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227A -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판 - Google Patents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227A
KR20140061227A KR1020130113685A KR20130113685A KR20140061227A KR 20140061227 A KR20140061227 A KR 20140061227A KR 1020130113685 A KR1020130113685 A KR 1020130113685A KR 20130113685 A KR20130113685 A KR 20130113685A KR 20140061227 A KR20140061227 A KR 20140061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nearly polarized
polarized ultraviolet
ultraviolet ray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쩌 훙
위쥔 우
다런 치우
Original Assignee
파 이스턴 뉴 센츄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 이스턴 뉴 센츄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파 이스턴 뉴 센츄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6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2Lith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ing methods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exposure to radiation, e.g. by stamp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제조 공정이 간이하고 비용이 낮으며 또한 품질 양호한 위상차판과 그 제조방법의 제공.
[해결수단] 감압 점착층(70)과 차광 패턴(20)이 설치된 제 1 투광성 기재(80)를 준비하는 공정과, 제 2 투광성 기재(10)를 준비하고 그 일면(101)을 감압 점착층(70)에 접합하는 공정과, 그 다른 면(102)에 광배향성 재료층(30)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을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함으로써, 노광되어 제 1 배향 방향이 부여된 제 1 에어리어(301)와, 차광 패턴(20)에 가려져 노광되지 않은 제 2 에어리어(302)가 형성되는 공정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 2 에어리어(302)에 제 2 배향 방향을 부여하는 공정과, 광배향성 재료층(30)이 각 조사 공정을 거쳐 이루어진 배향층에 액정 재료를 도포하는 공정과, 그것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판{METHOD FOR PRODUCING PHASE DIFFERENCE PLATE AND PHASE DIFFERENCE PLATE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위상차판의 제조 및 위상차판 자체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2개의 배향 방향을 구비한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판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영상, 이른바 3D 동화나 3D 사진을 비출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는, 그 시청 방법에 따라 안경식과 나안식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나안식의 것은 해상도와 휘도가 비교적 낮은데다가, 시야각도 좁기 때문에, 화질이 뒤떨어짐과 더불어, 시청할 수 있는 위치가 한정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안경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는, 시청자가 그 전용의 안경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불편도 있는 한편, 시야각이 비교적 넓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중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편광 안경 방식은, 안경의 제조 비용이 싸고, 가벼운데다가, 액정 셔터 안경 방식에서 보이는 화상의 번쩍거림이 일어나기 어렵다.
편광 안경 방식에서는, 서로 다르게 투영되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관상자의 좌안과 우안에 따로따로 투영시키기 위해서 좌우 각 영상의 편광 상태를 각각 바꿀 수 있는 광학 필름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 유닛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패턴화된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이 사용되고 있고, 교대로 배치된 영상 표시 유닛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 각각의 편광 방향을 바꿔 서로 다른 편광 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이들 다른 편광 방향을 갖는 좌우 각각의 영상을, 편광 필터가 붙은 안경에서 분리하여 좌안과 우안에 각각 나눠 투영하는 것에 의해, 시청자에게 입체감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다중 러빙법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기판 상에 설치된 폴리이미드 등의 배향성이 있는 재료의 표면에 있어서, 스트라이프상으로 교대로 구분된 2개의 영역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마찰함으로써, 패턴화된 2개의 다른 배향 방향(배향 규제 방향)을 구비한 배향성층으로 하고, 추가로 그 위에 액정층을 설치하여 배향시킴으로써 위상차판을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기계적인 마찰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재료가 마찰됨으로써 분진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마찰로 생긴 정전기에 의해 그들 분진이 기판에 부착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그 제조과정에서 복잡한 포토리소그래피를 거치기 때문에, 가공 정밀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이것에 의해 수율이 나쁘기 때문에 양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러빙법에 있어서의 정전기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 광배향법을 이용한 기술도 알려져 있다. 이것에 의하면, 기판에 설치된 광경화성을 갖는 광배향성 재료를, 패턴화된 경질의 포토마스크로 부분적으로 덮고 나서, 하나의 편광 방향을 갖는 직선 편광 자외선을 조사하고, 그 후 포토마스크를 제거하고 나서 다른 편광 방향을 갖는 직선 편광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배향성 재료를 2개의 다른 배향 방향이 부여되도록 경화시키고, 계속해서 경화된 광배향성 재료에 액정을 도포하고 나서 비직선 편광(non-linearly polarized)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을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2개의 배향 방향을 갖는 패턴화 위상차판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기판과는 별도로 설치되는 포토마스크(예컨대 경질의 합성 석영 유리 포토마스크)로 재료를 덮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른바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에 의한 제조에의 응용은 어렵다. 또한, 균일하고 선명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포토마스크 너머의 조사에는 평행광원을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아지고, 또한 대면적의 조사가 어렵기 때문에, 양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일본 특허공개 1999-84385호 공보
이와 같이 상기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수율이 나쁘고, 제조 비용이 높으며, 또한 롤·투·롤 방식에의 응용이 어렵기 때문에 양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조 공정이 간이하며, 비용이 낮고, 또한 품질이 우수한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판의 제공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판을 제공한다.
<제 1 투광성 기재 준비 공정>
상반하는 2측 중의 1측 표면에 투광성이 있는 감압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2측 중의 1측 표면에 교대로 복수의 광투과 영역과 복수의 광불투과 영역이 화성(畵成)되도록 차광 패턴이 설치된 제 1 투광성 기재를 준비한다.
<접합 공정>
제 2 투광성 기재를 준비하고, 그 일면을 상기 감압 점착층에 접촉시켜, 상기 제 1 투광성 기재와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를 접합한다.
<광배향성 재료층 형성 공정>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다른 면에 광배향성 재료층을 형성한다.
<제 1 조사 공정>
제 1 편광 방향을 갖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을,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의 상기 일면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면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를 통해서 상기 광배향성 재료층에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투과 영역을 투과한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에 노광되어 제 1 배향 방향이 부여된 제 1 에어리어와, 상기 광불투과 영역에 의해 가려져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에 노광되지 않은 제 2 에어리어가 상기 광배향성 재료층에 각각 형성된다.
<제 2 조사 공정>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과는 편광 방향이 다른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을, 상기 광배향성 재료층에 조사하여, 상기 제 2 에어리어에 상기 제 1 배향 방향과는 방향이 다른 제 2 배향 방향을 부여한다.
<액정 재료층 형성 공정>
상기 광배향성 재료층이 상기 제 1 조사 공정과 상기 제 2 조사 공정을 거쳐 각각 배향 방향이 다른 상기 제 1와 제 2 에어리어를 구비한 배향층의 상면에, 액정 재료를 도포하여 상기 제 1과 제 2 에어리어에 각각 대응하여 배향된 2개의 배향 방향을 갖는 액정 재료층을 형성한다.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
상기 액정 재료층을 경화시킨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광배향성 재료층이 설치된 제 1 투광성 기재에, 차광 패턴이 설치된 제 2 투광성 기재가 감압 점착층을 통해서 직접 접합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 다른 배향 방향을 갖는 2개의 에어리어를 제 1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에 규칙적으로 형성할 때에, 별도로 포토마스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차광 패턴과 광배향성 재료층 사이에는 간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설비가 비교적 저렴한 비평행 광원을 제 1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의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공정이 간이하며 비용이 억제되고 또한 품질이 우수한 위상차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접합 공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광배향성 재료층 형성 공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제 1 조사 공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제 2 조사 공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박리 공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액정 재료층 형성 공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형성된 위상차판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접합 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광배향성 재료층 형성 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제 1 조사 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제 2 조사 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박리 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조사 공정 전에 행해지는 제 2 조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조사 공정 후에 행해지는 제 1 조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조사 공정 전에 행해지는 박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리 공정 후에 행해지는 제 2 조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합 공정 전에 행해지는 제 2 조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조사 공정 후에 행해지는 접합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합 공정 후에 행해지는 제 1 조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제 2 조사 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제 2 조사 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2은 비교예 A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제 1 조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3은 비교예 A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제 2 조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A1)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판의 배향 결과를 나타내는 편광 현미경도이다.
