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992B1 -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 Google Patents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1992B1 KR101321992B1 KR1020110109447A KR20110109447A KR101321992B1 KR 101321992 B1 KR101321992 B1 KR 101321992B1 KR 1020110109447 A KR1020110109447 A KR 1020110109447A KR 20110109447 A KR20110109447 A KR 20110109447A KR 101321992 B1 KR101321992 B1 KR 1013219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ainwater
- storage
- discharge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식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블록들을 유체(우수)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여 저장부를 다수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크기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처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는, 유입부를 통해 우수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블록(10)과; 상기 유입블록의 주변에 통수로(50)를 통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블록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블록(20)과; 상기 저장블록에 통수로(50)를 매개로 하여 유체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저장블록에 저장되는 우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블록(30)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블록과 저장블록 및 배출블록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세워지며 내부에 우수 저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통수로를 형성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통수로를 통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type stormwater reservoir, in which blocks made of precast concrete can be connected in fluid (excellent) communication so as to partition a plurality of spaces, and to cope with a change in size in various sizes. It can be produced.
Block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inlet block 10 is rain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 plurality of storage blocks 20 installed in fluid communication through a water passage 50 around the inflow block and storing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block; The storage block is installed in fluid communication via a channel 50 and includes at least one discharge block 30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block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the inlet block and storage The block and the discharge block are formed on the bottom plate, the bottom plate and formed with a rainwater storage unit therein, the wall forming the water passage and the ceiling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is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via the water passage.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식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 블록식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type storm reservo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ck type storm reservoir formed by a plurality of precast concrete blocks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최근, 도시발달에 따라 건축물 등 각종 구조물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주차장 시설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빗물(우수)이 우수관로를 통해 하천으로 직접 유출되어 하천이 범람하고, 토양의 보습력이 저하되고, 지하수가 고갈되는 등 자연적인 물의 순환체계가 변화됨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가 발생하거나 가뭄이 발생하는 경향이 현저히 증가하였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ity, various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asphalt, concrete pavement, and parking lot facilities are rapidly increased, and rainwater (excellent) flows directly into rivers through rainwater pipes, flooding rivers, deteriorating soil moisture, and groundwater Changes in the natural water cycle, such as depletion, hav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heavy rainfall or drought caused by climate change.
이와 같이 도시형 수해발생과 열섬현상, 용수의 고갈, 지반침하 등의 재해가 발생하는 이유는 우리가 편하고 쾌적한 생활을 추구하기 위하여 자연환경을 무시한 개발 위주의 정책 때문이다.The disasters such as urban flooding, heat island phenomenon, water exhaustion and ground subsidence are caused by development-oriented policies that ignore the na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pursue a comfortable and pleasant life.
따라서, 현재는 자연계와 인간이 공생할 수 있는 지속적인 발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수반하여 우수도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에 새로운 수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우수를 지하로 침투 또는 저류시켜 토양의 보수력과 물 순환계의 회복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수 저류조가 적용되고 있다.As a result, there is a demand for continuous development for the coexistence between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and consequently, rainwater is penetrated or stored underground to use as a new source of water before it flows into the stream. Rainwater reservoirs are being applied as part of efforts to restore the circulation.
종래 우수 저류조는 터파기된 지면에 콘크리트 현장 타설로 구축되는 방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의한 조립식 등이 있다.
Conventional rainwater storage tank is a method of building a concrete site in the ground and the prefabricated by precast concrete panels.
전자의 현장 타설 방식은 양생을 위한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공기가 길어지고 공사비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The former method of casting in the field takes a long time for curing, which results in a long air and a high construction cost.
후자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의한 조립식은 현장 타설에 비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28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65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2860호 등이 있다.The prefabricated by the latter precast concrete panel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air compared to the site casting,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52857,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76508,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02860 Etc.
종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조립식 우수 저류조는 바닥판 위에 기둥이 세워지고 상기 기둥 위에 천정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수저류조의 내부 저장부가 구획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수의 사용 측면에서 볼 때 효율성이 떨어지고, 상기 천정판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의 수량이 많아지므로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tank of the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panel, a column is erected on a bottom plate and a ceil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column, and since the internal storage part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not partitioned and is made of a single space, in terms of use of rain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lowered, the air is long because the number of pillars for supporting the ceiling plate increases.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은 우수저류조의 설계에 맞춰 제작되는 것으로, 다른 크기의 우수 저류조에 공용될 수 없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우수 저류조에 맞는 수많은 크기의 제품이 생산되어야 하므로 취급(생산, 보관, 운반 등)이 어렵다.In addition, precast concrete products a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storm water storage tanks, and because they cannot be shared with storm water storage tanks of different sizes, many sizes of products suitable for various storm water storage tanks must be produced, thus handling (production, storage, transportation, etc.). ) Is difficult.
