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678A -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678A
KR20140062678A KR1020120129112A KR20120129112A KR20140062678A KR 20140062678 A KR20140062678 A KR 20140062678A KR 1020120129112 A KR1020120129112 A KR 1020120129112A KR 20120129112 A KR20120129112 A KR 20120129112A KR 20140062678 A KR20140062678 A KR 20140062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information
taxi
route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호 filed Critical 이경호
Priority to KR1020120129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2678A/ko
Publication of KR2014006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기에 목적지 정보를 저장하고, 택시의 리더기(교통카드 리더기)와 접속시 리더기에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여 차량 내비게이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를 운전사에게 설명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취객일 경우 운전사가 목적지를 확인하는 데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은, 승객이 휴대하며, 목적지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목적지 위치 정보 요청시 목적지 위치정보에 대한 GPS 좌표값을 전송하는 승객 단말기와; 상기 승객 단말기의 접속시 목적지 위치정보에 대한 GPS좌표값을 수신하고, 택시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교통카드 리더기와;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목적지 좌표값을 기초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목적지로 설정하고, 상기 생성한 경로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relief service of taxi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택시 안심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에 목적지 정보를 저장하고, 택시의 리더기(교통카드 리더기)와 접속시 리더기에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여 차량 내비게이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를 운전사에게 설명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취객일 경우 운전사가 목적지를 확인하는 데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경제활동 인구규모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택시 등의 영업용 차량을 이용하는 탑승객의 숫자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비례하여 영업용차량에 의한 크고 작은 사건/사고(예, 강도, 강간, 살인, 분실, 유괴, 납치, 도난 등)의 발생빈도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에 따라서, 이러한 사건/사고를 어떻게 하면 최소화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매우 중대한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하고 있다. 또한, 운전사 입장에서 취객에게 목적지를 확인하는 것도 하나의 애로사항으로 대두 되고 있다.
통상, 영업용 차량의 이용(영업)행위는 타인이 개입할 수 있는 별도의 여지없이, 오로지, 탑승객과 운전자라고 하는 두 개인적인 주체의 지극히 사적인 거래 하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영업용 차량에 의한 사건/사고를 줄이는 데에는 기본적인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한계상황 속에서, 각 탑승객 측에서는, 예를 들어, 자신을 배웅하는 이에게 영업용 차량의 차량번호를 미리 숙지·기록하도록 부탁한다거나, 외부의 아는 이(예, 친구, 가족 등)에게 전화를 걸어, 영업용 차량의 차량번호를 알려준다거나 하는 등의 자구책을 나름대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워낙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탑승객의 영업용 차량 탑승절차 하에서, 탑승객 또는 해당 탑승객을 배웅하는 배웅 객이 영업용 차량의 출발 전에 그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숙지·기록하기에는 큰 무리가 따를 뿐더러, 만약, 이러한 탑승행위가 시야 확보가 어려운 심야 또는 우천이나 눈이 올 경우에 이루어지게 되면, 탑승객 또는 배웅객 측에서는, 차량번호를 숙지·기록하거나, 외부 연락하는데 있어서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탑승객 측에서는, 영업용 차량의 탑승 후, 차내에 비치된 운전자 기록/차량기록을 살펴, 이를 외부의 아는 이에게 알려주는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운전자기록/차량기록은 영업용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언제든지 조작될 위험성이 높을뿐더러, 만약, 악의의 운전자가 정신적/신체적 위협을 가하게 될 경우, 해당 탑승객 측에서는 연락행위 자체를 아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초행길의 승객이나 취객이 탑승한 경우 운전사 입장에서 정확한 목적지를 확인하는 것도 어려움이 따른다. 초행길의 승객은 목적지 주변에 랜드 마크나 큰 건물이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 목적지를 어느 정도 구체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운전사에게 목적지를 설명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아울러 취객도 택시에 탑승하게 되면 대충 목적지를 말할 뿐 구체적인 목적지를 설명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다반사이며, 운전사는 취객에게 여러 가지 질문 등을 하면서 구체적인 목적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사 상기와 같은 경우들은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잘못된 목적지로 인해 시간 손실 및 영업손실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51350호(2012.05.22. 공개)(발명의 명칭: 택시 목적지 알림 서비스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 약칭함)에 개시된다.
