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572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572A
KR20140061572A KR1020120127312A KR20120127312A KR20140061572A KR 20140061572 A KR20140061572 A KR 20140061572A KR 1020120127312 A KR1020120127312 A KR 1020120127312A KR 20120127312 A KR20120127312 A KR 20120127312A KR 20140061572 A KR20140061572 A KR 20140061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able
connector
sensor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걸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1572A/ko
Publication of KR20140061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부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정보를 전송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케이블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센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커넥터로 연장되는 제 1 파트; 및 상기 센서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커넥터로 연장되는 제 2 파트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실내기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에는, 다수의 센서가 포함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다수의 센서는, 흡입되는 공기 또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온도 센서 또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다수의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온도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다수의 온도 센서는, 상기 다수의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는 다수의 케이블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는 흡입되는 공기 또는 냉매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케이블은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는 실외기의 마이컴으로 전송된다. 이 때 상기 정보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상기 마이컴에 전송된다. 상기 마이컴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한다. 일 예로 상기 마이컴은 에이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온도 센서 작동 원리는, 금속체에 가해지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금속체는 온도 센서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에 가해지는 저항은 전압 측정치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측정치는, 상기 온도 센서에 디지털 신호가 전송될 때 그 값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디지털 신호는 상기 마이컴을 통해 상기 온도 센서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 센서는 주 케이블을 중심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분기되어 병렬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는 주 케이블은 다수의 분기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분기 케이블은 다수의 센서부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센서부와 상기 마이컴은 원활한 신호 교환을 위해 상기 다수의 센서부는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가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고 복잡해진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센서부는 주 케이블을 중심으로 각각 분기되어 연결되므로 상기 케이블 가공에 많은 작업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센서부가 분기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은 다수의 분기부를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분기부는 다수의 전선을 필요로 하므로 상기 분기부의 제조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가공 작업을 최소화하고, 센서부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부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정보를 전송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케이블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센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커넥터로 연장되는 제 1 파트; 및 상기 센서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커넥터로 연장되는 제 2 파트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이 센서부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연결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를 추가로 삽입할 때 커넥터를 활용하여 케이블과 센서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조화기는 다수의 부품이 하나의 캐비넷에 수용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 및 실외기로 구분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나뉜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열교환기, 송풍팬 등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열교환기, 송풍팬, 압축기, 팽창밸브 등의 다수의 부품이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센서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다수의 센서는 종류의 제한이 없다. 예시적으로, 흡입되는 공기 또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온도 센서,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다수의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의 온도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의 실외기(100)는, 외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판넬 중 상기 실외기(100)의 후면에는 후방판넬(110)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판넬(110)의 전방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미도시)과 상기 후방판넬(110)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열교환기(300)가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실외열교환기(300)는 상기 실외기(100)의 후방판넬(110)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후방판넬(100)의 내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2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300)의 전방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40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200)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매관(400)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 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400)은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홀더(60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홀더(600)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5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부(500)는 실외기 주변의 온도 및 상기 실외열교환기(300)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500)에서 감지된 정보는 컨트롤부(미도시)로 전달된다. 상기 센서부(50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감지되면, 열교환 사이클을 역으로 순환시켜서 상기 실외열교환기(300)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부(500)는 온도 뿐만 아니라 습도, 공기청정도 등의 외부 환경을 센싱할 수도 있다.
