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997B1 -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 Google Patents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997B1
KR101495997B1 KR20130045631A KR20130045631A KR101495997B1 KR 101495997 B1 KR101495997 B1 KR 101495997B1 KR 20130045631 A KR20130045631 A KR 20130045631A KR 20130045631 A KR20130045631 A KR 20130045631A KR 101495997 B1 KR101495997 B1 KR 10149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tructure
frame
fitting
frame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5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7074A (en
Inventor
장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명
Priority to KR2013004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997B1/en
Publication of KR20140127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9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류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수직으로 세워지되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상기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직결 고정되어 수직의 외벽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사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개별 프레임을 서로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구축하므로 체결을 위한 별도의 부속이 전혀 사용되지 않아 그만큼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압축하중이나 횡하중에 안정적이어서 주변 토양의 토압에 의한 변형의 발생이 없고,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도 여건에 맞추어 매우 다양하게 변형 구현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최적 대응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right retention structure for an uptak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ptake storage facility and an uptake storage facility having the same. The storage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central frames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vertically erected and fixed directly to each other through longitudinal sliding coupl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ide frames fixed to the outer frame of the central frame assembly through a longitudinal sliding coupling to provide a vertical outer wall surface.
Since the plurality of individual frame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structed in a sliding coupling mann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no separate fitting parts for fastening are used at all,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It is stable to load or lateral load, and there is no occurrence of deformation due to the earth pressure of the surrounding soil, and the planar shape of the storage structure can be suitably modified to various environ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Figure R1020130045631
Figure R1020130045631

Description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right type retention structure for an excellent storage and an excellent storage facilit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right retention structure for an uptak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ptake storage facility and an uptake storage facility having the same.

도시화에 따른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 지면(impervious land surface)의 면적 증가는, 토양 내 저수량을 감소시켜 가령 주위 하천의 범람이나 건천화를 유발하며, 이와 동시에 하천의 수질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으로 작용한다.Increasing the area of the impervious land surface such as asphalt and concrete due to urbanization reduces the amount of water in the soil and causes the overflow or drainage of surrounding rivers. At the same time, it causes the water pollution of the river and destruction of ecosystem .

즉, 상기 불투수지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지역의 주변에 하천이 있는 경우, 강우시 빗물이 토양에 스며들지 못하고 하천으로 한 번에 모여들기 때문에 하천의 범람을 야기할 수 있으며 반대로 비가오지 않는 계절에는 평소 지하 토양이 함유하는 물의 양이 적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하천의 수량부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하천의 수량이 부족하면 하천의 자연정화능력이 현저히 약해져 약간의 오염물질로도 극심한 수질악화가 이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re is a river around the area where the impervious ground is widely formed, the rainwater can not penetrate into the soil at the time of rainfall, There is little or no amount of water that the underground soil usually contains. If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is insufficient, the natural purification ability of the river is considerably weakened, and even a slight pollutant causes severe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한편, 근래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물부족 현상에 따라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빗물 재활용방법으로서 대표적인 것이 우수저류시설이다. 상기 우수저류시설은 비가 올 때 빗물을 받아 놓았다가 필요시 사용하기 위한 대규모 저장탱크로서, 최근 조성되는 신도시나 택지개발구역 대부분에 건설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methods for recycling rainwater have been proposed in response to the recent water shortage due to rapid changes in climat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rainwater recycling method is an excellent storage facility. The stormwater storage facility is a large-scale storage tank for receiving rainwater when it is raining and for use when necessary, and is being constructed in most of the newly-developed cities and residential development areas.

상기 우수저류시설은 강우시에 증가한 빗물을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서서히 방류함으로써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예방하거나, 또는 방류하지 않고 저장했다가 갈수기나 또는 기타 필요시 외부로 펌핑하여 공급한다.The stormwater storage facility receives the increased rainfall during rainfall, temporarily stores it, and gradually discharges it to prevent the river from overflowing or storing it without discharging it, and then pumping it to the outside when necessary.

상기한 도로포장율의 상승에 따른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빗물의 재활용을 위한 빗물저류시설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There are various kinds of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for solving various problems due to the increase of the roadway packing rate and for recycling of rainwater.

가령 국내등록특허 제0553085호(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는, 다수의 박스형 블록(100)을 상하 좌우로 조립하여 구성하고 그 내부에 빗물을 저장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Korean Patent No. 0553085 (a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facility using a block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 plurality of box-shaped blocks 100 are assemb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contents for storing rainwater therein Lt; / RTI >

그런데 상기한 국내등록특허에 소개된 빗물저장시설은, 수많은 박스형 블록을 상하 좌우로 쌓아 올린 구조이므로, 체결점이 많아 수직하중은 물론 특히 횡하중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각 블록을 체결부속으로 아무리 고정한다 하더라도 외부에서 가해지는 재하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디어 내는 강성이 부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크리프 등에 의한 처짐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는 것이다. However,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domestic pat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susceptible to vertical loads and, in particular, lateral loads, due to the large number of fastening points, becaus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many box-shaped blocks are stack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Even if each block is fastened with a fastening part, the stiffness which can stably withstand the external load is insufficient, and the deflection due to the creep or the like over time can not be controlled sufficiently.

특히 횡하중에 약한 구조를 가져 지진에 취약하고, 또한 연약지반이나 평지가 아닌 지역에 설치된 경우 주변에서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토압에 굴복하여 쉽게 변형되는 문제를 갖는다.Especially, it is vulnerable to the earthquake due to the weak lateral load, and when it is install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soft ground or the flat ground, it suffers a problem that it is deformed easily due to the constant earth pressure applied from the surroundings.

아울러 각각의 블록이 체결용 부속을 통해 결합되므로 일단 부품수가 많아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 공사기간이 그만큼 오래걸리는 문제도 있다. 이에 더해 박스형 블록은 속이 빈 사출품으로서 어느 정도의 크기가 있으므로, 다수의 블록을 쌓을 경우 그 부피가 매우 커서 운반성도 좋지 못하다.In addition, since each block is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fitting, assembly is very troublesome because of a large number of parts,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is very long, so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takes much longer. In addition, since the box-shaped block is a hollow product, it has a certain size, and when a large number of blocks are stacked, the volume thereof is very large, and thus the transportability is not goo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다수의 개별 프레임을 서로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직결 구축하므로 체결을 위한 별도의 부속이 전혀 사용되지 않아 그만큼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압축하중이나 횡하중에 안정적이어서 주변 토양의 토압에 의한 변형의 발생이 없으므로 토압에 대비한 추가적 구조체가 필요없고 그에 따라 저류공간을 최대화 할 수 있으며, 저류구조체의 형상도 여건에 맞추어 매우 다양하게 변형 구현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최적 대응할 수 있는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structure for a vehicle,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Especially, since it is stable to compressive load and lateral load, there is no occurrence of deformation due to the earth pressure of surrounding soil.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thereby maximizing the storage spa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pright retention structure for an excellent storage that can be suitably adapt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excellent retention facility and an excellent retention fac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는, 굴착을 통해 확보된 지하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흘러들어온 빗물을 그 내부에 받아들여 수용하는 우수저류시설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상기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중앙프레임에 직결 고정되어 수직의 외벽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right storage structure for an upright storage, which is installed in an underground space ensured through excavation and is contained in an excellent storage facility for receiving rainwate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thereof, A plurality of center frame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ace and directly fixed to each other through longitudinal sliding connection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ide frames fixed to the outer frame portion of the central frame assembly through a longitudinal sliding connection and directly fixed to the central frame to provide a vertical outer wall surface.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를 구성하는 일부 중앙프레임의 하부에는 빗물을 통과시키는 유동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low port for passing rainwat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part of the central frame constituting the storage structure.

