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562A -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562A
KR20140062562A KR1020120127661A KR20120127661A KR20140062562A KR 20140062562 A KR20140062562 A KR 20140062562A KR 1020120127661 A KR1020120127661 A KR 1020120127661A KR 20120127661 A KR20120127661 A KR 20120127661A KR 20140062562 A KR20140062562 A KR 20140062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itude
glove box
actuator
target volt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763B1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7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글러브 박스의 개폐 상태에 대응되도록 목표 전압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글러브 박스 도어가 개방된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포텐셔미터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글러브 박스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글러브 박스 도어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도중에 부하가 발생되면,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OF GLOVE BOX OF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러브 박스의 개폐 도중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 도모에 보다 유리한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내부에는 차량 주행에 필요한 각종 장치뿐만 아니라, 차량의 보험 증서, 차량 유리 세정제, 티슈, 차량 통행 영수증과 같이 차량의 주행과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물품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들은 차량의 주행 시 언제 필요하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운전자들은 이러한 물품들을 차량에 항시 보관하곤 한다.
그러므로 이들 물품이 차량 내부에 수납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차량의 보조석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전술한 다양한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글러브 박스가 마련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글러브 박스는 커버가 닫혀 내부 수납함이 폐쇄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사이에 껴서 상해를 입는 안전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이 차량에 탑승한 경우, 부주의로 인한 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 안전 사고 발생의 우려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사고의 대비책이 마련되지 않아왔다.
또한 글러브 박스의 내부 수납함에 과중한 물건이 수납되어 있어 글러브 박스 커버가 개방되는 경우 갑작스럽게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커버 하측에 배치되어 있던 사용자의 신체나 물건이 손상을 입는 것과 같은 사고 발생의 우려도 있어 왔다.
이 역시 별다른 안전 조치가 취해지지 않고 있어,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공개 특허공보 제10-2012-00637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글러브 박스가 개폐되는 도중에 발생 가능한 사고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글러브 박스의 개폐 상태에 대응되도록 목표 전압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글러브 박스 도어가 개방된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포텐셔미터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글러브 박스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글러브 박스 도어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도중에 부하가 발생되면,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도중에 부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와 기설정된 목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피드백 전류의 크기가 상기 목표 전류의 크기보다 크면 상기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글러브 박스 커버의 개방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포텐셔미터; 상기 포텐셔미터를 통과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포텐셔미터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 전압의 크기와 기설정된 목표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글러브 박스가 개폐되는 도중에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반대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와 더불어 액츄에이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기에도 보다 유리한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글러브 박스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글러브 박스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글러브 박스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글러브 박스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제어 방법은 목표 전압의 크기 설정 단계(S100), 피드백 전압의 크기 측정 단계(S200), 목표 전압과 피드백 전압의 크기 비교 단계(S300), 목표 전압과 피드백 전압의 크기에 따라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S400, S500) 및 목표 전압의 크기 재설정 단계(S600)를 포함한다.
목표 전압의 크기 설정 단계는 사용자가 글러브 박스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 작동 조작 신호를 제공하면, 글러브 박스가 현재 개방되었는지 혹은 폐쇄되었는지 각각의 상태에 따라, 이에 대응되도록 목표 전압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이다(S100).
글러브 박스가 개방된 경우에는 글러브 박스를 개폐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가 글러브 박스가 폐쇄된 경우에 비하여 약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전압의 크기를 현재 상태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글러브 박스가 폐쇄된 경우에는 글러브 박스를 개폐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가 글러브 박스가 개방된 경우에 비하여 강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전압의 크기를 현재 상태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라 글러브 박스의 개폐 상태에 따라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글러브 박스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재 측정되는 전압의 세기가 0V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때는 목표 전압을 5V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도 3과 같이 글러브 박스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재 측정되는 전압의 세기가 5V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때는 목표 전압을 0V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본 출원서에 기재된 수치 상의 표현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정된 예시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수치값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피드백 전압의 크기 측정 단계는 글러브 박스가 개방된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포텐셔미터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이다(S200).