그리고, 조립식 우수저류조는 블록과 기둥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질 뿐이기 때문에 상부 시설물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에 대한 버팀력이 미약하므로 우수 저류조의손상과 침하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And, because the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tank is made only by the combination of the block and the pil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damage and settlement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re generated because the force against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upper facility is weak.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블록들을 유체(우수)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여 저장부를 다수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크기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처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는 블록식 우수 저류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the blocks made of precast concrete to enable fluid communication (excellent) can partition the storage unit a plurality of spaces, and easily cope with changes in siz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lock type storm reservoir tha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들의 사이에 기둥을 시공하여 우수저류조를 보강하려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inforce the storm storage tank by constructing a column between the blocks.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는, 유입부를 통해 우수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블록과; 상기 유입블록의 주변에 통수로를 통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블록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블록과; 상기 저장블록에 통수로를 매개로 하여 유체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저장블록에 저장되는 우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블록과 저장블록 및 배출블록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세워지며 내부에 우수 저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통수로를 형성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통수로를 통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lock storm rai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inflow block through which rain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 plurality of storage blocks installed in fluid communication through a water passage around the inflow block and storing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block; The storage block is installed in fluid communication via a channel and includes at least one discharge block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block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the inlet block and the storage block and the discharge block is a bottom The plate, which is built on the bottom plate and formed in the rainwater storage unit therein and the wall forming the channel and the ceiling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communication through the channel.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에 의하면, 시공 현장에서 바닥판과 벽체 및 천정판을 결합함으로써 다수의 블록(유입블록, 저장블록, 배출블록)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빠르다.According to the block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is very fast because a plurality of blocks (inflow block, storage block, discharge block) can be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floor plate and the wall and ceiling plate at the construction site.
그리고, 벽체가 2개 이상의 단위 벽체가 적층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단위 벽체의 수량을 통해 블록을 다양한 크기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As the wall is formed by stacking two or more unit walls,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blocks can be constructed in various sizes through the number of unit walls.
또한, 블록을 원통형으로 하는 경우 블록들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블록들 사이에 공간이 자연적으로 형성되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기둥을 시공함으로써 상부 구조물로부터 큰 하중이 전가되어도 하중으로 인한 우수 저류조의 손상과 침하를 막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lock is cylindrical, the space between the blocks is naturally formed while the blocks are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and the column is used to construct the column, so that even if a large load is transferred from the upper structure, It can prevent damage and subsidence.
또한, 블록 내부에 설치된 수문을 통해 각 블록에 일정량의 우수를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우수의 사용이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the stored rainwater by storing a certain amount of rainwater in each block through the water gate installed inside the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의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벽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수문의 다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블록에 스터드가 적용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에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block type storm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block type storm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 applied to the block type storm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block type storm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wall applied to the block type storm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other exemplary view of the water gate applied to the block type storm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stud is applied to a block applied to a block type storm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lock type storm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식 우수 저류조(100)는, 상호 간에 유체(우수)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block type storm reservo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that are connected in fluid (excellent)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블록은 기능적으로 볼 때 우수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블록(10), 유입블록(10)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블록(20) 및 저장블록(20)에 저장되는 우수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블록(30)으로 구분된다. The blocks are functionally stored in one or
유입블록(10), 저장블록(20), 배출블록(3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으로서 공통적으로 바닥판(11,21,31), 벽체(12,22,32), 천정판(13,23,33)으로 구성된다. The
경우에 따라 바닥부를 현장 타설로 하고 벽체와 천정판만을 프리캐스트로 할 수도 있다.
In some cases, floors may be cast in place and only walls and ceilings may be precast.
본 발명의 블록식 우수 저류조(100)의 유입블록(10), 저장블록(20), 배출블록(30)은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우수가 흐를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유입블록(10)에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4), 배출블록(30)에는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는 배출부(24)가 갖추어지고, 유입블록(10)과 저장블록(20) 및 배출블록(30)에는 우수가 흐르는 통수로가 형성된다.The
이와 같은 방식에 따르면 블록(10,20,30)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콘크리트(여기서, 콘크리트는 모든 채움재를 말함)가 채워짐으로써 기둥(40)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블록(10,20,30)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둥(40)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형태가 가능한 것이다. According to this metho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기둥(40)이 적용되는 경우 블록(10,20,30)과 기둥(40)을 일체로 합성할 수 있도록 벽체에는 하나 이상의 스터드(15)(도 7에 도시됨)가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블록(10,20,30)은 기둥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8에서처럼 육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유입블록(10)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바닥판(11)은 벽체(12)를 지지하는 기초로서 바닥면이 평평할 수 있고 벽체(12)가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바닥판(11)은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2개 이상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닥판(11)이 2개 이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음부에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이음부는 지수 처리된다(실런트, 지수패킹 등).
