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001A -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001A
KR20140061001A KR1020120128071A KR20120128071A KR20140061001A KR 20140061001 A KR20140061001 A KR 20140061001A KR 1020120128071 A KR1020120128071 A KR 1020120128071A KR 20120128071 A KR20120128071 A KR 20120128071A KR 20140061001 A KR20140061001 A KR 20140061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lesion
pattern
patter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654B1 (ko
Inventor
정경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to KR102012012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654B1/ko
Priority to PCT/KR2013/010257 priority patent/WO2014077569A1/ko
Priority to US14/442,697 priority patent/US20160278979A1/en
Publication of KR2014006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82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for coagu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63Ret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2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97Scanning mechanisms or algorith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안구의 병변 영역에 대해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 및 치료용 빔을 안구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을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는 치료 대상 안구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안구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이미지유닛, 기설정된 패턴 형상을 안구의 이미지 중 병변의 이미지 영역에 오버랩 하는 패턴유닛 및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병변 내부와 병변 외부 중 어느 하나에 오버랩된 패턴 형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를 설정하는 입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병변의 이미지에 기설정된 패턴 형상을 오버랩한 후 병변의 외곽 라인을 기준으로 패턴들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치료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APPARATUS FOR TREATING OCUL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구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과용 치료장치는 안구에 발생되는 다양한 병변 또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안과용 치료장치는 안구에 발생되는 녹내장, 백내장 또는 황반 변성 등과 같은 병변 또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안과용 치료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치료용 빔은 다양한 파장의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안과용 치료장치는 유리체의 안압이 증가되는 녹내장, 수정체의 백화 현상이 진행되는 백내장, 그리고 망막에 발생되는 황반 변성 등의 치료 대상에 따라 다양항 파장 대역의 레이저를 조사해야 한다. 여기서, 안과용 치료장치는 질환이 발생된 안구 영역과 정상적인 안구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안구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생성한다. 안과용 치료장치는 생성된 안구의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질환이 발생된 안구의 병변 영역에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
한편, 종래의 치료장치는 "미국 등록특허공보 US 5,549,596B1"인 "눈 세포 색소의 선택적인 레이저 타켓팅(SELECTIVE LASER TARGETING OF PIGMENTED OCULAR CELLS"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선행 기술문헌은 환자의 병변에 일정 영역의 패턴으로 복수개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치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선행 기술문헌에 개시된 치료장치는 치료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패턴 형상으로 병변 영역에 복수개의 스팟으로 치료용 레이저를 조사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의 병변 영역과 일정한 패턴 형상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병변 영역의 일부 영역에만 패턴을 형성하고 나머지 병변 영역에는 임의적으로 치료용 레이저를 조사해야 함에 따라 치료 시간이 증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US 5,549,596B1: SELECTIVE LASER TARGETING OF PIGMENTED OCULAR CELLS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안구의 병변 영역에 대해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 및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을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있어서, 치료 대상 안구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이미지유닛과, 기설정된 패턴 형상을 상기 안구의 이미지 중 병변의 이미지 영역에 오버랩 하는 패턴유닛과,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내부와 상기 병변 외부 중 어느 하나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를 설정하는 입력유닛을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유닛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병변 이미지에 대한 상기 조사위치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유닛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유닛에 의해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외부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면 선택되지 않은 상기 패턴 형상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부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유닛에 의해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내부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면, 설정된 상기 패턴 형상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부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패턴 형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마우스와 디지타이저(digitiz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유닛은 복수의 기설정된 패턴 형상을 저장하는 패턴저장부와, 상기 패턴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기설정된 상기 패턴 형상 중 상기 병변의 이미지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패턴 형상을 상기 병변의 이미지에 오버랩하는 패턴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유닛은 상기 안구를 촬영하여 상기 안구의 이미지 및 상기 병변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부와, 상기 영상부에서 생성된 상기 안구의 이미지 및 상기 병변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패턴저장유닛에 의해 상기 병변의 이미지 영역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 및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을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치료 대상인 안구의 이미지 및 상기 안구의 병변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병변의 이미지 상에 기설정된 패턴 형상을 오버랩 하는 단계와, (c)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내부와 상기 병변 외부 중 어느 하나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가 설정되면 (d) 상기 병변 이미지에 대한 상기 조사위치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유닛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외부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면 선택되지 않은 상기 패턴 형상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부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내부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면 설정된 상기 패턴 형상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부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안과용 치료장치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패턴 형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마우스와 디지타이저(digitiz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형상의 병변의 이미지에 기설정된 패턴 형상을 오버랩한 후 병변의 외곽 라인을 기준으로 패턴들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치료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병변 영역에 패턴을 선택하는 개략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병변 영역에 패턴을 선택하는 개략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는 제1 및 제2실시 예로 구분되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는 빔 생성유닛(100), 빔 딜리버리유닛(200), 이미지유닛(300), 패턴유닛(500) 및 입력유닛(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는 이하에서 안구(O)의 망막(R)을 치료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안구(O)의 각막(Cr) 또는 수정체(Co)에도 적용될 수 있다.
