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412A -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412A
KR20140064412A KR1020120131720A KR20120131720A KR20140064412A KR 20140064412 A KR20140064412 A KR 20140064412A KR 1020120131720 A KR1020120131720 A KR 1020120131720A KR 20120131720 A KR20120131720 A KR 20120131720A KR 20140064412 A KR20140064412 A KR 20140064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nformation
viewer
viewing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천인
이한규
정영호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4412A/ko
Publication of KR2014006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83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demographical data, e.g. age, family status or add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간 시청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으로,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광고를 둘 이상 추천하는 광고 추천부와, 단말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추천부에 의해 추천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종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선택부와, 상기 광고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최종 광고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출하는 광고 송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based on Real-time Viewer Information}
본 발명은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상파 방송 콘텐츠에는 방송 시작 전 및 후에 다수의 광고 기회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광고 기회와 광고 콘텐츠는 1:1로 편성된다. 이러한, 광고 기회에 적합한 광고 콘텐츠는 인구 통계학적 자료, 마케팅 분석 결과에 따라 선택된다.
기본적으로 지상파 광고는 방송사에서 단말로의 일방향 제공 방식이므로, 시청자의 수, 연령 등의 실시간 시청자 정보와 시청 몰입도 등과 같은 시청 행태를 포함하는 시청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편성에 반영하여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40대 시청자에게 20대의 관심 광고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경우가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
IPTV의 VoD 서비스와 같은 양방향 매체의 경우에도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작 전후 광고는 기본적으로 지상파 광고와 비슷한 방식으로 편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능상으로는 방송 콘텐츠 제공사에서 시청자의 기본 가입자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자 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광고는 가능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 가입자의 정보 활용 동의가 필요하며, 가용 정보도 가입자의 성별, 나이, 지역 등으로 제한적이다. 또한, 가입자와 동거하는 가구원 개개인들의 정보는 수집되고 있지 않아 실질적이 시청자의 활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지상파와 VoD 서비스 모두 시청자들이 광고 제공시에는 화면에 집중하고 있지 않다가, 광고 종료 후 방송콘텐츠만을 시청하려고 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광고 효과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실질적인 실시간 시청자가 관심을 갖는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시청자의 시청 행태에 따라 광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가입자 정보 활용 동의를 구할 필요없이 시청자가 관심을 갖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고 편성 장치로,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광고를 둘 이상 추천하는 광고 추천부와, 단말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추천부에 의해 추천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종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선택부와, 상기 광고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최종 광고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출하는 광고 송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고 편성 장치에서의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광고를 둘 이상 추천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추천부에 의해 추천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종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최종 광고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단말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시청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 시청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분석부와, 상기 영상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인 실시간 시청 정보들을 수집하는 시청 정보 수집부와, 광고 송출 시점에 시청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편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적의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선택부와, 상기 광고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광고를 재생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시키는 광고 재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시청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 시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결과인 실시간 시청 정보들을 수집하는 단계와, 광고 송출 시점에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편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적의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광고를 재생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시청 행태에 따른 광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시청자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시청자의 몰입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시청자의 몰입도가 소정 기준치 이하일 경우, 광고 재생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맞춤형 광고 편성 시 성별, 나이 등의 개인 정보 기반에 국한되었던 것에 탈피하여 실질적으로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 수, 시청자 연령 등을 포함하는 실시간 시청자 정보와 시청 몰입도 등의 시청 행태 정보를 기반으로 광고를 추천하고 선택하여 구성원의 수와, 몰입도에 따라 반응하는 신개념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편성 단에서 개인 정보 활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광고 콘텐츠 정보를 단말에 전송해주고 단말에서 시청 기반으로 광고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개인 정보 유출 없이도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시청 여부, 시청 몰입도 등의 시청 행태 정보에 따라 광고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게 하여 광고 콘텐츠 시청을 완료해야만 무료 방송 콘텐츠를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광고 노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광고 편성 장치에서 광고를 선택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에서 광고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에서 시청 행태에 따른 광고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광고 선택 주체에 따라 두 가지 실시 예가 가능하다.