도 25는 비교예 C1'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판의 배향 결과를 나타내는 편광 현미경도이다.
도 26은 비교예 C2'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판의 배향 결과를 나타내는 편광 현미경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구체적인 각 실시예 및 비교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투광성 기재 준비 공정: 도 1 참조)
우선, 상반하는 2측 중의 1측 표면에 차광 패턴(20)이 설치된 제 1 투광성 기재(80)를 준비한다. 제 1 투광성 기재(80)에는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에 덮여 있지 않은 광투과 영역(201)과 덮인 광불투과 영역(202)이 교대로 규칙적으로 화성된다.
(접합 공정: 도 1 참조)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차광 패턴(20)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표면에, 투광성이 있는 감압 점착층(7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제 2 투광성 기재(10)를 준비하고, 그 일면(101)을 감압 점착층(70)에 접촉시킴으로써 제 1 투광성 기재(80)와 제 2 투광성 기재(10)를 접합한다.
(광배향성 재료층 형성 공정: 도 2 참조)
제 2 투광성 기재(10)의 감압 점착층(70)에 붙여진 일면(101)의 반대면인 다른 면(102)에, 광배향성 재료층(30)을 형성한다.
(제 1 조사 공정: 도 3 참조)
제 1 편광 방향을 갖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일면(101)측으로부터 다른 면(102)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아래로부터 위)에,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다. 이 때, 광배향성 재료층(30)에는, 차광 패턴(20)의 광투과 영역(201)과 광불투과 영역(202)에 대응하여, 광투과 영역(201)을 통과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에 노광되어 제 1 배향 방향이 부여된 복수의 제 1 에어리어(301)와, 광불투과 영역(202)에 차폐되어 노광되지 않은 것으로 어떠한 배향 방향도 부여되어 있지 않고 또한 경화도 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 2 에어리어(302)가 교대로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제 2 조사 공정: 도 4 참조)
제 1 조사 공정을 거친 후에,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과는 편광 방향이 다른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다른 면(102)측으로부터 일면(101)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위로부터 아래)으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의 제 2 에어리어(302)에 제 1 배향 방향과는 방향이 다른 제 2 배향 방향이 부여된다.
(박리 공정: 도 5 참조)
제 1 및 제 2 조사 공정을 거친 후에, 제 2 투광성 기재(10)로부터, 제 1 투광성 기재(80)를 감압 점착층(70)과 함께 벗긴다.
(액정 재료층 형성 공정: 도 6 참조)
광배향성 재료층(30)이 상기 제 1 조사 공정과 제 2 조사 공정을 거쳐 각각 배향 방향이 다른 제 1 에어리어(301)와 제 2 에어리어(302)를 구비한 배향층(32)의 상면에, 액정 재료를 도포하고, 도포된 액정 재료가 각 제 1 에어리어(301)와 각 제 2 에어리어(302)에 각각 대응하여 배향된 2개의 배향 구역(제 1 구역(521)과 제 2 구역(522))을 갖는 액정 재료층(50)을 형성한다.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 도 6 및 도 7 참조)
액정 재료층(50)을 경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재료층(50)이 경화되게 됨과 더불어, 배향 방향이 다르고 또한 교대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제 1 구역(521)과 제 2 구역(522)을 갖는 위상차판(52)을 얻는다.
이하, 각 공정에서의 상세를 설명한다.
(제 1 투광성 기재 준비 공정)
차광 패턴(20)을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패턴에 의해서, 예컨대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어느 1측의 표면에 차광 재료를 인쇄함으로써 설치해도 좋다.
차광 패턴(20)을 형성하는 차광 재료는, 본 발명에서는 한정되지 않고, 차단하고자 하는 파장역의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당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예로서는 벤조페논(benzophenone)이나 벤조트라이아졸(benzotriazole)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 도료, 또는 먹, 그래파이트, 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등을 갖는 차광 잉크를 포함한 도료를 들 수 있다.
상기 차광 재료를 예컨대 인쇄에 의해 제 1 투광성 기재(80)의 표면에 도포하는 경우,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실시시의 편리성에 따라 선택되면 되지만, 스크린 인쇄, 요판 인쇄, 잉크 젯 인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광불투과 영역(202))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은, 상기 차광 재료가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또는 차광 잉크의 도포량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광투과율이란, 차단하고자 하는 파장역의 광선이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을 통과하기 전의 광량에 대한 통과한 후의 광량의 백분율이다. 광선의 차단이 목적이기 때문에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의 광투과율은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광 패턴(20)으로서는, 광투과율이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이 점, 후술의 실시예 B1∼ B4를 참조).
(접합 공정)
감압 점착층(70)의 예로서는,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이소뷰틸렌계, 고무계(예컨대 SBR), 폴리바이닐에터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폴리에스터계, 페놀계, 실리콘계의 감압 점착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감압 점착층(70)을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실시시의 편리성에 따라 선택되면 된다. 예로서는 스핀 코팅(spin coating)법, 바 코팅(bar coating)법, 슬롯 코팅(slot coating)법 등을 들 수 있다.
감압 점착층(70)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제 1 투광성 기재(80)를 에칭할 수 있는 용제가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이러한 용제를 포함하는 것, 그리고 감압 점착층(70)을 구성하는 재료가 제 1 투광성 기재(80)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먼저 접촉하는 쪽인 제 1 투광성 기재(80)에 대한 감압 점착층(70)의 접착력은, 후에 접촉하는 쪽인 제 2 투광성 기재(10)에 대한 감압 접착층(70)의 접착력보다도 커진다. 이것에 의해, 후의 박리 공정에서는, 제 1 투광성 기재(80)와 제 2 투광성 기재(10)를 박리했을 때에, 감압 점착층(70)은, 제 1 투광성 기재(80)측에 남은 채로, 제 2 투광성 기재(10)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감압 점착층(70)의 제 1 투광성 기재(80)에 대한 접착력을, 제 2 투광성 기재(10)에 대한 접착력보다도 크게 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접합 공정을 행하기 전에,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일면(101)을 이형제로 처리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감압 점착층(70)의 제 2 투광성 기재(10)에 대한 접착력은 상대적으로 약해지기 때문에, 후의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광배향성 재료층 형성 공정)
광배향성 재료층(30)으로서는,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광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수지가 사용된다. 이러한 수지는, 그 화학 반응의 기구에 따라 주로 3종류로 나누어진다. 즉, 광이성화(photo-induced isomerization)형 수지, 광가교(photo-induced cross-linking)형 수지, 광분해(photo-induced cracking)형 수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중 어느 것을 이용하는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실시시의 편리성에 따라 선택되면 되지만, 광가교형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광가교형 수지로서는, 신남산 에스터 유도체(cinnamate derivatives), 칼콘 유도체(chalcone derivative), 말레이미드 유도체(maleimide derivatives), 퀴놀리논 유도체(quinolinone derivatives), 다이페닐메틸렌 유도체(diphenylmethylene derivatives), 쿠마린 유도체(coumarin derivative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면 좋다.
광배향성 재료층(30)을 제 2 투광성 기재(10)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실시시의 편리성에 따라 선택되면 된다. 예로서는 스핀 코팅법,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슬롯 코팅법, 또는 스크린 인쇄, 요판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는, 투명하고 또한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하면 된다. 재료의 바람직한 예로서, 폴리에스터(polyester)계 수지, 아세테이트(acetate)계 수지, 폴리에터설폰(polyethersulfon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폴리아마이드(polyamide)계 수지, 폴리이미드(polyimide)계 수지,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아크릴(acrylic)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polyvinyl chloride)계 수지,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계 수지, 폴리바이닐알코올(polyvinyl alcohol)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polyarylate)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계 수지,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triacetate cellulos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재료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조사 공정)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에 의해 양호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은, 각각의 편광 방향인 제 1 편광 방향과 제 2 편광 방향이 수직으로 되도록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직선 편광 자외선이란, 단일한 직선 편광 방향을 가져, 편광면이 평면이 되는 편광 자외선이며, 편광으로 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자외선을 여과하여, 1방향의 편광으로 되어 있는 편향 자외선만을 투과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편광 필름이나 광학 격자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비직선 편광 자외선이란, 통상의 자외선 광원이 발하는 광, 결국은 원편광 자외선으로, 강도 분포가 각 방향으로 균일하며, 전방향을 조사한다.