또한, 상기 중앙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지며 일정폭을 갖는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프레임의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frame and the side frame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and cut by a required length. The central frame and the side frame have a plurality of plate portions extending at predetermined angles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fixing means for slidingly engaging with the plate portion is provided.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와,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comprises: A holder portion formed on one plate portion of the mutually adjacent plate portions to provide a slid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plate portion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holder portion and fixed .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ar shape of the storage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a polygonal pattern.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ar shape of the storage structure is a hexagonal pattern of honeycomb.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저류시설은,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상기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직결 고정되어 수직의 외벽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립식 저류구조체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류구조체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저류구조체 상부의 무게를 받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저류구조체를 감싸는 랩핑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cellent storage facility comprising: a plurality of central fram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directly to each other through longitudinal sliding engagement with each other; An upright retention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de frames directly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longitudinal sliding coupling to provide a vertical outer wall surface; A bas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to support the storage structure; A cover plat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and receiving the w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And a lapping sheet surrounding the storage structure.

아울러,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프레임의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rames is an integral member manufactur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and having a predetermined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ut by a required length,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 portions widened at predetermined angles, And a fixing means for slidingly engaging with the plate portion of the base plate.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와,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xing means comprises: A holder portion formed on one plate portion of the mutually adjacent plate portions to provide a slid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plate portion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holder portion and fixed .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ar shape of the storage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a polygonal pattern.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ar shape of the storage structure is a honeycomb-shaped hexagonal pattern.

아울러, 상기 랩핑시트는; 빗물이 통과할 수 있는 침투형시트이거나 빗물을 차단하는 차수형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pping sheet may further comprise: And is a permeable sheet through which rainwater can pass or a car water-absorbing sheet which blocks rainwat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은, 빗물저류시설이 들어갈 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을 확보하는 터파기단계와; 상기 터파기단계를 통해 확보된 지하공간의 바닥에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베이스설치단계와;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을 슬라이딩 결합하여 직립식 저류구조체를 형성하는 끼움결합공정과,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에 수평의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커버플레이트설치공정과, 랩핑시트를 이용해 상기 구조체를 감싸는 시트랩핑공정으로 이루어진 시트랩핑공정을 포함하는 저류구조체 구축단계와; 상기 저류용구조체의 측부에 맨홀을 설치하고 맨홀을 저류구조체에 연결하는 맨홀세팅단계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에 토양을 덮는 복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ormwater storage facility, comprising: a trenching step of excavating soil in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to secure an underground space; A base mounting step of forming a base layer on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space secured through the tearing step; A fitting process for forming an upright storage structure by slidably joining a plurality of center frames and a side frame which ar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ace and fixed to each other through longitudinal sliding connection with each other, A cover plate installing step of installing a horizontal cover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tructure, and a sheet wrapping step of wrapping the structure using a wrapping sheet; A manhole setting step of providing a manhole at a 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and connecting the manhole to the storage structure; And a soil covering step of covering the soil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tructure.

또한,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와,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결합공정은; 일측 플레이트부의 홀더부에 타측 프레임의 끼움고정부를 끼운 상태로 끼움고정부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양측 프레임을 직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above-mentioned frames is formed as an integral member which is manufactur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and has a certain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ut by a required length,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 portions spread at predetermined angles, Wherein the fixing means includes a holder portion formed on one of the plate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nd providing a sliding groov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holder portion formed on the other plate portion, And a fitting part which is slidab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sliding groove of the holder part; And a step of slidably moving the fitting and fix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with the fitting part of the other frame inserted into the holder part of the one plate part to directly connect the two frames.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다수의 개별 프레임을 서로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직결 구축하므로 체결을 위한 별도의 부속이 전혀 사용되지 않아 그만큼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압축하중이나 횡하중에 안정적이어서 주변 토양의 토압에 의한 변형의 발생이 없으므로 토압을 이기기 위한 추가적 구조체가 필요없고 그에 따라 저류공간을 최대화 할 수 있으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도 여건에 맞추어 매우 다양하게 변형 구현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최적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각 프레임을 겹쳐 쌓을 수 있어 시공현장까지의 운반도 간편하고, 길게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을 현장 여건에 맞추어 절단해 현장에서 끼워 조립함 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시공비도 크게 절약할 수 있다.The upright retention structure for an upt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take storage facility and the uptake storage facility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dividual frames, Since no separate fittings for fastening are used at all,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Especially, since it is stable to compressive load and lateral load, there is no deformation due to the earth pressure of surrounding soi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torage space, and the planar shape of the storage structure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so that it can cop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ptimally, and each frame can be stacked, A simple and long extruded frame can be used as a field condition To fit on site to fit the cutting assembly also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save als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s well as sigongbi.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우수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의 끼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받침부재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에 사용되는 중앙프레임 및 제 1,2,3사이드프레임을 별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저류구조체에 사용되는 중앙프레임 및 제 1,2사이드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 시공방법을 정리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cellent storage facility having an upright type storage structure for storable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orage structure applicable to the stormwater storage facility of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tting method of the storage structure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torage structure shown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upport member shown i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enter frame and first, second, and third side frames used in the storage structure shown in FIG. 2;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torage structure applicable to the storage facility shown in FIG. 1.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center frame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used in the storage structure of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orm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13)를 갖는 우수저류시설(11)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cellent storage facility 11 having an upright storage structure 13 for storable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11)은, 토양(S)을 굴착하여 확보된 지하공간에 시공되는 저류구조체(13)와, 상기 저류구조체(13)를 지지하는 베이스(19)와, 상기 저류구조체(13)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플레이트(17)와, 상기 저류구조체(13)와 커버플레이트(17)를 감싸는 랩핑시트(21)와, 상기 저류구조체(13)의 측부에 배치되며 우수시 지하로 흘러 들어온 빗물을 상기 저류구조체(13)측으로 이동시키는 맨홀(25)과, 저류구조체(13)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을 필요처로 펌핑하기 위한 기계실(27)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torm reservoir structure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servoir structure 13 to be installed in an underground space secured by excavating the soil S, a base A cover plate 17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a lapping sheet 21 surrounding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the cover plate 17; A manhole 25 disposed at the side of the storm structure 13 for moving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storey to the storage structure 13 side and a machine room 27 for pumping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structure 13 to a necessary place.

상기 지하공간은 별도의 굴착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상기 지하공간의 규모는 해당 지역의 환경이나 필요에 맞추어 당연히 달라진다. 상기 지하공간의 공간이 클수록 보다 많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underground space is a space created by a separate excavation operation. The size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pace naturally chang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needs of the area. The larger the space of the underground space, the more rainwater can be stored.

