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462B1 - Free 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Free 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1462B1 KR102451462B1 KR1020220045739A KR20220045739A KR102451462B1 KR 102451462 B1 KR102451462 B1 KR 102451462B1 KR 1020220045739 A KR1020220045739 A KR 1020220045739A KR 20220045739 A KR20220045739 A KR 20220045739A KR 102451462 B1 KR102451462 B1 KR 102451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outer peripheral
- inner peripheral
- storage tank
- rain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폭우로 인한 재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우수를 저장한 후 강우가 멈춘 후 이를 배수함으로써 도로 등 지반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우수 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storage tank installed underground to prevent flooding of the ground such as roads by temporarily storing rainwater to prevent disasters due to heavy rain and then draining it after the rain stops, and to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토지 이용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증가함에 따라 우수가 지반으로 침투하지 못하는 불투수면적비가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유휴 대지의 경우도 주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반면에 블록이나 콘크리트 바닥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폭우가 쏟아지게 되면 우수가 지중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되고, 아울러 배수시설의 용량부족으로 도시지역에 침수가 발생하게 된다.As efforts to maximize land use increase, the ratio of impervious area where rainwater cannot penetrate into the ground continues to increase. For example, in the case of idle land, it is common to form a block or concrete floor layer on the ground surface to be used as a parking lot. Accordingly, when heavy rain falls, rainwater cannot penetrate into the ground, and flooding occurs in urban areas due to insufficient capacity of drainage facilities.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바, 특히 건물이 밀집된 도심에서는 단위면적당 침수의 피해가 더욱 커지게 된다. 이때 지중에 설치되는 우수 저류조는 상기한 침수피해의 방지와 더불어 수자원을 보호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heavy rains occur frequently due to climate change, damage from flooding per unit area is greater, especially in urban centers where buildings are dense. At this time, the rainwater storage tank installed underground plays an important function to protect water resources as well as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flood damage.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21992호는 상기한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4)를 통해 우수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블록(10)과; 상기 유입블록(10)의 주변에 통수로(50)를 통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블록(10)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블록(20)과; 상기 저장블록(20)에 통수로(50)를 매개로 하여 유체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출부(24)를 통해 상기 저장블록에 저장되는 우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블록(30)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블록(10)과 저장블록 및 배출블록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세워지며 내부에 우수 저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통수로를 형성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통수로를 통해 유체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입블록(10)과 저장블록 및 배출블록들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며, 상기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져 기둥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아울러 각 블록 사이에 형성된 통수로를 개폐하는 수문(60)이 설치됨과 아울러 수위센서가 설치된다. Patent Registration No. 10-1321992 relates to the above-described rainwater storage tank, and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이와 같이 구성된 등록번호 10-1321992호의 우수 저류조는, 유입부를 통해 유입블록으로 흘러온 우수가 일정 수위가 되도록 저장되면, 수위센서의 감지에 따라 수문(60)이 통수로를 개방하여 저장블록(20)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고, 그 저장블록(20)에 저장된 우수도 일정 수위가 되면 동일한 방식으로 통수로를 개방하여 인접한 저장블록(20)으로 순차 흘러간 후, 모든 저장블록(20)에 일정 수위까지 저장되면 배출블록과의 사이에 위치한 수문(60)에 의해 통수로가 개방되도록 하여 배출블록의 하부에 위치한 배출부(24)를 통해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of Registration No. 10-1321992 configured in this way, whe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let block through the inlet is stored to a certain water level, the
그런데 상기한 등록번호 10-1321992호의 우수 저류조는, 유입블록과 저장블록에 일정한 수위까지 우수가 차올라야만 통수로가 개방되므로 그 수위 이하의 부분에 대한 우수는 배출되지 못하고 항상 저장되어 있으므로 강우시 저류공간이 충분하게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각 블록 사이의 공간은 콘크리트 채움으로 인하여 우수의 저류공간으로 활용되지 못하므로 저류능력에 한계가 있게 된다. 아울러 우수의 흐름은 각 블록사이의 통수로만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강우시 우수의 신속한 저장 및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저류조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게 된다. However,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of Registration No. 10-1321992, the water passage is opened only when rainwater rises to a certain water level in the inflow block and the storage bloc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cannot be used sufficiently, and the space between each block cannot be used as a storage space for rainwater due to the concrete filling, so there is a limit to the storage capacity. In addition, since the flow of rainwater is made only through the water passage between each block, the storage and drainage of rainwater cannot be carried out promptly during rain, so that the function of the storage tank is not fully exhibited.
아울러 상기의 블록(10,20,30)은 하부가 막힌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지하수위가 높아질 경우 부력에 의해 위로 부상할 우려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류조의 평면형상을 자유롭게 형성시킬 수 있어, 다양한 저류조 설치환경에 대한 범용적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된 저류조의 저류공간을 극대화시켜 저류조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시공이 용이하여 경제적인 저류조의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우수 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freely form the planar shape of the storage tank, thereby enabling universal application to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of the storage tank, and maximizing the storage space of the installed storage tan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a structure that enables efficient construction of a storage tank, which is structurally stable and easy to construct, and enables economical construction of a storage tank,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에 외주상판이 설치되고 하부에 외주하판이 설치되는 외주관블록의 다수 개에 의해 외곽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부에 내주상판이 설치되고 하부에 내주하판이 설치되는 내주관블록이 상기 외곽테두리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외주관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우수유입관이 설치되고, 상기 우수유입관이 설치되지 아니한 외주관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우수배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외주관블록과 내주관블록중 적어도 외주관블록은 사각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by a plurality of outer perimeter blocks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upper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and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and the inner peripheral upper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An inner peripheral block installed and having an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installed therein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outer perimeter, and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s is provided with a rainwater inlet pipe, and the rainwater inlet pipe is not installed. A rainwater discharge pipe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ain blocks, and at least an outer peripheral block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is provided with a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quare cross section.