제 1 실시 예는 광고 편성 장치에서 광고 선택을 하는 장치 및 방법이다. 여기서, 광고 편성 장치는 단말의 개인 정보 제공 동의를 획득하고,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시청 정보에 따른 맞춤 광고를 선택하여 전달하여 준다.
제 2 실시 예는 단말에서 광고 선택을 하는 장치 및 방법이다. 여기서, 광고 편성 장치는 단말의 개인 정보 제공 동의를 획득하지 않으므로, 개인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기에는 제약이 많다. 따라서, 광고 편성 장치는 동일한 시간에 복수 개의 광고 콘텐츠를 단말에게 송출하고, 단말이 분석한 실시간 시청 정보에 따라 최종적으로 출력할 광고를 선택한다.
여기서, 실시간 시청 정보란 실질적으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 수, 각 시청자의 연령 등의 실시간 시청자 정보와 시청자의 시청 여부 및 몰입도 등의 시청 행태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고 편성 장치(110)는 방송 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방송 콘텐츠 및 방송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광고 콘텐츠를 외부로부터 수신/편성하여 단말(120)에 송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광고 편성 장치(110)는 복수의 광고들을 추천하고, 추천된 복수의 광고들 중 단말(120)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시청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를 선택하여 단말(120)에 전송한다.
단말(120)은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로, 광고 편성 장치(110)에 실시간 시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양방향 방송 방식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단말(120)은 광고 편성 장치(110)에서 선택된 광고를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출력해준다.
광고 편성 장치(110)는 상세하게는 광고 추천부(111), 광고 선택부(112) 및 광고 송출부(113)를 포함한다.
광고 추천부(111)는 특정 방송 콘텐츠의 특정 시점에 해당하는 광고 기회에 송출 가능한 광고를 복수 개로 추천한다. 즉, 특정 방송 콘텐츠별로 연령대별, 시청자 수, 시청 행태에 따라 상이한 광고가 송출되도록 다수 개의 광고를 추천한다. 예를 들어, A라는 방송콘텐츠에 자동차 광고를 송출할 경우, 20대 시청자를 위한 소형 자동차 광고, 30대 시청자를 위한 중형 승용차 광고, 40대 시청자를 위한 대형 승용차를 복수 추천한다.
광고 선택부(112)는 광고 송출 시점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추천부(111)에 의해 추천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적의 광고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A라는 방송 콘텐츠의 실시간 시청자가 20대라고 분석될 경우, 광고 추천부(111)에 의해 추천된 복수의 자동차 광고들 중에 소형 자동차 광고를 선택한다. 또한, 시청자 수가 2명 이상인 것으로 분석될 경우, 자동차 그룹 전체 광고가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시청 행태 정보로 시청자 개개인의 얼굴 회전각,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청 여부 판단, 눈 개폐 주기를 기반으로 한 졸음과 수면 여부, 화면의 시청 위치, 몰입도 등을 반영하여 맞춤형 광고가 편성되어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몰입도 레벨이 10 단계로 설정된다고 가정하면, 시청자의 몰입도 레벨에 따라 단가가 상이한 광고가 편성되고, 몰입도 레벨이 10인 단말에는 그에 상응하는 광고가, 몰입도 레벨이 5인 단말에는 그에 상응하는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광고 송출부(113)는 광고 선택부(112)에 의해 최종 선택된 광고를 단말(120)에 송출하게 된다. 이때, 광고 콘텐츠 데이터 또는 광고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링크 주소가 제공될 수 있다.
단말(120)은 상세하게는 영상 분석부(121), 시청 정보 수집부(122), 광고 재생부(123) 및 광고 재생 제어부(124)를 포함한다.
