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981A - 라디오 방송 시스템,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및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 - Google Patents

라디오 방송 시스템,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및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981A
KR20140059981A KR1020120126518A KR20120126518A KR20140059981A KR 20140059981 A KR20140059981 A KR 20140059981A KR 1020120126518 A KR1020120126518 A KR 1020120126518A KR 20120126518 A KR20120126518 A KR 20120126518A KR 20140059981 A KR20140059981 A KR 20140059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nformation
user terminal
radio
log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034B1 (ko
Inventor
이선영
이광열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이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이광열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2012012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0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라디오 방송 시스템은 음원 아카이브, 라디오 제작 모듈, 로그파일 분석 모듈 및 웹 서버를 포함한다. 음원 아카이브는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을 포함한다. 라디오 제작 모듈은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기초한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기 위한 동작이 기록된 로그파일을 생성한다. 로그파일 분석 모듈은 로그파일을 분석하여 라디오 방송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현재 음원 정보를 생성하고, 현재 음원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또는 음원 콘텐츠의 재생에 상응하는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업데이트한다. 웹 서버는 로그파일 분석 모듈로부터 현재 음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Description

라디오 방송 시스템,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및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RADIO BROADCASTING SYSTEM,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UDIO SOURCE IN RADIO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URCHASING AUDIO SOURCE IN RADIO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라디오 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디오 음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라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라디오 음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라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라디오 음원을 구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디오 방송 서비스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고 음원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은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구현되었으며, 청취자가 음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거쳐야 하였다. 특히 청취자가 운전자인 경우에 상기와 같은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청취자가 음원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에서 음원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미리 작성된 선곡표를 다운로드 받는 기능 정도만이 구현되었으며, 라디오 방송의 청취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음원을 구매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음원 검색 어플리케이션은 음원을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원 정보를 제공하였으나, 원하는 음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비교 대상인 음원이 공급되어야 하며, 검색된 음원 정보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라디오 방송과 관련된 실시간 음원 정보를 상대적으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청취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디오 방송과 관련된 실시간 음원 정보를 상대적으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청취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라디오 방송과 관련된 실시간 음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음원을 효율적으로 구매하는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방송 시스템은 음원 아카이브(Archive), 라디오 제작 모듈, 로그파일 분석 모듈 및 웹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음원 아카이브는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을 포함한다. 상기 라디오 제작 모듈은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기초한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기 위한 동작이 기록된 로그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은 상기 로그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현재 음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또는 음원 콘텐츠의 재생에 상응하는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업데이트한다.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로부터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그파일은 상기 음원 아카이브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 콘텐츠를 로딩하는데 사용되는 로딩 정보 및 상기 로딩된 음원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제작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은 상기 로딩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가수 및 앨범 제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은 상기 로딩 정보 및 상기 제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음원 아카이브를 검색하여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주기는 상기 음원 아카이브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의 재생 시간의 평균 값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디오 방송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현재 재생되는 라디오 방송에 대한 음원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수행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흔들기(shaking) 동작이 수행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는 센서에 의해 미리 정해진 동작이 감지되는 동작 인식(gesture recognition)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현재 음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웹 계정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현재 음원 정보는 음원 목록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웹 계정에 저장되며, 상기 음원 목록에 포함되는 상기 현재 음원 정보는 삭제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디오 방송 시스템은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대한 복수의 음원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음원 구매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음원 구매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음원 데이터들 중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음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아카이브(Archive), 라디오 제작 모듈, 로그파일 분석 모듈 및 웹 서버를 포함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라디오 음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서는, 상기 라디오 제작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음원 아카이브에 포함되는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기초한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라디오 제작 모듈의 동작이 기록된 로그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로그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현재 음원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또는 음원 콘텐츠의 재생에 상응하는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웹 서버에 업데이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디오 방송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디오 음원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음원 정보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데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상기 음원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과 관련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아카이브(Archive), 라디오 제작 모듈, 로그파일 분석 모듈, 웹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라디오 음원을 구매하는 방법에서는, 상기 라디오 제작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음원 아카이브에 포함되는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기초한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라디오 제작 모듈의 동작이 기록된 로그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로그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현재 음원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또는 음원 콘텐츠의 재생에 상응하는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웹 서버에 업데이트한다. 음원 정보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웹 계정에 저장한다. 상기 현재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를 직접 구매한다.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를 구매하는데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웹 계정에 저장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시 구매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선택된 현재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음원 구매 요청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원 구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음원 구매 요청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음원 구매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 구매 진행 확인 신호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진행 확인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음원 구매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진행 확인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구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에서는, 로그파일 분석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아날로그 라디오 제작 모듈을 활용하여 디지털 라디오 방송에서와 같이 복잡한 인코딩/디코딩 단계를 거치지 않고 현재 음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웹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음원 정보를 저장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부가적인 데이터베이스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대적으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현재 음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고 저장함으로써, 현재 음원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에서는, 현재 음원 정보에 포함되는 제목, 가수 및 앨범 제목만을 조합하여 음원 데이터를 검색함으로써, API 매핑 없이 음원 데이터를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정확하게 검색 및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음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구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4는 도 2의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현재 음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 및 8은 도 5의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를 직접 구매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라디오 방송 시스템(10)은 음원 아카이브(Archive)(100), 라디오 제작 모듈(200),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 웹 서버(400), 사용자 단말기(500) 및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를 포함한다. 라디오 방송 시스템(10)은 제1 통신 네트워크(350) 및 제2 통신 네트워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원 아카이브(100)는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은 다양한 장르의 노래들일 수 있다. 음원 아카이브(100)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대한 음원 데이터들(즉, 노래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 각각과 관련된 제목(즉, 노래 제목), 가수(즉, 노래를 부른 사람의 이름), 앨범 제목(즉, 노래가 포함된 앨범의 제목) 등과 같은 음원 정보(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 아카이브(100)에 포함되는 음원 데이터들은 재생만 가능하고 판매가 불가능한 음원 데이터들일 수 있다.
