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839A -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839A
KR20140061839A KR1020120128951A KR20120128951A KR20140061839A KR 20140061839 A KR20140061839 A KR 20140061839A KR 1020120128951 A KR1020120128951 A KR 1020120128951A KR 20120128951 A KR20120128951 A KR 20120128951A KR 20140061839 A KR20140061839 A KR 20140061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battery
relay
charging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275B1 (ko
Inventor
강종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2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는, 단락시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생성된 고전압을 고전압 배터리에 공급하는 제1 릴레이; 단락시에 저전압을 저전압 배터리에 공급하는 제2 릴레이; 상기 제2 릴레이의 단락시에, 상기 고전압을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대응하는 상기 저전압으로 레벨(Level) 하향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제2 릴레이의 단락시에 구동되어,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로부터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력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력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를 개방하고 타이머를 구동하여 기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릴레이를 단락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Charge}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큰 대안으로 여겨지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주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된다.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며,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를 생성해 배터리에 충전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체를 움직인다.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 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고전압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한다. 종래의 배터리 충전 장치는 외부 전원에 플러그를 꽂아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외부전원에 플러그가 꽂힌 상태에서도 배터리 충전 완료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내부 전장부품에 의해 전력이 소모되어, 배터리가 자연 방전되는 현상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배터리 충전 장치는 국내공개특허 제2012-12659호와 같이,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완료시에, 고전압 배터리의 연결/개방하는 차량 제어부와 고전압 배터리 상태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가동시키지 않고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만을 상시 동작시키는 절전 모드를 이용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배터리 충전 장치는 절전 모드에서 상시 동작하는 전압 검출부에 의해 저전압 배터리가 방전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충전지와 배터리 관리 센서에 각기 SOC(State of Charge) 계산 로직이 구비되어, 소프트웨어가 복잡하고 부품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는, 단락시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생성된 고전압을 고전압 배터리에 공급하는 제1 릴레이; 단락시에 저전압을 저전압 배터리에 공급하는 제2 릴레이; 상기 제2 릴레이의 단락시에, 상기 고전압을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대응하는 상기 저전압으로 레벨(Level) 하향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제2 릴레이의 단락시에 구동되어,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로부터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력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력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를 개방하고 타이머를 구동하여 기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릴레이를 단락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에 의한 배터리 충전 방법은,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제2 릴레이를 단락하여 저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배터리 관리부 및 컨버터에 저전압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력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력 상태이면, 상기 고전압을 상기 고전압 배터리에 공급하는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를 개방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컨버터를 오프(Off)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개방 후 기설정된 일정시간 마다 상기 제2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재시작할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을 때에는 저전압 배터리를 간헐적으로 이용하여 저전압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10)는 플러그(110), 충전기(120), 배터리 관리부(160), 컨버터(140), 제1 릴레이(130) 및 제2 릴레이(18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고전압 배터리(150)와 저전압 배터리(170)가 배터리 충전 장치(1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그러나, 고전압 배터리(150)와 저전압 배터리(170)는 배터리 충전 장치(10) 내에 포함되지 않고, 배터리 충전 장치(10)와 별도로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플러그(11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 전원부(121)에 전달한다.
충전기(120)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하며, 충전 전원부(121) 및 충전 제어부(122)를 포함한다. 충전 전원부(121)는 충전 제어부(122)의 제어에 따라 외부 교류 전원을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디지털 고전압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1 릴레이(130)의 단락시에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한다. 충전 제어부(122)는 충전 전원부(121)를 제어하고, 제2 릴레이(180)의 단락/개방을 제어한다. 또한, 충전 제어부(122)는 배터리 관리부(160)와 통신하여 배터리 관리부(160)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배터리 관리부(160)의 오프시에 타이머를 구동하여 배터리 충전 완료 후 배터리 충전 재시작해야 하는 시점을 확인한다. 이때, 충전 제어부(122)는 배터리 충전을 시작 또는 재시작해야 하는 시점이면, 제2 릴레이(180)를 단락하여 배터리 관리부(160) 및 컨버터(140)를 구동시킨다.
컨버터(140)는 구동되면, 배터리 관리부(160)의 제어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150)의 전원을 레벨 하향 변환하여 저전압 배터리(170)에 공급한다.
