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570A - 압연재의 보온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재의 보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570A
KR20140061570A KR1020120127259A KR20120127259A KR20140061570A KR 20140061570 A KR20140061570 A KR 20140061570A KR 1020120127259 A KR1020120127259 A KR 1020120127259A KR 20120127259 A KR20120127259 A KR 20120127259A KR 20140061570 A KR20140061570 A KR 20140061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wall
temperature
cover
prot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399B1 (ko
Inventor
노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2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3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8Heat sh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3Monitoring the temperature or a characteristic of the charg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공정을 거친 압연재를 보온하여 열간압연을 위한 재가열 비용을 절감하면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재의 보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압연재의 보온장치는 압연공정에 제공될 압연재를 보온시키면서 보관하는 장치로서, 압연재가 적재되는 적재공간부를 둘러싸도록 세워지는 피트와; 상기 피트의 상단면을 덮는 피트 보호판과; 상기 피트 보호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적재공간부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피트 커버와; 상기 피트와 상기 피트 보호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피트 커버의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연재의 보온장치{HEAT INSLATION APPARATUS FOR A ROLLING MATERIAL}
본 발명은 압연재의 보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주조공정을 거친 압연재를 보온하여 열간압연을 위한 재가열 비용을 절감하면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재의 보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강공정은 제선, 제강공정을 통해 원료인 철광석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용강을 연속 주조공정의 주형에 주입하여 슬래브(slab), 블룸(bloom) 및 빌릿(billet) 등의 주편을 제조한 후, 최종 생산되는 선재, 코일, 박판, 후판 등의 최종 제품에 따라 적합한 압연공정을 수행한다.
이렇듯 최종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압연공정을 거치게 되는바, 상기 압연공정은 여러 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주편을 원하는 크기 및 두께로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공정을 말한다. 이러한 압연공정은 크게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의 두 가지 방법으로 구분되는데, 통상 주편을 재결정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압연하는 열간압연을 거쳐 최종 제품에 적합한 사이즈의 열연코일을 생산한 다음, 열연코일을 재결정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압연하는 냉간압연을 거쳐 최종 제품으로 다듬는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주편은 상온상태로 보관되다가 재가열로에서 승온된 후 열간 압연기에 투입하여 열연코일로 생산된다.
이에 근래에는 주편의 열간압연을 위하여 재가열시키는 비용을 절감시키고, 주편의 온도변화에 따른 결함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주편을 보온하면서 보관한 다음 열간압연 공정으로 제공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가 주편 보온장치인데, 일반적으로 주편 보온장치는 주편이 적재되는 적재공간부를 둘러싸도록 피트(pit)를 구성하고, 상기 피트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마련하여 주편이 상온에 그대로 방치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주편을 보온시키는 것이다.
이때 피트는 보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벽은 콘크리트로 마련되고, 외벽의 내주면에 강도 보강을 위한 철피가 데어지며, 철판의 내주면에 캐스터블 내화물을 도포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공간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상기 피트의 상단면에 커버가 안착되는데, 커버의 안착시 커버와 피트의 잦은 접촉 또는 커버와 피트가 올바르게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안착되는 불안정한 접촉에 의해 철피 및 캐스터블 내화물에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된다. 특히 철피의 변형은 2차적으로 캐스터블 내화물을 탈락시키는 문제도 발생시킨다.
또한, 고온인 주편에 의해 피트가 가열되면서 서로 다른 열팽창율을 갖는 콘크리트, 철피 및 캐스터블 내화물이 서로 다르게 팽창 및 수축함에 따라 콘크리트, 철피 및 캐스터블 내화물의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되고, 이는 피트의 균열 및 파손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주편의 보관 중 피트의 내벽면(약 520℃)과 외벽면(약 150℃)의 온도 차이가 심해 콘크리트, 철피 및 캐스터블 내화물의 박리 현상을 가중시켰다.