이때 상호 인접한 외주관블록들은 각 외면을 상호 밀착시키고, 상호 인접한 내주관블록은 각 외면을 상호 이격시켜 사이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의 하부에는 자갈을 충진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er peripheral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may closely contact each outer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may space each outer surface apart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space may be filled with gravel.
또한 우수유입관과 우수배출관이 설치된 각 외주관블록의 외주상판은 개폐가 가능한 맨홀뚜껑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top plate of each outer circumferential block in which the rainwater inlet pipe and the rainwater outlet pipe are installed can be composed of an openable and openable manhole cover.
아울러 상기 외주상판과 외주하판을 외주관블록의 외단면과 동일한 사각단면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내주상판과 내주하판을 내주관블록의 외단면보다 큰 사각단면으로 구성시키면서, 상기 외주하판과 내주하판의 각 중앙에 개구를 구비시키고, 내주하판의 테두리에 인접한 내주하판과의 연결시 또 다른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반구홈을 구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upper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 and the inner peripheral upper plate and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ar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rectangular cross section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eripheral block, while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and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An opening may be provided in each center, and a hemispherical groove may be provided to form another opening when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adjacent to the edge of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이때 상기 내주상,하판의 한 변 길이를 외주상,하판의 한 변 길이의 배수로 형성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y and the lower plate may be formed as a multiple of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and the lower plate.
또한 상기 내주관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각 내주상판을 동일한 평면을 가지는 하나의 슬래브로 형성시키면서, 상기 슬래브의 단부로 하여금 외주관블록의 외면을 지지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ile forming each inner columnar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block as one slab having the same plane, the end of the slab can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
외주상,하판과 내주상,하판의 저면과 상면에 삽입돌기를 형성시켜 상기 삽입돌기가 외주관블록과 내주관블록에 끼움 삽입되게 할 수 있다.Insertion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 lower plate and the inner periphery, and the bottom and upper surfaces of the lower plate,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block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또한 외주하판과 내주하판의 하부에 우수의 통로를 위한 자갈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그 하부에 방수포를 더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 gravel layer for the passage of rainwater can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and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and a tarpaulin can be further installed in the lower part.
아울러 외주관블록과 내주관블록에 상호 연통하는 관통홀을 형성시켜 또 다른 우수의 통로를 구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n the outer peripheral block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other passage of rainwater.
우수유입관이 설치된 외주관블록에는 필터층을 설치하고, 상기 필터층의 상부에 우수가 통과할 수 있는 망눈이 구비된 수거포대를 설치하여 오물에 대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 filter layer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meter block in which the rainwater inlet pipe is installed, and a collection bag equipped with mesh eyes through which rainwater can pass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layer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filth.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우수배출관이 설치된 외주관블록의 내부에는 펌핑수단을 설치하고, 저류조 설치공간의 외부에 우적감지기를 설치하며, 우적감지기에 의한 비그침 상태를 확인한 후 비그침 지속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펌핑수단에 작동을 명령하여 우수가 우수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umping means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block in which the rainwater discharge pipe is installed, a raindrop detector is installed outside the storage tank installation space, and the rain stoppage duration after checking the condition of the raindrop detector If this continues for more than a set time, a control means is installed to command the pumping means to operate so that the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ainwater discharge pipe.
상기한 우수 저류조의 시공은, a) 터파기를 한 후 굴착 바닥면에 방수포를 설치하는 단계; b) 굴착 바닥면에 설치된 방수포 상면에 자갈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자갈층의 상면에 외주하판과 내주하판을 배치하되, 외주하판은 a)단계에서의 터파기에 의해 형성된 굴착 사면에 인접한 외곽 테두리에 배치하고, 내주하판은 상기 테두리의 안쪽에 배치하여, 외주하판과 내주하판으로 하나의 평탄한 평면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외주하판과 내주하판의 상면에 구비된 삽입돌기를 외주관블록과 내주관블록의 각 하단에 끼워넣어 외주관블록과 내주관블록의 설치를 완료하되, 상호 인접한 외주관블록들은 외면이 상호 밀착되게 하고, 상호 인접한 내주관블록들은 이격되어 사이공간이 형성되도록 외주관블록과 내주관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e) 굴착 사면과 외주관블록 사이에 되메우기를 하고, 외주관블록과 내주관블록의 사이의 사이공간 및, 내주관블록들 사이의 사이공간의 각 하부에 자갈을 충진하여 외주관블록과 내주관블록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단계; f) 외주관블록과 내주관블록의 각 상부에 외주상판과 내주상판의 저면에 각 형성된 삽입돌기를 끼워넣어 외주상판과 내주상판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 g) 맨홀뚜껑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외주상판과 내주상판 중 적어도 내주상판의 상부에 바닥재가 설치되는 단계;가 순차로 이루어진다.The construc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includes the steps of: a) installing a tarpaulin on the excavation bottom surface after excavation; b) forming a gravel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rpaulin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c) arrange an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and an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avel layer, but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is arranged on the outer rim adjacent to the excavation slope formed by the excavation in step a), and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is arranged inside the rim, forming one flat plane with a lower plate and an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d) Insert the insertion protrusio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outer and inner lower plates into the lower ends of the outer and inner tube blocks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outer and inner tube blocks. Installing the outer peripheral block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adjacent inner peripheral blocks are spaced apart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e) Backfill between the excavation slope and the outer block, and fill the lower portions of the space between the outer block and the inner block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block and the inner block with gravel.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block; f)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outer peripheral upper plate and the inner peripheral upper plate by inserting the insertion protrusio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outer peripheral upper plate and the inner peripheral upper plate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g) The step of installing the flooring material on at least the upper part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outer perimeter top plate and the inner perimeter top plate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manhole cover is installed; is made in sequence.