영상 분석부(121)는 카메라(125)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시청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 시청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카메라(125)는 외부 카메라일 수도 있고, 단말(120)에 내장된 카메라일 수도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121)는 사전에 시청자 영상을 분석하여, 개인 정보를 미리 획득해놓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시청 정보란 실질적으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 수, 각 시청자의 연령 등의 시청자 정보와 시청자의 시청 여부 및 몰입도 등의 시청 행태 정보를 포함한다.
영상 분석부(121)는 카메라(125)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얼굴 인식 기술을 통해 시청자의 수와 시청자가 누구인지를 판별하여 시청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121)는 시청자 개개인의 얼굴 회전각,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청 여부 판단, 눈 개폐 주기를 기반으로 한 졸음과 수면 여부, 화면의 시청 위치, 몰입도 등을 포함하는 시청 행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청 정보 수집부(122)는 영상 분석부(121)에서 분석된 결과인 시청 정보들을 수집하여 저장한다. 이때, 사전에 촬영된 정보로 분석된 시청자 개개인에 대한 신상 정보도 시청자 정보로 수집될 수 있다.
광고 재생부(123)는 광고 재생 제어부(123)로부터 재생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광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126)에 출력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6)는 외장 또는 내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재생 제어부(124)는 시청 정보 수집부(122)에 의해 수집된 시청 정보를 광고 편성 장치(110)에 전송하고, 응답으로 수신된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광고 재생부(123)에 의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수신된 광고 정보가 광고 콘텐츠 데이터일 경우에는 광고 재생부(123)에 이를 출력해주고, 수신된 광고 정보가 링크 주소일 경우 해당 링크에 접속하여 콘텐츠 요청을 수행한다. 즉, 광고는 광고 콘텐츠 자체데이터가 다운로드되어 재생되거나 다운로드없이 실시간으로 광고가 재생될 수 있게 링크만 제공해주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링크주소를 제공한 경우에는 광고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해 시스템 혹은 시청자가 링크를 선택하여 콘텐츠를 요청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광고 재생 제어부(124)는 시청 행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시청자의 시청 여부 또는 몰입도에 따라 광고 출력 여부를 제어하여, 시청자가 보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잠깐 광고를 중단하였다가 추후에 시청자의 몰입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일 경우 광고를 다시 출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무료 방송 콘텐츠일 경우, 광고를 집중해서 모두 보아야만 무료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광고 편성 장치에서 광고를 선택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10 단계에서, 광고 편성 장치(110)는 복수 개의 광고 콘텐츠를 추천한다. 즉, 광고 편성시에 방송 콘텐츠별로 동시간에 연령대별, 시청자 수, 시청 행태에 따라 다수 개의 광고를 추천한다.
220 단계에서 광고 편성 장치(110)는 추천된 광고 콘텐츠들 중 최종 광고 콘텐츠를 선택한다.
상세하게는, 221 단계에서 광고 편성 장치(110)는 메타 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실시간 시청 정보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즉, 광고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타깃팅 정보에는 광고가 노출되는 조건에 대한 정보가 기술된다. 예컨대, 메타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복수개의 광고들 중 하나의 광고가 20대 남성을 위한 광고라는 내용이고, 실시간 시청 정보가 현재 시청자가 20대 남성이라면, 메타 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실시간 시청 정보가 동일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221 단계의 판단 결과 메타 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시청 정보와 동일할 경우, 광고 편성 장치(110)는 222 단계에서 광고 송출 시점에 타깃팅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와 함께 매칭된 광고 콘텐츠를 선택한다. 그러나, 221 단계의 판단 결과 메타 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시청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광고 편성 장치(110)는 223 단계에서 복수 개의 광고 콘텐츠 중 대표 광고를 선택한다.
230 단계에서 광고 편성 장치(230)는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단말(120)에 송출한다. 여기서, 광고 콘텐츠 송출은 영상 데이터이거나 저장된 경로의 링크일 수 있다. 링크일 경우에도 광고 콘텐츠와 시청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는 함께 전달된다.