빔 생성유닛(100)은 치료용 빔을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빔 생성유닛(100)은 일 실시 예로서 Q-switched Nd:YAG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Q-switched Nd:YAG로 사용되는 빔 생성유닛(100)은 일 실시 예일 뿐 공지된 다른 방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빔 생성유닛(100)은 치료용 빔인 레이저를 생성한다. 빔 생성유닛(100)은 치료용 빔으로 생성되는 레이저를 발진할 수 있도록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빔 생성유닛(100)은 안구(O)의 조직에 따른 파장 대역의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빔 딜리버리유닛(200)은 XY 스캐너(220), 시준유닛(240) 및 빔 스플리터(260)를 포함한다. 빔 딜리버리유닛(200)은 빔 생성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된 치료용 빔을 안구(O)의 치료 영역, 즉 병변 영역으로 인도한다. 전술한 빔 생성유닛(100)과 빔 딜리버리유닛(200)은 후술할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된다.
XY 스캐너(220)는 치료용 빔이 각막(Cr) 및 수정체(Co)를 통해 망막(R)으로 조사되는 치료용 빔의 광 축선을 Z축이라 할 때 Z축의 가로 방향인 XY 평면 상에 치료용 빔의 스팟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XY 스캐너(220)는 X축의 회전축선과 Y축의 회전축선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선으로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렇게 XY 스캐너(220)는 적어도 2개의 반사미러로 구성되어 치료용 빔의 스팟을 XY 평면 상에서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시준유닛(240)은 안구(O)와 XY 스캐너(220) 사이에 배치되어 XY 스캐너(220)로부터 입사된 치료용 빔을 안구(O)의 치료 영역으로 시준 한다. 시준유닛(240)은 복수개의 렌즈로 구성된 대물렌즈로 구성된다. 빔 스플리터(260)는 XY 스캐너(220)와 시준유닛(240) 사이에 배치되어 XY 스캐너(220)로부터의 치료용 빔을 시준유닛(240)으로 안내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병변 영역에 패턴을 선택하는 개략 작동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병변 영역에 패턴을 선택하는 개략 작동도이다.
이미지유닛(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O)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안구(O)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이미지유닛(300)은 안구(O)의 전체적인 이미지와 함께 치료가 필요한 병변의 이미지(I)도 함께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미지유닛(300)은 영상부(32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한다.
영상부(320)는 안구(O)의 형상, 상세히 설명하면 안구(O)에 발생된 질환인 병변의 이미지(I)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영상부(320)는 안구(O)의 단층을 촬영하기 위한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영상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영상부(320)에 의해 촬영되어 형성된 안구(O)의 이미지를 시술자에게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40)는 영상부(320)에 의해 촬영된 생성된 안구(O)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340)는 치료 대상인 병변의 이미지(I)를 시술자가 시인할 수 있도록 병변의 이미지(I)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340)는 병변의 이미지(I)와 함께 패턴유닛(500)에 의해서 병변의 이미지(I)에 오버랩 되는 패턴 형상을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패턴유닛(500)은 이미지유닛(300)에 의해 생성된 병변의 이미지(I) 영역에 오버랩 되는 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서, 패턴유닛(500)은 패턴저장부(520)와 패턴형성부(540)를 포함한다.