본 발명은 외주관블록과 내주상판 사이에 지지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옹벽의 설치 없이 우수 저류조의 배면토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옹벽 기능을 하는 외주관블록에 저류공간이 형성되고, 내주관블록들 사이에 저류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불필요한 부재단면을 최소화시켜 저류공간을 극대화시켜 경제적인 우수 저류조를 형성시킬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back earth pressure of the storm water storage tank without installing a retaining wall by forming a support structur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block and the inner peripheral plate, and a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block functioning as a retaining wall, By forming a storage space between the main blocks, it is possible to form an economical rainwater storage tank by minimizing unnecessary member cross-section and maximizing the storage spac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옹벽기능을 하는 외주관블록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어 대지조건에 적합한 형상의 단면으로 우수 저류조를 형성시킬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versatility to form a rainwater storage tank with a cross section of a shape suitable for site conditions, since the outer peripheral pipe block having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function can be freely arranged.
또한 본 발명은 저류공간 전체가 동일한 수위로 함께 차오르게 되어 저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저류공간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우수 저류조의 부상이 발생할 여지가 전혀 없고 변형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내구성이 증대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efficiency of storage because the entire storage space is filled with the same water level, but also has an open lower part of the storage space, so there is no room for levita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due to the rise of the groundwater level, and deformation occurs. By not doing so, durability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우수의 유입단계에서 필터링에 의해 정화되고, 아울러 탈착 가능한 수거포대가 설치됨으로써 관리가 용이하여 수자원의 오염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urified by filtering in the inflow step of rainwater, and since a detachable collection bag is installed, it is easy to manage,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water resources.
또한 본 발명은 폭우 발생이나 관리 소흘에 의해 우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관통홀을 통한 직접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지반이 침수될 여지가 최소화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ow of rainwater is not smooth due to the occurrence of heavy rain or maintenance, direct drainage is made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e room for submersion of the ground is minimiz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우수 저류조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저류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를 구성하는 외주관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를 구성하는 내주관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내주관블록들을 배치시킨 상태의 사시도 및 그의 저면도이다.
도 8 내지 15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를 시공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도이다.1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lan view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B of FIG. 2 .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 constituting the rainwater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main block constituting the rainwater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inner peripheral blocks are arranged and a bottom view thereof.
8 to 15 are explanatory views for each step of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rainwater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obscuring or obscur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configurati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known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우수 저류조의 평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A-A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의 B-B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2 is a plan view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A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B of FIG.
상기한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는 가용 대지에 맞게 외곽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외곽 테두리의 바깥쪽 굴착 사면(110)에는 방수포(111)가 설치되며, 외곽 테두리와 굴착 사면(110)의 방수포(111) 사이에는 굵은 골재 등의 뒷채움재(130)가 충진된다.2 to 4,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er rim is formed to fit the available land, and a
외곽테두리는 다수 개의 외주관블록(210)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기 뒷채움재(130)와 함께 우수 저류조 배면의 토압에 대하여 저항하는 옹벽 기능을 하면서도, 그 자체로도 우수의 저류공간을 형성한다.The outer rim is formed by a plurality of outer
이러한 외주관블록(210)은 사각단면의 흄관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인접한 외주관블록(210)과 평행하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되더라도 이들 사이의 밀착된 상태가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is outer
도 5는 후자와 같이 사각단면으로 형성시킨 외주관블록(210)을 도시한 것이다.5 shows the outer
상기 외주관블록(210)의 상부에는 외주상판(220)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외주하판(23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외주상판(220)과 외주하판(230)은 외주관블록(210)의 외단면과 동일한 사각단면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술한 외주관블록(210)들의 배치형상에 제한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peripheral
또한 상기 외주하판(230)에는 중앙에 개구(231)를 형성시킴으로써 지하수 등에 의한 부력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개구(231)를 통해 우수가 차오르거나 후술하는 내주관블록(310)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n