<제 2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고 편성 장치(310)는 방송 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방송 콘텐츠 및 방송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광고 콘텐츠를 외부로부터 수신/편성하여 단말(320)에 송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광고 편성 장치(310)는 단말(320)에서 복수의 광고들을 추천하고, 추천된 복수의 광고들 모두를 단말(320)에 전송한다.
단말(320)은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로, 광고 편성 장치(31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양방향 방송 방식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단말(320)은 광고 편성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광고들로부터 실시간 시청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를 선택하여 시청자에게 출력해준다.
광고 편성 장치(310)는 상세하게는 광고 추천부(311) 및 광고 송출부(312)를 포함한다.
광고 추천부(311)는 특정 방송 콘텐츠의 특정 시점에 해당하는 광고 기회에 송출 가능한 광고를 복수 개로 추천한다. 즉, 특정 방송 콘텐츠별로 연령대별, 시청자 수, 시청 행태에 따라 상이한 광고가 송출되도록 다수 개의 광고를 추천한다. 예를 들어, A라는 방송콘텐츠에 자동차 광고를 송출할 경우, 20대 시청자를 위한 소형 자동차 광고, 30대 시청자를 위한 중형 승용차 광고, 40대 시청자를 위한 대형 승용차를 복수 추천한다.
광고 송출부(312)는 광고 추천부(311)에 의해 추천된 복수의 광고들를 단말(320)에 송출하게 된다. 이때, 광고 콘텐츠 데이터 또는 광고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링크 주소가 제공될 수 있다.
단말(320)은 상세하게는 영상 분석부(321), 시청 정보 수집부(322), 메타 데이터 추출부(323), 광고 선택부(324), 광고 재생 제어부(325) 및 광고 재생부(326)를 포함한다.
영상 분석부(321)는 카메라(327)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시청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 시청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카메라(327)는 외부 카메라일 수도 있고, 단말(320)에 내장된 카메라일 수도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321)는 사전에 시청자 영상을 분석하여, 개인 정보를 미리 획득해놓을 수도 있다.
영상 분석부(321)는 카메라(327)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얼굴 인식 기술을 통해 시청자의 수와 시청자가 누구인지를 판별하여 시청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321)는 시청자 개개인의 얼굴 회전각,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청 여부 판단, 눈 개폐 주기를 기반으로 한 졸음과 수면 여부, 화면의 시청 위치, 몰입도 등을 포함하는 시청 행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청 정보 수집부(322)는 영상 분석부(321)에서 분석된 결과인 시청 정보들을 수집하여 저장한다. 이때, 사전에 촬영된 정보로 시청자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될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추출부(323)는 광고 편성 장치(310)로부터 전송된 광고 콘텐츠 데이터 또는 광고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링크 주소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는 광고 콘텐츠를 설명해주는 데이터로써, 예컨대, 메타 데이터는 복수개의 광고들 중 하나의 광고가 20대 남성을 위한 광고라는 내용일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추출부(323)는 미리 약속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정의된 메타데이터를 필드 별로 분류해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광고 선택부(324)는 광고 송출 시점에 시청 정보 수집부(322)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편성 장치(3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적의 광고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A라는 방송콘텐츠의 실시간 시청자가 20대라고 분석될 경우, 광고 편성 장치(3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자동차 광고들 중에 소형 자동차 광고를 선택한다. 또한, 시청자 수가 2명 이상인 것으로 분석될 경우, 자동차 그룹 전체 광고를 선택할 수도 있다. 시청 행태 정보로 시청자 개개인의 얼굴 회전각,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청 여부 판단, 눈 개폐 주기를 기반으로 한 졸음과 수면 여부, 화면의 시청 위치, 몰입도 등을 반영하여 맞춤형 광고를 편성하고 노출시킬 수 있다.