한편, 근래에는 피트에 커버를 안착시킬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재공간부에 주편을 적재한 다음 커버가 함께 구비된 피트를 레일을 따라 적재공간부를 덮도록 이동시켜 주편을 보온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종래 피트를 이동시켜 주편을 보온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안연소재의 보온장치(공개특허 10-2012-0033106)"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피트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주편을 보온하는 기술은 피트의 이동공간이 적재공간부와 인접한 영역에 확보되어야 하고, 특히 적재공간부에 주편을 적재하는 동안 피트가 대기되는 공간이 지면에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2-0033106 (2012. 04. 06)
본 발명은 주편의 적재시 피트가 대기하는 공간을 별도로 지면에 확보할 필요가 없으면서 피트에 커버를 정렬하여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고,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압연재의 보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압연재의 보온장치는 압연공정에 제공될 압연재를 보온시키면서 보관하는 장치로서, 압연재가 적재되는 적재공간부를 둘러싸도록 세워지는 피트와; 상기 피트의 상단면을 덮는 피트 보호판과; 상기 피트 보호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적재공간부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피트 커버와; 상기 피트와 상기 피트 보호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피트 커버의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재를 포함한다.
상기 피트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외벽과; 상기 외벽의 내주면에 캐스터블 내화물로 형성되는 내벽과; 상기 외벽 및 내벽의 상부에 캐스터블 내화물로 형성되는 상벽과; 상기 내벽의 내부 및 상기 상벽의 상부에 구비되어 온도조절용 물이 유동되는 유동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 파이프의 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온도조절용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와;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조절용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유동 파이프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트의 상단면에는 폭방향으로 중간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의 가이드 볼트가 상부를 향하여 입설되고, 상기 피트 보호판은 상기 피트의 상단면을 덮으면서 상기 가이드 볼트가 관통되는 다수의 가이드 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피트 상단영역의 측면과 이격되어 대향되는 측면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트 보호판의 측면판부에는 상기 측면판부에 나사결합되고, 그 단부가 상기 피트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피트 보호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다수의 위치조절 나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트 보호판의 베이스판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공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피트 보호판의 위치가 조절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트 커버는 상기 적재공간부의 상부를 덮는 천장부와, 상기 천장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트 보호판의 베이스판부에 안착되는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트 보호판의 측면판부에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향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피트 커버의 측벽부에는 상기 피트 커버가 상기 피트 보호판의 베이스판부에 안착되는 동안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로 진입되는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트 보호판의 베이스판부에는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피트 커버의 측벽부 하단면에는 상기 인입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인입공으로 인입되는 인입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트와 상기 완충재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트와 피트 커버 사이에 완충재 및 피트 보호판을 설치하여 피트에 피트 커버를 안착할 때 충격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피트가 피트 커버에 피트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트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트 커버를 피트에 안착시킬 때 피트 커버를 정렬시키는 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피트 커버의 안정된 안착을 유도하여 불안정한 접촉에 의해 피트가 판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트의 내부에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용 물을 유동시켜 피트의 내벽면과 외벽면 사이의 온도 차이를 줄여줌에 따라 피트가 열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의 보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의 보온장치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의 보온장치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의 보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의 보온장치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의 보온장치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의 보온장치는 크게 피트(100), 피트 보호판(200), 피트 커버(300) 및 완충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피트(100)는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되어 압연공정으로 제공되는 슬래브, 블룸 및 빌릿과 같은 압연재(S: 이하 슬래브라고 통칭함)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적재공간부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슬래브(S)가 적재되어 보관되는 적재공간부를 둘러싸는 고정형 벽체 형식으로 구현된다.
상기 피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110)과; 상기 외벽(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벽(120)과; 상기 외벽(110) 및 내벽(120)의 상부에 캐스터블 내화물로 형성되는 상벽(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벽(120)의 내부 및 상기 상벽(130)의 상부에는 온도조절용 물이 유동되는 유동 파이프(140)가 내설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외벽(110)은 피트(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콘크리트로 형성된다. 상기 외벽(110)은 슬래브(S)가 적재되는 적재공간부를 둘러싸도록 지면에서 수직방향 상부로 직립하여 입설되는 벽체로서, 대략 사각형상으로 적재공간부를 둘러싼다.