도 2에서와 같이 연속 배치됨으로써 외곽 테두리를 형성시키는 외주관블록(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우수유입관(241)이 설치되어, 비가 올 때는 상기 우수유입관(241)을 통해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의 저류공간으로 우수가 유입되어 임시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지반의 침수 등 재해발생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2, a
우수유입관(241)이 설치된 외주관블록(2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을 걸러주는 필터층(250)이 설치된다. 상기 필터층(250)은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일 실시예로는 자갈(251)과 모래(252)가 각 층을 이루게 하고, 우수유입관(241)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상기 자갈(251)과 모래(252)로 구성된 필터층(250)을 통과하여 인접한 외주관블록(210) 내지 내주관블록(310) 등의 저류공간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관로의 막힘방지와 우수의 오염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3 , a
상기 필터층(250)의 상부에는 걸러진 오물의 수거를 위한 수거포대(25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거포대(253)는 우수가 통과할 수 있는 망눈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외주관블록(210) 내면에서 탈거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A
물론 상기와 같이 우수배출관(242)이 설치된 외주관블록(210)의 외주상판(220)에는 개폐가 가능한 맨홀뚜껑(220a)을 설치하거나, 외주상판(220) 자체를 개폐가 가능한 맨홀뚜껑(220a)으로 구성시켜 작업자에 의한 상기 수거포대(253)의 교체가 가능해야 한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아울러 상기한 외주관블록(210) 중 우수유입관(241)이 설치되지 아니한 외주관블록(210) 중 어느 하나에는 우수배출관(242)이 설치되어, 비가 그치게 되면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저장되었던 우수를 상기 우수배출관(242)을 통해 모두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 저류조가 빈공간을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우수 저류조의 빈공간은 향후 발생하게 되는 우수에 대하여 충분한 대비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우수배출관(242)이 설치된 외주관블록(210)의 내부에는 펌핑수단(412)이 설치되고, 저류조 설치공간의 외부(우수 저류조의 외부)에 우적감지기(411)가 설치된다. 상기 펌핑수단(412)은 제어수단(413)에 의해 작동된다. 물론 상기 펌핑수단(412)의 작동은 수동조작에 의해서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a pumping means 412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우적감지기(411)에 의해 비그침 상태가 확인되면, 우적감지기(411)는 이를 제어수단(413)에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수단(413)은 비그침 지속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펌핑수단(412)에 작동을 명령하여 저류공간 내의 우수가 우수배출관(2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저류공간 내의 우수배출이 모두 완료되면 펌핑수단(412)은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a non-stop state is confirmed by the rain detector 411, the rain detector 411 transmits it to the control means 413, and the control means 413 that receives it continues the non-stop When the time continues for more than a set time, the pumping means 412 is commanded to operate so that rainwater in the storage spa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우수유입관(241)이 설치된 외주관블록(210)과 마찬가지로 우수배출관(242)이 설치된 외주관블록(210)의 외주상판(220)에도 개폐가 가능한 맨홀뚜껑(220a)을 설치하거나 외주상판(220) 자체를 개폐가 가능한 맨홀뚜껑(220a)으로 구성함으로써 펌핑수단(412)에 대한 작업자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 the outer
외주관블록(210)에 의해 형성된 외곽 테두리의 내부공간에는 내주관블록(310)이 설치된다. An inner
외주관블록(210)은 저류공간의 형성과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이 외곽테두리를 형성시키면서 토압을 지지하는 옹벽 기능을 하므로, 각 외주관블록(210)들 사이는 각 외면이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하여 내주관블록(310)은 굳이 상호간에 밀착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The outer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상호 인접한 내주관블록(310)들 사이는 각 외면이 이격되어 사이공간(S)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저류공간의 극대화와 부재사용의 최소화를 도모한다. 즉 본 발명은 내주관블록(310) 자체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각 내주관블록(310)들의 사이공간(S) 역시 저류공간의 하나로 기능하게 함으로써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규모를 극대화시킨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ut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inner
따라서 내주관블록(310)은 외주관블록(210)과는 달리 단면의 형상이 자유롭다. 예컨대 외주관블록(210)과 동일하게 사각단면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원형단면으로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Therefore, the inner
도 6은 후자와 같이 내주관블록(310)을 원형단면으로 형성시킨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상기 내주관블록(310)들을 상호 이격시켜 배치시킨 예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ner
내주관블록(310)의 상부에는 내주상판(320)이 설치되고, 내주관블록(310)의 하부에는 내주하판(330)이 설치된다.An inner peripheral
상기 내주상판(320)과 내주하판(330)은 동일한 단면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서, 외주관블록(210)의 외단면보다 큰 사각단면을 가진다. 예컨대 상기 내주상판(320)은 외주관블록(210)보다 이들에 의해 형성된 사이공간(S)만큼 더 넓은 면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관블록(310)의 상부에 설치된 각 내주상판(320)은 상호 연결되어 동일한 평면을 가지는 하나의 슬래브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은 외주관블록(210)의 외면을 지지하는 버팀대의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The inner peripheral
외주하판(230)과 마찬가지로, 내주하판(330)에도 중앙에 개구(331)가 형성된다. 내주하판(330)의 개구(331) 역시 지하수 등에 의한 부력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개구(331)를 통해 우수가 차올라 우수가 저류될 수 있게 하거나 우수배출관(242)이 구비된 내주관블록(310)으로 흘러갈 수 있게 한다.Like the outer peripheral
이와 더불어 내주하판(330)의 테두리에는 반구홈(332)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반구홈(332)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내주하판(330)과의 연결할 때 그에 구비된 반구홈(332)과 함께 또 다는 개구(331a)를 형성시켜, 이를 통해 사이공간(S)에도 우수가 저류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o this, a
이때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의 하부에 자갈층(140)을 형성시켜 자갈층(140)의 틈새로 하여금 우수의 통로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저류공간내에서의 상술한 우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자갈층(140)의 하부에는 방수포(111)가 설치된다.At this time, by forming the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 및 사이공간(S)에 의해 확보된 각 저류공간은 상기 자갈층(140)에 의해 전체적으로 동일한 수위를 가지면서 아래부터 차오르게 되며, 이는 폭우 등으로 인하여 저류공간이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오물의 미수거로 인하여 우수가 필터층(250)을 신속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우수를 곧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후술의 관통홀(243,343) 기능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게 한다.Each storage space secured by the outer