먼저, 상기 베이스(19)는, 상기 저류구조체(13)를 수평 및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기초층으로서, 모래나 자갈을 평평하게 다져 형성한 모래층이나 자갈층이 될 수 도 있고, 아니면 콘크리트를 슬라브 형태로 성형한 것일 수도 있다. 지반에 습기가 많아 연약한 경우 모래와 자갈과 콘크리트를 두 가지 이상 또는 모두 함께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19)는 견고한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여 저류구조체(13)가 침하하지 않도록 한다.First, the base 19 is a foundation layer fo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upporting the reservoir structure 13, which can be a sand layer or a gravel layer formed by sand or gravel being flattened, or a concrete slab . ≪ / RTI > If the soil is so soft that it is too humid, you can use sand, pebbles and concrete in combination with two or more. This base 19 provides a solid horizontal support surface to prevent the retention structure 13 from sinking.

상기 저류구조체(13)는, 다수의 직립프레임(15)을 직결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베이스(19)의 상부에 수평으로 지지된다. 상기 저류구조체(13)는 베이스(19)의 작용에 의해 침하되지 않고 수평으로 견고히 위치한다. The storage structure 13 is constructed by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upright frames 15 and is horizontally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9. [ The reservoir structure 13 is firmly positioned horizontally without being depressed by the action of the base 19. [

상기 직립프레임(15)은 압출장치를 이용해 압출 성형된 기둥형 프레임으로서 굴착된 지하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류공간(15a)을 형성한다. 상기한 직립프레임(15)으로서 후술할 중앙프레임(35,43)과, 사이드프레임(37,39,41,45,47)등을 예로 들 수 있다. The upright frame 15 is a columnar frame extruded by using an extrusion apparatus, and forms a storage space 15a capable of storing rainwater underground excavated. Examples of the upright frame 15 include center frames 35 and 43 to be described later, side frames 37, 39, 41, 45 and 47, and the like.

특히 직립프레임(15)이 압출방식으로 성형되므로, 현장상황에 맞추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다. 기존 저류구조체의 경우, 일정 크기로 제작된 박스형 블록이 사용되므로 현장 상황에 맞추어 블록의 크기 조절을 할 수 없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현장에서 길이 조절을 통해 정밀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Especially, since the upright frame 15 is formed by the extrusion method, it can be cut to a required length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field, and thus, the construction can be accurately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orage structure, since a box-shaped block manufactured to a predetermined size is used, the size of the block can no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but in this embodiment, precision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length in the field.

여하튼, 상기 저류구조체(13)는, 굴착된 지하공간에 시공된 상태로 랩핑시트(21)로 쌓인 구조체로서, 맨홀(25)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일단 받아들여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저류구조체(13)는 도 2나 도 7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류구조체(1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structure 13 is constructed as a structure that is built up in the excavated underground space with the lapping sheet 21, and once received, stores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manhole 25. The storage structure 13 in this embodiment may have the planar structure of FIG. 2 or 7,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other fo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orage structure 13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상기 커버플레이트(17)는, 강성을 갖는 판상부재로서 저류구조체(13)위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그 상부에 복토된 토양의 무게를 받아 하중을 수평방향으로 분산 전달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7)가 없다면 랩핑시트(21)가 토압을 못이겨 찢어지게 될 것이다.The cover plate 17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storage structure 13 as a rigid plate-like member, receives the weight of the soil buried on the top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distributes the load horizontally. Without the cover plate 17, the lapping sheet 21 will not be able to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and will tear.

상기 랩핑시트(21)는 상기 저류구조체(13)와 커버플레이트(17)와 베이스(19)를 감싸는 시트형 부재이다. 특히 상기 랩핑시트(21)로서 물을 투과시키는 침투형시트를 사용할 수 도 있고,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차수형시트를 적용할 수 도 있다.The lapping sheet 21 is a sheet-like member that encloses the storage structure 13, the cover plate 17, and the base 19. In particular, the lapping sheet 21 may be a permeable sheet that transmits water, or may be a car-shape sheet that does not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상기 랩핑시트(21)로서 침투형을 사용할지 차수형을 사용할지는 공사 현장의 상황이나 기타 여러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Whether to use the infiltration type or the differential type as the lapping sheet 21 depends on the condi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various other conditions.

상기 침투형시트는 물을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지므로, 저류구조체(13)로 유입된 빗물이 저류구조체(13)의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우수저류시설(11)이, 홍수시 주변 지역의 침수를 방지하게 하는 완충수단의 역할을 하게 한다. 즉, 홍수시 저류구조체(13)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지하로 흘려보냄으로써 주변 지역의 침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Since the permeable sheet has a property of allowing water to pass therethrough,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torage structure 13 is gradu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serves as a buffer means to prevent flooding. That is, rainwater flowing into the storage structure 13 at the time of flooding is flowed to the underground to prevent flooding of the surrounding area.

또한 차수형시트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시트로서, 저류구조체(13)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을 지켜 빗물이 가급적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차수형시트를 적용함으로서, 빗물을 재이용한다는 우수저류시설의 또 하나의 중요 기능을 달성하게 된다. 참고로, 차수형시트가 적용된 우수저류시설(11)에는 저장빗물을 외부의 필요처로 펌핑하기 위한 기계실(27)이 함께 설치된다.The car-like sheet is a sheet which does not allow water to pass through, and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structure (13) is kept so that rainwater is kept as long as possible. By applying a car seats, another important function of the stormwater storage facility is to achieve reuse of rainwater. For reference, the storeroom 11, to which the car-like sheet is applied, is provided with a machine room 27 for pumping stored rainwater to the outside.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랩핑시트(21)를 베이스(19)의 하부에 배치하였지만, 여건에 따라 랩핑시트(21)를 베이스(19)와 저류구조체(13) 사이에 위치시킬 수 도 있다. 가령 베이스(19)가 자갈이나 모래나 이의 혼합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랩핑시트(21)를 베이스(19)의 상부에 깔 수 밖에 없다.The lapping sheet 21 may be placed between the base 19 and the storage structure 13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For example, when the base 19 is made of gravel or sand or a mixture thereof, the lapping sheet 21 can only be laid on the base 19.

도면부호 23은 받침부재이다. 상기 받침부재(23)는 맨홀(25)을 통해 저류구조체(13)의 내부로 들어온 빗물을 유동구(23a)를 통해 옆으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부재(23)의 형상이나 사이즈는 물론 설치 개수나 배치 위치는 현장 상황이나 요구 조건에 따라 다르게 설계된다.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receiving member. The support member 23 serves to pass the rainwater that has entered the storage structure 13 through the manhole 25 to the side through the flow hole 23a. The shape and size of the support member 23, as well as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installation, are design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and the requirements.