라디오 제작 모듈(200)은 음원 아카이브(10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기초하여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며, 이와 동시에 로그파일(LFILE)을 생성한다.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는 경우에, 즉 라디오 방송에서 음원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과거에는 제작자가 직접 테이프나 CD를 틀어 음원 콘텐츠를 재생하는 수동적인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라디오 제작 모듈(200)을 통하여 음원 아카이브(100)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로딩하여 음원 콘텐츠를 재생하는 자동적인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로그파일(LFILE)은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기초한 상기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기 위한 라디오 제작 모듈(200)의 동작이 기록된 파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로그파일(LFILE)은 음원 아카이브(10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 콘텐츠를 로딩하는데 사용되는 로딩 정보 및 상기 로딩된 음원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제작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로그파일(LFILE)은 상기 로딩 정보 및 상기 제작 명령이 누적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디오 방송은 아날로그 방식의 라디오 방송일 수 있다. 이 경우, 라디오 제작 모듈(200)은 상기 아날로그 방식의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는 아날로그 라디오 제작 모듈일 수 있다.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로그파일(LFILE)을 분석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의 일부 또는 전부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10)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즉,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고,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라디오 방송 시스템(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가수 및 앨범 제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포함할 수 있다.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제1 통신 네트워크(350)를 통하여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소정의 주기로 또는 음원 콘텐츠의 재생에 상응하는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웹 서버(400)에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네트워크(350)는 인터넷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웹 서버(400)는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로부터 수신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저장한다.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 등이 누적되도록 저장되지 않으며, 갱신되도록(즉, 덮어쓰도록) 저장될 수 있다. 웹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500)로부터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가 수신된 경우에, 저장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500)가 웹 서버(400)에 접속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웹 서버(4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접속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0)는 라디오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을 재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500)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노트북(Laptop Computer),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휴대용 게임 콘솔(Portable Game Console), 네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 등과 같은 임의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0)는 제2 통신 네트워크(450)를 통하여 현재 재생되는 라디오 방송에 대한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를 웹 서버(400)에 전송하고, 웹 서버(400)로부터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네트워크(45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0)는 수신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표시하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500)는 제2 통신 네트워크(450)를 통하여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를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전송하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음원 데이터(CSDATA)를 다운로드한다.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는 사용자 단말기(500)에 대한 추가 조작 없이 또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는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대한 음원 데이터들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500)로부터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가 수신된 경우에 음원 데이터(CSDATA)를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한다.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포함되는 음원 데이터들은 재생 및 판매가 모두 가능한 음원 데이터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방송 시스템(10)은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아날로그 라디오 제작 모듈(200)을 활용하더라도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실시간으로(즉,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라디오 제작 모듈(200)을 활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라디오 방송에서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프레임에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삽입하고 이를 인코딩/디코딩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으며,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라디오 음원 정보를 제공하고 라디오 음원을 구매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라디오 방송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및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4는 도 2의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2, 3 및 4를 참조하면, 라디오 방송 시스템(10)에서 실시간으로 라디오 음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디오 제작 모듈(200)은 로그파일(LFILE)을 생성한다(단계 S100). 예를 들어, 로그파일(LFILE)은 상기 라디오 방송(예를 들어, 아날로그 방식의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기 위한 라디오 제작 모듈(200)의 동작이 기록된 파일을 나타내며, 음원 아카이브(10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 콘텐츠를 로딩하는데 사용되는 로딩 정보 및 상기 로딩된 음원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제작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로그파일(LFILE)을 분석하여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생성한다(단계 S200).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상기 라디오 방송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생성하는데 있어서(단계 S200),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로그파일(LFILE)에 포함되는 상기 로딩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로딩 정보에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이 포함되므로,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음원 아카이브(100)를 검색하지 않고 로그파일(LFILE)만을 이용하여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생성하는데 있어서(단계 S200),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상기 로딩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획득하며, 로그파일(LFILE)에 포함되는 상기 로딩 정보 및 상기 제작 명령을 기초로 음원 아카이브(100)를 검색하여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상기 로딩 정보 및 상기 제작 명령에 기초하여 검색 요청 신호(SREQ)를 생성하며, 검색 요청 신호(SREQ)에 기초하여 음원 아카이브(100)에 대한 검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음원 아카이브(100)로부터 검색 결과 신호(SRES)를 수신하며, 검색 결과 신호(SRES)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로딩 정보에는 음원 콘텐츠의 가수 및 앨범 제목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음원 아카이브(100)를 검색하여 음원 콘텐츠의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음원 아카이브(100)를 검색하지 않고 로그파일(LFILE)만을 이용하여 음원 콘텐츠의 제목,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획득할 수도 있다.