개시된 종래기술은 승객 모바일기기의 위치정보 애플리케이션에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위치정보를 등록하고, 모바일기기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택시의 내비게이션에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내비게이션에서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승객의 요청에 따라 목적지를 선택하며, 내비게이션에서 목적지 위치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택시 사용자인 승객이 목적지를 간편하게 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택시 이용의 편리성이 증대되며, 승객이나 기사가 충동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51350호(2012.05.22. 공개)(발명의 명칭: 택시 목적지 알림 서비스 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택시 사용자인 승객이 목적지를 좀 더 간편하게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여러 개의 목적지 중 승객이 하나를 취사선택하는 방식이므로, 취객일 경우 이 또한 목적지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목적지 위치정보에 지명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 이 경우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일 경우에는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목적지 정보를 택시 내비게이션에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승객의 단말기에서 경로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경로 확인은 운전사가 운임을 부당하게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로를 변경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 및 일반적인 택시 안심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에 목적지 정보를 저장하고, 택시의 리더기(교통카드 리더기)와 접속시 리더기에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여 차량 내비게이션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를 운전사에게 설명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취객일 경우 운전사가 목적지를 확인하는 데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도 편리하게 목적지 정보를 택시 내비게이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승객 단말기에서 최적 경로와 실제 주행한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승객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지인 단말기에 전송하여, 승객의 위치를 지인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교통카드 리더기에서 택시 정보(차량번호, 차고지 정보, 기타)를 승객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택시 운전사의 범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은,
승객이 휴대하며, 목적지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목적지 위치 정보 요청시 목적지 위치정보에 대한 GPS 좌표값을 전송하는 승객 단말기와;
상기 승객 단말기의 접속시 목적지 위치정보에 대한 GPS좌표값을 수신하고, 택시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교통카드 리더기와;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목적지 좌표값을 기초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목적지로 설정하고, 상기 생성한 경로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승객 단말기는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와 근거리 무선통신(NFC통신)을 통해 접속하고,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택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에서 전송된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승객 단말기는,
입력된 목적지 정보의 저장과 수신된 경로 정보의 저장을 제어하며, 위치 정보를 지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GPS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좌표값을 생성하는 목적지 좌표값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승객 단말기는,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GPS수신부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지인 단말기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승객 단말기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목적지 좌표값 생성부에서 생성한 목적지 좌표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메모리이거나 유심(usim)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승객 단말기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차량 내비게이션에서 전송받은 경로 정보와 현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경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경로 확인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은,
(a)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의 확인결과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 선택시 목적지가 입력되면 해당 목적지에 대응하는 목적지 좌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c) 택시에 구비된 교통카드 리더기와 접속시 상기 저장한 목적지 좌표값을 목적지 위치정보로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은,
(d)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택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택시 정보는 차량번호, 차고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은,
(e)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과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f) 상기 (e)단계의 확인결과 내비게이션과 접속된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은,
(g) GPS수신 신호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지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h)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경로 정보와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경로 추적 결과는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목적지 정보를 저장하고, 택시의 리더기(교통카드 리더기)와 접속시 리더기에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여 차량 내비게이션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를 운전사에게 설명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취객일 경우 운전사가 목적지를 확인하는 데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도 편리하게 목적지 정보를 택시 내비게이션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외국어를 모르는 운전사도 외국인을 정확하게 목적지에 데려다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 단말기에서 최적 경로와 실제 주행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승객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지인 단말기에 전송하여, 승객의 위치를 지인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카드 리더기에서 택시 정보(차량번호, 차고지 정보, 기타)를 승객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택시 운전사의 범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승객 단말기의 실시 예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승객 단말기(100), 교통카드 리더기(200), 차량 내비게이션(300) 및 지인 단말기(400)로 구성된다.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에 탑승하는 승객이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목적지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목적지 위치 정보 요청시 목적지 위치정보에 대한 GPS 좌표값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승객 단말기(100)는 통상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무선 통신과 모바일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승객 단말기(100)는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NFC통신)을 통해 접속하고,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200)로부터 전송된 택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300)에서 전송된 경로 정보를 저장한다.