The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벽체(12)는 우수 저류조(100)의 높이에 따라 1개 이상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3개의 단위 벽체(12-1,12-2,12-3)가 적층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wall 12 is made of one or more lamina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100 and three unit walls (12-1, 12-2, 12-3) The stacked example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n example.
다수의 단위 벽체(12-1,12-2,12-3)의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긴장재(12-4)를 통해 수밀하게 밀착되고 지수처리(지수패킹, 실런트 도포)된다.
In order to prevent leakage at the joints of the plurality of unit walls 12-1, 12-2, and 12-3, water is tightly pressed and tension-treated (exponential packing, sealant coating) through the tension member 12-4.
긴장재(12-4)는 바닥판(11), 단위 벽체(12-1,12-2,12-3), 천정판(13)에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단위 벽체(12-1,12-2,12-3)들뿐만 아니라 바닥판(11)과 천정판(13)을 함께 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장재(12-4)는 양측 모두가 긴장되는 방식, 일측을 고정단으로 하여 타측만 긴장되는 방식이 가능하다.The tension member 12-4 is installed on the
긴장재(12-4)의 설치를 위하여 단위 벽체(12-1,12-2,12-3)에는 단면적이 큰 헌치부가 형성된다.In order to install the tension member 12-4, the unit walls 12-1, 12-2, and 12-3 have a haunch portion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도 5에서처럼, 3개의 단위 벽체(12-1,12-2,12-3)는 2개 이상의 세그먼트(12A,12B)(도면에서는 2개로 도시됨)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2개 이상의 세그먼트(12A,12B)는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긴장재(12C)를 통해 수밀하게 밀착되고, 지수처리(지수패킹, 실런트 도포)된다. 긴장재(12C)는 전술한 긴장재(12-4)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헌치부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5, the three unit walls 12-1, 12-2, and 12-3 are formed by combining two or
단위 벽체(12-1,12-2,12-3)들과 세그먼트(12A,12B)들이 비틀림없이 결합되고 누수 방지를 위하여 단위 벽체(12-1,12-2,12-3)와 세그먼트(12A,12B)의 이음부는 서로 대칭의 요철로 형성되어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unit walls 12-1, 12-2, 12-3 and the
통수로(50)는 벽체(12)에 형성될 것이며, 벽체(12)가 단위 벽체(12-1,12-2,12-3)의 적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통수로(50)를 형성하는 단위 벽체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통수로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The
천정판(13)은 벽체(12) 위에 결합되어 벽체(12) 내부를 막는다. 바닥판(11)과 마찬가지로 벽체(12)와 천정판(13)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저면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유입블록(10)은 우수가 가장 먼저 유입되는 부분이며, 우수에는 협잡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입블록(10)의 내부에는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여과하기 위한 정화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즉, 유입블록(10)을 제외한 저장블록(20)과 배출블록(30)은 협잡물이 여과된 우수만 저장될 것이고, 유입블록(10)에는 협잡물이 남게 될 것이므로 상기 정화수단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유입블록(10)에는 작업자가 출입하거나 상기 정화수단을 꺼낼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저장블록(20)과 배출블록(30)은 유입블록(10)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경우에 따라 저장블록(20)에 저장된 우수를 채수할 수 있도록 채수관(미도시)이 적용될 수 있다.