광배향성 재료층(30)으로서 광가교형 수지를 이용한 경우를 예로 하면, 소정의 편광 방향을 각각 갖는 제 1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1, 402)이 조사되면, 광배향성 재료의 분자는 그들의 영향을 받아, 각 상기 자외선의 편광 방향에 따라 각각 재배열되어 2개의 배향 방향을 갖게 됨과 더불어 가교 반응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배향층(32)이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먼저,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후에 각각 조사하여 광배향성 재료층(30)에 2개의 다른 배향 방향을 구비시키기 위해서는, 광배향성 재료층(30)에 대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이,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그것을 상회하도록 조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은 500mJ/cm2 이하이면 좋다. 적산 노광량을 더 이상으로 설정하면, 비교적 긴 노광 시간이 필요해져, 예컨대 이것을 롤투롤(roll-to-roll) 제법으로 행하는 경우의 지장이 될뿐만 아니라, 에너지가 낭비되어 비용도 커진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적산 노광량(dosage)이란, 광배향성 재료층(30)이 각 직선 편광 자외선의 1회의 조사로 노광된 노광량의 단위 면적당의 시간 적분치이다.
여기서 특기해야 하는 것은, 상기 제 2 조사 공정에 있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의 제 1 에어리어(301)와 제 2 에어리어(302)는 함께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에 노광되지만,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이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그것을 상회하기 때문에, 제 1 에어리어(301)가 갖는 제 1 배향 방향은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조사에 의해서 변화되는 일이 없다고 하는 점이다.
한편,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적산 노광량은, 실시시의 조건(조사 설비나 광배향성 재료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면 된다. 예컨대 광배향성 재료층(30)으로서 광가교형 수지를 이용한 경우는, 5mJ/cm2 이상이면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배향시킬 수 있다.
(액정 재료층 형성 공정)
여기서 이용하는 액정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어떠한 액정 재료를 이용해도 좋으며, 예로서는 광가교형의 액정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것을 배향층(32)의 상면에 도포하는 방법도, 실시시의 편리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면 되고, 예로서는 스핀 코팅법,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슬롯 코팅법, 또는 롤투롤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재료는 배향층(32)에 도포되면, 배향층(32)의 배향 방향으로 유도되어, 액정 재료 중의 액정분자가 상기 배향 방향에 따라 배열된다. 이 때, 배향층(32)은 2개의 다른 배향 방향, 즉 제 1과 제 2 에어리어(301, 302)가 각각 제 1과 제 2 배향 방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액정 재료층(50)에는, 각각 제 1 배향 방향에 대응하여 배향된 복수의 제 1 구역(521)과, 각각 제 2 배향 방향에 대응하여 배향된 복수의 제 2 구역(522)이 형성된다.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
액정 재료층(50)을 경화시키는 방법도, 특별한 한정은 없다. 광가교형의 액정 재료를 예로 하면, 비직선 편광 자외선(60)(도 6 참조)을 액정 재료층(50)에 조사함으로써, 이것을 경화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8∼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그 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준하지만, 이하의 점에서만 다르다. 즉,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감압 점착층(70)을,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차광 패턴(20)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표면에 설치하지만,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감압 점착층(70)을,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차광 패턴(2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표면에 설치한다(도 8 참조).
<제 3 실시형태>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그 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준하지만, 이하의 점이 다르다. 즉,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사 공정을 제 2 조사 공정 전에 행하지만,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사 공정을 제 2 조사 공정 후에 행한다.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공정만을 나타낸다.
(제 2 조사 공정: 도 13 참조)
제 2 편광 방향을 갖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다른 면(102)측으로부터 일면(101)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위로부터 아래)으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 전체(즉 제 1 에어리어(301) 및 제 2 에어리어(302)를 포함한다)에 제 2 배향 방향이 부여된다.
(제 1 조사 공정: 도 14 참조)
제 2 조사 공정을 거치고 나서,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과는 편광 방향이 다른 제 1 편광 방향을 갖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일면(101)측으로부터 다른 면(102)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아래로부터 위)으로,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다. 이 때, 광배향성 재료층(30)에는, 차광 패턴(20)의 광투과 영역(201)과 광불투과 영역(202)에 대응하여, 광투과 영역(201)을 통과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에 노광됨으로써 배향 방향이 제 2 배향 방향으로부터 제 1 배향 방향으로 전환된 복수의 제 1 에어리어(301)와, 광불투과 영역(202)에 차폐되어 노광되지 않음으로써 제 2 배향 방향을 유지하는 복수의 제 2 에어리어(302)가 교대로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먼저,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후에 각각 조사하여 광배향성 재료층(30)에 2개의 다른 배향 방향을 구비시키기 위해서는, 광배향성 재료층(30)에 대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이,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그것을 하회하지 않도록, 즉,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이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의 그것과 동량이거나 또는 그 이상이 되도록 조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은 500mJ/cm2 이하이면 좋다.
여기서 특기해야 하는 것은, 상기 제 2 조사 공정에 있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의 제 1 에어리어(301)와 제 2 에어리어(302)는 함께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에 노광되어 제 2 배향 방향이 부여되지만, 뒤로부터 조사되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이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그것과 동량이거나 또는 그 이상이기 때문에,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조사에 의해 제 1 에어리어(301)의 배향 방향을 제 2 배향 방향으로부터 제 1 배향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하는 점이다.
<제 4 실시형태>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그 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준하지만, 이하의 점이 다르다. 즉,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사 공정 및 제 2 조사 공정 후에 박리 공정을 행하지만,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사 공정과 제 2 조사 공정 사이에서 박리 공정을 행한다.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공정만을 나타낸다.
(박리 공정: 도 15 참조)
제 1 조사 공정을 거친 후에, 제 2 투광성 기재(10)로부터, 제 1 투광성 기재(80)를 감압 점착층(70)과 함께 벗긴다.
(제 2 조사 공정: 도 16 참조)
박리 공정을 거친 후에,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과는 편광 방향이 다른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다른 면(102)측으로부터 일면(101)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위로부터 아래)으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의 각 제 2 에어리어(302)에 제 2 배향 방향이 부여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17∼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그 형태는 제 3 실시형태에 준하지만, 이하의 점이 다르다. 즉,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접합 공정 후에 제 2 조사 공정을 행하지만,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접합 공정 전에 제 2 조사 공정을 행한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감압 점착층(70)을,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차광 패턴(2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표면에 설치한다(도 18 참조). 이하에 제 5 실시형태의 공정을 나타낸다.
(광배향성 재료층 형성 공정)
제 2 투광성 기재(10)를 준비하고, 그 다른 면(102)에, 광배향성 재료층(30)을 형성한다.
(제 2 조사 공정: 도 17 참조)
제 2 편광 방향을 갖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다른 면(102)측으로부터 일면(101)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위로부터 아래)으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 전체(즉 제 1 에어리어(301) 및 제 2 에어리어(302)를 포함한다)에 제 2 배향 방향이 부여된다.
(제 1 투광성 기재 준비 공정)
상반하는 2측 중의 1측 표면에 차광 패턴(20)이 설치된 제 1 투광성 기재(80)를 준비한다. 제 1 투광성 기재(80)에는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에 덮여 있지 않은 광투과 영역(201)과 덮인 광불투과 영역(202)이 교대로 규칙적으로 화성된다.
(접합 공정: 도 18 참조)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차광 패턴(2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표면에, 투광성이 있는 감압 점착층(7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제 2 투광성 기재(10)의 광배향성 재료층(3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인 일면(101)을, 감압 점착층(70)에 접촉시킴으로써 제 1 투광성 기재(80)와 제 2 투광성 기재(10)를 접합한다.
