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336A -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 Google Patents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336A
KR20140065336A KR1020130138824A KR20130138824A KR20140065336A KR 20140065336 A KR20140065336 A KR 20140065336A KR 1020130138824 A KR1020130138824 A KR 1020130138824A KR 20130138824 A KR20130138824 A KR 20130138824A KR 20140065336 A KR20140065336 A KR 20140065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ain body
water
tubular
electric scalp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마에하라
데츠오 이케다
준이치 우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 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54913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868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200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75527B1/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5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9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op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12Blad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는 전후단이 개구되어 축방향의 내부가 전기 메스를 삽입하여 유지하는 공동부에 형성된 내열성 튜브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튜브 본체의 둘레벽에는 주수용 루멘이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튜브 본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루멘으로부터의 물을 전기 메스의 전극에 적하시키기 위한 주수구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Water evacuating tube for washing electric knife}
본 발명은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하 수술도 일반적인 수술과 동일하게 환부의 절제나 지혈에는 모노폴라, 바이폴라라 불리는 전기 메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 전기 메스는 2개의 전극 사이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 그 접촉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줄 열로 세포를 증산시켜 절개를 행하거나 또는 세포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단백질을 응고시켜 지혈을 행한다. 수술 중 전기 메스의 기능을 안정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전극에 부착되는 열로 변성된 점착성을 가진 단백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시경하 수술에서는 전기 메스의 전극에 부착되는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트로카 등으로부터 일단 전기 메스를 체외로 꺼내고 전극을 세정하여 재차 체내에 삽입해야만 해서 그 작업이 번잡하였다. 특히 간 절제술에서는 간장이 풍부한 맥관을 갖는 실질 장기이기 때문에 지혈, 응고 작용은 대단히 중요하고, 예를 들면 전기 메스를 일시적이라도 체외로 꺼내면 간 실질로부터의 출혈로 수술 부위가 악화되는 동시에 혈액에 의해 응고 작용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발명자들은 전기 메스를 체외로 꺼내지 않고 전극에 부착되는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착수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는데, 본 발명에 관련하여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되는 특허문헌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8-093173호 공보(특허문헌 1)나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1-156383호 공보(특허문헌 2) 등이 있다.
상기의 특허문헌 1은 내시경 세정 시스(sheath) 및 그것을 구비하는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 관찰 중에 삽입부의 선단면에 부착되는 생체 내의 점액, 혈액, 지방 등을 송액 구멍(liquid supply hole)으로부터 공급하는 공기와 물이라고 하는 기액 혼합 유체를 분출함으로써 제거하는 것이며, 세정하는 대상물이 어디까지나 내시경 세정 시스 삽입부의 선단면이다. 게다가 공기와 물 양쪽의 공급용 루멘을 튜브체에 형성해야만 하고, 그 루멘에 각각 공기와 물을 공급하는 튜브도 필요하게 되는 등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2는 펌프를 사용한 유체 지원형 전기 수술장치, 전기 수술 유닛 및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핸드헬드 전기 수술장치를 가져 이 장치의 전극에 유체 방출구로부터 유체인 생리식염수를 전극에 공급하여 그 표면에 생체 조직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데, 이것도 양 전극 각각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루멘이나 튜브가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유체가 공급되는 전극 그 자체에도 유체 방출구나 오목부 등 그것 상당의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와 같은 복잡한 구조나 구성을 취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조로 종래의 전기 메스에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며, 게다가 전기 메스를 체외로 꺼내 전극을 세정하지 않고 전극에 지속적으로 물을 적하하여 전극을 세정할 수 있어 점착성 단백질이 전극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극에 대한 냉각도 행할 수 있는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메스(electric knife) 세정용 물 배출 튜브는 전기 메스를 세정 또는 냉각하기 위한 물의 공급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후단(front and rear end)이 개구되어 축방향의 내부가 전기 메스를 삽입하여 유지하는 공동부(hollow portion)에 형성된 내열성 튜브 본체를 구비하고, 이 튜브 본체의 둘레벽에는 주수용 루멘(lumen for pouring water)이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튜브 본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루멘으로부터의 물을 전기 메스의 전극에 적하시키기 위한 주수구(pouring water aperture)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기 메스를 일일이 체외로 꺼내 전극을 세정하지 않고 주수구로부터 전극에 지속적으로 물을 적하하여 전극을 세정할 수 있어 점착성 단백질이 전극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수구로부터의 물로 동시에 전극에 대한 냉각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튜브 본체의 둘레벽에 주수용 루멘을 형성하는 동시에 주수구를 선단에 갖는 부리형상 조각을 튜브 본체의 전단부에 설치한 것만으로 구조도 간단하고, 종래부터의 기존 전기 메스에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의 일부 생략된 정면도이다.