한편, 상기 맨홀(25)은 저류구조체(13)의 측부에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강우시 빗물을 그 내부로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빗물을 연결관(25a)을 통해 저류구조체(13)로 보낸다. 경우에 따라 상기 맨홀(25) 자체를 상기 저류구조체(13)에 붙여 배치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저류구조체(13)의 한 켠을 비우고 그 자리에 맨홀(25)을 위치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nhole 25 is a spac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receives rainwater therein during rainfall, and sends the received rainwater to the storage structure 13 through a connection pipe 25a. The manhole 25 itself may be attached to the reservoir structure 13 in some cases. That is, one 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may be emptied and the manhole 25 may be positioned in place.

상기 기계실(27)은, 저류구조체(13)의 또 다른 측부에 확보한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 펌프(29)와 배수파이프(33)와 제어부(미도시) 등을 수용한다. 상기 펌프(29)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류구조체(13)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W)을 배수파이프(33)를 통해 외부의 필요처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machine room 27 is a space reserv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accommodates therein a pump 29, a drain pipe 33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pump 29 serves to supply the rainwater W stored in the storage structure 13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3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도 2는 상기 도 1의 우수저류시설(11)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13)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13)의 구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저류구조체(13)의 일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pplicable to the stormwater storage facility 11 of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13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torage structure 13. Fig.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13)는, 압출 성형된 다종 다수의 프레임을 서로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직결하여 구축된 것이다. Basically, the upright retention structure 13 for storabl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ructed by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extrusion-molded frames to each other through sliding coupling.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류구조체(13)는, 서로에 대해 직결되어 있는 다수의 중앙프레임(35)과, 상기 중앙프레임(35)의 외곽부에 배치되며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되며 서로에 대해서도 직결되는 제 1,2,3사이드프레임(37,39,41)으로 이루어진다.2, the storage structure 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central frames 35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entral frames 35 disposed on the outer frame of the central frame 35, 3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 frames 37, 39, 41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중앙프레임(35)은, 120도 각도로 벌어져 있는 세 개의 플레이트부(35c)와, 상기 각 플레이트부(35c)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고정부(35a) 또는 홀더부(3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프레임(35)은 두 가지 형태를 취하며, 한 종류의 중앙프레임에는 끼움고정부(35a)가 적용되어 있고 나머지 한 종류의 중앙프레임(35)에는 홀더부(35b)가 형성된 것이다.The center frame 35 includes three plate portions 35c extending at an angle of 120 degrees and a fitting portion 35a or a holder portion 35b formed at an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plate portion 35c . The center frame 35 has two shapes, and one type of center frame has a fitting portion 35a, and the other type of central frame 35 has a holder portion 35b.

상기 끼움고정부(35a)는 각 플레이트부(35c)의 폭방향 단부에 플레이트부(35c)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테면 환봉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끼움고정부(35a)가 각 플레이트부(35c)에 일체를 이룸은 물론이다. 상기 끼움고정부의 단면 형태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fitting and fixing portion 35a is formed at a widthwise end of each plate portion 35c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late portion 35c.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it takes the form of a round bar. Needless to say, the fitting and fixing part 35a is integrally formed with each plate part 35c.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tting and fixing part can be changed in any way.

또한 상기 홀더부(35b)는 상기 끼움고정부(35a)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끼움고정부(35a)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35d)을 제공한다. 상기 홀더부(35b)를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끼움고정부(35a)를 탄력적으로 압착 할 수 도 있다.The holder portion 35b is a porti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fitting and fixing portion 35a therein and provides a sliding groove 35d for receiving the fitting and fixing portion 35a. The holder 35b may be elastically deformable so that the fitting portion 35a can be elastically compressed.

상기 구조를 갖는 중앙프레임(35)을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는, 일측 프레임의 끼움고정부(35a)를 이웃 프레임의 슬라이딩홈(35d)에 슬라이딩 삽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새로 결합할 중앙프레임(35)을 들어올려 홀더부(35b)의 하단부를, 베이스(19)에 수직 상태로 기다리고 있는 상대 중앙프레임(35)의 끼움고정부(35a)에 맞춘 후, 들어 올렸던 중앙프레임을 수직 하부로 내려야 한다.In order to couple the central frames 35 having the above structure to each other, the fitting securing portion 35a of one frame should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35d of the neighboring frame. To this end, the central frame 35 to be newly joined is lifted and the lower end of the holder 35b is aligned with the fitting and fixing part 35a of the mating frame 35 which is vertically waiting on the base 19, The raised center frame should be lowered vertically.

이와같이 홀더부(35b)와 끼움고정부(35a)를 수직으로 맞춘 상태로, (작업자에 의해) 들어올려진 중앙프레임(35)을 하강시킴에 의해, 홀더부(35b)에 대한 끼움고정부(35a)의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진다. 두 개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하되 서로에 대해 직결된 것이다.By fitting the holder 35b and the fitting portion 35a vertically, the central frame 35 lifted (by the operator) is lowered so that the fitting portion 35a ). The two frames are mutually coupled but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홀더부(35b)에 대한 끼움고정부(35a)의 결합을 압입방식으로 적용할 수 도 있고, 홀더부(35b)와 끼움고정부(35a)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 고정할 수 도 있다.The fitting of the fitting portion 35a to the holder portion 35b can be applied in a press fitting manner and the adhesive can be applied and fixed between the holder portion 35b and the fitting portion 35a have.

아울러 도 3에서는, 홀더부(35b)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35)을 끼움고정부(35a)에 맞추어 하강 직결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홀더부(35b)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35)이 세워져 있다면, 끼움고정부(35a)를 갖는 프레임(35)을 들어 올려 홀더부(35b)에 맞추어 하강해야 함은 당연하다.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rame 35 in which the holder 35b is forme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35a in alignment with the fitting portion 35a. Conversely, the frame 35 It is natural that the frame 35 having the fitting and fixing portion 35a should be lifted up and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holder portion 35b.

한편,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제 1사이드프레임(37), 제 2사이드프레임(39), 제 3사이드프레임(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3사이드프레임(37,39,41)은,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직결 고정되어 평평한 외벽면을 제공한다. 즉, 저류구조체(13)의 측면이 사각의 외벽을 가지도록 마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side frames include a first side frame 37, a second side frame 39, and a third side frame 41.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 frames (37, 39, 41) are directly fixed to the outer frame of the central frame assembly through a sliding connection to provide a flat outer wall surface. In other words, the 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is closed to have a square outer wall.

도 6에 상기 중앙프레임(35)과 제 1,2,3사이드프레임(37,39,41)을 구조를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다.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center frame 3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 frames 37, 39 and 41 in more detail.

도 6a는 위에 설명한 중앙프레임(35)의 일 형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중앙프레임(35)은 홀더부(35b)가 적용되어 있는 것이다. 홀더부(35b)와 달리 끼움고정부(35a)가 적용되어 있는 중앙프레임도 마찬가지의 형태를 취한다.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form of the center frame 35 described above. The holder 35b is applied to the center frame 35 shown in Fig. 6A. Unlike the holder portion 35b, the center frame to which the fitting portion 35a is applied has the same shape.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중앙프레임(35)은, 서로에 대해 120도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벌어진 세 개의 플레이트부(35c)와, 상기 플레이트부(35c)의 내부에 끼워져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빔(35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빔(35e)은 적용하지 않을 수 도 있다.6A, the center frame 35 includes three plate portions 35c opened to have an angle of 12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plate portion 35c fitted inside the plate portion 35c to reinforce the structural strength And a reinforcing beam 35e. The reinforcing beam 35e may not be applied.

