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585A -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5585A KR20140065585A KR1020120130380A KR20120130380A KR20140065585A KR 20140065585 A KR20140065585 A KR 20140065585A KR 1020120130380 A KR1020120130380 A KR 1020120130380A KR 20120130380 A KR20120130380 A KR 20120130380A KR 20140065585 A KR20140065585 A KR 201400655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iver
- transmitter
- wake
- power
- wireless pow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유도 방식 등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 웨이크 업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웨이크 업 알림을 송신기로 전송함으로써, 송신기에서 수신기의 주기적인 탐색 과정으로 인한 초기 전력 손실을 없애고, 탐색과정을 제거로 충전 인식 시간을 단축시키며, 웨이크 업 수단을 통해 수신기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도 무선 충전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 웨이크 업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서만 작동할 수 있는 웨이크 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서는 수신기로 자기 유도 방식 등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전에, 송신기에서는 탐색과정을 통하여 웨이크 업 신호를 발송하고 수신기로부터 응답을 기다렸다가 수신기로부터 어떠한 응답 메시지(수신기 식별자(ID) 포함)가 오면, 해당 전력 공급 대상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공급한다.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110987호, 제10-2012-0071626호, 제10-2012-0090220호 등이 있으며, 미국특허공개번호 제20120068550호, 제20120049861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서는 위와 같이 수신기를 웨이크 업시키기 위해 송신기에서 탐색하는 과정에 따른 전력 손실이 있다. 종래에는 수신기를 웨이크 업시키기 위해 송신기에서는 수신기에 초기 전력을 공급하여 동작시켜서 ID를 요청하는 탐색 과정을, 충전용 또는 부하에 공급용 전력 공급 전에 우선적으로 거치도록 하기 때문에, 수신기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송신기에서는 초기 전력을 주기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송신기가 수신기를 전자기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복잡한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며, 수신기가 존재하더라도 ID를 인식하는데 수초 내지 수십초의 인식 시간이 요구되어 수신기의 배터리 충전 또는 부하에 전력 공급을 위한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수신기가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경우에 배터리의 완전 방전 상태에서는 수신기가 ID 전송이 어려우므로 위와 같이 수신기의 ID 인식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기존의 방식으로는 무선 충전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유도 방식 등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 웨이크 업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웨이크 업 알림을 송신기로 전송함으로써, 송신기에서 수신기의 주기적인 탐색 과정으로 인한 초기 전력 손실을 없애고, 탐색과정을 제거로 충전 인식 시간을 단축시키며, 웨이크 업 수단을 통해 수신기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도 무선 충전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송신기의 파워 모듈에 장착된 송신 코일로부터 수신기의 파워 모듈에 장착된 수신 코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여 상기 수신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수신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을 위한 무선 전력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무선 전력 전송 대상 수신기를 오랜동안 주기적으로 탐색함이 없이, 상기 송신기에서 해당 대상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웨이크업 수단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통신 모듈이 전송하는 초기 통신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기의 통신모듈이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 또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수신기의 통신모듈이 바로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은, 제1통신 모듈 및 무선 전력의 전송을 위한 송신 코일이 장착된 제1파워 모듈을 포함하는 송신기; 및 제2통신 모듈 및 상기 송신 코일로부터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코일이 장착된 제2파워 모듈을 포함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웨이크업 수단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제1통신 모듈이 전송하는 초기 통신 신호에 의해 상기 제2통신모듈이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 또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제2통신모듈이 바로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송신기가 무선 전력 전송 대상 수신기를 탐색함이 없이, 상기 송신기에서 해당 대상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통신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파워 모듈이 상기 초기 통신 신호로서 초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초기 무선 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제2파워 모듈에 의해 상기 제2통신모듈의 상기 웨이크업이 가능하다.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통신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신기의 파워 모듈이 상기 수신기의 파워 모듈로 전송하는 초기 무선 전력에 의해 상기 수신기의 통신모듈이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 또는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수신기의 통신모듈이 바로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은, 제1통신 모듈 및 무선 전력의 전송을 위한 송신 코일이 장착된 제1파워 모듈을 포함하는 송신기; 및 제2통신 모듈 및 상기 송신 코일로부터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코일이 장착된 제2파워 모듈을 포함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웨이크업 수단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제1통신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파워 모듈이 상기 제2파워 모듈로 전송하는 초기 무선 전력에 의해 상기 제2통신모듈이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 또는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제2통신모듈이 바로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송신기가 무선 전력 전송 대상 수신기를 탐색함이 없이, 상기 송신기에서 해당 대상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강제적인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발생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기가 상기 수신기에서의 상기 정보의 응답에 따라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강제적으로 상기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이크업 수단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내부에 전기적인 온오프가 가능한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로 이루어져 해당 통신모듈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가 2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겉 표면에 설치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하우징 홈(groove)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우징 평면 위로 돌출되어 눌러질 수 있도록 설치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웨이크업 수단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외부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해당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웨이크업 수단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서 구동되는 터치 스크린 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프로세서에 의한 처리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에 따르면, 송신기에서 수신기의 주기적인 탐색 과정으로 인한 초기 전력 낭비를 방지하고 초기 수신기 인식 시간의 단축으로 수신기의 배터리를 빠르게 충전하거나 수신기의 부하로 빠르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수신기 인식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간단해 지며, 수신기의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어 수신기가 작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웨이크 업 수단을 통해 강제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선 충전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송신기 측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수단을 갖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수신기 측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수단을 갖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전력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전력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수신기 측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수단을 갖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전력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전력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송신기 측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수단을 갖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은,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기(110), 송신기(110)에 구비된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 및 송신기(110)가 전송하는 전력을 무선을 수신하는 수신기(120)를 포함한다.