상기 홀더(600)는 일 예로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600)는 냉매관(400)이 삽입되는 냉매관 삽입 홈(610) 및 센서부(500)가 삽입되는 센서부 고정 홈(6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500)를 상기 홀더(600)의 센서부 고정 홈(620)에 삽입하고, 상기 냉매관(400)을 상기 홀더(600)의 냉매관 삽입 홈(610)에 삽입하여 상기 냉매관(400) 및 상기 센서부(5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500)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센서부(500)는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센서부(5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5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540), 외부 환경의 특정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칩(510), 상기 센서 칩(510)이 고정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회로기판(520) 및 상기 회로기판(520)을 상기 케이스(540)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테두리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520)은, 상기 케이스(5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40)의 양단에는 케이블(700)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 홀(54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홀(541)은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홀(541)의 개수는 상기 케이블(700)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700)은 상기 센서 칩(51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칩(510)은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센서 칩(510)은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 칩(510)이 측정하는 정보는 외부의 온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습도 등 다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520)은 다수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은, 상기 센서 칩(510)이 위치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센서부(500)의 양단에는 케이블(700)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700)은 상기 센서부(500)에서 측정한 정보를 전달한다. 일 예로 제 1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 1 센서부의 일단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센서부로 전달되거나 상기 제 1 센서부의 타단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3 센서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00)의 종류는 디지털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센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 칩(510)은 에이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온도 센서는, 금속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저항은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되는 전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압에 관한 아날로그 신호는 마이컴으로 전송된다. 상기 마이컴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다시 상기 온도 센서로 상기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부(500)가 디지털 센서이므로, 상기 센서부(500) 자체에서 전압에 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500)에서 측정되는 정보가 마이컴으로 전송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500)의 양단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직선 연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다수의 센서부가 연결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외부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부(500), 상기 다수의 센서부(500) 간의 정보를 교환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케이블(7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센서부(500) 양단에는 상기 케이블(7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센서부(500)는 제 1 커넥터(800)와 제 2 커넥터(900)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500)의 개수가 n개라 하면, 상기 제 1 커넥터(800)의 일측에는 제 1 센서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 2 커넥터(900)의 일측에는 제 n 센서부가 위치한다.
상기 케이블(700)의 일측에는 제 1 커넥터(800)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 커넥터(800)는 상기 케이블(700)에 의해 상기 제 1 센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800)는 상기 다수의 센서부(500)가 연결되는 케이블(700)과 실외기의 회로기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일 예로 상기 제 1 커넥터(800)는 피시비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700)의 타측에는 제 2 커넥터(900)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제 2 커넥터(900)는 상기 케이블(700)에 의해 상기 제 n 센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900)는 상기 다수의 센서부(500)가 연결되는 케이블(700)상에 설치되는 커넥터이다. 일반적으로 실외기가 외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제 2 커넥터(900)는 방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커넥터(900)는 방수 부재가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커넥터(90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커넥터(90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일 예로, 상기 제 2 커넥터(900)는 상기 케이블(700)의 타측에 단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50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커넥터(800)로 연장되는 부분을 제 1 파트라 하고, 상기 센서부(50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커넥터(900)로 연장되는 부분을 제 2 파트라 하면, 상기 센서부(500)의 일단에는 제 1 파트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500)의 타단에는 제 2 파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시된 제 2 커넥터(900)와 케이블 사이의 연결 관계가 다르게 제안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구성요소는 동일하고 제 2 커넥터의 위치만이 변경되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커넥터(900)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넥터(900)는 상기 센서부(500)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700)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다수의 케이블이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케이블(700)이 일체로 제조될 때 센서부와 케이블의 연결 과정을 설명한다.
케이블(700)의 일단에는 제 1 커넥터(800)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커넥터(800)는 상기 케이블(700)에 의해 제 2 커넥터(9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커넥터(900)와 센서부(500)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A 방향).
상기 다수의 센서부 양단에는 케이블(700)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센서부(500)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케이블(700) 각각에 상기 제 2 커넥터(900)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700)의 방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 2 커넥터(900)는 방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커넥터(800)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제 1 케이블이라 이름하고, 상기 제 1 케이블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제 2 케이블이라 이름하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케이블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커넥터(800)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의 타단에는 제 2 커넥터(90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는 서로 다른 제 2 커넥터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케이블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5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2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는 동일하다.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커넥터(900)를 분리하여 상기 케이블(700)에 상기 센서부(500)를 쉽게 삽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블은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제 2 케이블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 2 커넥터(900)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700)의 일단에는 제 1 커넥터(800)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커넥터(800)는 상기 케이블(700)에 의해 제 2 커넥터(9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커넥터(900)와 다수의 센서부(500)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B 방향).