도 2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저면도이다.
도 4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5는 선단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클로저 스트립(closure strip)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의 Ⅵ-Ⅵ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는 물 배출 튜브에 전기 메스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선단측 정면도이고, 도 8b는 동 선단측 평면도이며, 도 8c는 동 후단측 정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의 물 배출 튜브에 전기 메스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후단측 정면도이다.
도 10은 분기용 커넥터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전기 메스를 장착한 물 배출 튜브를 트로카에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에 대해서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4에 있어서 1은 전기 메스의 세정에 사용되는 물 배출 튜브이다. 이 물 배출 튜브(1)는 내시경하 수술에 있어서 전기 메스를 세정 또는 냉각하기 위한 물의 공급에 사용되는 것으로,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전후단이 개구된 소정 길이의 튜브 본체(2)를 구비하며, 그 본체의 축방향의 내부는 전기 메스를 삽입하여 유지하는 공동부(3)에 형성되어 있다. 튜브 본체(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 메스를 장착한 채 트로카(trocar) 등에 삽입할 수 있도록 그 두께를 얇게 하고 있다. 또한 튜브 본체(2)는 상기와 같이 연질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만일 튜브 본체(2)가 전극에 접촉했다고 하더라도 그 튜브 본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단부가 생체 조직에 접촉된 경우에 있어서도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튜브 본체(2)의 도 1에서 아래쪽이 되는 둘레벽에는 도 3~도 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 슬릿(4)이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공동부(3)가 슬릿(4)을 경계로 하여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공동부(3)의 내경보다 외경이 약간 큰 전기 메스라도 수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 6에 있어서 5는 신축성이 좋은 소재,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슬릿(4)의 일부를 폐지(閉止)하기 위한 클로저 스트립으로, 슬릿(4)이 형성된 튜브 본체(2) 전단부의 둘레벽을 형성하도록 슬릿(4) 선상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튜브 본체(2)는 클로저 스트립(5) 쪽에서 슬릿(4)이 개방되지 않는 구조가 되어, 삽입하는 전기 메스를 수용 가능하게 신축되는 한편 수용한 후에는 전기 메스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여 유지가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클로저 스트립(5)은 도 3, 6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슬릿(4)을 사이에 두는 부분을 일부 잘라낸 부분에 매입(embedding)되도록 둘레벽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안쪽 둘레면은 물론 바깥 둘레면도 요철이 없고 그로 인해 트로카 등으로의 삽입도 원활하여 삽입성이 좋은 것이 된다.
튜브 본체(2)의 슬릿(4)과 반대측의 둘레벽은 약간 두께가 두꺼워져 있고, 거기에 주수용 루멘(6)이 축방향을 따라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주수용 루멘(6)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벽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도록 둘레방향을 향한 타원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타원형은 일례로 그 밖에 원호형상으로 하거나 작은 원형인 것을 복수 개 병설하거나 또는 좀더 편평형상인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상기한 클로저 스트립(5)의 변형예로, 이 예에서는 슬릿(4)이 튜브 본체(2)의 전단 개구에 도달하기까지 형성되고, 이 슬릿이 형성된 튜브 본체(2) 전단부의 안쪽 둘레면에 신축성이 좋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클로저 스트립(5')이 상기 클로저 스트립(5)과 동일한 위치에 첩부(attaching)되어 설치되어 있다. 클로저 스트립(5')은 상기 클로저 스트립(5)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 경우에는 슬릿(4)이 부착된 튜브 본체(2)를 형성 후에 나중에 클로저 스트립(5')을 설치할 수 있어 클로저 스트립(5)에 비해 장착이 용이해진다.