또한 각 플레이트부(35c)의 폭방향 단부에는 홀더부(35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35b)는 이웃하는 끼움고정부(35a,37a,39a,41a)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35d)을 갖는다. 상기 플레이트부(35c)의 폭은 모두 동일하다.A holder portion 35b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plate portion 35c. The holder 35b has a sliding groove 35d for accommodating adjacent fitting and fixing portions 35a, 37a, 39a, and 41a. The width of the plate portion 35c is all the same.

도 6b는 제 1사이드프레임(37)이다.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도 압출 성형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단면을 가진다.6B is a first side frame 37. Fig. The first side frame 37 is formed by extrusion molding and has a predetermined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은, 일정두께 및 폭을 가지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37c)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은,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며 저류구조체(13)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부(37c)와,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고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되는 플레이트부(37c)로 이루어진다. 작은 폭을 갖는 플레이트부가 큰 폭을 갖는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서 60도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경사져 있다. The first side frame 37 is composed of two plate portions 37c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width. That is, the first side frame 37 includes a plate portion 37c having a relatively large width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a plate portion 37c having a relatively small width and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center frame 35 Part 37c. The plate portion having a small width is inclined so as to have an angle of 60 degrees on one side of the plate portion having a large width.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부(37c)의 폭방향 단부에는 끼움고정부(37a)나 홀더부(37b)가 마련된다. 상기 끼움고정부(37a)는 그에 대응하는 홀더부(37b)에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이웃 끼움고정부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37d)을 갖는다.At the end of the plate portion 37c in the width direction, a fitting portion 37a and a holder portion 37b are provided. The fitting and fixing portion 37a has a sliding groove 37d for receiving the adjacent fitting and fixing portion as a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corresponding holder portion 37b.

도 6b에서 두 개의 홀더부(37b)와 하나의 끼움고정부(37a)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홀더부(37b)와 끼움고정부(37a)는, 제 1사이드프레임(37)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조합된다.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에 있어서 끼움고정부(37a)의 설치 개수는 0개 ~ 3개가 될 수 있고, 홀더부(37b)의 설치 개수도 0 개 내지 3개 일 수 있다. The holder 37b and the fitting and securing portion 37a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side frame 37 Are combined differently. In the first side frame 37, the number of the fitting-in portions 37a may be 0 to 3, and the number of the holder portions 37b may be 0 to 3.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의 내부에도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빔(37e)이 더 적용될 수 있다.A reinforcing beam 37e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may be further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ide frame 37. [

도 6c에 도시한 제 2사이드프레임(39)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저류구조체(13)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부(39c)와, 상대적으로 폭이 좁으며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진다. 좁은 폭의 플레이트부는 폭이 넓은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30도의 사이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The second side frame 39 shown in Fig. 6C has a plate portion 39c which is relatively wid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a plate portion 39c which is relatively narrow in width and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enter frame 35 It consists of two plate parts. The narrow-width plate portion is inclined at an angle of 30 degrees to one side of the wide plate portion.

또한 상기 각 플레이트부(39c)의 폭방향 단부에는 끼움고정부(39a)나 홀더부(39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39b)는 이웃 끼움고정부를 수용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딩홈(39d)을 갖는다.In addition, a fitting portion 39a and a holder portion 39b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widthwise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plate portions 39c. The holder portion 39b has a sliding groove 39d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adjacent fitting and fixing portion.

상기 끼움고정부(39a)와 홀더부(39b)의 위치는 이웃하는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여 달라진다. 가령 일측 플레이트부(39c)에 대응하는 상대편 플레이트부에 끼움고정부가 위치한다면 홀더부(39b)가 형성될 것이고, 반대로 홀더부가 대응한다면 끼움고정부(39a)가 위치하는 것이다.The positions of the fitting and fixing part 39a and the holder part 39b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djacent frame. For example, if the fitt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opposite plat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plate portion 39c, the holder portion 39b is formed, and if the holder portion corresponds, the fitting portion 39a is positioned.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39)에도 제 2사이드프레임(39)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빔(39e)이 적용될 수 있다.A reinforcing beam 39e for reinforc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second side frame 39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ide frame 39 as well.

상기 제 3사이드프레임(41)은 도 6d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 3사이드프레임(41)은, 90도의 사이각으로 벌어진 두 개의 플레이트부(41c)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이에 끼워지되 일측 플레이트부에 대해 30도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기울어진 플레이트부(41c)로 이루어진다. The third side frame 41 has the structure shown in Fig. 6D. That is, the third side frame 41 includes two plate portions 41c that are open at an angle of 90 degrees, and a plate portion 41c that is sandwiched between the plate portions and is inclined at an angle of 30 degrees with respect to one plate portion. (41c).

제 3사이드프레임(41)도 압출성형된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제 3사이드프레임(41)은 저류구조체(13)의 네 귀퉁이부에 위치한다.Needless to say, the third side frame 41 is also extrusion-molded. The third side frame (41) is located at four corners of the storage structure (13).

또한 상기 각 플레이트부(41c)의 폭방향 단부에는 끼움고정부(41a) 또는 홀더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41b)는 끼움고정부를 수용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딩홈(41d)을 갖는다. 제 3사이드프레임(41)에도 보강빔(41e)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tting securing portion 41a or a holder portion 41b is formed at the widthwise end of each plate portion 41c. The holder portion 41b has a sliding groove 41d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fitting and fixing portion. The reinforcing beam 41e can also be applied to the third side frame 41 to reinforce the structural strength.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중앙프레임(35)은, 각 끼움고정부(35a)가 홀더부(35b)에 슬라이딩 결합함에 의해 저류구조체(13)의 중앙부를 구성한다. 특히 각 중앙프레임(35)은 이웃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된 구조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육각의 벌집 형태의 평면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center frame 35 constitutes a central por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13 by slidingly engaging the fitting securing portions 35a with the holder portions 35b. In particular, each central frame 35 has a structure directly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central frame 35 and has a hexagonal honeycomb-like planar structure as a whole.