송신기(110)는 가정, 사무실 등의 파워 아웃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송신 (공진) 코일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장치이며, 수신기(120)는 휴대폰, 아이패드 등 각종 전자장치에 내장되거나 독립적인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수신기(120)를 내장한 휴대폰, 아이패드 등 각종 전자장치 하나 이상을 패드형의 송신기(110) 위에 올려 놓거나 그 주변에서 놓고, 송신기(110)는 수신기(12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며, 수신기(120)는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전자장치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송신기(110)와 수신기(12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2와 같이, 송신기(110)는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 이외에도 통신 모듈(112) 및 무선 전력의 전송을 위한 송신 (공진) 코일이 장착된 파워 모듈(113)을 포함한다. 수신기(120)는 통신 모듈(122) 및 파워 모듈(113)의 송신 코일로부터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공진) 코일이 장착된 파워 모듈(123)을 포함한다. 수신기(120)는 송신기(110)가 전송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부하, 즉, 배터리나 전자장치의 회로에 전달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전자장치의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은 위와 같이 송신기 측에 구비될 수 있지만, 도 3과 같이 수신기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수신기 측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수단을 갖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은,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기(210), 송신기(210)가 전송하는 전력을 무선을 수신하는 수신기(220), 및 수신기(220)에 구비된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221)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송신기(210)는 가정, 사무실 등의 파워 아웃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송신 (공진) 코일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장치이며, 수신기(220)는 휴대폰, 아이패드 등 각종 전자장치에 내장되거나 독립적인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수신기(220)를 내장한 휴대폰, 아이패드 등 각종 전자장치 하나 이상을 판형의 송신기(210) 위에 올려 놓거나 그 주변에서 놓고, 송신기(210)는 수신기(22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며, 수신기(220)는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전자장치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송신기(210)와 수신기(22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4와 같이, 송신기(210)는 통신 모듈(212) 및 무선 전력의 전송을 위한 송신 (공진) 코일이 장착된 파워 모듈(213)을 포함한다. 수신기(120)는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221) 이외에도 통신 모듈(222) 및 파워 모듈(213)의 송신 코일로부터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공진) 코일이 장착된 파워 모듈(223)을 포함한다. 수신기(220)는 송신기(210)가 전송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부하, 즉, 배터리나 전자장치의 회로에 전달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전자장치의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 또는 도 4와 같이,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을 송신기(110) 또는 수신기(220)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을 누르거나 터치 등의 방식으로 조작함에 따라 구동되어 강제적으로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이 해당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면, 송신기(110/210)가 수신기(120/220)에서의 일정 정보(Rx Information)의 응답에 따라 즉시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강제적으로 수신기(120/22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송신기(110/210)가 무선 전력 전송 대상 수신기(120/220)를 탐색함이 없이도,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송신기(110/210)가 즉시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수신기(120/22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도 2의 경우에, 사용자가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을 구동하여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가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키면(도 5의 S110 참조),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의 해당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송신기(110)의 통신 모듈(112)은 초기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파워 모듈(113)이 초기 무선 전력(initial power)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초기 통신 신호 또는 초기 무선 전력(initial power)은 수신기(120)의 통신 모듈(122) 또는 파워 모듈(123)로 전송된다(도 5의 S111 참조). 송신기(110) 파워 모듈(113)의 송신코일에서 전송되는 초기 무선 전력은 전자기 유도 또는 자기장 커플링 방식 등에 의해 공진되는 수신기(120) 파워 모듈(123)의 수신 코일로 전송될 수 있다.