상기 외벽(110)은 높이는 다수의 슬래브(S)가 적재되는 것을 충분히 둘러쌀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벽(120) 및 상벽(130)은 상기 외벽(110)의 내주면 및 상부에 형성되는 단열층으로서, 캐스터블 내화물을 상기 외벽(110)의 내주면 및 상부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때 캐스터블 내화물을 외벽(110)에 도포하여 내벽(120)을 형성하기 전에 외벽(110)의 내주면에는 온도조절용 물이 유동되는 유동 파이프(140)를 설치한 다음 상기 캐스터블 내화물을 도포하여 상기 내벽(120)의 내부에 상기 유동 파이프(140)가 내설되도록 내벽(1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 파이프(140)를 연장하여 상기 상벽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유동 파이프는 상기 내벽의 내부 및 상벽의 상부에 동시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내벽의 내부 및 상벽의 상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동 파이프(140)는 상기 외벽(110)의 내주면에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하나 또는 다수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 파이프(1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120)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내벽(120)의 내주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유동 파이프(140)의 출측에는 상기 유동 파이프(140)에서 배출되는 온도조절용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610)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610)에서 측정되는 온도조절용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유동 파이프(140)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62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동 파이프(140)의 입측에는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냉수 공급수단(미도시) 및 온수 공급수단(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 냉수 공급수단 및 온수 공급수단은 통상의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 파이프(140)의 출측에서 연장되는 라인에는 열교환기(미도시)가 마련되어 상기 외벽(110)을 경유하면서 승온된 온도조절용 물의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온도측정센서(610)는 유동되는 온도조절용 물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온도계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620)는 피트(100) 내에 슬라브를 적재하기 전에 상기 유동 파이프(140)로 온수를 유동시켜 피트(100)를 예열시켜 고온의 슬래브(S) 적재시 발생될 수 있는 열충격을 절감시키고, 슬래브(S)가 적재된 이후에는 상기 온도측정센서(610)에서 측정되는 온도조절용 물의 온도에 따라 유동 파이프(140)로 공급되는 온도조절용 물의 온도를 조절하면서 공급한다. 예를 들어 피트(100)의 온도가 상승되어 온도측정센서에는 측정되는 온도조절용 물의 온도가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유동 파이프(140)로 냉수를 유동시켜 이미 가열된 피트(100)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함에 따라 피트(100) 자체에 발생되는 열충격을 절감시킨다.
한편, 상기 피트(100)의 상단면에는 상기 피트(100)의 상단면을 덮어서 보호하는 피트 보호판(200)이 덮인다.
상기 피트 보호판(200)은 상기 피트 커버(300)가 피트(100)에 안착될 때 피트 커버(300)가 상기 피트(100)의 상단면에 직접 접촉되면서 피트(100)의 상단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피트 보호판(200)은 상기 피트(100)의 상단면을 덮는 피트 보호판(200)와;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피트(100) 상단영역의 측면과 이격되어 대향되는 측면판부(220)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피트 보호판(200)은 상기 피트(100)의 외벽(110) 및 내벽(120) 상단면을 함께 덮는다.
이때 상기 피트 보호판(200)은 상기 피트(100)의 상단면에 정위치 할 수 있도록 센터링 수단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피트(100)의 상단면, 바람직하게는 외벽(110)의 상단면에는 폭방향으로 중간위치에 배치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부를 향하여 입설되는 다수의 가이드 볼트(111)가 설치되고,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피트 보호판(200)에는 상기 가이드 볼트(111)가 관통되는 다수의 가이드 공(211)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피트 보호판(200)을 상기 피트(100)의 상단면에 안착시킬 때 상기 가이드 볼트(111)가 상기 가이드 공(211)에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피트 보호판(200)이 상기 피트(100)의 상단면에 정위치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피트 보호판(200)을 상기 피트(100)의 상단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측면판부(220)에는 상기 측면판부(220)에 나사결합되고, 그 단부가 상기 피트(10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다수의 위치조절 나사(221)가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위치조절 나사(221)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위치를 조정한다.
