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081A -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및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및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081A
KR20140065081A KR1020120132150A KR20120132150A KR20140065081A KR 20140065081 A KR20140065081 A KR 20140065081A KR 1020120132150 A KR1020120132150 A KR 1020120132150A KR 20120132150 A KR20120132150 A KR 20120132150A KR 20140065081 A KR20140065081 A KR 20140065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gas
line
gas
pressure
int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276B1 (ko
Inventor
신승원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2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F17D1/05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및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형상 방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은, 가스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 가스가 이송되는 메인 라인; 메인 라인으로 이송된 압축 가스를 공급받는 압축 가스 도입 설비; 및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과 압축 가스의 차압에 따라 압축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선가압(pre-pressurization)하는 저온 현상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및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Gas Line System For Preventing Low Temperature Effect And Method For Preventing Low Temperature Effect Using Gas Line System}
본 발명은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및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과 압축 가스의 차압에 따라 압축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선가압(pre-pressurization)하는 저온 현상 방지부를 포함하는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스를 압축하여 이송하는 공정을 수행할 때, 배관을 통해 가스를 공정 시스템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정 시스템의 가동 초기(initial start-up)나 시스템의 가동 중단(shut-down) 이후 재시작(re-start)하는 경우, 공정 시스템은 저압인 상태에서 압축 가스가 유입되게 된다.
압축 가스가 저압인 공정 시스템에 유입되면 급격한 압력 저하에 의해 줄-톰슨 효과(Joule-Thomson effect)가 발생한다. 이는 압축된 기체를 단열된 좁은 통로를 지나 급격히 저압 상태로 빠져나가게 하면 분자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온도가 저하되면서 기체가 냉각되는, 저온(extreme low temperature)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은 압축 가스가 도입되는 설비에서 초기 가동이나 가동 중단 후 재시작 등의 경우에, 내부 압력과 압축 가스의 압력 차이에 의해 압축 가스가 냉각되는 저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과 압축 가스의 차압에 따라 압축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선가압(pre-pressurization)함으로써 저온 현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 가스가 이송되는 메인 라인;
상기 메인 라인으로 이송된 압축 가스를 공급받는 압축 가스 도입 설비; 및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과 압축 가스의 차압에 따라 상기 압축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선가압(pre-pressurization)하는 저온 현상 방지부를 포함하는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저온 현상 방지부는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압축 가스가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로 도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를 불활성 가스로 선 가압함으로써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에서 줄 톰슨 효과에 의한 저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온 현상 방지부는 상기 메인 라인에 마련되는 제1 셧 다운 밸브와,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선가압하는 선가압부와,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로 상기 압축 가스의 도입과 상기 불활성 가스의 도입을 조절하는 압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온 향상 방지부는 상기 압축 가스가 상기 메인 라인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를 우회하여 상기 메인 라인으로 도입되도록 상기 메인 라인에 마련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마련되는 제2 셧 다운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제어부는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 값을 전송받아, 설정된 안전 로직(safety logic)에 따라 상기 압축 가스와 상기 불활성 가스의 도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가압부는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로 상기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선가압 라인과, 상기 선가압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불활성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볼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가압부는 상기 선가압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불활성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는 질소(N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압축 가스가 도입되는 설비의 저온 현상 방지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압축 가스가 도입될 설비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2) 측정된 설비의 압력을 전송하고 설정된 안전 로직(safety logic)에 따라 상기 압축 가스가 도입되는 배관에 마련된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압축 가스의 도입을 차단하는 단계; 및
3) 상기 설비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설비의 압력을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은, 저온 현상 방지부에서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과 압축 가스의 차압에 따라 압축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불활성 가스로 선가압(pre-pressurization)함으로써, 줄 톰슨 효과에 의한 저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은, 가스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 가스가 이송되는 메인 라인(ML)과, 메인 라인(ML)으로 이송된 압축 가스를 공급받는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와,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의 내부 압력과 압축 가스의 차압에 따라 압축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선가압(pre-pressurization)하는 저온 현상 방지부(200)를 포함한다.