광고 재생부(326)는 광고 재생 제어부(325)로부터 재생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광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328)에 출력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328)는 외장 또는 내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재생 제어부(325)는 광고 편성 장치(3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광고들 중 시청 정보 수집부(322)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따라 선택된 광고가 광고 재생부(326)에 의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수신된 광고 정보가 광고 콘텐츠 데이터일 경우에는 광고 재생부(323)에 이를 출력해주고, 수신된 광고 정보가 링크 주소일 경우 해당 링크에 접속하여 콘텐츠 요청을 수행한다. 즉, 광고는 광고 콘텐츠 자체데이터가 다운로드되어 재생되거나 다운로드없이 실시간으로 광고가 재생될 수 있게 링크만 제공해주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링크주소를 제공한 경우에는 광고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해 시스템 혹은 시청자가 링크를 선택하여 콘텐츠를 요청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광고 재생 제어부(325)는 시청 행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시청자의 시청 여부 또는 몰입도에 따라 광고 출력 여부를 제어하여, 시청자가 보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잠깐 광고를 중단하였다가 추후에 시청자의 몰입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일 경우 광고를 다시 출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무료 방송 콘텐츠일 경우, 광고를 집중해서 모두 보아야만 무료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에서 광고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10 단계에서, 단말(320)은 광고 편성 장치(310)로부터 복수 개의 광고 콘텐츠를 수신한다. 즉, 광고 편성시에 방송 콘텐츠별로 동시간에 연령대별, 시청자 수, 시청 행태에 따른 복수 개의 광고가 수신된다. 즉, 하나의 광고기회에 광고가 1:N으로 복수 추천된 광고들이 데이터 자체 혹은 링크 주소 전부를 메타데이터와 함께 전송된다.
420 단계에서 단말(320)은 추천된 광고 콘텐츠들 중 최종 광고 콘텐츠를 선택한다.
상세하게는, 421 단계에서 단말(320)은 광고 선택 설정을 단말에서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광고 선택 설정 여부 팝업창을 화면에 띄우고, 사용자로부터 광고 선택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즉, 단말(120)에서 자동으로 타깃팅 정보에 따라 광고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수동으로 시청자가 복수 개의 광고 중에서 시청하고 싶은 광고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해줄 수 있다.
421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광고 선택 설정을 수행할 경우, 422 단계에서 단말(320)은 복수 개의 광고 콘텐츠 프리뷰 또는 선택 정보가 나열된 화면을 출력한다. 그리고, 423 단계에서 단말(320)은 사용자로부터 광고 선택을 받는다.
그러나, 421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광고 선택 설정을 수행할 경우, 424 단계에서 단말(320)은 메타 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시청 정보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즉, 광고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타깃팅 정보에는 광고가 노출되는 조건에 대한 정보가 기술된다. 예컨대, 메타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복수개의 광고들 중 하나의 광고가 20대 남성을 위한 광고라는 내용이고, 실시간 시청 정보가 현재 시청자가 20대 남성이라면, 메타 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실시간 시청 정보가 동일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424 단계의 판단 결과 메타 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시청 정보와 동일할 경우, 단말(320)은 425 단계에서 광고 송출 시점에 타깃팅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에 매칭되는 광고를 선택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단말(120)은 수신한 광고 데이터 또는 광고 데이터가 저장된 경로의 링크를 저장하고 있다가, 단말(120)에서 분석한 시청자 정보에 따라 광고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타깃팅 정보와 매칭되는 광고를 최종 노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426 단계의 판단 결과 메타 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시청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단말(320)은 426 단계에서 복수 개의 광고 콘텐츠 중 대표 광고를 선택한다.
430 단계에서 단말(320)은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328)에 출력한다. 여기서, 광고 콘텐츠 송출은 영상 데이터이거나 저장된 경로의 링크일 수 있다. 링크일 경우에도 광고 콘텐츠와 시청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는 함께 전달된다.
전술한 제 2 실시예는 광고를 선택하여 노출시키면 시청자의 개인 정보는 단말에서만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개인 정보 유출의 염려 없이도 개인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해줄 수 있다.