송신기(110)의 통신 모듈(112)이 발생하는 초기 통신 신호는 수신기(120)의 통신모듈(122)을 웨이크업시킬 수 있으며, 또는 파워 모듈(113)로부터 초기 무선 전력(initial power)을 받는 수신기(120)의 파워 모듈(123)은 해당 전력을 이용해 통신모듈(122)이 동작하도록 통신모듈(122)을 웨이크업시킬 수도 있다(도 5의 S120 참조). 웨이크업된 통신모듈(122)은 송신기(110)로 응답 정보(Rx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도 5의 S130 참조). 이와 같은 응답 정보(Rx Information)에는 송신기(110)에서 대상 수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예, 수신기 고유 번호), 수신기의 소비 전력 정보, 부하인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 등 송신기(110)에서 전력 전송에 참조하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답 정보(Rx Information)를 받는 송신기(110)의 통신모듈(112)은 수신기(120)로 소정의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도 5의 S140 참조), 수신한 응답 정보(Rx Information)를 참조하여 수신기(120)를 식별하고 수신기(120)에 필요한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도 5의 S141 참조), 조절된 전송 전력의 크기로 수신기(12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도 5의 S142 참조).
이와 같이 도 2의 구조에서, 사용자가 구동하는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에서 발생하는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송신기(110)에서 수신기(120)로의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송신기(110)가 무선 전력 전송 대상 수신기를 탐색함이 없이, 송신기(110)에서 해당 대상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에, 사용자가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221)을 구동하여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221)가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키면(도 6의 S210 참조),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221)의 해당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수신기(220)의 통신모듈(222)은 웨이크업되며, 웨이크업된 통신모듈(222)은 송신기(210)로 응답 정보(Rx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도 6의 S220 참조). 이와 같은 응답 정보(Rx Information)에는 송신기(210)에서 대상 수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예, 수신기 고유 번호), 수신기의 소비 전력 정보, 부하인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 등 송신기(210)에서 전력 전송에 참조하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답 정보(Rx Information)를 받는 송신기(210)의 통신모듈(212)은 수신기(220)로 소정의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도 6의 S230 참조), 수신한 응답 정보(Rx Information)를 참조하여 수신기(220)를 식별하고 수신기(220)에 필요한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도 6의 S231 참조), 조절된 전송 전력의 크기로 수신기(22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도 6의 S232 참조).
이와 같이 도 4의 구조에서도, 사용자가 구동하는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221)에서 발생하는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송신기(210)에서 수신기(120)로의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송신기(210)가 무선 전력 전송 대상 수신기를 탐색함이 없이, 송신기(210)에서 해당 대상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은 송신기(110) 또는 수신기(2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송신기(110) 또는 수신기(220)의 내부나 외부, 또는 겉 표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 형태로도 구동되도록 설치가능하며, 평면 위로 돌출되는 형태도 가능하고, 하나 이상 복수개가 송신기(110) 또는 수신기(220)의 여러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는, 송신기(110) 또는 수신기(220)의 내부에 전기적인 온오프(on/off)가 가능한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당 통신모듈(112/222)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를 위한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가 2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를 위한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가 송신기(110) 또는 수신기(220)의 겉 표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송신기(110) 또는 수신기(220)의 내부 회로를 보호하고 감싸는 외함인 하우징(housing)에 마련한 소정의 홈(groove)에 내장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 평면 위로 돌출되어 눌러질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는, 송신기(110) 또는 수신기(220)의 외부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예, 지그비,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근거리용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이용한 방식)으로 해당 통신모듈(112/222)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통신모듈(112/222)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는, 송신기(110) 또는 수신기(220)의 메모리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서 구동되는 터치 스크린 상의 버튼 형태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의 버튼을 터치함에 따라, 송신기(110) 또는 수신기(220)의 프로세서에 의한 처리로 위와 같은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을 이용하여 강제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송신기에서 수신기의 주기적인 탐색 과정으로 인한 초기 전력 낭비를 방지하고 초기 수신기 인식 시간의 단축으로 수신기의 배터리를 빠르게 충전하거나 수신기의 부하로 빠르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수신기 인식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간단해 지며, 수신기의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어 수신기가 작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웨이크업 수단(또는 장치)(111/221)을 통해 강제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선 충전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 송신기의 파워 모듈에 장착된 송신 코일로부터 수신기의 파워 모듈에 장착된 수신 코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여 상기 수신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수신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을 위한 무선 전력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무선 전력 전송 대상 수신기를 탐색함이 없이, 상기 송신기에서 해당 대상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웨이크업 수단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통신 모듈이 전송하는 초기 통신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기의 통신모듈이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 