(제 1 조사 공정: 도 19 참조)
접합 공정 후에,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과는 편광 방향이 다른 제 1 편광 방향을 갖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일면(101)측으로부터 다른 면(102)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아래로부터 위)으로,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다. 이 때, 광배향성 재료층(30)에는, 차광 패턴(20)의 광투과 영역(201)과 광불투과 영역(202)에 대응하여, 광투과 영역(201)을 통과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에 노광됨으로써 배향 방향이 제 2 배향 방향으로부터 제 1 배향 방향으로 전환된 복수의 제 1 에어리어(301)와, 광불투과 영역(202)에 차폐되어 노광되지 않음으로써 제 2 배향 방향을 유지하는 복수의 제 2 에어리어(302)가 교대로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먼저,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후에 각각 조사하여 광배향성 재료층(30)에 2개의 다른 배향 방향을 구비시키기 위해서는, 광배향성 재료층(30)에 대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이,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그것을 하회하지 않도록 조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은 500mJ/cm2 이하이면 좋다.
(박리 공정: 도 12 참조)
제 1 및 제 2 조사 공정을 거친 후에, 제 2 투광성 기재(10)로부터, 제 1 투광성 기재(80)를 감압 점착층(70)과 함께 벗긴다.
(액정 재료층 형성 공정: 도 6 참조)
광배향성 재료층(30)이 상기 제 1 조사 공정과 제 2 조사 공정을 거쳐 각각 배향 방향이 다른 제 1 에어리어(301)와 제 2 에어리어(302)를 구비한 배향층(32)의 상면에, 액정 재료를 도포하여, 도포된 액정 재료가 각 제 1 에어리어(301)와 각 제 2 에어리어(302)에 각각 대응하여 배향된 2개의 배향 구역(제 1 구역(521)과 제 2 구역(522))을 규칙적으로 갖는 액정 재료층(50)을 형성한다.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 도 6 및 도 7 참조)
액정 재료층(50)을 경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재료층(50)이 경화되게 됨과 더불어, 배향 방향이 다른 제 1 구역(521)과 제 2 구역(522)을 갖는 위상차판(52)을 얻는다.
<제 6 실시형태>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그 형태는 제 4 실시형태에 준하지만, 제 2 조사 공정에서의 직선 편광 자외선의 조사 방향이 다르다. 즉,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조사 공정에 있어서,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다른 면(102)측으로부터 일면(101)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위로부터 아래)으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했지만,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을 일면(101)측으로부터 다른 면(102)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아래로부터 위)으로,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의 각 제 2 에어리어(302)에 제 2 배향 방향이 부여된다.
<제 7 실시형태>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그 형태는 제 5 실시형태에 준하지만, 제 2 조사 공정에서의 직선 편광 자외선의 조사 방향이 다르다. 즉,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조사 공정에 있어서, 제 2 편광 방향을 갖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다른 면(102)측으로부터 일면(101)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위로부터 아래)으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하지만,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일면(101)측으로부터 다른 면(102)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아래로부터 위)으로,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 전체(즉 제 1 에어리어(301) 및 제 2 에어리어(302)를 포함한다)에 제 2 배향 방향이 부여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하며 또한 가요성이 있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이러한 플라스틱재는 일반적으로 소정 방향으로 연신되어 만들어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복굴절성, 결국은 위상차를 갖고 있다. 주지대로, 위상차와 복굴절률 사이에는 이하의 식(a)가 성립한다.
Ro=△n·d (a)
식(a)에 있어서, Ro는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n은 다른 축방향끼리의 굴절률의 차, 즉 복굴절률을 나타내며, d는 기재의 두께를 나타낸다. △n은, 플라스틱재에 이용하는 재질의 물성에 의한 것으로, 이용하는 재료에 따라서 변화된다. 그래서, 플라스틱재의 종류와 기재의 두께를 조정하면,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위상차값을 조정할 수 있다.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에 이용하는 재료의 위상차값이 지나치게 높으면,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이 제 1 투광성 기재(80)를 투과할 때나, 상기 제 6 및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이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과할 때에, 그 편광 특성이 변해 버려, 광배향성 재료층(30)에 배향 방향을 부여할 수 없는 원편광이나, 광배향성 재료층(30)에 배향 방향을 부여하는 효과가 비교적 약한 타원편광으로 변화되어 버려, 광배향성 재료층(30)의 제 1 에어리어(301) 또는 제 2 에어리어(302)에 각각의 균일한 배향 방향을 부여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위상차값이 지나치게 높지 않은 것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굴절률이 큰 쪽의 축)의 방향과,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제 1 편광 방향 또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제 2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도(협각(夾角))가, 0도 또는 90도가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 즉 한쪽이 0도, 다른 쪽이 90도가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는,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300nm보다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 각도가 각각 45도가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 즉 한쪽이 +45도, 다른 쪽이 -45도가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는,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100nm보다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에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실시방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각 비교예도 나타내어,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의한 효과를 비교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는 설명에 추가적인 구체성을 제공하기 위해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1. 광배향성 재료층을 형성하는 도포액의 제작: (전 실시예 및 비교예 공통)
(1)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과 사이클로펜탄온(cyclopentanone)을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용제 3.5g을 얻었다.
(2) 광가교형의 수지(스위스 Rolic사제, 형식번호: ROP103, 신남산 에스터계 수지, 고형분 10%) 0.5g을 상기 혼합 용제 3.5g에 가하여, 고형분이 1.25%가 되는 광배향성 재료 도포액 4g을 얻었다.
2. 액정 재료층을 형성하는 액정 도포액의 제작: (전 실시예 및 비교예 공통)
액정 재료(독일 BASF사제, 형식번호: LC242) 1g을 사이클로펜탄온 4g에 분산시켜, 고형분 20%의 액정 도포액 5g을 얻었다.
3. 차광 패턴의 제작: (각 실시예 A 및 비교예 A 공통)
(1) 점결제(粘結劑)(열경화성 수지, 형식번호: medium)와 용제(톨루엔)를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10g의 혼합액을 얻었다.
(2) 상기 혼합액에, 자외선 흡수제(대만 Everlight Chemical사제, 형식번호: Eversorb51)를, 중량 비율이 1:50(즉, 자외선 흡수제와 점결제가 1:25)이 되도록 혼합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액을, 요판 인쇄법에 의해서,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제 1 투광성 기재(80), 치수 10cm×10cm, 두께 30μm, 복굴절률(△n) 2.17×10-4, 위상차값 6.5nm)의 1측 표면에, 소정의 차광 패턴(20)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두께가 약 1μm가 되도록 도포했다. 그 후, 상기 기재를 오븐에 넣고, 60℃, 30초간의 조건에서 가열하여, 차광 패턴(20)이 형성된 제 1 투광성 기재(80)를 얻었다. 한편, 상기 차광 패턴의 차광 부분의 광투과율은 10%였다.
4. 감압 점착층의 제작: (전 실시예 및 비교예 공통)
아크릴 감압 점착재 10g(용제: 아세트산 에틸과 메틸에틸케톤[부피 비율 8:2], 고형분 40%)을, 바 코팅법으로, 차광 패턴(20)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차광 패턴(20)이 형성된 측의 면에(실시예 A1∼ A4, 비교예 A1'∼A2'), 또는 차광 패턴(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에(실시예 A5∼ A8, 비교예 A3'∼A4') 도포했다. 그 후, 제 1 투광성 기재(80)를 오븐에 넣고, 100℃, 2분간의 조건에서 가열하여, 점착재 중의 용제를 제거한 후에, 실온으로 식힘으로써 감압 점착층(70)을 형성했다. 감압 점착층(70)은, 건조 피복 두께가 20μm, 유리에 대한 박리 강도가 200gf/25mm(인장 시험기에서의 측정 결과에 의한)였다.
5. 위상차판의 제작
이하에 위상차판의 제작에 대응하여,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각각 위상차값이 다른 것을 이용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A)와, 차광 패턴(20)으로서 각각 차광 부분의 광투과율이 다른 것을 이용한 각 실시예(B)를 나타낸다.
한편, 이하의 각 조사 공정에서는, 제 1 및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1, 402)의 광원으로서 비평행 광원을 이용했다.