클로저 스트립(5)은 튜브 본체(2)의 둘레벽과 동일한 두께로 설치되고, 클로저 스트립(5')은 튜브 본체(2)의 안쪽 둘레면에 설치되며 어느 것도 튜브 본체(2)의 바깥 둘레면에 설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기 메스를 장착한 물 배출 튜브(1)를 트로카 등에 삽입할 때에 저항이 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물 배출 튜브(1)의 트로카 등으로의 삽입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둘레벽의 길이방향에 주수용 루멘(6)이 형성된 튜브 본체(2)의 전단부에는 끝이 오므라져 부리형상이 된 부리형상 조각(7)이 일체로 설치되고, 이 부리형상 조각의 선단에는 주수용 루멘(6)과 연통(連通)하여 그 루멘으로부터의 물을 분출해서 주수하는 주수구(8)가 개구되어 설치되어 있다. 튜브 본체(2)의 전단부를 부리형상 조각(7), 즉 만년필의 펜촉과 같은 형상으로 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 메스에 장착했을 때 그 바로 아래에 좌우로 개폐 가능하게 위치하여 세정 또는 냉각되는 블레이드로서의 전극에 주수한 물을 적하하기 쉽고 또한 전극의 개폐 동작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튜브 전단이 보강되기 때문에 튜브 본체(2)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튜브 선단이 처져 버려 전기 메스의 블레이드 전극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도 4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부리형상 조각(7)이 있는 측과 반대측의 튜브 본체(2)의 후단부에도 동일한 부리형상이 된 부리형상 부재(9)가 설치되고, 이 부리형상 부재의 아래쪽이 되는 둘레벽에도 상기 축방향 슬릿(4)과 포개지도록 축방향 슬릿이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부리형상 부재(9)의 선단(도 4에서는 오른쪽 끝)에는 주수용 튜브(10)의 일단부가 주수용 루멘(6)과 연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된 부분(11)은 전기 메스의 삽입시 튜브 본체(2)의 후단 개구부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이 약체화되지 않도록 이중관 구성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그리고 주수용 튜브(10)의 타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주수 백(bag for pouring water)에 접속되는 마개체(closer)(1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주수 백으로부터 주수되는 물은 주수용 튜브(10)를 거쳐서 튜브 본체(2)의 주수용 루멘(6)으로 들어가고, 더 나아가 이곳을 지나 선단의 주수구(8)로부터 주수된다.
도 8a, 8b, 8c에 있어서 50은 물 배출 튜브(1)에 장착되고 그 튜브에 덮인 상태의 종래 주지의 전기 메스이다. 간단하게 이 전기 메스(50)의 구조를 설명하자면 적어도 튜브 본체(2)보다 긴 소정 길이의 금속제 봉체(rod body)(51)를 가지며, 그 선단부가 두 갈래형상의 블레이드 전극(52, 52')에 형성되어 있다. 튜브 본체(2)의 부리형상 조각(7)과 블레이드 전극(52, 52')의 배치 관계는 부리형상 조각(7)의 선단 바로 아래에 블레이드 전극(52, 52')의 기단부(base end portion)가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는 블레이드 전극(52, 52')을 그 끝에 면해서 주수하기 쉽게 되어 있고, 개폐될 때마다 부리형상 조각(7)의 선단에 있는 주수구(8)로부터의 물이 블레이드 전극(52, 52')에 적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 전극(52, 52')에 수술 중 고주파 전류가 흐르도록 전선(53)이 봉체(51)를 따라서 배선되어 있다.
물 배출 튜브(1)에 전기 메스(50)를 장착했을 때 튜브 본체(2)의 후단 개구부보다 돌출된 부분에는 가위형상의 조작 핸들(55)이 설치되고, 이 핸들을 쥐고 개폐 동작을 행함으로써 블레이드 전극(52, 52')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핸들 동작과 블레이드 전극(52, 52')의 개폐 동작은 예를 들면 핸들(55)을 오픈함으로써 봉체(51) 내에 슬라이딩 자유자재로 배치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내측봉을 당겨 블레이드 전극(52, 52')을 클로징하고, 핸들(55)을 클로징함으로써 내측봉을 밀어 블레이드 전극(52, 52')을 오픈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로 핸들(55)에 의한 블레이드 전극(52, 52')의 개폐동작 메커니즘은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해도 된다.