패턴저장부(520)는 병변의 이미지(I)에 오버랩 될 수 있는 기설정된 다양한 패턴 형상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의 패턴저장부(520)는 사각 형상의 패턴 형상을 저장하고 있으나, 사각 형상 이외에도 원형, 삼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다양한 패턴 형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저장부(520)에 저장되는 패턴 형상들은 제품 초기에 저장될 수 도 있고,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서 추가될 수도 있다.
패턴형성부(540)는 패턴저장부(520)에 저장된 복수의 기설정된 패턴 형상 중 선택된 패턴 형상을 이용하여 병변의 이미지(I)에 패턴 형상을 오버랩 한다. 여기서, 패턴형성부(540)에 의해 병변의 이미지(I)에 오버랩된 패턴 형상은 병변의 외곽(Io)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병변의 이미지(I) 외부에 배치되는 패턴을 제1패턴(P1), 그리고 병변의 이미지(I) 내부에 있는 패턴(병변의 외곽(Io)에 있는 패턴 포함)을 제2패턴(P2)으로 구분한다.
입력유닛(700)은 병변의 이미지(I)의 외곽(Io) 라인을 기준으로 병변 내부와 병변 외부 중 어느 하나에 오버랩된 패턴 형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이렇게 입력유닛(7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가 설정된다. 이러한 입력유닛(700)은 병변의 외곽(Io) 라인을 기준으로 병변 외부와 내부의 패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자동으로 입력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고, 디지타이저(digitizer)와 마우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시술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입력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유닛(700)이 자동으로 입력 신호를 인가할 때는 병변의 외곽(Io) 라인을 기준으로 병변 외부와 내부의 패턴들의 개수를 비교하는 패턴비교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유닛(700)은 선택된 병변의 외곽(Io) 라인을 기준으로 병변 내부와 병변 외부의 패턴 개수, 예를 들어 제1패턴(P1)과 제2패턴(P2) 개수를 비교하여 선택적으로 패턴을 선택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경우, 입력유닛(700)은 병변의 외곽(Io) 라인을 기준으로 병변 외부에 오버랩된 제1패턴(P1)의 개수 보다 병변 내부에 오버랩된 제2패턴(P2)의 개수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패턴을 선택하도록 입력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후술할 제어부(900)는 선택된 제1패턴(P1)을 제외한 제2패턴(P2)들로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빔 생성유닛(100)과 빔 딜리버리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경우, 입력유닛(700)은 병변의 외곽(Io) 라인을 기준으로 병변 외부에 오버랩된 제1패턴(P1)의 개수 보다 병변 내부에 오버랩된 제2패턴(P2)의 개수가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2패턴(P2)을 선택하도록 입력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후술할 제어부(900)는 선택된 제2패턴(P2)들로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빔 생성유닛(100)과 빔 딜리버리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는 제어부(9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900)는 입력유닛(70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병변의 이미지(I)에 대한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에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빔 생성유닛(100) 및 빔 딜리버리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9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입력유닛(700)에 의해 인가된 입력 신호가 제1패턴(P1)들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되어지지 않은 제2패턴(P2)들에 치료용 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빔 생성유닛(100)과 빔 딜리버리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900)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입력유닛(700)에 의해 인가된 입력 신호가 제2패턴(P2)들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제2패턴(P2)들에 치료용 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빔 생성유닛(100)과 빔 딜리버리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물론, 제어부(900)는 상술한 제어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병변의 외곽(Io) 라인을 인식하여 제1패턴(P1)과 제2패턴(P2)을 구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의 제어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미지유닛(300)을 이용하여 안구(O)의 이미지를 생성한다(S100). 여기서, 'S100'단계에서 생성하는 안구(O)의 이미지에는 병변의 이미지(I)가 함께 생성된다. 패턴유닛(500)을 이용하여 병변의 이미지(I)에 기설정된 패턴 형상들 중 어느 하나를 오버랩 한다(S300). 병변의 이미지(I)에 오버랩된 패턴 형상은 병변의 외곽(Io) 라인을 기준으로 병변 외부의 제1패턴(P1)과 병변의 외곽(Io) 라인 및 병변 내부의 제2패턴(P2)으로 구분된다.