배터리 관리부(160)는 제2 릴레이(180)가 단락되면, 저전압 배터리(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배터리 관리부(160)는 구동시에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제1 릴레이(130)의 개방/단락을 제어하며, 충전 제어부(122)에 충전 시작 명령과 충전 완료 명령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160)는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상태가 제1값 또는 제2값 미만이면, 충전 제어부(122)에 충전 시작 명령을 전달한다. 그리고, 제1 릴레이(130)의 단락하여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하고,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상태가 제1값 또는 제2값 이상이면, 충전 제어부(122)에 충전 완료 명령을 전달한다. 그러면, 충전 제어부(122)가 제2 릴레이(140)를 개방하여 배터리 관리부(1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을 중단하고, 저전압 배터리(170)의 방전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값은 플러그(110)가 외부 전원에 꽂힌 후 최초로 충전될 경우의 배터리 충전 시작과 완료를 결정하는 기준 충전율이며, 제2값은 최초 충전 이후의 배터리 충전 시작과 완료를 결정하는 기준 충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값이 90%이면, 제2값은 85%일 수 있다.
제1 릴레이(130)는 배터리 관리부(160)의 제어에 따라, 충전 전원부(121)와 고전압 배터리(150) 간의 경로를 단락 또는 개방한다. 제1 릴레이(130)는 단락되면, 충전 전원부(121)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 배터리(150)에 공급한다.
제2 릴레이(180)는 충전 제어부(122)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 관리부(160)와 저전압 배터리(170) 간의 경로를 단락 또는 개방한다. 제2 릴레이(180)는 단락되면, 저전압 배터리(170)의 전원을 배터리 관리부(160)에 공급한다.
요약하면, 배터리 충전 장치(10)는 하기의 과정을 통해서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 및 충전 완료한다. 먼저, 충전기(120)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충전 제어부(122)에 의해 제2 릴레이(180)가 온(ON) 되어, 전원을 인가받은 배터리 관리부(160) 및 컨버터(140)가 구동된다. 배터리 관리부(160)는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상태로부터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이 필요함을 확인하면, 제1 릴레이(130)를 단락시켜,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한다. 배터리 관리부(160)는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그 충전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완료를 확인하면, 충전 제어부(150)에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을 완료할 것을 알린다. 그러면, 충전 제어부(150)가 제2 릴레이(180)를 개방하여 배터리 관리부(160) 및 컨버터(140)를 오프(Off)한다. 여기서, 충전 제어부(122)는 배터리 충전완료를 확인하면, 타이머를 구동시켜 기설정된 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Time Out)를 확인하고, 타임 아웃되면 제2 릴레이(180)를 단락하여 배터리 충전 과정에 다시 들어간다.
한편, 배터리 관리부(160)는 구동시에, 저전압 배터리(170)의 전압 또는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저전압 배터리(170)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컨버터(140)에 의해 고전압 배터리(150)의 전원을 레벨 하향 변환하여 저전압 배터리(170)를 충전한다. 여기서, 배터리 관리부(160)는 제1 릴레이(130)의 개방시에 저전압 배터리(170)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제1 릴레이(130)를 단락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 전원에 의해 타이머를 구동시켜 일정시간마다 배터리 관리부(160)를 동작시켜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상태를 확인하고,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이 필요하면,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을 재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하지 않을 때에는 저전압 배터리(170)를 간헐적으로 이용하여 저전압 배터리(170)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배터리 충전에 차량 제어기가 이용되지 않도록 하여 충전 로직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터리 관리부(BMS)에 의해 배터리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소프트웨어 코드 량, 수행시간 및 개발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러그(110)를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충전기(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충전 제어부(122)가 가동된다(S200). 이때, 충전 전원부(121)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하기 위한 고전압(디지털 전원)을 생성한다.
충전 제어부(122)는 제2 릴레이(180)를 단락시키고(S210), 그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170)에서 배터리 관리부(160) 및 컨버터(140)로 저전압 전원이 인가되어, 배터리 관리부(160) 및 컨버터(140)가 동작한다. 이때, 컨버터(140)는 구동 전원을 인가받았으나, 입력 전원을 인가받지 못했을 경우, 레벨 변환 기능을 수행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배터리 관리부(160)는 플러그(110)를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된 후 고전압 배터리(150)를 최초로 충전하는 것인지를 확인한다(S220).