Since the
본 발명에서 통수로(50)는 근접되는 유입블록(10). 저장블록(20), 배출블록(30)들을 서로 연통하기 위한 우수의 통로로서, 유입블록(10). 저장블록(20), 배출블록(30)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근접되는 유입블록(10). 저장블록(20), 배출블록(30)들의 홀을 일치시킴으로써 통수로(50)가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통수로(50)는 유입블록(10). 저장블록(20), 배출블록(30)들의 이음부에 형성되므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지수처리(실런트 도포, 지수패킹 등)되어 이루어지거나 상기 홀에 결합되는 별도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블록(20)과 배출블록(30)에 일정량의 우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통수로(50)를 개폐하는 수문(60,70)이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water gate (60, 7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passage (50) so that a certain amount of rain can be stored in the
도 4는 부유식 수문(60)을 도시한 것으로, 수문(60)은 내부에 부력재(공기 등)가 채워지고, 물론, 상기 부력재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Figure 4 shows a floating
부유식 수문(60)은 상기 부력재를 매개로 하여 우수에 부유함으로써 통수로(50)를 개폐하는 것으로, 유입블록(10), 저장블록(20), 배출블록(30)에는 수문(60)의 승강을 위한 레일(61)이 형성된다. 레인(61)은 수문(60)의 승강을 안내하면서 수문(60)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Floating sluice (60) is to open and close the
수문(60)은 유입블록(10), 저장블록(20), 배출블록(30) 모두에 적용 가능하고, 각각의 유입블록(10), 저장블록(20), 배출블록(30)이 다수개로 이루어진 경우 모든 블록들에 적용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권양기식 수문(70)은 승강봉(71)에 연결되어 승강봉(71)의 조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통수로(50)를 개폐한다. 승강봉(71)은 지상으로 돌출되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승강 조작될 수 있고, 다르게는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 조작될 수 있다. 자동 방식의 경우 블록(10,20,30) 내부에 수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수위센서의 감지값을 근거로 하여 우수가 일정 수위로 저장되면 승강봉(71)을 통해 수문(70)을 상승시켜 통수로(50)를 개방하고, 우수가 일정 수위 아래로 낮아지면 승강봉(71)을 통해 수문(70)을 하강시켜 통수로(50)를 폐쇄한다.As shown in FIG. 6, the winch-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블록식 우수 저류조(100)는 블록(10,20,30)들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마감벽이 시공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block type storm reservoir 100 may be constructed with a finishing wall so that the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우수 저류조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Block type storm reservoir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S10) 터파기.(S10) Dig.
지중에 본 발명의 블록식 우수 저류조(100)의 시공을 위하여 터파기하고 바닥을 다짐한다. 블록식 우수 저류조의 시공 면적에 맞춰 가시설을 시공한다.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lock-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ound, and dig the bottom. Construct temporary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area of block type stormwater reservoirs.
(S20) 블록 설치.(S20) block installation.
바닥판(11)을 지면에 거치하고, 바닥판(11) 위에 벽체(12)를 세워 시공한다. 벽체(12)가 다수의 단위 벽체로 구성된 경우 단위 벽체를 바닥판(11)에서부터 하나씩 적층하여 벽체(12)를 시공한다. 단위 벽체(12-1,12-2,12-3)를 적층하면서 또는 모든 단위 벽체(12-1,12-2,12-3)를 적층한 후 단위 벽체(12-1,12-2,12-3)들의 이음부를 지수 처리한다.The
또한 벽체(12)가 다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세그먼트를 연결하고 지수 처리한다.In addition, when the wall 1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each segment is connected and indexed.
벽체(12)를 세운 후 천정판(13)을 설치한다. After the wall 12 is erected, the
단위 벽체(12-1,12-2,12-3)의 시공시 긴장재(12-4)를 설치하되, 긴장재(12-4)의 일측 단부를 바닥판(11)에 정착하고, 긴장재(12-4)의 타측을 천정판(13)에 통과시켜 긴장시킴으로써 바닥판(11), 벽체(12), 천정판(13)을 견고하게 결합한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unit walls 12-1, 12-2, and 12-3, a tension member 12-4 is installed, and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12-4 is fixed to the
이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저장블록(20)과 배출블록(30)을 설치한다.The
블록(10,20,30)들의 설치시 통수로(50)가 일치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통수로가 별도의 관으로 이루어진 경우 통수관을 삽입 시공한다.When installing the blocks (10, 20, 30) should be installed so that the
블록(10,20,30)의 형상에 의해 블록(10,20,30)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공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채우거나 콘크리트만을 채워 기둥(40)을 시공한다. Whe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30) 되메우기.(S30) Backfill.
모든 블록(10,20,30)의 시공이 완료되면 흙을 되메우기한다.
When the construction of all the blocks (10, 20, 30) is completed, the soil is backfilled.