저온 현상 방지부(200)는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압축 가스가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로 도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를 불활성 가스로 선 가압함으로써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에서 줄 톰슨 효과에 의한 저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줄 톰슨 효과란, 기체를 단열된 좁은 관(細孔) 등 저항이 있는 곳을 통하게 하고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하여 팽창시킬 때 압력 강하와 함께 온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때 관을 통과하기 전과 후의 엔탈피는 같지만 분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온도 변화가 발생하는데, 수소를 제외한 다른 기체들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줄 톰슨 효과에 의한 기체의 냉각은 에어컨이나 냉장고 등 냉매의 냉각과 공기 액화 등에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에서는 기체의 냉각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므로,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가 초기 가동될 때나 가동 중단 이후 재가동시에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 내부 압력이 낮아 도입되는 압축 가스와의 차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줄 톰슨 효과에 의한 저온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저온 현상으로 압축 가스가 과도하게 냉각되면 저온에 의해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의 내구성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와 배관들을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티타늄 등 저온에 대한 내구성을 갖춘 소재로 제작해야만 하고, 이는 결국 시스템 설치 및 관리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의 원인이 되는 저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온 현상 방지부(200)를 구성함으로써, 고가의 저온 재질 소재를 적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급격한 저온화에 따른 설비와 배관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는 일 예로, 해상 또는 육상에서 원유를 채취하여 분리하고 분리된 Gas를 다단(Multi-stage) Gas Compressor를 거쳐 1차 Gas 저장소로 옮기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설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저온 현상 방지부(200)는 메인 라인(ML)에 마련되는 제1 셧 다운 밸브(210)와,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선가압하는 선가압부(220)와,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로 압축 가스의 도입과 불활성 가스의 도입을 조절하는 압력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와 배관 등 시스템 구성부분들의 소재에 따라 어느 정도의 온도 저하까지 견딜 수 있는지를 산출해 두고, 이때의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의 내부 압력과 도입되는 압축 가스의 압력차를 set point로 설정한다.
set point를 넘는 차압이 발생하면 압력 제어부(230)의 제어하에 제1 셧 다운 밸브(210)로 메인 라인(ML)을 차단하고, 선가압부(220)를 통해 불활성 가스를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에 공급하여 선가압한다. 선가압은 set point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저온 향상 방지부는 압축 가스가 메인 라인(ML)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를 우회하여 메인 라인(ML)으로 도입되도록 메인 라인(ML)에 마련되는 바이패스 라인(240)과, 바이패스 라인(240)에 마련되는 제2 셧 다운 밸브(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라인(240)을 통해 압축 가스를 메인 라인(ML)의 일부를 우회시킴으로써, 압축 가스가 급격히 저압인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가 서서히 가압되도록 한다.
압력 제어부(230)는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압력 센서(231)와, 압력 센서(231)로부터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의 내부 압력 값을 전송받아, 설정된 안전 로직(safety logic)에 따라 압축 가스와 불활성 가스의 도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32)에서는 압력 센서(231)에서 측정된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의 내부 압력 값을 전송받아 압축 가스와의 차압이 설정해둔 set point를 넘어서면 안전 로직(safety logic)에 따라 제1 셧 다운 밸브(210) 및 제2 셧 다운 밸브(250)를 폐쇄하여 메인 라인(ML)과 바이패스 라인(240)을 차단하고, 선가압부(220)를 통해 불활성 가스를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로 도입시킨다.
선가압부(220)는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선가압 라인(221)과, 선가압 라인(221)에 마련되어 불활성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볼 밸브(222)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231)로 내부 압력을 계속해서 측정하면서 선가압 라인(221)을 통해 set point에 도달할 때까지 불활성 가스를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로 공급한다. 불활성 가스에 의해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set point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컨트롤러(232)는 볼 밸브(222)를 차단하여 불활성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고, 메인 라인(ML)과 바이패스 라인(240)을 통해 압축 가스를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로 도입시킨다.
선가압부(220)는 선가압 라인(221)에 마련되어 불활성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불활성 가스는 질소(N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압축 가스가 도입되는 설비의 저온 현상 방지 방법에 있어서,
1) 압축 가스가 도입될 설비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2) 측정된 설비의 압력을 전송하고 설정된 안전 로직(safety logic)에 따라 압축 가스가 도입되는 배관에 마련된 밸브를 폐쇄하여 압축 가스의 도입을 차단하는 단계; 및
3) 설비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설비의 압력을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은 set point를 설정해 두고, 압축 가스 도입 설비(10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압축 가스의 차압에 따라 압축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불활성 가스로 선가압(pre-pressurization)함으로써, 줄 톰슨 효과에 의한 저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 배관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에 고가의 저온 재질 소재를 적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급격한 저온화에 따른 설비와 배관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시스템의 관비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ML: 메인 라인
100: 압축 가스 도입 설비
200: 저온 현상 방지부
210: 제1 셧 다운 밸브
220: 선가압부
221: 선가압 라인
222: 볼 밸브
223: 체크 밸브
230: 압력 제어부
231: 압력 센서
232: 컨트롤러
240: 바이패스 라인
250: 제2 셧 다운 밸브

Claims (9)

  1. 가스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 가스가 이송되는 메인 라인;
    상기 메인 라인으로 이송된 압축 가스를 공급받는 압축 가스 도입 설비; 및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과 압축 가스의 차압에 따라 상기 압축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선가압(pre-pressurization)하는 저온 현상 방지부를 포함하는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현상 방지부는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압축 가스가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로 도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를 불활성 가스로 선 가압함으로써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에서 줄 톰슨 효과에 의한 저온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현상 방지부는