즉, 사용자로부터 글러브 박스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 작동 조작 신호가 제공되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이에 대응되도록 목표 전압의 크기를 설정하고, 전원이 연결되면 포텐셔미터로부터 피드백 전압을 획득하여 그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포텐셔미터는 가변 저항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글러브 박스 도어가 개방된 정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텐셔미터에 의하면, 글러브 박스 커버의 회전 각도를 통해 피드백되는 전압값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즉, 글러브 박스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일수록 글러브 박스 커버의 회전 각도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점차 낮은 전압값을 피드백 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글러브 박스 커버가 점차 폐쇄되어 있는 상태일수록 글러브 박스 커버의 회전 각도가 감소되며, 이에 따라 점차 높은 전압값을 피드백 할 수 있다.
포텐셔미터로부터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획득되면, 이를 목표 전압의 크기와 비교하는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목표 전압의 크기와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는 목표 전압의 크기와 피드백 전압의 크기에 따라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이다(S300).
목표 전압의 크기와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목표 전압의 크기가 피드백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글러브 박스 도어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가 작동중임에도 불구하고 글러브 박스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못한 상태에 해당한다.
따라서 글러브 박스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400).
반대로 목표 전압의 크기와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목표 전압의 크기가 피드백 전압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글러브 박스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이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가 작동중임에도 불구하고 글러브 박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지 못한 상태에 해당한다.
따라서 글러브 박스 도어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00).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목표 전압의 크기와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각각의 크기에 따라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단계(S200 내지 S500)는 수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목표 전압의 크기와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방향이 결정된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는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되면 장치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될 수 있으며, 글러브 박스 도어에 사용자의 신체가 삽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작동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를 가하는 것과 같은 인명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도중에 부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다.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이전 단계를 통해 글러브 박스의 개폐 상태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었던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이다(S600).
이때, 재설정되는 목표 전압의 크기는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기 위한 값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즉,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개방된 글러브 박스를 폐쇄시키기 위해서 목표 전압으로 5V를 설정하였었으나,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도중에 부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폐쇄되고 있던 글러브 박스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목표 전압을 0V로 재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폐쇄된 글러브 박스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목표 전압으로 0V를 설정하였었으나,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도중에 부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개방되고 있던 글러브 박스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목표 전압을 5V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글러브 박스를 폐쇄시키기 위해 작동되던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라 함은 글러브 박스 내부의 수납함과 글러브 박스 커버 사이에 사용자의 손과 같은 신체의 일부 또는 수납함에 수납된 사물의 일부가 삽입된 채 계속하여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삽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면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으며, 특히 어린 아이의 신체 일부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대형 인명 사고로까지 확대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사물의 일부가 삽입되었다 하더라도 이를 인식하지 못한 채, 액츄에이터가 계속하여 작동되면 무리한 사용으로 인해 액츄에이터의 구동부가 과열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존재한다.
한편 글러브 박스를 개방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라 함은 글러브 박스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무릎과 같은 신체의 일부 또는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사물의 일부로 인해 개방되고 있던 글러브 박스의 커버가 더 이상 개방되지 못한 채 계속하여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 인해 글러브 박스 커버의 개방이 방해되고 있는 경우에도 액츄에이터가 계속하여 작동되면 사용자에게 과도한 압박이 가해질 수 있어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어린 아이의 신체에 과도한 압박이 가해지게 되면 이 역시 대형 인명 사고로까지 확대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또한 사물의 일부로 인해 글러브 박스 커버의 개방이 방해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 역시 액츄에이터의 구동부에 과열 또는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위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도중에 부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액츄에이터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이 반대가 될 수 있도록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라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일 예로 액츄에이터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와 기설정된 목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고, 피드백 전류의 크기가 목표 전류의 크기보다 큰 경우,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따라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부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목표 전압의 크기와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는, 목표 전압의 크기와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여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이 결정되는 단계들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글러브 박스 커버가 더 개방되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거나 반대로 글러브 박스 커버가 더 폐쇄되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다가 수 차례 반복 후 목표 전압의 크기와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서로 동일해지게 되면 글러브 박스 커버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어, 필요성의 상실로 인해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이다(S700).