한편, 콘텐츠를 시청해야만 방송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해주는 경우 시청자들이 광고 시청을 회피하고 방송콘텐츠만 보는 경향이 많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시청 행태에 따라 광고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에서 시청 행태에 따른 광고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20, 320)은 510 단계에서 시청자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시청 여부를 판단한다. 즉, 시청자가 개개인의 얼굴 회전각,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청 여부 판단, 눈 개폐 주기를 기반으로 한 졸음과 수면 여부, 화면의 시청 위치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510 단계의 판단 결과 시청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520 단계에서 단말(120, 320)은 광고 콘텐츠 재생 장치에 이를 알려 광고 재생을 중단한다. 그러나, 510 단계의 판단 결과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120, 320)은 330 단계에서 시청자의 몰입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530 단계의 판단 결과 몰입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이 아닐 경우, 단말(120, 320)은 520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몰입도가 소정 기준 이상일 경우, 단말(120, 320)은 540 단계에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한다. 그리고, 550 단계에서 단말(120, 320)은 시청 행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시청 행태 변화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550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 시청 행태 변화가 감지될 경우, 510 단계를 단말(120, 320)은 재수행한다.
아울러 시청한 시간을 측정하여 서버를 통해 광고주에게 전달해 객관적인 노출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광고주들에게 증대된 광고 노출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광고 단가 상승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광고를 둘 이상 추천하는 광고 추천부와,
    단말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추천부에 의해 추천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종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선택부와,
    상기 광고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최종 광고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출하는 광고 송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편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시청 정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 수, 각 시청자의 연령을 포함하는 시청자 정보와 시청 여부 및 몰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 행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편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송출부는
    광고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링크 주소를 상기 단말에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편성 장치.
  4. 광고 편성 장치에서의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광고를 둘 이상 추천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추천부에 의해 추천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종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최종 광고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메타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시청 행태 정보와 동일할 경우, 광고 송출 시점에 타깃팅 정보가 포함된 메타데이터와 함께 복수개의 광고를 모두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메타 데이터 타깃팅 정보와 시청 행태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복수 개의 광고 콘텐츠 중 대표 광고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
  7.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시청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 시청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분석부와,
    상기 영상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인 실시간 시청 정보들을 수집하는 시청 정보 수집부와,
    광고 송출 시점에 시청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편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적의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선택부와,
    상기 광고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광고를 재생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시키는 광고 재생부를 포함하는 단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시청자 인식 기술을 통해 시청자의 수와 시청자 식별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시청자 개개인의 얼굴 회전각,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청 여부 판단, 눈 개폐 주기를 기반으로 한 졸음과 수면여부, 화면의 시청 위치, 몰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 행태 정보를 분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행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시청자의 시청 여부 또는 몰입도에 따라 광고 출력 여부를 제어하여, 시청자가 보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광고를 중단하였다가 추후에 시청자의 몰입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일 경우 광고를 다시 출력하는 광고 재생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단말에서의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시청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 시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결과인 실시간 시청 정보들을 수집하는 단계와,
    광고 송출 시점에 수신한 실시간 시청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편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광고들 중 최적의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광고를 재생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시청자로부터 복수 개의 광고 중에서 시청하고 싶은 광고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메타데이터 타깃팅 정보가 시청 행태 정보와 동일할 경우, 광고 송출 시점에 타깃팅 정보가 포함된 메타데이터와 함께 복수개의 광고를 모두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메타 데이터 타깃팅 정보와 시청 행태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복수 개의 광고 콘텐츠 중 대표 광고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방법.
  15. 단말에서의 시청 행태에 따른 광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시청자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시청자의 몰입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시청자의 몰입도가 소정 기준치 이하일 경우, 광고 재생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시청자가 개개인의 얼굴 회전각,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청 여부 판단, 눈 개폐 주기를 기반으로 한 졸음과 수면 여부, 화면의 시청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시청 행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시청 행태 변화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시청 행태 변화가 감지될 경우, 시청 여부 정보 판단 단계 및 시청자 정보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방법.