    상기 메인 라인에 마련되는 제1 셧 다운 밸브;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선가압하는 선가압부; 및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로 상기 압축 가스의 도입과 상기 불활성 가스의 도입을 조절하는 압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향상 방지부는
    상기 압축 가스가 상기 메인 라인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를 우회하여 상기 메인 라인으로 도입되도록 상기 메인 라인에 마련되는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마련되는 제2 셧 다운 밸브를 더 포함하는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부는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의 내부 압력 값을 전송받아, 설정된 안전 로직(safety logic)에 따라 상기 압축 가스와 상기 불활성 가스의 도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가압부는
    상기 압축 가스 도입 설비로 상기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선가압 라인; 및
    상기 선가압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불활성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볼 밸브를 포함하는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가압부는
    상기 선가압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불활성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는 질소(N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9. 압축 가스가 도입되는 설비의 저온 현상 방지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압축 가스가 도입될 설비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2) 측정된 설비의 압력을 전송하고 설정된 안전 로직(safety logic)에 따라 상기 압축 가스가 도입되는 배관에 마련된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압축 가스의 도입을 차단하는 단계; 및
    3) 상기 설비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설비의 압력을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
KR1020120132150A 2012-11-21 2012-11-21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및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 KR10199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150A KR101996276B1 (ko) 2012-11-21 2012-11-21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및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150A KR101996276B1 (ko) 2012-11-21 2012-11-21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및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081A true KR20140065081A (ko) 2014-05-29
KR101996276B1 KR101996276B1 (ko) 2019-07-04

Family

ID=5089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150A KR101996276B1 (ko) 2012-11-21 2012-11-21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및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5169A (zh) * 2014-12-25 2015-05-13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离相封闭母线恒定低压连续补气微正压方法
CN109357163A (zh) * 2018-11-23 2019-02-19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气态乙烷管道停输再启动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71Y1 (ko) 2020-11-24 2022-11-1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이동식 가스압축 이송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5666A (ja) * 2006-03-24 2007-10-04 Taiyo Nippon Sanso Corp ガス供給装置およびガス供給方法
KR20110048266A (ko) * 2009-11-02 2011-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이산화탄소의 이송시스템
KR20110117128A (ko) * 2009-01-21 2011-10-26 테스콤 코포레이션 온도 제어식 압력 조정기
JP4913427B2 (ja) * 2006-03-10 2012-04-11 大陽日酸株式会社 水素ガスの充填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3427B2 (ja) * 2006-03-10 2012-04-11 大陽日酸株式会社 水素ガスの充填方法及び装置
JP2007255666A (ja) * 2006-03-24 2007-10-04 Taiyo Nippon Sanso Corp ガス供給装置およびガス供給方法
KR20110117128A (ko) * 2009-01-21 2011-10-26 테스콤 코포레이션 온도 제어식 압력 조정기
KR20110048266A (ko) * 2009-11-02 2011-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이산화탄소의 이송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5169A (zh) * 2014-12-25 2015-05-13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离相封闭母线恒定低压连续补气微正压方法
CN109357163A (zh) * 2018-11-23 2019-02-19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气态乙烷管道停输再启动系统及方法
CN109357163B (zh) * 2018-11-23 2023-10-03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气态乙烷管道停输再启动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276B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0815E1 (en) Control system for cryosurgery
EP33397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sure control in a co2 refrigeration system
KR101858648B1 (ko) 다단 압축 시스템의 서지 제어 방법
KR101996276B1 (ko) 저온 현상 방지를 위한 가스 배관 시스템 및 가스 배관 시스템을 통한 저온 현상 방지 방법
CN108603719B (zh) 用于空气分离设备的自动启动的系统和方法
RU2020123421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работы линии сжижения
CN105612381B (zh) 组合有液化气产生装置的液化气加注站
KR101703502B1 (ko) 압축기 작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445472B2 (ja) 冷凍システム
JP6176905B2 (ja) 冷熱設備
JP5191969B2 (ja) ガス処理装置
JP2017172923A (ja) 冷凍装置
US107245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or system pressurization
JP6621275B2 (ja) 冷凍装置
CN114593360B (zh) 一种用于燃料电池车的供氢系统、方法及装置
KR20150102420A (ko) 냉장냉동 장치
KR20140108959A (ko) 가스를 매개체로 하는 반도체 및 lcd 제조공정설비 온도 제어장치의 냉매회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4484A (ko) 가스를 매개체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설비용 온도 제어시스템의 냉매 누출 점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매 누출 점검방법
AU2017341387B2 (en) System for treating and cooling a hydrocarbon stream
RU2238487C2 (ru) Способ криостатирования объекта с переменной тепловой нагрузко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EP4253877A1 (en) Chilling unit,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7134013B2 (ja) 液体水素製造設備
US20240060715A1 (en) Liquefa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rbine inlet temperature of liquefaction system
US202104047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product availability during a disturbance in an air separation unit
US20100281914A1 (en) Chilled water skid for natural gas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