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사용자가 조작하고자 하던 의도대로 글러브 박스의 개방 또는 폐쇄가 완료되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중지하고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작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던 전원의 방향을 반대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과열 또는 오작동과 같은 기기적 손상이 발생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가 발생되는 것과 같은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는 포텐셔미터(20), 액츄에이터(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포텐셔미터(20)는 글러브 박스 커버의 개방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것으로, 가변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텐셔미터(20)에 구비된 가변 저항은 글러브 박스 커버가 개방되는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라 포텐셔미터(20)로부터 피드백되는 피드백 전압의 크기는 글러브 박스 커버가 완전히 개방될수록 작은 전압값을 피드백 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글러브 박스 커버가 완전히 폐쇄될수록 큰 전압값을 피드백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어 방법에서와 같이, 포텐셔미터(20)에서 변화되는 저항값에 의해 다르게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와 목표 전압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여 글러브 박스 커버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30)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0)는 포텐셔미터(20)를 통과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부분으로, 전술한 것과 같이 글러브 박스 커버를 구동시켜 글러브 박스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액츄에이터(30)의 작동 방향은 목표 전압의 크기와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30)에 부하가 걸리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에 의하여 작동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액츄에이터(30)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포텐셔미터(20)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 전압의 크기와 기설정된 목표 전압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으며, 비교된 결과에 따라 액츄에이터(30)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제어하여 글러브 박스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츄에이터(30)에 부하가 걸리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설정된 목표 전압의 값을 재설정함으로써, 액츄에이터(30)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반대로 바뀌도록 하여 액츄에이터(30)에 과열 또는 오작동과 같은 파손이 발생되거나 사용자의 신체가 상해를 입는 것과 같은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따르면, 글러브 박스가 개폐되는 도중에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반대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와 더불어 액츄에이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기에도 보다 유리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글러브 박스
20: 포텐셔미터
30: 액츄에이터
40: 제어부

Claims (5)

  1. 글러브 박스의 개폐 상태에 대응되도록 목표 전압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글러브 박스 도어가 개방된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포텐셔미터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글러브 박스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글러브 박스 도어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도중에 부하가 발생되면,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도중에 부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와 기설정된 목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피드백 전류의 크기가 상기 목표 전류의 크기보다 크면 상기 액츄에이터에 부하가 발생되었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전압의 크기와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어되는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로,
    글러브 박스 커버의 개방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포텐셔미터;
    상기 포텐셔미터를 통과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포텐셔미터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 전압의 크기와 기설정된 목표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KR1020120127661A 2012-11-12 2012-11-12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43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661A KR101431763B1 (ko) 2012-11-12 2012-11-12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661A KR101431763B1 (ko) 2012-11-12 2012-11-12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562A true KR20140062562A (ko) 2014-05-26
KR101431763B1 KR101431763B1 (ko) 2014-08-20

Family

ID=5089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661A KR101431763B1 (ko) 2012-11-12 2012-11-12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7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229B2 (ja) * 1987-08-04 1996-10-09 日本電装株式会社 挾み込み検出装置
KR100636964B1 (ko) * 2003-10-21 2006-10-1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763B1 (ko)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2470B2 (en) Human-cooperative industrial robot with lead-through function
US10518404B2 (en) Variable force exoskeleton hip joint
JP6077031B2 (ja) 左側スピンドルと右側スピンドルとの間の同期化動作を具備するパワートランクまたはパワーテールゲート制御方法
JP6066342B2 (ja) 窓開閉制御システム及び窓開閉制御装置
WO2013125490A1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US9347253B2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2019052468A (ja) 開閉体駆動装置
US20160257249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open-close member, and vehicle open-close member including the control device
CN109533009A (zh) 用于方向盘仿真器的流体流量控制机构
CN110958971B (zh) 辅助行李厢门打开/关闭的装置和方法
KR101431763B1 (ko) 글러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055729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losing process of a vehicle wing and corresponding vehicle closing system
EP2699971A1 (en) A hand-held terminal unit, an industrial robot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dustrial robot
RU25394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мещения дверей автомобиля
KR102299494B1 (ko) 차량의 윈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1021469A (ja) 輸送手段において駆動機構によって駆動される閉じる部分を操作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5810566B2 (ja) モータ制御装置
WO2018150784A1 (ja) 挟み込み検出装置
KR100783968B1 (ko) 능동형 도어힌지 구속장치
JP6697970B2 (ja) モ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モータ制御方法
CA3063399C (en) Variable force exoskeleton hip joint
JP5657924B2 (ja) 可動体駆動装置
CN111251845A (zh) 用于防止相对滑动门与车轮之间干扰的系统和方法
JP6270149B2 (ja) 窓開閉制御システム及び窓開閉制御装置
US20240125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tor-driven assistance of the movement of a vehicl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