상기 관통홀(243,343)은 외주관블록(210)의 상부쪽에 위치한 우수유입관(241)의 위치와 동일한 높이로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에 각 형성되며, 이들 각 관통홀(243,343)은 상호 연통하여 하나의 배수통로를 형성하면서 우수배출관(242)으로 연결된다.The through
우수의 통로기능을 하는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 하부의 자갈층(140)은 다른 한편으로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에 대한 기초면을 형성하여 이들이 설치된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peripheral
외주관블록(210)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외주상,하판(220,230)과 내주관블록(310)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내주상,하판(320,330)의 저면과 상면에는 삽입돌기(223,233,323,333)가 각각 형성된다.Insertion protrusions 223,233,323,333 are formed on the bottom and upper surfaces of the outer peripheral upper and
외주상판(220)과 내주상판(320)의 각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삽입돌기(223,323)는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내부공간에 끼움 삽입되어 이들 사이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내주관블록(310)의 높이는 외주관블록(210) 보다 다소 낮게 구성됨으로써 외주관블록(210)에 인접한 내주관블록(310)의 내주상판(320)은 단부가 외주관블록(210)의 외면에 접하게 구성된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inner
이에 따라 하나의 슬래브를 형성하는 내주상판(320)들은 그 하부에 위치한 내주관블록(310)들과 함께 배면토압을 받는 외주관블록(210)을 지지하여 외곽에 별도의 옹벽구조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우수 저류조를 구축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inner circumferential
이때 내주관블록(310)은 그 하부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주하판(330)의 삽입돌기(33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이와 일체로 거동하는 내주상판(320)의 변위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나, 사이공간(S)의 하부에 자갈(141)을 충진시켜 내주관블록(310)에 대한 보다 강한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상기한 사이공간(S)에 대한 자갈(141)의 충진은 그 높이의 1/3이 적절하며, 최대 1/2이 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저류공간이 지나치게 줄어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ling of the
내주상판(320)에 의해 형성된 슬래브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등의 바닥재(F)를 통해 외주상판(220)과의 단차를 해소함과 더불어 내주상판(320)들의 연결부위에 솟음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upper part of the slab formed by the inner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의 각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삽입돌기(233,333) 역시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내부공간에 끼움 삽입되어 이들 사이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에 위치이동 등에 대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The
이와 더불어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의 삽입돌기(233,333)는 우수 저류조의 시공과정 중에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이 배치되어야 하는 정확한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도 8 내지 14는 상기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를 시공하는 단계에 관하여 각 도시한 것이다.8 to 14 are respectively shown with respect to the steps of constructing the rainwater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먼저 터파기를 한 후 굴착 사면(110) 및 바닥면에 방수포(111)를 설치한다(도 8).a) First, after excavation, the
굴착은 안식각에 의해 토사의 안정을 유지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착이 완료되면 굴착 바닥면(120)을 다짐하여 향후 우수 저류조의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필요시 지지말뚝 등의 지반개량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xcavation be made in a state in which the stability of the soil is maintained by the angle of repose. When the excavation is completed, the
굴착 내면에 대한 정리가 완료되면 방수포(111)를 굴착 사면(110) 및 굴착 바닥면(120)에 설치한다.When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xcavation is completed, the
b) 굴착 바닥면(120)에 설치된 방수포(111) 상면에 자갈(141)을 포설하여 자갈층(140)을 형성한다(도 9).b) The
상기 자갈층(1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가 모든 저류공간으로 함께 차오를 수 있도로 하는 우수의 통로가 되는 동시에,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 등의 하중 및 저류공간에 임시 저장된 우수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의 역할을 한다.The
자갈층(140)은 상면이 평탄하도록 함으로써 그 상면에 설치되는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이 하나의 평탄한 평면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c) 자갈층(140)의 형성이 완료되면, 그 상면에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을 배치한다(도 10, 11).c) When the formation of the
외주하판(230)은 굴착 사면(110)에 인접한 외곽 테두리에 배치되고, 내주하판(330)은 상기 외곽 테두리의 안쪽, 즉 외주하판(230)의 안쪽에서 이들과 하나의 평탄한 평면을 이루면서 배치된다. The outer peripheral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압 지지를 위한 별도의 옹벽을 설치하지 않고 외주관블록(210) 자체가 토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밀착구조를 형성하게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저류공간의 극대화를 위해 내주관블록(310)들에 사이공간(S)을 두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외주상,하판(220,230)과 내주상,하판(320,330)의 규격을 서로 다르게 가지도록 하는 바, 외주하판(230)과 외주하판(230)이 하나의 동일한 평탄 평면을 이루게 하거나, 하나의 평탄 평면을 가지도록 연결된 내주상판(320)들이 외주관블록(210)에 접하여 이를 지지하게 하는 것을 쉽지 않게 하며, 이는 본 발명에서의 또 다른 해결과제인 형상 등 다양한 저류조 설치환경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stall a separate retaining wall for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but forms a mutually close structure so that the outer
그러나 상기한 제한 요인은 내주상,하판(320,330)의 한 변 길이를 외주상,하판(220,230)의 한변 길이의 배수로 형성시킴으로써 쉽게 해결된다. 도 2는 내주상,하판(320,330)의 한 변 길이가 외주상,하판(220,230)의 한변 길이의 2배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limiting factor is easily solved by forming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ce upper and
d)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의 배치가 완료되면 이들의 상면에 각 구비된 삽입돌기(233,333)를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각 하단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을 설치한다(도 12).d) When the arrangement of the outer peripheral