A. 각각 위상차값이 다른 제 2 투광성 기재를 이용한 각 예
<제 1 조사 공정을 제 2 조사 공정 전에 행하고, 또한 제 1 조사 공정에 있어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제 1 투광성 기재(8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 예>
《실시예 A1》
실시예 A1은, 상기 제 6 실시형태에 준하여 행해졌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접합 공정)
치수, 두께, 복굴절률, 위상차값이 모두 제 1 투광성 기재(80)와 동일한 다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기재(제 2 투광성 기재(10), 치수 10cm×10cm, 두께 30μm, 복굴절률(△n) 2.17×10-4, 위상차값 6.5nm)를 준비하고, 그 일면(101)에, 상기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상기 감압 점착층(70)이 형성되어 있는 측을 접촉시켜 접합했다. 이 때,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 각각의 지상축(굴절률이 큰 쪽의 축)의 방향이 이루는 협각이 0°가 되도록 접합했다(도 1 참조).
(광배향성 재료층 형성 공정)
상기 광배향성 재료 도포액 4g을, 스핀 코팅법(3000rpm, 40초간)으로, 접합 공정을 거친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상기 일면(101)(접합 면)의 반대면인 다른 면(102)에 평탄하게 도포했다. 계속해서, 제 2 투광성 기재(10)를 오븐에 넣고, 100℃, 2분간의 조건에서 가열하여, 상기 도포액 중의 용제(메틸에틸케톤 및 사이클로펜탄온)를 제거한 후에, 실온으로 식힘으로써 광배향성 재료층(30)을 형성했다(층의 두께 50nm).
(1회째의 조사: 제 1 조사 공정)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0°가 되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상기 일면(101)측으로부터 다른 면(102)측으로 향하여(도시에서의 아래로부터 위),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했다(적산 노광량 180mJ/cm2).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있어서의,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에어리어(제 1 에어리어(301))가 제 1 배향 방향을 구비함과 더불어 경화된 한편,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에 의해 차폐되어 있던 에어리어(제 2 에어리어(302))는 배향되지 않고 경화도 되어 있지 않다(도 3 참조).
(박리 공정)
제 1 조사 공정을 거친 후에, 제 2 투광성 기재(10)로부터, 제 1 투광성 기재(80)를 감압 점착층(70)과 함께 벗겼다(도 15 참조).
(2회째의 조사: 제 2 조사 공정)
박리 공정을 거친 후에,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90°가 되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상기 일면(101)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면(102)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아래로부터 위)으로,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했다(적산 노광량 90mJ/cm2).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의 각 제 2 에어리어(302)에 제 2 배향 방향이 부여되었다(도 20 참조).
(액정 재료층 형성 공정)
상기 액정 도포액 5g을, 스핀 코팅법(3000rpm, 40초간)으로, 배향층(32)(즉 2개의 배향 방향을 구비하여 경화된 광배향성 재료층(30))의 표면에 도포했다. 계속해서, 액정 도포액이 도포된 배향층(32)을 제 2 투광성 기재(80)와 함께 오븐에 넣고, 60℃, 5분간의 조건에서 가열하여, 상기 도포액 중의 용제(사이클로펜탄온)를 제거한 후에, 실온으로 식힘으로써 액정 재료층(50)을 형성했다.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
액정 재료층(50)에, 비직선 편광 자외선(60)을 조사하여(적산 노광량 120mJ/cm2), 액정 재료층(50)을 경화시켜 위상차판(52)이 되게 했다. 이 때, 위상차판(52)에 있어서는, 배향층(32)의 제 1 에어리어(301)에 대응하여 제 1 배향 방향을 구비한 제 1 구역(521)과, 제 2 에어리어(302)에 대응하여 제 2 배향 방향을 구비한 제 2 구역(522)이 교대로 규칙적으로 형성되었다(도 7 참조).
《실시예 A2》
실시예 A2에서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각각 복굴절률(△n) 4.50×10-3, 위상차값 135nm가 되는 것을 이용했다. 그 밖은 실시예 A1과 같다.
《실시예 A3》
실시예 A3에서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각각 복굴절률(△n) 1.33×10-3, 위상차값 40nm가 되는 것을 이용했다. 그 밖은 실시예 A1과 같다.
《실시예 A4》
실시예 A4에서는, 제 1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1, 402)으로서, 그들의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각각 +45°, -45°가 되는 것을 이용했다. 그 밖은 실시예 A3과 같다.
《비교예 A1'》
비교예 A1'에서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각각 복굴절률(△n) 5.00×10-3, 위상차값 150nm가 되는 것을 이용했다. 그 밖은 실시예 A1과 같다.
《비교예 A2'》
비교예 A2'에서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각각 복굴절률(△n) 1.67×10-3, 위상차값 50nm가 되는 것을 이용했다. 그 밖은 실시예 A4와 같다.
<제 2 조사 공정을 제 1 조사 공정 전에 행하고, 또한 제 2 조사 공정에 있어서,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제 1 투광성 기재(80)를 통과시키지 않고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한 예>
《실시예 A5》
실시예 A5는, 상기 제 7 실시형태에 준하여 행해졌다. 즉 감압 점착층(70)은 제 1 투광성 기재(80)에 있어서의 차광 패턴(20)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의 측에 설치된 것 외에, 접합 공정, 박리 공정 및 각 조사 공정의 순서를 이하와 같이 했다.
(1회째의 조사: 제 2 조사 공정)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조사 공정을, 접합 공정 및 제 1 조사 공정보다도 전에 행했다.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치수 10cm×10cm, 두께 30μm, 복굴절률(△n) 2.17×10-4, 위상차값 6.5nm)의 지상축에 대하여 90°가 되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일면(101)측으로부터 다른 면(102)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아래로부터 위)으로,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했다(적산 노광량 90mJ/cm2).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 전체(즉 제 1 에어리어(301) 및 제 2 에어리어(302)를 포함한다)에 제 2 배향 방향이 부여되었다(도 21 참조).
(접합 공정)
제 2 조사 공정 후에, 제 2 투광성 기재(10)의 광배향성 재료층(3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인 일면(101)을, 감압 점착층(70)에 접촉시킴으로써 제 1 투광성 기재(80)와 제 2 투광성 기재(10)를 접합했다. 이 때,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 각각의 지상축(굴절률이 큰 쪽의 축)의 방향이 이루는 협각이 0°가 되도록 접합했다(도 18 참조).
(2회째의 조사: 제 1 조사 공정)
제 2 조사 공정 및 접합 공정 후에,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0°가 되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일면(101)측으로부터 다른 면(102)측으로 향하는 방향(도시에서의 아래로부터 위)으로,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했다(적산 노광량 180mJ/cm2)(도 19 참조).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에는, 차광 패턴(20)의 광투과 영역(201)과 광불투과 영역(202)에 대응하여, 광투과 영역(201)을 통과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에 노광됨으로써 배향 방향이 제 2 배향 방향으로부터 제 1 배향 방향으로 전환된 복수의 제 1 에어리어(301)와, 광불투과 영역(202)에 차폐되어 노광되지 않음으로써 제 2 배향 방향을 유지하는 복수의 제 2 에어리어(302)가 교대로 규칙적으로 형성되었다.
(박리 공정)
상기 각 조사 공정을 거친 후에, 제 2 투광성 기재(10)로부터, 제 1 투광성 기재(80)를 감압 점착층(70)과 함께 벗겼다(도 12 참조).
《실시예 A6》
실시예 A6에서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각각 복굴절률(△n) 4.50×10-3, 위상차값 135nm가 되는 것을 이용했다. 그 밖은 실시예 A5와 같다.
《실시예 A7》
실시예 A7에서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각각 복굴절률(△n) 1.33×10-3, 위상차값 40nm가 되는 것을 이용했다. 그 밖은 실시예 A5와 같다.
《실시예 A8》
실시예 A8에서는, 제 1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1, 402)으로서, 그들의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각각 +45°, -45°가 되는 것을 이용했다. 그 밖은 실시예 A7과 같다.
《비교예 A3'》
비교예 A3'에서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각각 복굴절률(△n) 5.00×10-3, 위상차값 150nm가 되는 것을 이용했다. 그 밖은 실시예 A5와 같다.