병변 내부의 패턴 개수와 병변 외부의 패턴 개수를 비교한다(S500). 즉, 제1패턴(P1)의 개수와 제2패턴(P2)의 개수를 비교한다. 제1패턴(P1)과 제2패턴(P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정한다(S700). 여기서, 입력유닛(700)에 의해 인가되는 입력 신호는 제1패턴(P1)의 개수와 제2패턴(P2)의 개수 비교 시 보다 적은 쪽이 선택되도록 인가된다.
마지막으로 입력유닛(700)으로부터 인가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S900). 이때, 제어부(9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같이 제1패턴(P1)들이 선택되면 선택되지 않은 제2패턴(P2)들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빔 생성유닛(100)과 빔 딜리버리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하고, 반면 제어부(900)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와 같이 제2패턴(P2)들이 선택되면 제2패턴(P2)들에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빔 생성유닛(100)과 빔 딜리버리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다양한 형상의 병변의 이미지에 기설정된 패턴 형상을 오버랩한 후 병변의 외곽 라인을 기준으로 패턴들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치료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안과용 치료장치 100: 빔 생성유닛
200: 빔 딜리버리유닛 220: XY 스캐너
240: 시준유닛 260: 빔 스플리터
300: 이미지유닛 320: 영상부
340: 디스플레이부 500: 패턴유닛
520: 패턴저장부 540: 패턴형성부
700: 입력유닛 900: 제어부

Claims (12)

  1.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 및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을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있어서,
    치료 대상 안구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이미지유닛과;
    기설정된 패턴 형상을 상기 안구의 이미지 중 병변의 이미지 영역에 오버랩 하는 패턴유닛과;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내부와 상기 병변 외부 중 어느 하나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를 설정하는 입력유닛을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병변 이미지에 대한 상기 조사위치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유닛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유닛에 의해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외부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면, 선택되지 않은 상기 패턴 형상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부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유닛에 의해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내부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면, 설정된 상기 패턴 형상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부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패턴 형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마우스와 디지타이저(digitiz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유닛은,
    복수의 기설정된 패턴 형상을 저장하는 패턴저장부와;
    상기 패턴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기설정된 상기 패턴 형상 중 상기 병변의 이미지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패턴 형상을 상기 병변의 이미지에 오버랩하는 패턴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유닛은,
    상기 안구를 촬영하여 상기 안구의 이미지 및 상기 병변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부와;
    상기 영상부에서 생성된 상기 안구의 이미지 및 상기 병변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패턴저장유닛에 의해 상기 병변의 이미지 영역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8.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 및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을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치료 대상인 안구의 이미지 및 상기 안구의 병변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병변의 이미지 상에 기설정된 패턴 형상을 오버랩 하는 단계와;
    (c)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내부와 상기 병변 외부 중 어느 하나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가 설정되면,
    (d) 상기 병변 이미지에 대한 상기 조사위치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유닛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외부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면, 선택되지 않은 상기 패턴 형상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부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병변 이미지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병변 내부에 오버랩된 상기 패턴 형상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면, 설정된 상기 패턴 형상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생성부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치료장치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패턴 형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마우스와 디지타이저(digitiz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128071A 2012-11-13 2012-11-13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21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071A KR101421654B1 (ko) 2012-11-13 2012-11-13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CT/KR2013/010257 WO2014077569A1 (ko) 2012-11-13 2013-11-13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4/442,697 US20160278979A1 (en) 2012-11-13 2013-11-13 Ophthalmic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071A KR101421654B1 (ko) 2012-11-13 2012-11-13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01A true KR20140061001A (ko) 2014-05-21