주지한 승객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 선택, 목적지 입력 등을 위한 입력 수단(101)과; 입력된 목적지 정보의 저장과 수신된 경로 정보의 저장을 제어하며, 위치 정보를 지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102)과; GPS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03)와; 지도 데이터베이스(104)와 연동하여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좌표값을 생성하는 목적지 좌표값 생성부(105)를 포함한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시 상기 제어수단(102)의 제어에 따라 상기 GPS수신부(103)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지인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부(107)와; 상기 제어수단(102)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목적지 좌표값 생성부(105)에서 생성한 목적지 좌표값을 저장하는 저장부(10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부(106)는 통상의 디지털 저장장치인 메모리이거나 유심(usim)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객 단말기(100)는 상기 제어수단(102)의 제어에 따라 차량 내비게이션(300)에서 전송받은 경로 정보와 현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경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경로 확인정보를 저장부(106)에 저장하는 경로 확인부(108)와; 현재 위치정보를 지인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부(107)와;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거나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300)과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109)을 더 포함한다.
교통카드 리더기(200)는 통상의 택시에 구비되어 결재 등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승객 단말기(100)의 접속시 목적지 위치정보에 대한 GPS좌표값을 수신하고, 택시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택시 정보는 차량 번호, 차고지 등과 같이 택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 내비게이션(300)은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200)로부터 전송된 목적지 좌표값을 기초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목적지로 설정하고, 상기 생성한 경로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량 내비게이션(300)은 통상의 택시에 구비된 내비게이션을 의미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목적지 정보를 내비게이션에 입력함으로써, 운전사는 승객에게 목적지 정보를 물어볼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외국어를 잘 못하는 운전사일 경우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과의 대화를 할 필요없이 목적지 정보를 내비게이션에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인 단말기(400)는 상기 승객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상기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을 의미한다. 지인 단말기(400)에 대한 전화번호 정보는 승객 단말기(100)의 저장부(106)에 저장하고,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이 동작하는 환경에서만 제어수단(102)의 제어에 따라 현재 승객의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주기적으로 지인 단말기(400)로 전송해주어, 지인이 해당 승객이 현재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은, 택시에 탑승하기 이전에 승객은 자신이 휴대한 승객 단말기(100)의 입력 수단(101)을 통해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을 선택하게 된다.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수단(102)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장치를 통해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출해주게 되고, 이러한 메시지를 확인한 승객은 입력수단(101)을 이용하여 목적지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목적지 정보는 기존 차량 내비게이션에서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명칭, 주소 등과 같은 입력방식으로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수단(102)은 목적지 좌표값 생성부(105)를 제어하게 되고, 이러한 제어에 따라 목적지 좌표값 생성부(105)는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게 좌표값을 생성하게 된다. 예컨대, GPS수신부(103)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대한 GPS좌표값을 생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목적지 정보가 특정 상호일 경우, 해당 상호를 목적지 정보로 생성하는 것이 아니고, GPS위치정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해당 상호에 대한 실제 GPS좌표값을 목적지 좌표값으로 생성하게 된다.
제어수단(102)은 이렇게 생성한 목적지 좌표값을 저장부(106)에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106)는 통상의 휴대폰에 내장된 저장장치인 플래시 메모리이거나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내장된 유심(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를 의미한다. 유심카드는 가입자 정보를 탑재한 심(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와 UICC(universal IC card)가 결합된 형태로서,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이다. 이러한 유심 카드는 데이터 저장 기능도 가능하다.
