR101008414B1 (en) 2008-11-18 2011-01-19 이창남 Manufacturing Method of Floor Slab Made of Reversed Triangular Wire Truss with Thin Steel Plate Rib Deck Concrete Form
JP5755458B2 (en) 2011-01-31 2015-07-29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Deck plate panel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179442B1 (en) 2012-02-08 2012-09-07 (주)이지파트너 pc slab for one way joist slab and producing method of i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7376A (en) * 2019-01-29 2019-04-23 天津城建大学 Novel superposed super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uitable for steel construction H profile steel beam
CN109667376B (en) * 2019-01-29 2024-04-26 天津城建大学 Novel superposed floor system suitable for H-shaped steel beam of ste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10028869A (en) * 2019-09-05 2021-03-15 심남주 Installation structure of hollow core slab
KR102487497B1 (en) * 2022-09-30 2023-01-10 유광종 Bridge deck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using a precast deck
KR102487499B1 (en) * 2022-09-30 2023-01-10 유광종 Bridge deck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using a precast deck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814B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0817U (en) Building structure without formwork removal
KR100938918B1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frame by channel
KR101301081B1 (en)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0640716B1 (en) Precast concrete block for cantileve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3993679B (en) Low layer assembling combined wall house bolt connection node structure
CN106555408A (en)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pipe gallery
KR20170032826A (en) Precast concrete dual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87815B1 (en) Hybrid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487814B1 (en) A slim type cross two-way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CN209907429U (en) Industrialized dense rib plate type retaining wall
KR101136240B1 (en) made of iron soil retaining plate and its support structure for form and retaining-wall vertical reinforcement
KR100802166B1 (en) Steel sheet pile wall
CN101906775A (en) Multifunctional precast arch piece
KR100758504B1 (en) Method of construction for underground diaphragm wall and underground diaphragm wall structure
JP3608568B1 (en) The structure of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consisting of the ground improvement body and the solid foundation, and th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the ground improvement
KR101902791B1 (en)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steel pile and under ground structure therewith
KR101495997B1 (en)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KR100709304B1 (en) The engineering-works structure using composite pile and steel sheet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80025219A (en) Underground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deck-plate and deck-plate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outer wall
KR101908943B1 (en) RC WALL STRUCTURE FOR TOP-DOW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TRUCTUREa
CN109653191A (en) Prefabricated PC continuous underground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14116461U (en) Embankment ballast
KR102118665B1 (en)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0420394Y1 (en) Precast concrete block for cantilever retaining wall
KR200413303Y1 (en) Stone stacked wall structure using steel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