《비교예 A4'》
비교예 A4'에서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각각 복굴절률(△n) 1.67×10-3, 위상차값 50nm가 되는 것을 이용했다. 그 밖은 실시예 A8과 같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작된 각 위상차판의 측정 결과]
상기 각 실시예 A1∼A8 및 비교예 A1'∼A4'에서 제작된 위상차판에 대하여, 위상차 측정 장치(오지계측기기주식회사제, 상품명: KOBRA-CCD)를 이용하여 위상차판의 제 1 구역(521) 및 제 2 구역(522)의 액정 배향 방향을 측정한 결과, 이하의 표 1과 같이 되었다.
제 1 투광성 기재와 제 2 투광성 기재의 위상차값의 합(nm)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의 편광 방향의 제 2 투광성 기재의 지상축에 대한 각도 위상차판의 배향 결과
실시예 A1 13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A2 270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A3 80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A4 80 +45°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A5 13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A6 270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A7 80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A8 80 +45° 2개의 배향 방향
비교예 A1' 300 간격을 둔 하나의 배향 방향
비교예 A2' 100 +45° 간격을 둔 하나의 배향 방향
비교예 A3' 300 간격을 둔 하나의 배향 방향
비교예 A4' 100 +45° 간격을 둔 하나의 배향 방향
표 1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A1∼A4에서는, 광배향성 재료층(30)의 제 1 에어리어(301)에 있어서, 1회째의 조사, 즉 제 1 조사 공정에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조사에 의해 부여된 제 1 배향 방향이, 2회째의 조사, 즉 제 2 조사 공정에서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이 조사되어도 변화하지 않은 결과,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배향 방향을 구비한 배향층(32)이 형성되었다. 또한, 그 후의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을 거쳐 얻어진 위상차판(52)도, 도 24(실시예 A1에서 얻어진 위상차판(52)의 배향 결과를 나타내는 편광 현미경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배향 방향을 구비한 제 1 구역(521) 및 제 2 배향 방향을 구비한 제 2 구역(522)이 교대로 규칙적으로 배치된 2개의 배향 방향을 구비하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 A1'에서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0°가 되는 조건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300nm가 되는 것을 이용했기 때문에, 위상차값이 지나치게 높음에 의해, 1회째의 조사인 제 1 조사 공정에 있어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이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투과했을 때에, 그 진동 상태가 변화되어 원편광으로 되어 버렸다. 원편광으로는 광배향성 재료를 경화시킬 뿐이고 배향은 할 수 없기 때문에, 노광된 제 1 에어리어(301)는 경화되었을 뿐이고 배향 방향이 부여되지 않았다. 한편,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즉 광불투과 영역(202))에 의해 차폐되어 있던 제 2 에어리어(302)는, 1회째의 조사에서는 경화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 결과, 광배향성 재료층(30)은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즉 제 1 에어리어(301)만) 경화되었다(도 22 참조). 계속되는 2회째의 조사인 제 2 조사 공정에서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조사에 의해 제 2 에어리어(302)가 제 2 배향 방향을 구비함과 더불어 경화되었다. 이 때, 제 1 에어리어(301)는, 전의 제 1 조사 공정에서 이미 완전히 경화되어 있어,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역시 어떠한 배향 방향도 갖지 않았기 때문에, 그 결과, 배향층(32)에 있어서는 제 2 에어리어(302)에만 배향 방향이 부여되어 있었다(도 23 참조). 이것에 의해,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을 거쳐 얻어진 위상차판(52)도 간격을 둔 단일한 배향 방향만을 구비하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A2'에서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45°가 되는 조건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100nm가 되는 것을 이용했기 때문에, 위상차값이 지나치게 높음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있어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에 노광된 제 1 에어리어(301)는, 경화될 뿐이고 배향 방향은 부여되지 않았다. 이것에 의해, 위상차판(52)의 배향도, 비교예 A1'과 같은 측정 결과로 되었다.
또한, 실시예 A5∼A8에서는, 광배향 재료층(30)에 대하여, 2회째의 조사, 즉 제 1 조사 공정에서의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이, 1회째의 조사, 즉 제 2 조사 공정에서의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적산 노광량을 하회하지 않도록 조사되었기 때문에(제 1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의 적산 노광량 둘다 90mJ/cm2), 1회째의 조사인 제 2 조사 공정에서 광배향 재료층(30)의 제 1과 제 2 에어리어(301, 302) 전체가 단일한 배향 방향(제 2 배향 방향)을 부여받은 후에, 2회째의 조사인 제 1 조사 공정에서 그 중 제 1 에어리어(301)만을 제 1 배향 방향으로 전향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실시예 A1∼A4와 마찬가지로, 도 19에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배향 방향을 구비한 배향층(32)이 형성되고, 또한, 그 후의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을 거쳐 얻어진 위상차판(52)도, 도 24에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 배향 방향을 구비한 제 1 구역(521) 및 제 2 배향 방향을 구비한 제 2 구역(522)이 교대로 규칙 바르게 배치된 2개의 배향 방향을 구비하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 A3'에서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0°가 되는 조건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300nm가 되는 것을 이용했기 때문에, 위상차값이 지나치게 높음에 의해, 비교예 A1'과 마찬가지로, 얻어진 위상차판(52)은 간격을 둔 단일한 배향 방향만을 구비하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A4'에서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45°가 되는 조건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100nm가 되는 것을 이용했기 때문에, 위상차값이 지나치게 높음에 의해, 비교예 A2'과 마찬가지로, 얻어진 위상차판(52)은 간격을 둔 단일한 배향 방향만을 구비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것이 귀결된다.
우선, 실시예 A2와 비교예 A1'의 비교, 및 실시예 A6과 비교예 A3'의 비교로부터 각각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는,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300nm보다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편광 방향과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는 경우에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는,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300nm보다 작은 것이라도 직선 편광 자외선의 편광 상태가 변해 버린다. 그래서, 실시예 A4와 비교예 A2'의 비교, 및 실시예 A8과 비교예 A4'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편광 방향과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는 경우에는, 제 1 투광성 기재(80) 및 제 2 투광성 기재(10)로서는,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100nm보다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밖에, 상기 실시예 A1∼A4와 같이, 제 1 조사 공정을 먼저, 제 2 조사 공정을 후에 행하는 경우에는, 1회째의 조사에서 조사하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이, 2회째의 조사에서 조사하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적산 노광량을 상회하도록 노광하면, 실시예 A1∼A4와 같이, 1회째의 조사에서 제 1 에어리어(301)에 부여된 제 1 배향 방향이, 2회째의 조사를 거쳐도 변화되지 않고서 그대로 제 1 배향 방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A1∼A4에 있어서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은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의 2배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A5∼A8과 같이, 제 2 조사 공정을 먼저, 제 1 조사 공정을 후에 행하는 경우에는, 2회째의 조사에서 조사하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의 적산 노광량이, 1회째의 조사에서 조사하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의 적산 노광량을 하회하지 않도록 노광하면, 실시예 A5∼A8과 같이, 1회째의 조사에서 제 1 에어리어(301) 및 제 2 에어리어(302) 전체에 부여된 제 2 배향 방향을, 2회째의 조사로 그 중 제 1 에어리어(301)만을 제 1 배향 방향으로 전향시킬 수 있다. 단지, 2회째의 조사에서의 적산 노광량도, 에너지의 낭비가 되지 않는 범위로 수습되어야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따라서 상기 실시예 A5∼A8에서는, 1회째와 2회째의 조사에서의 적산 노광량이 동량이 되도록 조사했다.
B. 차광 패턴의 차광 부분의 광투과율이 각각 다른 각 예
《실시예 B1》
실시예 B1에서의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은 실시예 A1과 거의 서로 같지만, 차광 패턴의 제작에 있어서만 다르고, 본 실시예에서는,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즉 광불투과 영역(202))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을 실시예 A1보다 높이기 위해서, 즉 차광 효과를 낮추기 위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액에 있어서의 중량 비율이 1:75(즉, 자외선 흡수제와 점결제의 비율이 1:37.5)가 되도록 혼합했다.
《실시예 B2》
실시예 B2에서의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은 실시예 B1과 거의 서로 같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을 실시예 B1보다 더욱 높이기 위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액에 있어서의 중량 비율이 1:100(즉, 자외선 흡수제와 점결제가 1:50)이 되도록 혼합했다.