목적지 정보를 승객 단말기(100)에 저장한 상태에서, 택시에 탑승한 승객은 자신이 휴대한 승객 단말기(100)만을 교통카드 리더기(200)에 근접시킨다. 교통카드 리더기(200)는 승객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특히, NFC통신)을 수행하여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즉,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좌표값을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NFC는 전자태그(RFID)의 하나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는 결제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승객 단말기(10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109)이 내장되며, 이러한 통신 모듈(109)은 NFC통신 이외에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무선 통신도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된다.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200)는 승객 단말기(100)의 통신 모듈(109)과 통신을 하여 목적지 위치 정보에 대한 목적지 좌표값을 수신하게 되면, 그 수신한 목적지 좌표값을 연계된 차량 내비게이션(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교통카드 리더기(200)와 차량 내비게이션(30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교통카드 리더기(200)는 접속된 승객 단말기(100)로 택시 정보(차량 번호, 차고지, 등)를 전송해준다.
상기 승객 단말기(100)의 통신모듈(109)은 수신한 택시 정보를 제어수단(102)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수단(102)은 그 전달되는 택시 정보를 저장부(106)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한 택시 정보는 사고 발생시 사고 원인 등을 규명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주지한 바와 같이 택시 정보를 승객 단말기(100)에 저장함으로써, 운전자의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 내비게이션(300)은 교통카드 리더기(200)로부터 목적지 좌표값을 수신하게 되면,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게 되고, 이렇게 생성한 경로대로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승객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경로 정보를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승객 단말기(100)는 통신 모듈(109)을 통해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수단(102)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수단(102)은 이를 저장부(106)에 저장함과 동시에 경로 확인부(108)에 경로 확인을 명령한다.
경로 확인부(108)는 상기 제어수단(102)의 제어에 따라 차량 내비게이션에서 전송받은 경로 정보와 현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경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경로 확인정보를 저장부(106)에 저장한다. 이러한 경로 확인부(108)는 운전자가 정해진 경로를 우회하여 과다하게 요금을 청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사건 발생시 승객의 이동 경로를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으므로, 사건 해결 등의 원인 규명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승객 단말기(100)는 위치정보 전송부(107)를 통해 현재의 위치 정보를 연계된 지인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의 전송은 택시 안심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에서만 선택적으로 하거나 승객의 요청에 따라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택시 안심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에서만 승객의 위치 정보를 지인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위치정보의 전송 시점은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가능한 데, 실시간으로 전송할 경우에는 너무 자주 접속을 해야하므로, 주기적(예를 들어, 3분, 5분, 10분, 기타)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지인은 택시에 탑승한 승객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위치 정보 전송시 최초 위치 정보 전송시에만 차량 내비게이션(300)으로부터 수신한 경로 정보를 지인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지인은 택시 승객의 경로로 알 수 있게 된다.
<실시 예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내며, 도 2의 제어수단(102)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택시 안심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은, (a)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1)와; (b) 상기 (a)단계의 확인결과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 선택시 목적지가 입력되면 해당 목적지에 대응하는 목적지 좌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S102 ~ S103)와; (c) 택시에 구비된 교통카드 리더기와 접속시 상기 저장한 목적지 좌표값을 목적지 위치정보로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에 전송하는 단계(S104 ~ S105)와; (d)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택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 여기서 택시 정보는 차량번호, 차고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은, (e)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과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7)와; (f) 상기 (e)단계의 확인결과 내비게이션과 접속된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내비게이션과 접속되지 않은 경우 내비게이션과의 접속을 대기하는 단계(S108 ~ S109)와; (g) GPS수신 신호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지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10)와; (h)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경로 정보와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경로 추적 결과는 저장하는 단계(S111 ~ S1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은, 단계 S101에서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은 저장부(106)에 저장해 놓고, 입력수단(101)을 통해 승객이 택시 안심서비스를 선택하면 제어수단(102)에서 이를 인지하고 저장부(106)로부터 택시 안심서비스 프로그램을 인출하여 실행하는 것으로서 시작이 된다.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면 단계 S102에서 승객이 목적지를 입력하는지를 확인하여, 승객이 목적지를 입력한 경우 단계 S103으로 이동하여 GPS 위치정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승객이 입력한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좌표값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한 목적지 좌표값을 저장부에 저장한다.