10 : 유입블록, 11 : 바닥판
12 : 벽체, 13 : 천정판
20 : 저장블록, 30 : 배출블록
40 : 기둥, 50 : 통수로
60,70 : 수문,10: inlet block, 11: bottom plate
12 wall, 13: ceiling
20: storage block, 30: discharge block
40: pillar, 50: water passage
60,70: sluice,
Claims (9)
상기 유입블록의 주변에 통수로(50)를 통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블록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블록(20)과;
상기 저장블록에 통수로(50)를 매개로 하여 유체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저장블록에 저장되는 우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블록(30)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블록과 저장블록 및 배출블록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세워지며 내부에 우수 저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통수로를 형성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통수로를 통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입블록과 저장블록 및 배출블록들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며, 상기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져 기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식 우수 저류조.At least one inlet block 10 through which rain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 plurality of storage blocks 20 installed in fluid communication through a water passage 50 around the inflow block and storing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block;
The storage block is installed in fluid communication via a channel 50 and includes at least one discharge block 30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block through the discharge,
The inflow block, the storage block and the discharge block are formed on the bottom plate, the bottom plate and formed with a rainwater storage unit therein and a wall forming the water passage and a ceiling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through the water passage.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The inlet block and the storage block and the discharge block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connected between the space, the space-type excellent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lar is formed by filling the concre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447A KR101321992B1 (en) | 2011-10-25 | 2011-10-25 |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447A KR101321992B1 (en) | 2011-10-25 | 2011-10-25 |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5027A KR20130045027A (en) | 2013-05-03 |
KR101321992B1 true KR101321992B1 (en) | 2013-10-28 |
Family
ID=4865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9447A KR101321992B1 (en) | 2011-10-25 | 2011-10-25 |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199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3110B1 (en) | 2013-08-23 | 2014-03-11 | 주식회사 대창 | Jointed rainwater recycling facilities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KR102451462B1 (en) | 2022-04-13 | 2022-10-07 |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 Free 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22419B2 (en) * | 2014-01-10 | 2018-05-09 | 鹿島建設株式会社 | Precast block,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tructure |
KR102132446B1 (en) | 2020-03-31 | 2020-07-09 | 주식회사 한길 | Block-type rainwater tank and method thereof |
CN112983092B (en) * | 2021-02-07 | 2022-06-07 | 恒元建设控股集团有限公司 | Basement civil air defens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1368A (en) * | 1994-06-03 | 1996-01-25 | 박정구 | Complex construction method of field construction and prefabricated building |
KR20010057097A (en) * | 1999-12-18 | 2001-07-04 | 이계철 | The precast concrete segment block for cable tunnel |
KR20090104424A (en) * | 2008-03-31 | 2009-10-06 |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A prefabricated facilities of rainwater |
KR20100026622A (en) * | 2008-09-01 | 2010-03-10 | 주식회사 본성 | Automatic packing machine |
-
2011
- 2011-10-25 KR KR1020110109447A patent/KR10132199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1368A (en) * | 1994-06-03 | 1996-01-25 | 박정구 | Complex construction method of field construction and prefabricated building |
KR20010057097A (en) * | 1999-12-18 | 2001-07-04 | 이계철 | The precast concrete segment block for cable tunnel |
KR20090104424A (en) * | 2008-03-31 | 2009-10-06 |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A prefabricated facilities of rainwater |
KR20100026622A (en) * | 2008-09-01 | 2010-03-10 | 주식회사 본성 | Automatic packing machin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3110B1 (en) | 2013-08-23 | 2014-03-11 | 주식회사 대창 | Jointed rainwater recycling facilities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KR102451462B1 (en) | 2022-04-13 | 2022-10-07 |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 Free sec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5027A (en) | 2013-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74516B2 (en) | Modular tessellation assembly for storage of water underground | |
US6991402B2 (en) | Methods and modules for an underground assembly for storm water retention or detention | |
US10151096B2 (en) | Tessellation square module and underground storage system | |
KR20120065375A (en) | Module and assembly for managing the flow of water | |
US1073845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 |
KR101321992B1 (en) |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 |
KR101143511B1 (en) | Storm water attenuation tanks and culverts | |
KR100813995B1 (en) | Reservoir water tank | |
KR101087644B1 (en) | The water-storage tank of assembly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
JP7124224B2 (en) | Modules and assemblies for subsurface fluid management for shallow depth applications | |
KR101564767B1 (en) | Assembling rain water storag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ain water storage using this same | |
US20220127834A1 (en) |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 |
KR101099777B1 (en) | Prefabricated rain-water retaining facility | |
KR101224380B1 (en) | Prefab water-storage tank | |
JP4092284B2 (en) | Rainwater underground seepa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220122344A (en) |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 |
KR200430582Y1 (en) | Structure of rainwater tank using pipe | |
JP4029098B2 (en) | Rainwater storage device | |
US10214891B2 (en) | Modular stormwater capture system | |
KR20060115938A (en) | Construction work method of rain water tank and structure | |
KR101215873B1 (en) | Storm water attenuation and combined sewer overflows tank in best performance for anti-corrosion and leakage protec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US20240344315A1 (en) |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 |
KR101191166B1 (en) | Prefabricated synthetic resin rain-storage tank | |
KR101226126B1 (en) | Apparatus for storage of 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571398Y2 (en) | Reservoir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