도 9~11은 물 배출 튜브(1)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이 예에서는 부리형상 조각(7)이 있는 측과 반대측의 튜브 본체(2)의 후단부에 부리형상 부재(9)와 주수용 튜브(10) 대신에 분기용 커넥터(15)가 튜브 본체(2)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분기용 커넥터(15)는 튜브 본체(2)의 후단부에 끼움 삽입된 통형상 본체(16), 이 통형상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삽입된 회동 통체(rotatable tubular body)(17) 및 이 회동 통체의 양쪽으로서 통형상 본체(16)의 양 단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된 통형상 고정 나사(tubular clamping screw)(18, 19)로 이루어져 있다. 20, 21은 실링용 O링과 개스킷이다. 통형상 본체(16)의 둘레벽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의 측공(side hole)(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동 통체(17)의 둘레벽에는 측공(23)과 연통하는 구멍(2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멍(24)과 연통하도록 회동 통체(17)의 둘레벽에는 연결통(25)이 돌출 설치되고, 그 연결통에는 주수용 튜브(26)의 일단부가 튜브 본체(2)의 주수용 루멘(6)과 상기 구멍(24) 및 측공(23)을 매개로 연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주수용 튜브(26)의 타단부에는 상기한 주수용 튜브(10)에 접속되는 마개체(12)와 동일한 마개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이 변형예의 물 배출 튜브에 있어서는 주수 백으로부터 주수되는 물은 주수용 튜브(26), 연결통(25) 안, 구멍(24) 및 측공(23)을 거쳐서 튜브 본체(2)의 주수용 루멘(6)으로 들어가고, 더 나아가 이곳을 지나 선단의 주수구(8)로부터 주수되게 되며 그 주수는 O링(21)과 개스킷(22)에 의해 수밀(water tight)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회동 가능한 분기용 커넥터(15)를 사용하면 주수용 튜브(26)를 어떤 방향으로도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자칫하면 수술 중에 방해가 되고 튜브 본체(2)에 엉겨 붙기 쉬운 주수용 튜브(26)를 효율적으로 방해가 되지 않는 방향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이 편리한 것이 된다.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물 배출 튜브(1)의 각 부분의 치수를 참고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튜브 본체(2)의 전체 길이(L1)는 300 ㎜ 정도, 주수용 튜브(10)의 전체 길이(L2)는 200 ㎜ 정도, 클로저 스트립(5)의 축방향 길이(L3)는 10 ㎜ 정도, 동 폭(W1)은 1 ㎜ 정도, 부리형상 조각(7)의 축방향 길이(L4)는 15 ㎜ 정도이다. 또한 튜브 본체(2)의 외경(R1)은 φ5.8 정도, 동 내경(R2)은 φ5.0 정도이다. 또한 주수용 루멘(6)의 구경은 소경측이 0.3 ㎜ 정도, 대경측이 1 ㎜ 정도이다(도 1, 3, 6 참조).
다음으로 물 배출 튜브(1)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도 8, 12를 사용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물 배출 튜브(1)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전기 메스(50)를 블레이드 전극(52, 52')이 있는 선단측으로부터 튜브 본체(2)의 공동부(3) 안으로 그 후단 개구부측부터 삽입해준다. 이 삽입시에 일반적으로는 공동부(3)의 내경이 전기 메스(50)의 봉체(51)의 외경과 적합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삽입하면 슬릿(4)의 오픈 없이 삽입할 수 있지만, 삽입하는 전기 메스(50)의 봉체(51)의 외경이 공동부(3)보다 약간 크더라도 슬릿(4)이 오픈되어 약간 넓어진 상태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 전기 메스(50)의 봉체(51)의 외경이 공동부(3)보다 약간 큰 경우에는 클로저 스트립(5)을 늘이듯이 하여 삽입한다. 그리고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전극(52, 52')이 부리형상 조각(7)으로부터 외부로 나온 시점에서 삽입을 멈추고 위치 결정한다. 이 위치 결정에 의해 전기 메스(50)는 물 배출 튜브(1)에 유지되어 장착 상태가 된다. 이때 삽입시에 늘여진 클로저 스트립(5)은 수축하여 원상태로 되돌아가서 그 위치에서 전기 메스(50)의 봉체(51)를 단단히 유지한다. 물 배출 튜브(1)에 장착되었을 때의 전기 메스(50)의 조작 핸들(55) 등의 위치는 도 8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전기 메스(50)를 물 배출 튜브(1)에 장착한 후,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로카(60)를 복부에 천자하여 소정 위치까지 삽입하고 벌룬(61)과 스토퍼(62)로 그 위치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해서 장착한 트로카(60) 안에 상기와 같이 전기 메스(50)를 장착한 물 배출 튜브(1)를 그 선단측부터 넣는다. 이것이 수술 전의 상태이고, 시술자는 앞으로 전기 메스(50)의 조작 핸들(55)을 가지고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내시경으로 생체 조직의 환부를 관찰하면서 수술을 행한다. 