목적지 좌표값이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승객은 택시에 탑승하게 되면, 택시에 구비된 교통카드 리더기(200)에 목적지 좌표값이 저장된 승객 단말기(100)를 근접시키게 되고, 이후 교통카드 리더기(200)와 접속이 이루어지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부(106)에 저장한 목적지 좌표값을 교통카드 리더기(200)로 전송하게 된다(S104 ~ S105). 교통카드 리더기(200)는 목적지 좌표값을 수신하게 되면, 연동하는 차량 내비게이션(300)으로 목적지 좌표값을 전송하게 되고, 차량 내비게이션(300)은 해당 목적지 좌표값이 수신되면 즉시 경로 탐색을 하여 경로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객이 휴대폰(승객 단말기)을 교통카드 리더기(200)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승객 단말기(100)에 저장된 목적지 좌표값이 자동으로 교통카드 리더기(200)로 전송되므로, 승객은 목적지를 정확히 말하기 어려운 환경(예를 들어, 술에 취한 경우)에서도 정확하게 목적지를 운전사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운전사는 승객이 취한 경우에도 기존과 같이 목적지를 알기 위해서 장시간 승객과 실랑이를 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목적지를 차량 내비게이션에 직접 입력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운전사가 차량 내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입력해야하는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운전사에게 많은 편리성을 제공해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교통카드 리더기(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목적지 좌표값을 수신하게 되면, 그에 대한 응답과 함께 택시 정보(차량정보, 차고지, 기타 등등)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승객 단말기(100)는 단계 S106에서 수신한 택시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이렇게 저장되는 택시 정보는 추후 사건 발생시 참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비게이션(300)은 주지한 바와 같이 목적지 좌표값이 입력되면 경로 탐색을 통해 경로를 생성하게 되고, 그 생성한 경로 정보를 무선 통신(블루투스, 와이파이, 기타 등등)을 통해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단계 S107에서 승객 단말기(100)는 차량 내비게이션(300)과 접속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이 확인 결과 차량 내비게이션(300)과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접속 대기를 하고(S108), 이와는 달리 차량 내비게이션(300)과 접속이 이루어지면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300)으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후 단계 S110에서는 GPS를 통한 위치정보로 현재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지인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원격에 위치한 지인이 택시에 탑승한 승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단계 S111에서 제어수단(102)은 상기 저장한 경로 정보와 GPS 수신을 통한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경로를 추적하고, 그 추적 결과를 저장하게 된다(S112). 이러한 경로 추적은 승객이 초행길을 가거나 취한 경우 운전사가 이를 악용하여 경로를 우회하는 등의 행위를 할 경우, 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경로 추적 방법은, GPS 위성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한 경로 정보에 대비하여 현재 위치가 저장한 경로 상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승객은 목적지에 도착한 후 경로 추적 결과를 보고 운전사가 경로를 우회하여 요금을 더 많이 나오게 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승객 단말기
101… 입력수단
102… 제어수단
103… GPS수신부
105… 목적지 좌표값 생성부
107… 위치정보 전송부
108… 경로 확인부
109… 통신 모듈
200… 교통카드 리더기
300… 차량 내비게이션
400… 지인 단말기

Claims (10)

  1. 승객이 휴대하며, 목적지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목적지 위치 정보 요청시 목적지 위치정보에 대한 GPS 좌표값을 전송하는 승객 단말기와;
    상기 승객 단말기의 접속시 목적지 위치정보에 대한 GPS좌표값을 수신하고, 택시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교통카드 리더기와;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목적지 좌표값을 기초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목적지로 설정하고, 상기 생성한 경로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 단말기는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와 근거리 무선통신(NFC통신)을 통해 접속하고,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택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에서 전송된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 단말기는,
    입력된 목적지 정보의 저장과 수신된 경로 정보의 저장을 제어하며, 위치 정보를 지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GPS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좌표값을 생성하는 목적지 좌표값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객 단말기는,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GPS수신부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지인 단말기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객 단말기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목적지 좌표값 생성부에서 생성한 목적지 좌표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메모리이거나 유심(usim)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객 단말기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차량 내비게이션에서 전송받은 경로 정보와 현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경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경로 확인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경로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7. (a)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의 확인결과 택시 안심서비스 기능 선택시 목적지가 입력되면 해당 목적지에 대응하는 목적지 좌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c) 택시에 구비된 교통카드 리더기와 접속시 상기 저장한 목적지 좌표값을 목적지 위치정보로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d) 상기 교통카드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택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택시 정보는 차량번호, 차고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e)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과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f) 상기 (e)단계의 확인결과 내비게이션과 접속된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g) GPS수신 신호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지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h)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경로 정보와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경로 추적 결과는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안심서비스 방법.