또한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은, 서로에 대해 직결된 상태로 중앙프레임(35)에 결합하여 저류구조체(13)의 양측벽을 이룬다. 상기 중앙프레임(35)에 대한 제 1사이드프레임(37)의 결합은, 홀더부(35b)에 대한 끼움고정부(37a)의 슬라이딩 결합이나, 홀더부(37b)에 대한 중앙프레임(35)의 끼움고정부(35a)의 슬라이딩 결합이다.The first side frames 37 are joined to the center frame 35 in a stat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both side walls of the storage structure 13. The engagement of the first side frame 37 with respect to the center frame 35 is achieved by sliding engagement of the fitting securing portion 37a with respect to the holder portion 35b or sliding engagement of the fitting portion 37a with respect to the holder portion 37b And is the sliding engagement of the fitting fixing portion 35a.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39)도 서로에 대해 직결된 상태로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되어 저류구조체(13)의 나머지 두 벽면을 제공한다.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39) 끼리의 결합이나, 제 2사이드프레임(39)의 중앙프레임에 대한 결합은 상기한 바와같다.The second side frames 39 are also directly connected to the central frame 35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ovide the remaining two wall surfaces of the storage structure 13. [ The coupling of the second side frames 39 and the coupling of the second side frames 39 to the central frame are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상기 제 3사이드프레임(41)은, 중앙프레임(35)과 제 1사이드프레임(37)과 제 2사이드프레임(39)에 동시에 결합한다. 즉 일측 플레이트부(41c)는 제 1사이드프레임(37)에, 타측 플레이트부는 제 2사이드프레임(39)에 중앙의 플레이트부는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되는 것이다.The third side frame 41 is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center frame 35, the first side frame 37 and the second side frame 39. That is, the one plate portion 41c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 frame 37, the other plat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frame 39, and the central plate por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enter frame 35.

상기한 직결 결합방식을 통해 구축된 저류구조체(13)의 평면형상은 도 2에 도시한 육각의 벌집모양이나 도 6에 도시한 사각의 바둑판 패턴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육각이나 사각 이외에, 삼각, 오각, 칠각, 팔각 등의 다각형 패턴을 얼마든지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lanar shap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constructed through the direct coupling method can be formed to have a hexagonal honeycomb shape shown in FIG. 2 or a square checkerboard pattern shown in FIG. It is needless to say that polygonal patterns such as a triangle, a pentagon, a polygon, and an octagon can be implemented in any number of hexagons or rectangular shapes.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부 중앙프레임(35)의 하부에는 받침부재(23)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부재(25)는 그 하부에 유동구(23a)가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서 해당 중앙프레임(35)을 받쳐 지지한 상태로 빗물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부재(23)가 있음으로 해서 저류구조체(13) 내부로 유입한 빗물이 저류구조체(13)의 전체적으로 퍼져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받침부재(23)의 형상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a supporting member 23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some central frame 35. Fig. The supporting member 25 is a member having a flow hole 23a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serves to pass rainwater while supporting the center frame 35. [ The presence of the support member 23 allows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torage structure 13 to spread out throughout the storage structure 13. [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23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such a function can be achieved.

도 4에 도시한 받침부재(23)의 경우 상부에 지지홈(23b)을 갖는다. 상기 지지홈(23b)은 중앙프레임(35)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홈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3)의 측부에는 끼움돌기(2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돌기(23c)는 이웃 중앙프레임(35)의 홀더부(35b)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In the case of the support member 23 shown in Fig. 4, the support member 23 has an upper support groove 23b. The support groove 23b is a groove for receiv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enter frame 35. [ Further, a fitting protrusion 23c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23. The fitting protrusion 23c is a portion that fits in the holder portion 35b of the adjacent center frame 35. [

상기 받침부재(23)가, 홀더부(35b)를 갖는 중앙프레임(35)을 지지할 경우에는, 상기 끼움돌기(23c) 대신 (이웃 중앙프레임의 끼움고정부(35a)를 수용할 수 있는) 홈(미도시)을 갖는다.When the support member 23 supports the center frame 35 having the holder portion 35b,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fitting protrusion 23c (which can accommodate the fitting and fixing portion 35a of the neighboring central frame) (Not shown).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받침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support member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프레임(35)에 빗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유동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앙프레임(35)의 하단부에 장착구멍(35f)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구멍(35f)에 받침부재(49)를 고정시킬 수 도 있다.A mounting hole 35f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enter frame 35 and a supporting member 49 is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35f in order to provide a flow port for passing rainwater through the center frame 35, .

상기 장착구멍(35f)은, 준비된 중앙프레임(35)의 하단부를 별도의 기계가공을 통해 형성한 관통구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49)는 상기 장착구멍(35f)에 형합하도록 만들어진 부재로서 장착구멍(35f)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다.The mounting hole 35f is a through-hole formed by a separate machining process on the lower end of the prepared central frame 35. [ The supporting member 49 is a member made to fit in the mounting hole 35f and is fit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hole 35f.

상기 받침부재(49)는 가령 플라스틱 사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그 하부에 유동구(49b)를 갖는다. 상기 유동구(49b)는 받침부재(23)의 유동구(23a)와 같은 기능을 한다.The support member 49 can be manufactured, for example, by a plastic injection method, and has a flow hole 49b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flow hole (49b) functions as the flow hole (23a) of the receiving member (23).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13)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a,8b,8c는 상기 도 7의 저류구조체(13)에 사용되는 중앙프레임(43) 및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orage facility shown in FIG. 1, and FIGS. 8A, 8B, 43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45, 47, respectively.

도 7에 도시한 저류구조체(13)는 그 전체적인 평면구조가 마치 바둑판과 같은 사각의 패턴 형태를 취한다. 도 7의 저류구조체(13)의 구축 방식은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와 동일하다.The reservoir structure 13 shown in Fig. 7 has a rectangular planar structure like a checkerboard. The construction of the reservoir structure 13 of Fig. 7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servoir structure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저류구조체(13)는, 열십자 형태의 중앙프레임(43)과, ㅗ 자의 형태를 취하는 제 1사이드프레임(45)과, L 자의 형태를 치하는 제 2사이드프레임(47)으로 이루어진다.7, the reservoir structure 13 includes a central frame 43 in the shape of a cross, a first side frame 45 in the form of a cross, a second side frame 47).

상기 중앙프레임(43)과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의 세부 구조는 도 8에 도시하였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enter frame 43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45 and 47 is shown in FIG.

상기 중앙프레임(43)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같이 열십자의 단면 형태를 취한다. 상기 중앙프레임(43)도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형상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벌어져 있는 네 개의 플레이트부(43c)를 갖는다. The center frame 43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10 inches, as shown in Fig. 8A. The center frame 43 is also manufactur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The center frame 43 has four plate portions 43c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각 플레이트부(43c)의 폭방향 단부에는 홀더부(43b) 또는 끼움고정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도 8a에는 홀더부(43b)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 7을 참조하면 끼움고정부(43a)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43b)에는 대응 끼움고정부(43a)를 수용 고정하는 슬라이딩홈(43d)이 마련되어 있다.A holder portion 43b or a fitting portion 43a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each plate portion 43c in the width direction. In FIG. 8A, only the holder 43b is shown, but with reference to FIG. 7, the fitting portion 43a is also formed. The holder portion 43b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43d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43a.

아울러 상기 중앙프레임(43)의 구조적 강도를 고려하여 내부에 보강빔(43e)을 추가 할 수 도 있다. 상기 보강빔(43e)은 다른 보강빔들과 마찬가지로 금속판으로 제작된 보강부재로서, 외력에 의해 중앙프레임(43)이 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In addition, a reinforcing beam 43e may be added to the inner frame 43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center frame 43. The reinforcing beam 43e is a reinforcing member made of a metal plate in the same manner as other reinforcing beams and supports the center frame 43 so that it is not bent or twisted by an external force.