《실시예 B3》
실시예 B3에서의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은 실시예 B1과 거의 서로 같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을 0%로 하기 위해서, 즉 빛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서, 차광 패턴(20)의 형성에 자외선 흡수제 혼합액을 이용하지 않고, 대신에, 금속 크로뮴(Cr)을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일면에 스퍼터링하고 나서,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도록 레이저 에칭에 의해 금속 크로뮴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남은 금속 크로뮴층을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으로 했다.
《실시예 B4》
실시예 B4에서의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은 실시예 B1과 거의 서로 같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을 1% 이하로 하기 위해서, 즉 빛을 거의 완전히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서, 차광 패턴(20)의 형성에 자외선 흡수제 혼합액을 이용하지 않고, 대신에, 흑색 잉크 1g(대만 Taipolo Technology사제)을,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도록 요판 인쇄에 의해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일면에 인쇄한 후에(기재 상에 인쇄된 잉크의 두께 약 2μm), 제 1 투광성 기재(80)를 오븐에 넣고, 60℃, 30초간의 조건에서 가열함으로써, 건조된 흑색 잉크를 차광 패턴(20)의 차광 부분으로 했다.
이하 표 2에, 실시예 A1, B1∼B4에서의 각 차광 패턴의 재료 및 그 차광 부분의 광투과율과,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위상차판의 배향 결과를 나타낸다.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재료(및 그 비율) 차광 패턴의 차광 부분의 광투과율 위상차판의 배향 결과
실시예 A1 자외선 흡수제와 점결제(1:25) 10%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B1 자외선 흡수제와 점결제(1:37.5) 15%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B2 자외선 흡수제와 점결제(1:50) 20%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B3 금속 크로뮴 0% 2개의 배향 방향
실시예 B4 흑색 잉크 <1% 2개의 배향 방향
표 2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바와 같이, 차광 패턴의 차광 부분은 완전히 빛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더라도,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2개의 배향 방향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C. 경질의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경우의 비교예
이하에, 상기 각 실시예 A 및 B와 같이 차광 패턴을 제 1 투광성 기재(80)의 일면에 직접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은 아니고, 대신에 차광 수단으로서 제 1 투광성 기재(80)와는 별도로 설치된 경질의 패턴화된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예를 비교예로서 나타낸다. 본 비교예에서는, 상기한 「3. 차광 패턴의 제작」 대신에, 이하의 제작 공정을 포함한다.
3'. 경질 포토마스크의 제작:
금속 크로뮴(Cr)을 스퍼터링 타겟으로 하여, 석영 유리의 표면에 스퍼터링하고 나서, 원하는 패턴에 기초하여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원하는 패턴을 갖는 경질 포토마스크를 제작했다.
또한, 이하의 비교예에서는 차광 패턴(20)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투광성 기재(80)도 이용하지 않고, 따라서 접합 공정 및 박리 공정을 갖고 있지 않다. 한편, 이하의 비교예에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1, 402)의 광원으로서 비평행 광원을 이용한 점에 유의해야 한다.
《비교예 C1'》
비교예 C1'은 실시예 A1과 유사하다. 다른 공정만을 이하에 기재한다.
(광배향성 재료층 형성 공정)
상기 광배향성 재료 도포액 4g을, 스핀 코팅법(3000rpm, 40초간)으로,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일면에 평탄하게 도포했다. 계속해서, 제 2 투광성 기재(10)를 오븐에 넣고, 100℃, 2분간의 조건에서 가열하여, 상기 도포액 중의 용제(메틸에틸케톤 및 사이클로펜탄온)를 제거한 후에, 실온으로 식힘으로써 광배향성 재료층(30)을 형성했다(층의 두께 50nm).
(1회째의 조사: 제 2 조사 공정)
제 2 투광성 기재(10)에 설치되어 있는 광배향성 재료층(30) 상에, 광배향성 재료층(30)과의 간격이 200μm가 되도록 스페이서를 끼워 상기 경질 포토마스크를 배치했다. 한편, 이와 같이 간격을 설치한 것은 경질 포토마스크가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접촉하여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계속해서,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90°가 되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경질 포토마스크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직접 조사했다(적산 노광량 180mJ/cm2).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있어서의, 경질 포토마스크의 투광 부분에 위치 대응하는 제 1 에어리어만이 노광되어 제 2 배향 방향이 구비되도록 했다.
(2회째의 조사: 제 1 조사 공정)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0°가 되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경질 포토마스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했다(적산 노광량 90mJ/cm2).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있어서의, 1회째의 조사로 경질 포토마스크에 차폐되어 있던 제 2 에어리어가 노광되어 제 1 배향 방향이 구비되도록 했다. 그 후, 경질 포토마스크 및 스페이서를 제 2 투광성 기재(10)로부터 제거했다.
그 후, 액정 재료층 형성 공정,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을, 실시예 A1에 준하여 행했다.
《비교예 C2'》
비교예 C2'은 비교예 C1'과 거의 서로 같지만, 제 1 조사 공정을 먼저, 제 2 조사 공정을 후에 행했다. 다른 공정만을 이하에 기재한다.
(1회째의 조사: 제 1 조사 공정)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0°가 되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을, 제 2 투광성 기재(10)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했다(적산 노광량 90mJ/cm2).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의 표면 전체, 즉 제 1 에어리어 및 제 2 에어리어가 노광되어 제 1 배향 방향이 구비되도록 했다.
(2회째의 조사: 제 2 조사 공정)
제 2 투광성 기재(10)에 있어서의 광배향성 재료층(30) 상에, 광배향성 재료층(30)과의 간격이 200μm가 되도록 스페이서를 끼워 상기 경질 포토마스크를 배치했다. 계속해서, 편광 방향의 각도가 제 2 투광성 기재(10)의 지상축에 대하여 90°가 되는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경질 포토마스크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직접 조사했다(적산 노광량 90mJ/cm2). 이것에 의해,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있어서의, 경질 포토마스크에 차폐되지 않은 제 1 에어리어만이 노광되어 제 1 배향 방향이 구비되도록 했다. 그 후, 경질 포토마스크 및 스페이서를 제 2 투광성 기재(10)로부터 제거했다.
그 후, 액정 재료층 형성 공정,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을, 실시예 A1에 준하여 행했다.
도 25(C1') 및 도 26(C2')은, 비교예 C1' 및 비교예 C2'로 각각 얻어진 위상차판의 배향 결과를 관찰한 편광 현미경도이다.
도시로부터 간파할 수 있듯이, 비교예 C1', C2'에서 얻어진 위상차판의 배향 결과는 양호하지 않고, 특히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제 2 구역(522)의 액정 배향 방향이 불균일하며, 상기 구역(522)의 배향 방향은 상기 위상차 측정 장치로는 측정 불능이 되었다. 또한 제 1 구역(521)과 제 2 구역(522)의 경계도 실시예 A1에서 얻어진 것(도 24)과 비교하여 선명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각 조사 공정에서의 제 1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1, 402)으로서, 설비가 비교적 염가로 끝나는 비평행 광원을 이용하여, 광배향성 재료층(30)과의 사이에 간격을 갖는 경질 포토마스크를 통해서 광배향성 재료층(30)을 노광한 것에 의해, 경질 포토마스크와 광배향성 재료층(30) 사이에서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이 확산해 버려, 차폐되어야 하는 에어리어(제 2 에어리어)의 일부도 노광되어 버린 것, 및 확산에 의해 직선 편광 자외선의 편광 방향이 변화되어 버린 것에 기인한다.
이상 총괄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서는, 광배향성 재료층(32)이 설치된 제 1 투광성 기재(80)와, 차광 패턴(20)이 설치된 제 2 투광성 기재(10)를 감압 점착층(70)을 통해서 접합하는 공정과,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401) 및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2)을 각각 광배향성 재료층(32)에 조사하는 공정과, 형성된 배향층(30)에 액정 재료층(50)을 도포하여 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2개의 배향 방향이 교대로 규칙적으로 구비된 품질 양호한 위상차판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이용하는 투광성 기재(제 1과 제 2 투광성 기재(80, 10))가 상기한 바와 같이 모두 가요성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롤투롤 공정에 응용할 수 있다.