KR1020120129112A 2012-11-14 2012-11-14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2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112A KR20140062678A (ko) 2012-11-14 2012-11-14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112A KR20140062678A (ko) 2012-11-14 2012-11-14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678A true KR20140062678A (ko) 2014-05-26

Family

ID=5089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112A KR20140062678A (ko) 2012-11-14 2012-11-14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26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125B1 (ko) * 2014-06-20 2015-02-04 김동연 차량승객안전 서비스시스템 및 차량승객안전 서비스방법
WO2016043413A1 (ko) * 2014-09-19 2016-03-24 이예진 고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3283626A (zh) * 2020-02-19 2021-08-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服务器、用户终端及存储介质
KR102555619B1 (ko) * 2022-11-22 2023-07-17 컨시 주식회사 대리운전 지원용 모바일 카드결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125B1 (ko) * 2014-06-20 2015-02-04 김동연 차량승객안전 서비스시스템 및 차량승객안전 서비스방법
WO2016043413A1 (ko) * 2014-09-19 2016-03-24 이예진 고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34479A (ko) 2014-09-19 2016-03-30 이예진 고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3283626A (zh) * 2020-02-19 2021-08-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服务器、用户终端及存储介质
KR102555619B1 (ko) * 2022-11-22 2023-07-17 컨시 주식회사 대리운전 지원용 모바일 카드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4985A1 (en) Method of remotely identifying one of a passenger and an assigned vehicle to the other
US20220308584A1 (en) Automatic driving vehicle and program for automatic driving vehicle
US9123185B2 (en) Passenger trans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tickets in such a system
EP3958596A1 (en) In-vehicle access application
KR102270322B1 (ko) 운전자 식별 장치 및 운전자 식별 신호 송신기를 포함하는 차량
CN104620277A (zh) 用于提供交通服务信息的方法和移动终端,用于管理交通服务的方法和服务器及用于提供交通服务的方法和车辆
CN104361488A (zh) 一种基于微信的公交选乘支付方法及系统
KR20140062678A (ko) 택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7997A (ko) 스마트 택시 서비스 지원 시스템
US20210264784A1 (en) Server, vehicle operation system, vehicle op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7083859B2 (ja) 公共交通システム
KR20160105200A (ko)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3199B1 (ko) 고속버스 휴게소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1602A (ko)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55541A (ko) 지능형 택시 정류장 시스템
US11443561B2 (en) Vehic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processing using vehicle device
KR101504321B1 (ko) 포인트를 이용한 콜 택시 서비스 방법
JP2013140413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ゲート受付システム
KR20140108466A (ko) 스마트폰의 nfc를 이용한 안심 승차 서비스 방법
KR102607948B1 (ko) 자율 주행 차량을 이용한 카쉐어링 서비스의 운영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카쉐어링 서비스 운영 시스템
US20230141894A1 (en) Delivery management device and delivery management method
KR101804638B1 (ko) 택시승하차 정보를 이용한 택시 서비스 제공방법
US20210264328A1 (en) Server, vehicle dispatch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vehicle dispatch system
KR101844636B1 (ko) 택시 단말기 및 택시승하차 정보를 이용한 택시 서비스 제공방법
EP2228763A1 (en) Approval and payment system for accessing to mobility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