KR101421654B1 KR101421654B1 (ko) 2014-07-22

Family

ID=5073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071A KR101421654B1 (ko) 2012-11-13 2012-11-13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78979A1 (ko)
KR (1) KR101421654B1 (ko)
WO (1) WO20140775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312A1 (ko) * 2015-08-31 2017-03-09 (주)루트로닉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9596A (en) * 1993-07-07 1996-08-27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Selective laser targeting of pigmented ocular cells
US20020133144A1 (en) * 2001-03-19 2002-09-19 Ball Semiconductor, Inc. Laser irradiation mapping system
US7766903B2 (en) * 2003-12-24 2010-08-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Patterned laser treatment of the retina
US10524656B2 (en) * 2005-10-28 2020-01-07 Topcon Medical Laser Systems Inc. Photomedical treatment system and method with a virtual aiming device
US20080015553A1 (en) * 2006-07-12 2008-01-17 Jaime Zacharias Steering las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ES2640088T3 (es) * 2006-11-10 2017-10-31 Topcon Medical Laser Systems Inc. Sistema para determinar la dosimetría en foto-medicina oftálmica
US8088124B2 (en) * 2007-01-19 2012-01-03 Technolas Perfect Vision Gmbh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 beam positioning in ocular surgery
JP5601610B2 (ja) * 2010-03-31 2014-10-0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用レーザ治療装置
KR101015881B1 (ko) * 2010-06-17 2011-02-23 이용수 레이저를 이용한 흉터 및 피부질환 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JP5842330B2 (ja) * 2010-12-27 2016-01-13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光凝固レーザ装置
US8512319B2 (en) * 2010-12-28 2013-08-20 Nidek Co., Ltd. Ophthalmic laser treatment apparatus
JP6025311B2 (ja) * 2011-08-01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診断支援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312A1 (ko) * 2015-08-31 2017-03-09 (주)루트로닉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869781B2 (en) 2015-08-31 2020-12-22 Lutronic Corporation Ophthalmic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654B1 (ko) 2014-07-22
WO2014077569A1 (ko) 2014-05-22
US20160278979A1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4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halmic measurements and laser surgery and methods and systems for surgical planning based thereon
US20190365564A1 (en) Controlled cross-linking initiation and corneal topography feedback systems for directing cross-linking
US1082819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rol data for the surgical correction of the defective vision of an eye
KR101862364B1 (ko) 교차결합술 제어
RU25793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уемые в системе лазерной хирургии глаза
US10219945B2 (en) Laser fiducials for axis alignment in cataract surgery
KR101421653B1 (ko)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빔 제어방법
EP2712311B1 (en) Controlled cross-linking initiation and corneal topography feedback systems for directing cross-linking
JP2015083154A (ja) 眼科的処置システム、及び処置テンプレート作成装置
US20190175281A1 (en) Device for surgically correcting ametropia of an eye and method for creating control data therefor
TWI631926B (zh) 用於屈光眼科手術中之切割雷射的定中心技術
AU2016423184B2 (en) Systems for opthalmic measurements and laser surgery and systems for surgical planning based thereon
CN102076290A (zh) 用于眼科激光手术尤其是屈光激光手术的设备
CN108024869A (zh) 用于激光辅助眼睛治疗的系统和方法
KR101417843B1 (ko) 안과용 치료장치
KR101644503B1 (ko) 인간의 각막에 절개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U2015382332A1 (en) Adjustable laser surgery system
KR101374294B1 (ko) 안과용 치료장치
US20150366705A1 (en) Ophthalmic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421654B1 (ko)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869781B2 (en) Ophthalmic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6973086B2 (ja) 眼科用レーザ屈折矯正装置、眼科用フォトチューニング設定装置、眼科用フォトチューニングシステム、眼鏡用フォトチューニング設定装置、及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眼科用レーザ手術装置
KR101444758B1 (ko) 안과용 치료장치
US20220047423A1 (en) Wavefront higher order correction of iols using refractive index mod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