도 8b에 도시한 제 1사이드프레임(45)은 ㅗ 자의 단면 형태를 취한다. 즉, 제 2사이드프레임(45)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45c)를 직각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당연히 상기 각 플레이트부(45c)의 각 단부에 끼움고정부(45a)와 홀더부(45b)가 마련됨은 물론이다. 상기 홀더부(45b)에는 슬라이딩홈(45d)이 형성되어 끼움고정부(45a)를 수용 고정한다.The first side frame 45 shown in Fig. 8B has a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the second side frame 45 is formed such that two plate portions 45c having different widths are formed at right angle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tting portion 45a and the holder portion 45b are provided at each end of each of the plate portions 45c. A sliding groove 45d is formed in the holder portion 45b to receive and fix the fitting portion 45a.

제 1사이드프레임(45)의 내부에도 보강빔(45e)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A reinforcing beam 45e may b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ide frame 45 to reinforce the structural rigidity.

도 7c는 L 자형의 단면형태를 갖는 제 2사이드프레임(47)이다.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47)은, 직각의 사이각을 갖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47c)와, 각 플레이트부(47c)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홀더부(47b) 또는 끼움고정부(47a)와, 보강빔(47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부(47b)는 이웃 끼움고정부를 수용 고정하는 슬라이딩홈(47d)을 갖는다.7C is a second side frame 47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The second side frame 47 includes two plate portions 47c having right angle angles and a holder portion 47b or a fitting and fixing portion 47a formed at an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plate portion 47c, And a reinforcing beam 47e. The holder portion 47b has a sliding groove 47d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adjacent fitting and fixing portion.

상기한 구조를 갖는 중앙프레임(43)과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에 있어서, 중앙프레임(43)은 저류구조체(13)의 거의 대부분을 채우는 것이고, 제 1사이드프레임(45)은 저류구조체(13)의 외벽면을 마감한다. 또한 제 2사이드프레임(47)은 저류구조체(13)의 네 귀퉁이부에 위치하며 귀퉁이부를 마감한다.In the center frame 43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45 and 47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center frame 43 fills most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the first side frame 45,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is closed. The second side frame 47 is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closes the corners.

이 때, 상기 중앙프레임(43)과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은 서로간에 직결되어 매우 견고한 결합을 유지한다. 특히 상기 중앙프레임(43) 중 일부 중앙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한 받침부재(23,49)가 설치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center frame 43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45 and 47 ar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to maintain a very rigid connection. Of course, the support members 23 and 49 are provided under the central frame of the central frame 43.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을 정리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orm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은, 터파기단계(101)로 시작된다. 상기 터파기단계(100)는, 우수저류시설(11)이 들어갈 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이다. 상기 지하공간의 깊이나 넓이는 해당 지역의 제반 여건이나 기타 필요에 따라 달라짐은 당연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orm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arts with the tearing step 101. The tearing step 100 is a process of securing an underground space by excavating soil in an area into which the storm reservoir facility 11 is to be inserted. The depth and width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pace will obviousl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s and other needs of the area.

상기 터파기단계(101)가 완료되었다면 베이스설치단계(103)를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베이스설치단계(103)는 지하공간의 바닥면을 평평하게 하는 과정이다. 상기 베이스설치단계(103)시 지반을 보강하는 지반 보강공정을 추가로 진행할 수 있다. 가령 저류구조체(13)가 들어갈 바닥이 습기가 많거나 또는 연약한 경우, 흙을 더 파내고 모래나 자갈을 채운다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면을 형성한다.If the tearing step 101 is completed, a base mounting step 103 is performed. Basically, the base installation step 103 is a process of flatte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nderground space. The ground reinforcement process for reinforcing the ground in the base installation step 103 may be further performed. For example, if the bottom of the retention structure 13 is damp or fragile, dug more soil, fill sand or gravel, or pour the concrete to form a flat, hard bottom surface.

상기 베이스설치단계(103)에 이어서 저류구조체구축단계(105)를 수행한다. 상기 저류구조체구축단계(105)는 상기한 베이스(19)의 상부에 저류구조체(13)를 구축하는 끼움결합공정(105a)과, 상기 저류구조체(13)의 상부에 커버플레이트(17)를 배치하는 커버플레이트설치공정(105b)과, 상기 저류구조체(13)와 커버플레이트(17) 및 베이스(19)를 랩핑시트(21)로 감는 과정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저류구조체(13)와 커버플레이트(17)만 감을 수 도 있다.Following the base installation step (103), a storage structure construction step (105) is performed. The storage structure construction step 105 includes a fitting process 105a for constructing the storage structure 13 on the base 19 and a cover plate 17 disposed on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a step of winding the storage structure 13, the cover plate 17, and the base 19 with the lapping sheet 21. In some cases, only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the cover plate 17 may be wound.

상기 끼움결합공정(105a)은, 베이스(19) 위에 상기 프레임(35,37,39,41,43,45,47)을 세우되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직결 시키는 과정이다.The fitting process 105a is a process in which the frames 35, 37, 39, 41, 43, 45, 47 are directly mounted on the base 19 in a sliding mann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저류구조체구축단계(105)가 완료되었다면 맨홀세팅단계(107)가 이어진다. 상기 맨홀세팅단계(107)는 저류구조체(13) 측부의 적절한 장소에 맨홀(25)을 배치하고 연결관(25a)을 통해 저류구조체(13)에 연통시키는 공정이다. If the storage structure building step 105 is completed, a manhole setting step 107 is performed. The manhole setting step 107 is a step of disposing a manhole 25 at an appropriate place on the 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3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tructure 13 via the connection pipe 25a.