도 12는 수술에서 전기 메스(50)의 블레이드 전극(52, 52')으로 생체 조직의 환부를 집어서 절단 등을 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물 배출 튜브(1)에 있어서는 이 수술 중에 상시 튜브 본체(2)의 주수용 루멘(6)으로부터의 물이 부리형상 조각(7)의 주수구(8)로부터 분출되듯이 주수되어 정확히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전기 메스(50)의 블레이드 전극(52, 52')에 적하된다. 그 때문에 종래 블레이드 전극(52, 52')은 점착성 단백질의 부착으로 고민하고 있었으나 이 주수에 의해 씻어 내려져서 부착이 없어 항상 깨끗하게 세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전극(52, 52')은 고주파 전류가 흘러서 고온이 되어 있지만 상기 주수되는 물로 동시에 식혀진다. 그 때문에 튜브 본체(2)가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튜브 본체(2)의 선단이 처져서 전기 메스(50)의 블레이드 전극(52, 52')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경우도 없어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사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물 배출 튜브(1)를 사용하면 종래와 같이 전기 메스(50)를 일일이 체외로 꺼내 블레이드 전극(52, 52')을 세정하지 않고 부리형상 조각(7)의 주수구(8)로부터 블레이드 전극(52, 52')에 지속적으로 물을 적하하여 블레이드 전극(52, 52')을 세정할 수 있어 점착성 단백질이 전극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수구(8)로부터의 물로 동시에 블레이드 전극(52, 52')에 대한 냉각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 슬릿(4)이 튜브 본체(2)의 전후단 개구와 연접(連接)하여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경이 약간 큰 전기 메스(50)라도 수용하여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신축성이 있는 클로저 스트립(5, 5')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경이 약간 큰 전기 메스(50)라도 수용되어도 튜브 본체(2)의 전단부에서는 슬릿(4)이 넓어져 버리는 경우도 없어 전기 메스(50)의 유지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주수용 루멘(6)과 연통하여 주수용 튜브(10)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튜브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9~11에 나타낸 물 배출 튜브를 사용하면 분기용 커넥터(15)가 튜브 본체(2)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커넥터에는 주수용 튜브(26)가 튜브 본체(2)의 주수용 루멘(6)과 연통하여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술 중에 주수용 튜브(26)가 튜브 본체(2)의 둘레에 엉겨 붙는 경우도 없어 수술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튜브 본체(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슬릿(4)을 형성한 물 배출 튜브(1)를 나타내었으나 이 슬릿(4)은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튜브 본체(2)의 공동부(3)의 내경과 전기 메스(50)의 외경이 동일하거나 약간 큰 정도라면 그 삽입은 용이하기 때문이다. 클로저 스트립(5, 5')도 각각 바람직한 예를 나타냈을 뿐으로, 그 이외에 둘레방향으로 링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되고, 동일한 기능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각종 태양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 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물 배출 튜브(1)는 어디까지나 바람직한 일례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라면 세부의 설계 등은 임의로 변경,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전기 메스를 세정 또는 냉각하기 위한 물의 공급에 사용되는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로서,
    전후단이 개구되어 축방향의 내부가 전기 메스를 삽입하여 유지하는 공동부에 형성된 내열성 튜브 본체를 구비하고, 이 튜브 본체의 둘레벽에는 주수용 루멘이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튜브 본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루멘으로부터의 물을 전기 메스의 전극에 적하시키기 위한 주수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튜브 본체의 전단부에 부리형상 조각이 설치되고 이 부리형상 조각의 선단에 주수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3. 제2항에 있어서,
    튜브 본체의 둘레벽에는 축방향 슬릿이 튜브 본체의 전후단 개구와 연접하여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4. 제3항에 있어서,
    튜브 본체의 부리형상 조각 근처의 둘레벽에는 축방향 슬릿을 클로징하는 신축성이 있는 클로저 스트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5. 제2항에 있어서,
    튜브 본체의 부리형상 조각과 반대측이 되는 후단부에는 주수용 루멘과 연통하여 그 루멘으로 물을 주수하는 주수용 튜브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6. 제2항에 있어서,