KR1020120131720A 2012-11-20 2012-11-20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64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720A KR20140064412A (ko) 2012-11-20 2012-11-20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720A KR20140064412A (ko) 2012-11-20 2012-11-20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412A true KR20140064412A (ko) 2014-05-28

Family

ID=5089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720A KR20140064412A (ko) 2012-11-20 2012-11-20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441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246B1 (ko) * 2015-02-06 2015-12-23 (주)디지탈리치 방송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00566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케이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컨텐츠 서버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WO2019088661A1 (ko) * 2017-10-30 2019-05-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광고 및 상품 구매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9930A (ko) * 2016-09-29 2019-05-31 릴라이언스 지오 인포컴 리미티드 Embms 스트림 내의 표적화된 콘텐츠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2020531987A (ja) * 2017-10-30 2020-11-05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人工知能技術を利用して広告及び商品購買に関す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44630B1 (ko) * 2020-11-30 2021-04-27 라온화이트햇 주식회사 콘텐츠 시청 확인 방법과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WO2021195060A1 (en) * 2020-03-26 2021-09-30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Video analytic system for crowd characterization
KR102430994B1 (ko) * 2021-04-05 2022-08-11 주식회사 잡트렌드 맞춤형 프로그램 자동 편성 및 방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140226A (ko) *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닐슨 콘텐츠 결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48956A (ko) * 2021-03-29 2022-11-08 주식회사 메조미디어 사용자 디바이스를 매개로 한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246B1 (ko) * 2015-02-06 2015-12-23 (주)디지탈리치 방송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00566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케이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컨텐츠 서버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20190059930A (ko) * 2016-09-29 2019-05-31 릴라이언스 지오 인포컴 리미티드 Embms 스트림 내의 표적화된 콘텐츠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WO2019088661A1 (ko) * 2017-10-30 2019-05-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광고 및 상품 구매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20531987A (ja) * 2017-10-30 2020-11-05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人工知能技術を利用して広告及び商品購買に関す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1195060A1 (en) * 2020-03-26 2021-09-30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Video analytic system for crowd characterization
KR102244630B1 (ko) * 2020-11-30 2021-04-27 라온화이트햇 주식회사 콘텐츠 시청 확인 방법과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20148956A (ko) * 2021-03-29 2022-11-08 주식회사 메조미디어 사용자 디바이스를 매개로 한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30994B1 (ko) * 2021-04-05 2022-08-11 주식회사 잡트렌드 맞춤형 프로그램 자동 편성 및 방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140226A (ko) *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닐슨 콘텐츠 결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4412A (ko) 실시간 시청자 정보 기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015550B2 (en) Matrix code-based user interface
CA2823301C (en) Network media device with code recognition
US10299015B1 (en) Time-based content presentation
DK1380168T3 (en) Affinitetsmarkedsføring to interactive media systems
US20090276807A1 (en) Facilitating indication of metadata availbility within user accessible content
US20080229353A1 (en) Providing context-appropriate advertisements in video content
US20080040768A1 (en) Approach for associating advertising supplemental information with video programming
US20120151524A1 (en) Mining of Advertisement Viewer Information Using Matrix Code
US200800469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and synchronizing data streams
US201301325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Recipient Interaction With A Content Stream
US20120185889A1 (en) Post processing video to identify interests based on clustered user interactions
US20080148311A1 (en) Advertising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2003527003A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US10582260B2 (en) Delivering content
US86773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iable two-way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audiences using multiple media formats
KR101875230B1 (ko) 시청 정보와 메타 데이터를 사용한 선호도 추론 장치 및 방법
US119244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ng content items to secured endpoint media device data
US202302694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ending interactive applications with television programs
KR20160017467A (ko) 비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47718A (ko) 맞춤형 티브이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JP7307251B1 (ja) ストリーム視聴解析表示装置、ストリーム視聴解析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018729A1 (en) Including inserts in multimedia content
JP4366998B2 (ja) 信号処理システムと受信装置と情報蓄積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KR101914584B1 (ko) 실시간 가상 콘텐츠를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상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