케이블(700)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다수의 케이블이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케이블(700)이 일체로 제조될 때 센서부와 케이블의 연결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 1 커넥터(800)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커넥터와 그 다음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커넥터 사이의 구간을 L이라 한다면, 상기 L 구간에는 다수의 센서부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의 양단은 상기 케이블(70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 2 커넥터(900)는 방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케이블이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과정은 도 5에서 설명한 원리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커넥터의 위치 및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커넥터(800)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커넥터와 그 다음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커넥터 사이에는 3개 이상의 센서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센서부의 양단에 케이블이 연결된다는 점이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들은 상기 센서부와 케이블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의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할 뿐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수의 센서부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센서부가 측정하는 정보를 더욱 정확하고 균일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및 제 3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센서부(50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커넥터(800)로 연장되는 부분을 제 1 파트라 하고, 상기 센서부(50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커넥터(900)로 연장되는 부분을 제 2 파트라 하면, 상기 센서부(500)의 일단에는 제 1 파트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500)의 타단에는 제 2 파트가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센서부가 케이블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병렬로 연결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의 양단에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센서부의 설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공기조화기 100: 실외기
500: 센서부 700: 케이블

Claims (10)

  1. 외부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인식되는 정보를 전송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케이블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센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커넥터로 연장되는 제 1 파트; 및
    상기 센서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커넥터로 연장되는 제 2 파트가 포함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다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 사이에는, 상기 다수 개의 센서부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 2 커넥터는 다수 개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제 2 커넥터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가 상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며, 외부 환경의 특정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칩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센서 칩의 양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단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여 상기 센서 칩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외부에 제공되며,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테두리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조화기.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디지털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에이디 변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부 및 다수의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방수 부재가 포함되어 제조되는 커넥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20127312A 2012-11-12 2012-11-12 공기조화기 KR20140061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12A KR20140061572A (ko) 2012-11-12 2012-11-12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12A KR20140061572A (ko) 2012-11-12 2012-11-1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572A true KR20140061572A (ko) 2014-05-22

Family

ID=5089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312A KR20140061572A (ko) 2012-11-12 2012-11-1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15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239A1 (en) * 2014-08-27 2016-03-0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239A1 (en) * 2014-08-27 2016-03-0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0080C (en) Method and apparatus to accurately read ambient room temperature for a room sensor apparatus
US20200393140A1 (en) Air condtioning apparatus indoor unit including refrigerant detection sensor
CN104155704B (zh) 传感器探头
JP2014005996A (ja) 空調システムの風量測定装置
KR20140061572A (ko) 공기조화기
CN104421211A (zh) 具有温度感测元件的扇框及风扇
US20170138775A1 (en) Gas flow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9182261B1 (en) Thermal mass flow meter
US20190017717A1 (en) Airstream Senso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345554B1 (ko) Ess의 배터리 온도 및 변형율 측정용 시트형 광섬유 센서 및 이를 적용한 ess의 배터리 온도 및 변형율 측정장치
CN208296134U (zh) 空调器的连通管及空调器
WO2008085138A1 (en) Outdoor display
CN214038703U (zh) 一种感温包支架及空调器
CN211346903U (zh) 一种风管型温湿度传感器
JP5321900B2 (ja) 温度センサ
JP4219231B2 (ja) 空気調和機
CN108541298A (zh) 用于组装热源单元的装置和方法
CN207246080U (zh) 风机及具有此风机的空调
WO2021191480A1 (es) Equipo inalámbrico y no invasivo para la monitorización de corriente directamente en el cableado de instalaciones fotovoltáicas
CN203628945U (zh) 感温包固定结构和感温包固定架
JP2020506357A (ja) 空調機室内機用の温度感知パッケージブラケットおよび空調機室内機
CN206055888U (zh) 感温包固定装置、换热器及空调器
CN209054652U (zh) 空调机的室内机
CN201984610U (zh) 多用途无线气体监测报警装置
CN212930267U (zh) 感温探头固定支架、空调室外机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