상기 과정을 마친 후 이어지는 복토단계(109)는, 저류구조체(13)의 상부에 흙을 덮는 과정이다. 상기 저류구조체(13)에 복토된 토양의 상부에, 보도블록이나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상기 복토단계(109)를 통해 모든 시공과정을 마친다.After completion of the above process, the subsequent soil step 109 is a process of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tructure 13 with soil. A sidewalk block, asphalt or concrete may be laid on top of the soil that is packed in the reservoir structure (13).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is completed through the covering step (109).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 : 우수저류시설
13 : 저류구조체
15 : 직립프레임
15a : 저류공간
17 : 커버플레이트
19 : 베이스
21 : 랩핑시트
23, 49 : 받침부재
23a, 49b : 유동구
23b : 지지홈
23c : 끼움돌기
25 : 맨홀
25a : 연결관
27 : 기계실
29 : 펌프
31 : 제어부
33 : 배수파이프
35, 43 : 중앙프레임
35a, 37a, 39a, 41a, 43a, 45a, 47a : 끼움고정부
35b, 37b, 39b, 41b, 43b, 45b, 47b : 홀더부
35c, 37c, 39c, 41c, 43c, 45c, 47c : 플레이트부
35d, 37d, 39d, 41d, 43d, 45d, 47d : 슬라이딩홈
35e, 37e, 39e, 41e, 43e, 45e, 47e : 보깅빔
35f : 장착구멍
37, 45 : 제 1사이드프레임
39, 47 : 제 2사이드프레임
41 : 제 3사이드프레임
49a : 끼움홈
11: Good storage facility
13: Retention structure
15: Upright frame
15a: Retention space
17: Cover plate
19: Base
21: Lapping sheet
23, 49: Support member
23a, 49b:
23b: Support groove
23c:
25: Manhole
25a: Connector
27: Machine room
29: Pump
31:
33: drain pipe
35, 43: central frame
35a, 37a, 39a, 41a, 43a, 45a, 47a:
35b, 37b, 39b, 41b, 43b, 45b, 47b:
35c, 37c, 39c, 41c, 43c, 45c, 47c:
35d, 37d, 39d, 41d, 43d, 45d, 47d:
35e, 37e, 39e, 41e, 43e, 45e, 47e:
35f: Mounting hole
37, 45: first side frame
39, 47: second side frame
41: third side frame
49a: fitting groove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상기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중앙프레임에 직결 고정되어 수직의 외벽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립식 저류구조체;
상기 저류구조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류구조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저류구조체 상부의 무게를 받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저류구조체를 감싸는 랩핑시트;
를 포함하는 우수저류시설.
A plurality of central fram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directly to each other through longitudinal sliding connection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 members directly fixed to the central frame through longitudinal sliding connection to the outer frame portion of the central frame combination, An upright retention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de frames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side frames;
A base disposed below the storage structure to support the storage structure;
A cover plate covering the top of the storage structure and receiving the weight of the storage structure; And
A lapping sheet surrounding the storage structure;
≪ / RTI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프레임의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each of the frames is formed by an extrusion process and has a predetermined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ut by a necessary length,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 portions spread at predetermined angles,
Wherein each of the plate portions is provided with fixing means for slidingly engaging with a plate portion of a neighboring fram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 및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xing means comprises a holder portion formed on one of the plate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nd providing a slid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 fitting stopper formed on the other plate portion and slidably inserted in and fixed to the sliding groove of the holder;
Wherein the storage reservoir comprises a reservoir.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Wherein the planar shape of the reservoir structure takes the form of a polygonal pattern.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Wherein the planar shape of the storage structure takes a hexagonal pattern in the shape of a honeycomb.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랩핑시트는 빗물이 통과할 수 있는 침투형시트이거나 빗물을 차단하는 차수형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apping sheet is a permeable sheet through which rainwater can pass or a car water-absorbing sheet that blocks rainwater.
우수저류시설이 들어갈 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을 확보하는 터파기단계;
상기 터파기단계를 통해 확보된 지하공간의 바닥에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베이스설치단계;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을 슬라이딩 결합하여 직립식 저류구조체를 형성하는 끼움결합공정과,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에 수평의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커버플레이트설치공정과, 랩핑시트를 이용해 상기 구조체를 감싸는 시트랩핑공정으로 이루어진 시트랩핑공정을 포함하는 저류구조체 구축단계;
상기 저류구조체의 측부에 맨홀을 설치하고 맨홀을 저류구조체에 연결하는 맨홀세팅단계; 및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에 토양을 덮는 복토단계;
를 포함하는 우수저류시설 시공방법.
A trenching step of excavating the soil in the area where the reservoir is to be installed to secure an underground space;
A base mounting step of forming a base layer on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space secured through the tearing step;
A fitting process for forming an upright storage structure by slidably joining a plurality of center frames and a side frame which ar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ace and fixed to each other through longitudinal sliding connection with each other, A cover plate installing step of installing a horizontal cover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tructure, and a sheet wrapping step of wrapping the structure using a wrapping sheet;
A manhole setting step of providing a manhole at a 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and connecting the manhole to the storage structure; And
Covering the soil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tructur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와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결합공정은 일측 플레이트부의 홀더부에 타측 프레임의 끼움고정부를 끼운 상태로 끼움고정부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양측 프레임을 직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시공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Each of the frames is a unitary member form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and having a predetermined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ut by a required length,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 portions spaced at predetermined angles, A fixing means for sliding engagement is provided,
The fixing means includes a holder portion formed on one plate portion of the adjacent plate portions to provide a slid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plate portion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holder portion. Government,
Wherein the fitting step is a step of slidably moving the fitting and fix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with the fitting part of the other frame inserted into the holder part of the one plate part to directly connect the two frames.
KR20130045631A 2013-04-24 2013-04-24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KR1014959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631A KR101495997B1 (en) 2013-04-24 2013-04-24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631A KR101495997B1 (en) 2013-04-24 2013-04-24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4737A Division KR20140141550A (en) 2014-10-24 2014-10-24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74A KR20140127074A (en) 2014-11-03
KR101495997B1 true KR101495997B1 (en) 2015-02-25

Family

ID=5245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631A KR101495997B1 (en) 2013-04-24 2013-04-24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9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7171B (en) * 2015-12-04 2017-08-04 东南大学 A kind of urban road drainage method of recharge groundwater
KR102120879B1 (en) * 2018-05-28 2020-06-09 동아컨설탄트(주) Cell structure and storage tank apparatus
KR102205346B1 (en) * 2019-04-01 2021-02-03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Rugged construction of rainwater storage tank
KR102451462B1 (en) * 2022-04-13 2022-10-07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Free 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746Y1 (en) 2005-11-10 2006-02-02 대림산업 주식회사 A Treatment System of Rainwater
KR101003526B1 (en) * 2010-04-13 2010-12-28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The board and it's use the rainwater tank
KR20120063942A (en)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Block unit for constructing rainwater storage tan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746Y1 (en) 2005-11-10 2006-02-02 대림산업 주식회사 A Treatment System of Rainwater
KR101003526B1 (en) * 2010-04-13 2010-12-28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The board and it's use the rainwater tank
KR20120063942A (en)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Block unit for constructing rainwater storage ta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74A (en)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781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nction method
KR101495997B1 (en)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AU2006275809B2 (en) Water retention system
KR101118263B1 (en) Rain retaining facilit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ing precast concrete block
WO20230761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under-slab utilities from changes in soil volume
JP2665144B2 (en) Reinforced soil structure
KR10165360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integral abutment bridge
KR101388870B1 (en)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KR102095581B1 (en) Rainwater storage block, rainwater storage structure using th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881577B1 (en) Retaining Wall Using Pile With Center H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70268B1 (en) Detention unit block and reservoir water tank structure for infiltration and detention of rain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JP6240625B2 (en) Retaining wall, creation site and creation method of creation site
KR101119651B1 (en) The pro-environmental retaining wall using circular PHC pile with catch pit which is h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by
JP6931876B2 (en) How to build a permeable wall for slope reinforcement
JP4092284B2 (en) Rainwater underground seepa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3072682U (en) Concrete drain block
KR20140141550A (en)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KR101694681B1 (en) Water strorage facilit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4998872B2 (en) Permeable type retaining fen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5067759B2 (en)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and infiltration facilities
KR102571761B1 (en)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JP5067762B2 (en)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and infiltration facilities
KR102605191B1 (en) Upper part reinforcement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JP2003020696A (en) Water storage device
CN217078273U (en) Deep foundation pit cover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