한편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피트 보호판(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공(211)의 직경은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볼트(1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가이드 볼트(111)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 공(211)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만큼 피트 보호판(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볼트의 상단에는 너트(113)가 결합되어 상기 피트 보호판(200)이 상기 피트(100)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트 커버(300)는 상기 피트(100)의 상단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적재공간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적재공간부, 즉 피트(100) 내부와 피트(100) 외부를 격리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피트 커버(300)는 상기 적재공간부의 상부를 덮는 천장부(310)와, 상기 천장부(310)의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피트 보호판(200)에 안착되는 측벽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장부(310)는 단열을 위하여 세라믹 파이버로 제작되는 다수의 세라믹 블록(311)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측벽부(320)에도 마찬가지로 단열을 위하여 다수의 세라믹 블록(321)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트 커버(300)의 구성은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피트(100) 내부와 외부를 격리시키면서 피트(100) 내부의 고온을 단열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피트(100), 바람직하게는 피트 보호판(200) 및 피트 커버(300)에는 피트 커버(300)의 안착시 피트 커버(300)를 정위치에 정렬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고중량물인 피트 커버(300)를 크레인으로 취부하여 피트(100)의 상단, 즉 피트 보호판(200)의 피트 보호판(200)에 안착시키는 경우에 피트 커버(300)의 진행 경로를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측면판부(220)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향배치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2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피트 커버(300)의 측벽부(320)에는 상기 피트 커버(300)가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피트 보호판(200)에 안착되는 동안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223) 사이로 진입되는 가이드 블록(32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223)는 상부영역이 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간영역 및 하부영역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가이드 블록(323)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3)로 진입할 때 가이드 블록(323)의 진입을 유도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블록(323)의 하부영역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223)로 진입할 때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피트 보호판(200)에는 다수의 인입공(213)이 형성되고, 상기 피트 커버(300)의 측벽부 하단면에는 상기 인입공(21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인입공(213)으로 인입되는 인입돌기(325)가 돌출된다.
그래서, 피트 커버(300)를 피트 보호판(200)의 피트 보호판(200)에 안착시킬 때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223)와 가이드 블록(323)에 의해 피트 커버(300)를 대략적 정위치로 유도한 다음, 상기 인입돌기(325)를 상기 인입공(213)으로 인입시킴에 의해 피트 커버(300)를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피트 커버(300)의 안착시 충격에 의해 피트(100)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단열을 위하여 상기 피트(100)와 상기 피트 보호판(200) 사이에 완충재(400)를 개재한다.
상기 완충재(400)는 상기 피트(100)의 상단과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피트 보호판(200) 저면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및 단열수단으로서, 상기 완충재(400)는 세라믹 울(ceramic wool)이 사용된다. 그래서 상기 완충재(400)는 피트 커버(300) 안착시 충격을 충분히 완충시키면서 단열을 시킬 수 있는 두께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트(100)와 상기 완충재(400)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500)가 개재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0)는 상기 피트(100)의 상벽(130) 및 가이드 볼트(111)를 보호하면서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위치 조절시 상기 완충재(400)가 뭉치거나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판형으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각으로 상기 완충재(4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피트 보호판(200)의 위치 조절시 상기 피트 보호판(200)과의 슬림(slip)을 보장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폭은 상기 피트(100)의 상벽(130) 폭보다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베이스 플레이트(500)와 피트 보호판(200) 사이로 상기 유동 파이프(140)가 설치되어 피트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피트(pit) 110: 외벽
111: 가이드 볼트 113: 너트
120: 내벽 130: 상벽
140: 유동 파이프 200: 피트 보호판
210: 베이스판부 211: 가이드 공
213: 인입공 220: 측면판부
221: 위치조절 나사 223: 가이드 플레이트
300: 피트 커버 310: 천장부
320: 측벽부 311, 321: 세라믹 블록
323: 가이드 블록 325: 인입돌기
400: 완충재 500: 베이스 플레이트
610: 온도측정센서 620: 제어부

Claims (8)

  1. 압연공정에 제공될 압연재를 보온시키면서 보관하는 장치로서,
    압연재가 적재되는 적재공간부를 둘러싸도록 세워지는 피트와;
    상기 피트의 상단면을 덮는 피트 보호판과;
    상기 피트 보호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적재공간부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피트 커버와;
    상기 피트와 상기 피트 보호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피트 커버의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재를 포함하는 압연재의 보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트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외벽과;