이에 의해 외주관블록(210)들은 외면이 상호 밀착된 구조를 가지면서 굴착 사면(110)을 따라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게 되고, 외곽 테두리의 내측에는 내주관블록(310)들이 사이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As a result, the outer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에 구비된 삽입돌기(233,333)를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각 하단에 끼워넣는 작업만으로 이들의 정위치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성이 대폭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only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이때 외주관블록(210)을 내주관블록(310)보다 다소 길이가 긴 규격을 가지게 함으로써, 향후 단계에서의 내주상판(320)들에 의해 형성된 슬래브 단부가 외주관블록(2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y making the outer
e) 외주관블록(2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굴착 사면(110)과 외주관블록(210) 사이에 굵은골재 등의 뒷채움재(130)로 되메우기를 한다. 이와 함께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사이공간(S), 각 내주관블록(310)들의 사이공간(S)의 각 하부에 자갈(141)을 충진하여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하부를 고정하되, 그 충진의 정도는 사이공간(S) 전체 높이의 1/2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3).e)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outer
이에 따라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하부는 견고한 고정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면서, 그 사이공간(S)의 상부는 저류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lower portions of the outer
f) 외곽 테두리의 외측에 대한 되메우기와 사이공간(S)에 대한 자갈(141) 충진이 완료되면, 외주상판(220)과 내주상판(320)을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각 상부에 설치한다(도 14).f) When the backfilling of the outer edge of the outer rim and the filling of the
외주상판(220)과 내주상판(320) 역시 저면에 형성된 삽입돌기(223,323)를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에 끼워넣은 방식으로 설치된다.The outer peripheral
외주관블록(210)을 내주관블록(310)보다 다소 긴 규격의 것을 설치한 경우에는, 내주상판(320)들에 의해 형성된 슬래브 단부가 외주관블록(21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이를 지지하여 외주관블록(210)에 의한 배면토압의 지지가 안정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outer
g) 외주상판(220)과 내주상판(3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맨홀뚜껑(220a)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외주상판(220)과 내주상판(320) 중 적어도 내주상판(320)의 상부에는 그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 바닥재(F)를 설치한다(도 15).g)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예컨대 우수 저류조의 상부를 주차장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콘크리트나 블록 등을 설치한다.For example, if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used as a parking lot, concrete or blocks are installed.
아울러 외주관블록(210)이 내주상판(32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인 경우, 이로 인하여 발생된 단차는 콘크리트 등의 상기 바닥재(F)를 이용하여 평탄하게 마무리한다.In addition, when the outer
외주상판(220)과 내주상판(320)의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방수포(111)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A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will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110; 굴착 사면 120; 굴착 바닥면
111; 방수포 130; 뒷채움재
140; 자갈층 141,251; 자갈
210; 외주관블록 220; 외주상판
220a; 맨홀뚜껑 223,233,323,333; 삽입돌기
230; 외주하판 231,331,331a; 개구
241; 우수유입관 242; 우수배출관
243,343; 관통홀 250; 필터층
252; 모래 253; 수거포대
310; 내주관블록 320; 내주상판
330; 내주하판 332; 반구홈
411; 우적감지기 412; 펌핑수단
413; 제어수단 S; 사이공간
F; 바닥재110;
111;
140; gravel layer 141,251; Pebble
210;
220a; manhole cover 223,233,323,333; insertion protrusion
230; outer peripheral plate 231,331,331a; opening
241;
243,343; through
252;
310; inner
330; inner
411;
413; control means S; interspace
F; flooring
Claims (14)
상기 외주상판(220)과 외주하판(230)은 외주관블록(210)의 외단면과 동일한 사각단면을 가지고, 상기 내주상판(320)과 내주하판(330)은 내주관블록(310)의 외단면보다 큰 사각단면을 가지며, 상기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의 각 중앙에는 개구(231,331)가 구비되고, 내주하판(330)의 테두리에는 인접한 내주하판(330)과의 연결시 또 다른 개구(331a)를 형성시키는 반구홈(3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An outer rim is formed by a plurality of outer perimeter blocks 210 in which an outer peripheral upper plate 220 is installed and an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230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an inner peripheral upper plate 320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and the inner peripheral upper plate 32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The inner peripheral block 310 on which the lower plate 330 is installed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outer perimeter, and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s 210 is provided with a rainwater inlet pipe 241, and the rainwater inlet pipe 241 is installed. A rainwater discharge pipe 242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in which the inlet pipe 241 is not installed, and at least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3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outer peripheral upper plate 220 and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230 have the same rectangular cross-section as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upper plate 320 and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330 are the outer peripheral blocks of the inner peripheral block 310. It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and openings 231 and 331 are provided in each center of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230 and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330, and the edge of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330 is adjacent to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330.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hemispherical groove (332) for forming another opening (331a).