더구나, 제 1과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401, 402)은, 어느 쪽도 제 1과 제 2 투광성 기재(80, 10)에 직접 조사되어 광배향성 재료층(30)에 조사되기 때문에, 예컨대 종래의 방법인 별도로 간격을 두고 설치한 포토마스크 너머로 조사한 경우와 같은 광선의 확산이 비교적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 필수 요건이던 평행 광원을 이용하지 않고서, 비교적 설비 비용이 들지 않는 비평행 광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대면적의 조사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품질 양호한 위상차판이 제조되기 때문에, 예컨대 3D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양산에 이용할 수 있다.
10: 제 2 투광성 기재
101: 일면
102: 다른 면
20: 차광 패턴
201: 광투과 영역
202: 광불투과 영역
30: 광배향성 재료층
301: 제 1 에어리어
302: 제 2 에어리어
32: 배향층
401: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
402: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
50: 액정 재료층
52: 위상차판
521: 제 1 구역
522: 제 2 구역
60: 비직선 편광 자외선
70: 감압 점착층
80: 제 1 투광성 기재

Claims (15)

  1. 상반하는 2측 중의 1측 표면에 투광성이 있는 감압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2측 중의 1측 표면에 교대로 복수의 광투과 영역과 복수의 광불투과 영역이 화성(畵成)되도록 차광 패턴이 설치된 제 1 투광성 기재를 준비하는 제 1 투광성 기재 준비 공정과,
    제 2 투광성 기재를 준비하고, 그 일면을 상기 감압 점착층에 접촉시켜, 상기 제 1 투광성 기재와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다른 면에 광배향성 재료층을 형성하는 광배향성 재료층 형성 공정과,
    제 1 편광 방향을 갖는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을,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의 상기 일면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면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를 통해서 상기 광배향성 재료층에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투과 영역을 투과한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에 노광되어 제 1 배향 방향이 부여된 제 1 에어리어와, 상기 광불투과 영역에 의해 가려져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에 노광되지 않은 제 2 에어리어가 상기 광배향성 재료층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조사 공정과,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과는 편광 방향이 다른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을, 상기 광배향성 재료층에 조사하여, 상기 제 2 에어리어에 상기 제 1 배향 방향과는 방향이 다른 제 2 배향 방향을 부여하는 제 2 조사 공정과,
    상기 광배향성 재료층이 상기 제 1 조사 공정과 상기 제 2 조사 공정을 거쳐 각각 배향 방향이 다른 상기 제 1과 제 2 에어리어를 구비한 배향층의 상면에, 액정 재료를 도포하여 상기 제 1과 제 2 에어리어에 각각 대응하여 배향된 2개의 배향 방향을 갖는 액정 재료층을 형성하는 액정 재료층 형성 공정과,
    상기 액정 재료층을 경화시키는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
    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접합 공정은, 상기 제 1 조사 공정 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사 공정에서의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의 조사는,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를 통과하기 전에, 우선 상기 제 1 투광성 기재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사 공정을 행한 후에,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로부터 상기 감압 점착층을 벗기는 박리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공정은, 상기 액정 재료층 경화 공정 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공정은, 상기 제 2 조사 공정 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공정은, 상기 제 2 조사 공정 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사 공정은, 상기 제 2 조사 공정 전에 행하고, 또한, 상기 광배향성 재료층에 대한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의 적산 노광량이, 상기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의 적산 노광량을 상회하도록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사 공정은, 상기 제 2 조사 공정 후에 행하고, 또한, 상기 광배향성 재료층에 대한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의 적산 노광량이, 상기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의 적산 노광량을 하회하지 않도록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광성 기재 및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는, 각각, 폴리에스터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터 설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 메타크릴산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광성 기재 및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는, 각각,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의 지상축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의 상기 제 1 편광 방향 또는 상기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의 상기 제 2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도 또는 90도일 때, 상기 제 1 투광성 기재 및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로서는,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300nm보다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의 지상축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의 상기 제 1 편광 방향 또는 상기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의 상기 제 2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도일 때, 상기 제 1 투광성 기재 및 상기 제 2 투광성 기재로서는, 그들의 위상차값의 합이 100nm보다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을, 자외선 흡수제 또는 차광 잉크를 포함한 도료의 도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 편광 자외선과 상기 제 2 직선 편광 자외선을, 각각의 편광 방향인 상기 제 1 편광 방향과 상기 제 2 편광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위상차판.
KR1020130113685A 2012-11-13 2013-09-25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판 KR201400612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42197 2012-11-13
TW101142197A TWI486647B (zh) 2012-11-13 2012-11-13 Method of manufacturing phase difference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227A true KR20140061227A (ko) 2014-05-21

Family

ID=5068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685A KR20140061227A (ko) 2012-11-13 2013-09-25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30968A1 (ko)
JP (1) JP2014098892A (ko)
KR (1) KR20140061227A (ko)
CN (1) CN103809232A (ko)
TW (1) TWI4866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114B1 (ko) * 2013-03-14 2020-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 소자의 전류 붕괴를 감소시키는 구동방법
KR102476414B1 (ko) * 2014-04-03 2022-12-13 롤리크 아게 시차 광학을 도입한 패턴화된 이방성을 갖는 광학 장치
KR101753941B1 (ko) 2014-08-29 2017-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CN105093617A (zh) * 2015-08-05 2015-1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US20200041807A1 (en) * 2018-08-02 2020-02-06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a monolithic wire-grid polarizer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images
JP7053870B2 (ja) * 2018-09-28 2022-04-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光学部材の製造方法
KR102566331B1 (ko) * 2019-10-10 2023-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변조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2900A (en) * 1972-11-02 1975-07-01 Daicel Ltd Masking films
US6624863B1 (en) * 1997-06-28 2003-09-23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king a patterned retarder, patterned retarder and illumination source
JP2002303710A (ja) * 2001-04-09 2002-10-18 Nitto Denko Corp 半透過反射板、半透過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6582775B1 (en) * 2002-07-12 2003-06-24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optical compensator film comprising photo-aligned orientation layer
TW556351B (en) * 2002-10-25 2003-10-01 Gem Line Technolog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to integrate spacer applied in liquid crystal display on the chip
JP4912344B2 (ja) * 2008-03-21 2012-04-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リア性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バリア性フィルム基板、デバイスおよび光学部材
WO2011090355A2 (ko) * 2010-01-22 2011-07-28 (주)Lg화학 광배향막 배향 처리용 점착 필름
DE102011009281B4 (de) * 2010-01-22 2022-05-25 Lg Chem.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ischen Filters
JP2012014064A (ja) * 2010-07-02 2012-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配向膜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配向膜製造システム、光配向膜及び位相差フィルム
KR101609380B1 (ko) * 2010-07-16 2016-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장치용 리타더 및 그 제조방법
WO2012032920A1 (ja) * 2010-09-06 2012-03-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位相差板、位相差板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20069298A (ko) * 2010-12-20 2012-06-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패턴화된 광위상변조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9348077B2 (en) * 2010-12-23 2016-05-24 L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reta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0968A1 (en) 2014-05-15
CN103809232A (zh) 2014-05-21
TW201418795A (zh) 2014-05-16
JP2014098892A (ja) 2014-05-29
TWI486647B (zh)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1227A (ko)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판
US7969541B2 (en) Retardation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KR101266209B1 (ko) 광배향막 배향 처리용 점착 필름
JP2014006493A (ja) 位相差板の製造方法
JP4720947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201306B2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orientation film,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system for producing optical orientation film, optical orientation film and retardation film
JP6716027B2 (ja) 光学フィルム、積層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の積層型光学フィルムを備えた空中結像装置
JP2011164563A (ja) 位相差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ならびに光吸収層付き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34285A (ko) 위상차 필름,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이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이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한 3d 화상 표시 시스템
KR20120137277A (ko) 패턴 위상차 필름용 액정 조성물, 패턴 위상차 필름 및 입체 표시 장치
US20150301232A1 (en) Retardation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20150309233A1 (en) Retardation fil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140020824A1 (en) Method of Annealing Liquid Crystal
JP2015018075A (ja) 位相差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71286A (ja) 位相差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