배터리 관리부(160)는 최초 충전이면,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율이 기설정된 제1값(a) 미만인지를 확인한다(S230). 여기서, 제1값은 플러그(110)가 외부 전원에 꽂힌 후 최초로 충전될 경우의 배터리 충전 시작과 완료를 결정하는 기준 충전율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60)는 고전압 배터리(150)의 전압이 제1값 미만이면, 제1 릴레이(130)를 단락한다(S240). 그러면, 교류 전압이 충전기(120)로부터 고전압 배터리(150)로 인가되어, 고전압 배터리(150)가 충전되고, 컨버터(140)가 동작하여 고전압 배터리(150)의 전원을 레벨 하향 변환하여 저전압 배터리(170)를 충전한다.
배터리 관리부(160)는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하면서, 그 충전상태를 적어도 일정주기로 확인하며,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상태가 제1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250).
배터리 관리부(160)는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상태가 제1값 이상이면, 충전 제어부(122)에 충전완료를 알린다. 그러면, 충전 제어부(122)가 제1 및 제2 릴레이(130, 180)를 개방하여, 배터리 관리부(160) 및 컨버터(140)를 오프한다(S260). 이때, 충전 제어부(122)는 제1 및 제2 릴레이(130, 180)의 개방하기 이전에 배터리 관리부(160) 및 컨버터(140)를 오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전 제어부(122)는 배터리 관리부(160)의 오프 상태이면, 타이머를 구동시켜, 충전 완료 후 기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70).
충전 제어부(122)는 충전 완료 후 일정시간이 경과 되면, (S210)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한편, 배터리 관리부(160)는 (S230) 단계에서, 고전압 배터리(150)를 최초 충전하는 것이 아니면, 배터리 충전상태가 제2값(b) 미만인지 확인한다(S280). 여기서, 제2값은 최초 충전 이후의 배터리 충전 시작과 완료를 결정하는 기준 충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값이 90%이면, 제2값은 85%일 수 있다. 이때, 배터리 관리부(160)는 충전 제어부(122)와 통신하여 외부 전원이 인가된 후 고전압 배터리(150)를 최초 충전하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충전 제어부(122)는 외부 전원이 인가된 후 타이머를 구동한 이력이 있으면, 고전압 배터리(150)의 최초 충전이 아닌 것으로 배터리 관리부(160)에 안내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60)는 배터리 충전상태가 제2값 미만이면, (S240)단계를 수행하여 배터리 충전을 시작한다.
한편, 배터리 관리부(160)는 제2 릴레이(180)를 단락한 후 저전압 배터리의 전압 또는 충전상태가 제3값(d) 미만인지를 확인한다(S290). 여기서, 제3값은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시작과 완료를 결정하는 기준 전압 또는 기준 충전율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60)는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제3값 미만이면, 고전압 배터리(150)의 전원을 이용하여 저전압 배터리(170)를 충전한다(S300). 여기서, 배터리 관리부(160)는 제1 릴레이(130)가 개방된 상태이면, 제1 릴레이(130)를 단락하여 저전압 배터리(170)를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 전원에 의해 타이머를 구동시켜 일정시간마다 배터리 관리부(160)를 동작시켜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상태를 확인하고,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이 필요하면, 고전압 배터리(150)의 충전을 재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전압 배터리(150)를 충전하지 않을 때에는 저전압 배터리(170)를 간헐적으로 이용하여 저전압 배터리(170)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배터리 충전에 차량 제어기가 이용되지 않도록 하여 충전 로직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터리 관리부(BMS)에 의해 배터리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소프트웨어 코드 량, 수행시간 및 개발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단락시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생성된 고전압을 고전압 배터리에 공급하는 제1 릴레이;
    단락시에 저전압을 저전압 배터리에 공급하는 제2 릴레이;
    상기 제2 릴레이의 단락시에, 상기 고전압을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대응하는 상기 저전압으로 레벨(Level) 하향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제2 릴레이의 단락시에 구동되어,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로부터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력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력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를 개방하고 타이머를 구동하여 기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릴레이를 단락하는 충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타이머를 구동한 이력이 없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최초 충전일 경우에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제1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제1값 이상이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완료하여 상기 제1 릴레이를 개방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타이머를 구동한 이력이 있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최초 충전이 아니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상기 제1값 미만의 제2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제2 값 이상이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완료하여 상기 제1 릴레이를 개방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압 상태가 아닐 때,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제3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컨버터에 의해 레벨 하향 변환된 상기 저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를 개방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컨버터를 오프(Off)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장치.