상호 인접한 외주관블록(210)들 사이는 각 외면이 밀착되고,
상호 인접한 내주관블록(310)들 사이는 각 외면이 이격되어 사이공간(S)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blocks 210 adjacent to each other, each out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S) is formed between each outer surface is spaced apart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block (310)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사이공간(S)의 하부에는 자갈(141)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S) is filled with gravel (141).
상기 우수유입관(241)과 우수배출관(242)이 설치된 각 외주관블록(210)의 외주상판(220)은 개폐가 가능한 맨홀뚜껑(220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peripheral upper plate 220 of each outer peripheral pipe block 210 in which the rainwater inlet pipe 241 and the rainwater outlet pipe 242 are installed is a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openable and openable manhole cover 220a.
상기 내주상,하판(320,330)의 한 변 길이는 외주상,하판(220,230)의 한 변 길이의 배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length of the inner peripheral upper and lower plates (320,330) is a free-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multiple of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upper and lower plates (220,230).
상기 내주관블록(310)의 상부에 설치된 각 내주상판(320)은 동일한 평면을 가지는 하나의 슬래브를 형성하되,
상기 슬래브의 단부는 외주관블록(210)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According to claim 1,
Each inner circumferential top plate 320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block 310 forms one slab having the same plane,
The end of the slab is a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상기 외주상,하판(220,230)과 내주상,하판(320,330)의 저면과 상면에는 삽입돌기(223,233,323,333)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223,233,323,333)가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에 끼움 삽입됨으로써, 외주상,하판(220,230)과 내주상,하판(320,330)이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 According to claim 1,
Insertion protrusions 223,233,323,333 are formed on the bottom and upper surfaces of the outer peripheral upper and lower plates 220 and 230 and the inner peripheral upper and lower plates 320 and 330, and the inserting projections 223,233,323,333 are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3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upper and lower plates (220,230) and the inner peripheral upper and lower plates (320,330) is a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installation to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310).
상기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의 하부에는 자갈층(140)이 형성되고, 상기 자갈층(140)의 하부에는 방수포(11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The method of claim 1 .
A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a gravel layer 140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230 and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330, and a tarpaulin 111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gravel layer 140.
상기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에는 상호 연통하는 관통홀(243,3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According to claim 1,
The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3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holes (243, 343) are formed.
상기 우수유입관(241)이 설치된 외주관블록(210)에는 필터층(250)이 설치되고,
상기 필터층(250)의 상부에는 우수가 통과할 수 있는 망눈이 구비된 수거포대(25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According to claim 1,
A filter layer 250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in which the rainwater inlet pipe 241 is installed,
A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a collection bag 253 equipped with a mesh through which rainwater can pass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layer 250 .
상기 우수배출관(242)이 설치된 외주관블록(210)의 내부에는 제어수단(413)에 의해 작동되는 펌핑수단(412)이 설치되고, 저류조 설치공간의 외부에 우적감지기(411)가 설치되며, 상기 우적감지기(411)에 의해 비그침 상태가 확인되면, 이를 수신한 제어수단(413)은 비그침 지속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펌핑수단(412)에 작동을 명령하여 우수가 우수배출관(2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According to claim 1,
A pumping means 412 operated by a control means 413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in which the rainwater discharge pipe 242 is installed, and a raindrop detector 411 is installed outside the storage tank installation space, When the raindrop detector 411 confirms the non-stop condition, the control means 413 receiving it commands the pumping means 412 to operate when the non-stop duration time is longer than the set time, and the rainwater rainwater discharge pipe 242 ) free cross-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터파기를 한 후 굴착 바닥면(120)에 방수포(111)를 설치하는 단계;
b) 굴착 바닥면(120)에 설치된 방수포(111) 상면에 자갈층(140)을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자갈층(140)의 상면에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을 배치하되,
외주하판(230)은 a)단계에서의 터파기에 의해 형성된 굴착 사면(110)에 인접한 외곽 테두리에 배치하고, 내주하판(330)은 상기 테두리의 안쪽에 배치하여,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으로 하나의 평탄한 평면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외주하판(230)과 내주하판(330)의 상면에 구비된 삽입돌기(233,333)를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각 하단에 끼워넣어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설치를 완료하되,
상호 인접한 외주관블록(210)들은 외면이 상호 밀착되게 하고, 상호 인접한 내주관블록(310)들은 이격되어 사이공간(S)이 형성되도록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을 설치하는 단계;
e) 굴착 사면(110)과 외주관블록(210) 사이에 되메우기를 하고,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사이의 사이공간(S) 및, 내주관블록(310)들 사이의 사이공간(S)의 각 하부에 자갈(141)을 충진하여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단계;
f) 외주관블록(210)과 내주관블록(310)의 각 상부에 외주상판(220)과 내주상판(320)의 저면에 각 형성된 삽입돌기(223,323)를 끼워넣어 외주상판(220)과 내주상판(320)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
g) 맨홀뚜껑(220a)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외주상판(220)과 내주상판(320) 중 적어도 내주상판(320)의 상부에 바닥재(F)가 설치되는 단계;가 순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6 to 12,
a) installing a tarpaulin 111 on the excavation bottom surface 120 after excavation;
b) forming a gravel layer 14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rpaulin 111 installed on the excavation bottom surface 120;
c) disposing an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230 and an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3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avel layer 140,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230 is disposed on the outer rim adjacent to the excavation slope 110 formed by the excavation in step a), and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330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rim,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230 and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forming one flat plane with 330;
d) Insert the insertion protrusions 233 and 33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outer peripheral lower plate 230 and the inner peripheral lower plate 330 into the lower ends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310, and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and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inner main block 310, but
The outer peripheral blocks 210 adjacent to each other make their outer surface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s 310 adjacent to each other are spaced apart to form a space S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blocks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s 310 are installed. to do;
e) backfilling between the excavation slope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block 210, the space 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block 2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block 3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block 310 Filling each lower part of the interspace (S) with gravel 141 to fix the lower portions of the outer peripheral block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block 310;
f) the outer peripheral upper plate 220 and the inner peripheral upper plate 220 and the inner peripheral plate by inserting the insertion protrusions 223 and 323 respective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upper plate 220 and the inner peripheral upper plate 320 on each upper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pipe block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pipe block 310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 plate 320;
g) the step of installing the flooring material (F) on at least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olumnar plate 320 of the outer columnar top plate 220 and the inner columnar upper plate 32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manhole cover 220a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 sequence Construction method of rainwater storage tank.