    상기 외벽의 내주면에 캐스터블 내화물로 형성되는 내벽과;
    상기 외벽 및 내벽의 상부에 캐스터블 내화물로 형성되는 상벽과;
    상기 내벽의 내부 및 상기 상벽의 상부에 구비되어 온도조절용 물이 유동되는 유동 파이프를 포함하는 압연재의 보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동 파이프의 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온도조절용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와;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조절용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유동 파이프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연재의 보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트의 상단면에는 폭방향으로 중간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의 가이드 볼트가 상부를 향하여 입설되고,
    상기 피트 보호판은 상기 피트의 상단면을 덮으면서 상기 가이드 볼트가 관통되는 다수의 가이드 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피트 상단영역의 측면과 이격되어 대향되는 측면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트 보호판의 측면판부에는 상기 측면판부에 나사결합되고, 그 단부가 상기 피트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피트 보호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다수의 위치조절 나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의 보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트 보호판의 베이스판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공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피트 보호판의 위치가 조절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의 보온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트 커버는 상기 적재공간부의 상부를 덮는 천장부와, 상기 천장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트 보호판의 베이스판부에 안착되는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트 보호판의 측면판부에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향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피트 커버의 측벽부에는 상기 피트 커버가 상기 피트 보호판의 베이스판부에 안착되는 동안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로 진입되는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의 보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트 보호판의 베이스판부에는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피트 커버의 측벽부 하단면에는 상기 인입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인입공으로 인입되는 인입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의 보온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트와 상기 완충재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의 보온장치.
KR1020120127259A 2012-11-12 2012-11-12 압연재의 보온장치 KR10150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59A KR101504399B1 (ko) 2012-11-12 2012-11-12 압연재의 보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59A KR101504399B1 (ko) 2012-11-12 2012-11-12 압연재의 보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570A true KR20140061570A (ko) 2014-05-22
KR101504399B1 KR101504399B1 (ko) 2015-03-19

Family

ID=5089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259A KR101504399B1 (ko) 2012-11-12 2012-11-12 압연재의 보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879B1 (ko) 2015-06-18 2016-05-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 소재의 보온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519Y2 (ja) * 1992-04-27 1998-06-0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バッチ式加熱炉又は保温炉の保温カバ−装置
JP2784392B2 (ja) * 1993-10-19 1998-08-06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Fe−Al系軟磁性材の熱処理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治具
KR200326828Y1 (ko) 2003-06-26 2003-09-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압연 롤의 베어링 인너 레이스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399B1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5319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hot-rolled steel sheet
CA2711833A1 (en) Compact, flexible csp facility for continuous, semi-continuous and batch operation
KR101257472B1 (ko) 슬래그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504399B1 (ko) 압연재의 보온장치
KR20080058086A (ko) 연속주조기의 냉각대 연주롤
CA2799662C (en) Continuous casting device and relative method
WO2008111233A1 (ja) 熱間圧延設備およびそれを用いた鋼材の製造方法
WO2020175670A1 (ja) 鋳片の徐冷カバー及び冷却方法
JP5103475B2 (ja) 連続鋳造設備から取り出されたスラブの温度を保持する搬送装置
JP7334829B2 (ja) 鋳片の冷却方法
JP3814490B2 (ja) 誘導加熱装置の防熱板および誘導加熱装置
KR100887077B1 (ko) Api재 열함량 일정화 조업방법
JP4011087B2 (ja) 誘導加熱装置の防熱板および誘導加熱装置
CN107447079B (zh) 一种中高碳钢连铸钢坯退火的方法
KR100368213B1 (ko) 후강판의 폭방향 휨변형 방지방법
KR101431020B1 (ko) 열간 압연 금속재의 서냉 저장 장치
JP2020534440A (ja) 熱間圧延インライン移動保温熱処理プロセス及び熱処理ライン
KR101322124B1 (ko) 열방산 방지장치
JP6015680B2 (ja) 鋼材冷却設備および鋼材冷却方法
JP5839177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仕上焼鈍設備と仕上焼鈍方法
KR101237080B1 (ko) 소재의 열간압연 방법
JP5581862B2 (ja) スラブ搬送装置
KR100766264B1 (ko) 연속 주조 공정의 2차 냉각대에서 주편 코너부의 완냉각방법
KR100451823B1 (ko) 열간압연선재의 서냉방법
JP2007144453A (ja) 熱間圧延設備およびそれを用いた鋼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