    튜브 본체의 부리형상 조각과 반대측이 되는 후단부에는 분기용 커넥터가 튜브 본체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커넥터에는 주수용 튜브가 튜브 본체의 주수용 루멘과 연통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7. 제6항에 있어서,
    분기용 커넥터는 튜브 본체에 끼움 삽입된 통형상 본체, 이 통형상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삽입된 회동 통체 및 이 회동 통체의 양쪽으로서 통형상 본체의 양 단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된 통형상 고정 나사를 갖고, 상기 통형상 본체의 둘레벽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의 측공이 설치되며, 상기 회동 통체의 둘레벽에는 상기 측공과 연통하는 구멍이 설치되고, 이 구멍과 연통하도록 주수용 튜브의 일단부가 튜브 본체의 주수용 루멘과 상기 구멍 및 측공을 매개로 연통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메스는 내시경하 수술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KR1020130138824A 2012-11-21 2013-11-15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KR20140065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4913 2012-11-21
JP2012254913A JP5198683B1 (ja) 2012-11-21 2012-11-21 電気メス洗浄用水出しチューブ
JP2013020065A JP5275527B1 (ja) 2013-02-05 2013-02-05 電気メス洗浄用水出しチューブ
JPJP-P-2013-020065 2013-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336A true KR20140065336A (ko) 2014-05-29

Family

ID=5068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824A KR20140065336A (ko) 2012-11-21 2013-11-15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142572A1 (ko)
KR (1) KR20140065336A (ko)
FR (1) FR2998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3393B2 (en) * 2014-08-20 2021-04-13 Clear Image Technology, Llc Micro-endoscope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9152587B (zh) * 2016-05-25 2021-04-13 奥林巴斯株式会社 管、管单元以及抽吸送液单元
US20200405380A1 (en) * 2019-06-27 2020-12-31 Covidien Lp Multi-function surgical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0701C2 (de) * 1991-08-02 2001-02-08 Olympus Optical Co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 Endoskop
US6126592A (en) * 1998-09-12 2000-10-03 Smith & Nephew, Inc. Endoscope cleaning and irrigation sheath
DE19910295C2 (de) * 1999-03-09 2002-06-20 Storz Karl Gmbh & Co Kg Medizinisches oder technisches endoskopisches Instrument
US20060235457A1 (en) * 2005-04-15 2006-10-19 Amir Belson Instruments having a rigidizable external working channel
WO2008094576A1 (en) * 2007-01-30 2008-08-07 Airsept, Inc. Fluid line connector
JP2011212315A (ja) * 2010-03-31 2011-10-27 Fujifilm Corp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42572A1 (en) 2014-05-22
FR2998163A1 (fr) 201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0971T3 (es) Dispositivo de polipectomía combinado a base de un electrodo de alambre y un electrodo tubular.
JP5062577B2 (ja) 内視鏡手術用多機能装置
US9872730B2 (en) Microwave coaptive surgical sealing tool
KR200497247Y1 (ko) 의료용 연결 장치
EP1948027B1 (en) Tissue cutting devices having hemostasis capability
US7806894B1 (en) Hemostasis and transection of tissue
JP2009112794A (ja) 高周波処置具
JP2003052713A (ja) 内視鏡用処置装置
JPWO2007017949A1 (ja) 内視鏡用処置具
JP5198683B1 (ja) 電気メス洗浄用水出しチューブ
US9629676B2 (en) Surgical sealing tool
CN106236155A (zh) 一种多功能连续活检钳
KR101649279B1 (ko) 용종 제거용 내시경 시술기구
KR20140065336A (ko) 전기 메스 세정용 물 배출 튜브
JP5275527B1 (ja) 電気メス洗浄用水出しチューブ
JP2010263926A (ja) 内視鏡用注射具
JP4965416B2 (ja) 高周波処置具
JP3806713B2 (ja) 内視鏡用フードと内視鏡
CN209611076U (zh) 一种医用连接装置
JP2003153911A (ja) 内視鏡システム
CN206372073U (zh) 一种多功能连续活检钳
JPS6143452Y2 (ko)
CN214511287U (zh) 一种电切镜、电切镜鞘及闭孔器
CN213156392U (zh) 一种带负压防漏电移动式腹腔镜下电外科器械
CN208481461U (zh) 一种腹腔镜下可转动的微波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