상기 d)단계에서 외주관블록(210)은 내주관블록(310)보다 길이가 긴 것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In step d), the outer circumferential block 210 is a construction method of a rainwater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a longer length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block 310 is instal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5739A KR102451462B1 (en) | 2022-04-13 | 2022-04-13 | Free 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5739A KR102451462B1 (en) | 2022-04-13 | 2022-04-13 | Free 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1462B1 true KR102451462B1 (en) | 2022-10-07 |
Family
ID=8359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5739A KR102451462B1 (en) | 2022-04-13 | 2022-04-13 | Free 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1462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94596A (en) * | 2005-02-25 | 2006-08-30 | 조명자 | The system for rain water low flow and underground infiltration,manhole and the system for guiding a transfer of water rain |
KR20090104424A (en) * | 2008-03-31 | 2009-10-06 |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A prefabricated facilities of rainwater |
KR101127474B1 (en) * | 2011-05-25 | 2012-03-23 | 주식회사 성일엔텍 | Natural nonpoint pollution source purification equipment purifying reservoir simultaneously and natural nonpoint pollution source purification method |
KR20130045027A (en) * | 2011-10-25 | 2013-05-03 | 주식회사 인우 (Inwoo.Co.Ltd) |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
KR20140127074A (en) * | 2013-04-24 | 2014-11-03 | 주식회사 태명 |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
KR101769594B1 (en) * | 2015-10-16 | 2017-08-21 | 동양에코 주식회사 | Draining member for embank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
KR101907012B1 (en) * | 2018-04-23 | 2018-10-12 | 황성근 | Removal manhole multiscreen system |
-
2022
- 2022-04-13 KR KR1020220045739A patent/KR10245146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94596A (en) * | 2005-02-25 | 2006-08-30 | 조명자 | The system for rain water low flow and underground infiltration,manhole and the system for guiding a transfer of water rain |
KR20090104424A (en) * | 2008-03-31 | 2009-10-06 |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A prefabricated facilities of rainwater |
KR101127474B1 (en) * | 2011-05-25 | 2012-03-23 | 주식회사 성일엔텍 | Natural nonpoint pollution source purification equipment purifying reservoir simultaneously and natural nonpoint pollution source purification method |
KR20130045027A (en) * | 2011-10-25 | 2013-05-03 | 주식회사 인우 (Inwoo.Co.Ltd) |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
KR101321992B1 (en) | 2011-10-25 | 2013-10-28 | 주식회사 인우 (Inwoo.Co.Ltd) |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
KR20140127074A (en) * | 2013-04-24 | 2014-11-03 | 주식회사 태명 |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
KR101769594B1 (en) * | 2015-10-16 | 2017-08-21 | 동양에코 주식회사 | Draining member for embank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
KR101907012B1 (en) * | 2018-04-23 | 2018-10-12 | 황성근 | Removal manhole multiscree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845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 |
US20100226721A1 (en) | Module and Assembly for Managing the Flow of Water | |
KR100485742B1 (en) | Water-storage tank | |
EP2454420B1 (en) |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 |
US9580898B2 (en) |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 |
US20200011048A1 (en) |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 |
US20080124175A1 (en) | Water extraction panels system | |
KR100813995B1 (en) | Reservoir water tank | |
KR102451462B1 (en) | Free 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12158962A (en) | Structure of inspection port in rainwater storage facility | |
JP2784335B2 (en) | Liquid storage tank | |
JP3867960B2 (en) | Sediment invasion prevention plate to be attached to storage for rainwater, etc. and filler for infiltration facilities | |
JP3974214B2 (en) | Box arrangement type storage penetration tank | |
KR20210106482A (en) | Modules and Assemblies for Underground Management of Fluids Used in Low-Depth Applications | |
KR100663798B1 (en) | Manual jointed facilities keeping rain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t | |
KR101826619B1 (en) | Non-buoyant sump haning function of preventing leak | |
US20220127834A1 (en) |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 |
NL2024264B1 (en) | Urban artificial wetland and method for building such an urban artificial wetland. | |
KR20220122344A (en) |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 |
JP4092284B2 (en) | Rainwater underground seepa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4494447B2 (en) | Disaster toilet | |
TWI857773B (en) | Rainwater storage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57419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current system | |
KR100741164B1 (en) | Drain unit for use in a structure on a ground hard to di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KR102539266B1 (en) | Undercurren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