  6. 배터리 충전 장치에 의한 배터리 충전 방법으로서,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제2 릴레이를 단락하여 저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배터리 관리부 및 컨버터에 저전압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력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저전력 상태이면, 상기 고전압을 상기 고전압 배터리에 공급하는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를 개방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컨버터를 오프(Off)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개방 후 기설정된 일정시간 마다 상기 제2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재시작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원의 인가 후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최초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최초 충전이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제1값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값 이상이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완료하여 상기 제1 릴레이를 개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충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원의 인가 후 상기 최초 충전이 아니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상기 제1값 미만의 제2 값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값 이상이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완료하여 상기 제1 릴레이를 개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충전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의 개방시에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제3값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릴레이를 단락하여 상기 컨버터에 의해 레벨 하향 변환된 상기 저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KR1020120128951A 2012-11-14 2012-11-14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909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51A KR101909275B1 (ko) 2012-11-14 2012-11-14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51A KR101909275B1 (ko) 2012-11-14 2012-11-14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839A true KR20140061839A (ko) 2014-05-22
KR101909275B1 KR101909275B1 (ko) 2018-10-17

Family

ID=5089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951A KR101909275B1 (ko) 2012-11-14 2012-11-14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2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186A (ko) 2015-12-07 2017-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원 관리 시스템
KR20180127242A (ko) * 2017-05-19 2018-11-28 발레오 지멘스 이오토모티브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전기 충전 시스템
KR20180127600A (ko) * 2017-05-19 2018-1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시스템
WO2022149780A1 (ko) * 2021-01-08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장치 및 전압 공급 방법
KR102442378B1 (ko) * 2021-05-10 2022-09-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의 통합 전력 변환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186A (ko) 2015-12-07 2017-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원 관리 시스템
KR20180127242A (ko) * 2017-05-19 2018-11-28 발레오 지멘스 이오토모티브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전기 충전 시스템
KR20180127600A (ko) * 2017-05-19 2018-1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시스템
WO2022149780A1 (ko) * 2021-01-08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장치 및 전압 공급 방법
JP2023514154A (ja) * 2021-01-08 2023-04-05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装置および電圧供給方法
KR102442378B1 (ko) * 2021-05-10 2022-09-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의 통합 전력 변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275B1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19823B (zh) 充电控制装置以及充电系统
US9073541B2 (en) Power source system for vehicle,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EP2535218B1 (en)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941019B2 (ja) 車両用電源装置
WO2013054435A1 (ja) 電気自動車用の充電装置
CN104604085A (zh) 用于交通工具的电力系统
KR101909275B1 (ko)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CN103477529B (zh) 车辆的控制装置
KR20120012660A (ko) 전기자동차 및 그 보조배터리의 충전제어방법.
CN103935258A (zh) 车辆的电源系统和包括其的车辆
KR20160013551A (ko) 친환경 자동차의 완속 충전 제어 방법
JP2009247057A (ja) 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KR101323916B1 (ko) 차량의 초기 기동 장치 및 방법
CN107323433B (zh) 车辆的故障检测维修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30069001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83066A (ko) 전기 자동차의 보조 전원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926896B1 (ko)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및 장치
CN106981914A (zh) 一种基于双电池的车载能量控制方法及系统
US8896267B2 (en) Charging control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JP2015180140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CN104554093B (zh) 用于操作机动车辆车载供电系统的方法以及其供电系统
JP2016059165A (ja) 電動車両の電源システム
KR101628552B1 (ko) 보조배터리 보충전 주기 설정 방법
US11285822B2 (en) Electric pow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758407B2 (ja) 電気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