또는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수신기의 통신모듈이 바로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방법. - 제1통신 모듈 및 무선 전력의 전송을 위한 송신 코일이 장착된 제1파워 모듈을 포함하는 송신기; 및 제2통신 모듈 및 상기 송신 코일로부터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코일이 장착된 제2파워 모듈을 포함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웨이크업 수단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제1통신 모듈이 전송하는 초기 통신 신호에 의해 상기 제2통신모듈이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 또는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제2통신모듈이 바로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송신기가 무선 전력 전송 대상 수신기를 탐색함이 없이, 상기 송신기에서 해당 대상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파워 모듈이 상기 초기 통신 신호로서 초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초기 무선 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제2파워 모듈에 의해 상기 제2통신모듈의 상기 웨이크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강제적인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발생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기가 상기 수신기에서의 상기 정보의 응답에 따라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강제적으로 상기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수단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내부에 전기적인 온오프가 가능한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로 이루어져 해당 통신모듈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수단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외부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해당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수단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서 구동되는 터치 스크린 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프로세서에 의한 처리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겉 표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하우징 홈(groove)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우징 평면 위로 돌출되어 눌러질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380A KR101455695B1 (ko) | 2012-11-16 | 2012-11-16 |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380A KR101455695B1 (ko) | 2012-11-16 | 2012-11-16 |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585A true KR20140065585A (ko) | 2014-05-30 |
KR101455695B1 KR101455695B1 (ko) | 2014-11-04 |
Family
ID=5089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0380A KR101455695B1 (ko) | 2012-11-16 | 2012-11-16 |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56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68855A (zh) * | 2017-04-07 | 2019-08-23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充电装置和无线充电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1836B1 (ko) * | 2008-01-09 | 2011-01-31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송전 제어 장치, 송전 장치, 무접점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전자 기기 |
JP5434330B2 (ja) * | 2009-07-22 | 2014-03-05 | ソニー株式会社 | 電力受信装置、電力伝送システム、充電装置および電力伝送方法 |
KR101702584B1 (ko) * | 2010-07-19 | 2017-02-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의 무접점 충전 장치 및 방법 |
-
2012
- 2012-11-16 KR KR1020120130380A patent/KR10145569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68855A (zh) * | 2017-04-07 | 2019-08-23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充电装置和无线充电方法 |
EP3609049A4 (en) * | 2017-04-07 | 2020-04-08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
US11196305B2 (en) | 2017-04-07 | 2021-12-07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
CN110168855B (zh) * | 2017-04-07 | 2023-12-2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充电装置和无线充电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5695B1 (ko) | 2014-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37641B2 (ja) | 無線電力充電方法及び装置 | |
JP6000131B2 (ja) | 移動端末の無線充電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端末 | |
US11641221B2 (en) |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
KR101902795B1 (ko) |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
KR101558698B1 (ko) | 스마트키의 위치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방법 | |
CN105264786B (zh) | 用于无线电力发射系统中的延迟应用程序处理器初始化的系统和方法 | |
KR20130114473A (ko) |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
KR20130090703A (ko) |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및 장치 | |
CN102007705A (zh) | 低功率近场通信设备 | |
KR20130035905A (ko) |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
KR20240015704A (ko) |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 |
KR20130096020A (ko) |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
KR20160011925A (ko) | 무선 충전 및 근거리 통신 겸용 송신 장치 | |
US20150244425A1 (en) | Power Transfer Unit and Power Transfer Method | |
WO2018116922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1184959A (ja) | 携帯機 | |
KR20190081118A (ko) |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20180301935A1 (en) | Power recep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 |
JP2013212004A (ja) | 充電器 | |
KR102607032B1 (ko) |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 |
JP2013185344A (ja) | 充電機能付き電子キー | |
KR101455695B1 (ko) |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 |
JP5459297B2 (ja) | 無線受信機、無線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 | |
JP2014103788A (ja) | 充電器、制御プログラム | |
KR20180128371A (ko) |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