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제1 통신 네트워크(350)를 통하여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상기 소정의 주기로 또는 음원 콘텐츠의 재생에 상응하는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웹 서버(400)에 업데이트한다(단계 S300). 예를 들어, 웹 서버(400)는 현재 음원 정보(CSINFO) 및 상기 라디오 방송과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웹 페이지(예를 들어, HTML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거나 데이터 서버의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기는 음원 아카이브(10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의 재생 시간의 평균 값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은 평균적으로 약 2분 내지 3분 정도의 재생 시간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주기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의 재생 시간의 평균 값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은 약 1분 또는 약 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의 재생 시간의 평균 값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로그파일(LFILE)을 항상 읽고 있을 수 있다. 로그파일(LFILE)을 읽는 도중에 로그파일(LFILE)에 음원 콘텐츠의 재생을 의미하는 특정한 문구(예를 들어, 음원 재생 명령)가 나타나면, 로그파일 분석 모듈(300)은 로그파일(LFILE)을 분석하기 시작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웹 서버(40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에서는,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상기 소정의 주기로 또는 음원 콘텐츠의 재생에 상응하는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웹 서버(400)에 업데이트함으로써,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저장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부가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지 않고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5를 참조하면, 라디오 방송 시스템(10)에서 실시간으로 라디오 음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로그파일(LFILE)을 생성하고(단계 S100), 로그파일(LFILE)을 분석하여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생성하며(단계 S200),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상기 소정의 주기로 또는 상기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웹 서버(400)에 업데이트한다(단계 S300). 도 5의 단계 S100, S200 및 S300은 도 2의 단계 S100, S200 및 S300과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0)가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를 생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5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500)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500)에 포함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수행되거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대한 흔들기(shaking)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가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500)에 포함되는 센서(예를 들어, 동작 인식 센서)에 의해 미리 정해진 동작(예를 들어, 피사체가 사용자 단말기(500)에 근접 또는 멀어지거나, 공간 상에서 특정한 행동을 수행하는 공간 터치 동작 등)이 감지되는 동작 인식(gesture recognition)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에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는 임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키패드, 마이크, 센서 등)가 인식할 수 있는 한 번 또는 두 번의 움직임(gesture)으로 수행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0)가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를 생성하지 않은 경우에(단계 S350: 아니오), 상기 소정의 주기로 또는 상기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로그파일(LFILE) 생성 동작(단계 S100), 현재 음원 정보(CSINFO) 생성 동작(단계 S200), 및 현재 음원 정보(CSINFO) 업데이트 동작(단계 S300)이 반복된다.
사용자 단말기(500)가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를 생성한 경우에(단계 S350: 예), 웹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에 기초하여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한다(단계 S400).
도 6은 도 5의 현재 음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S4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 및 8은 도 5의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5, 6 및 7을 참조하면,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하는데 있어서(단계 S400), 사용자 단말기(500)는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를 제2 통신 네트워크(450)를 통하여 웹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10).
웹 서버(400)는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에 기초하여 현재 음원 정보(CSINFO) 및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2 통신 네트워크(45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20). 예를 들어, 현재 음원 정보(CSINFO) 및 상기 이미지 정보는 웹 서버(400)에 웹 페이지 형식으로 저장되거나 데이터 서버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정보는 라디오 채널 정보, 광고 정보, 라디오 프로그램 타이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현재 음원 정보(CSINFO)와 다르게 웹 서버(4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현재 음원 정보(CSINFO) 및 상기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500)에 표시할 수 있다(단계 S430).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기(500)에 포함되는 출력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현재 음원 정보(CSINFO) 및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단말기(500)에서 실행되는 라디오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을 나타내며, 상기 라디오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은 상기 라디오 채널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이미지 정보 표시부(510), 상기 광고 정보 및/또는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 타이틀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이미지 정보 표시부(520),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나타내는 현재 음원 정보 표시부(530), 및 화면 전환을 위한 화면 전환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 초기에 상기 라디오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음원 정보 획득 탭(542)이 선택되며, 웹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상기 라디오 채널 정보가 제1 이미지 정보 표시부(5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후에, 사용자 단말기(500)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500)에 대한 흔들기 동작이 수행되면,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가 생성되어 웹 서버(400)에 전송되고, 웹 서버(400)로부터 현재 음원 정보(CSINFO) 및 상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상기 광고 정보 및/또는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 타이틀 정보가 제2 이미지 정보 표시부(520)에 표시되고, 수신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가 현재 음원 정보 표시부(530)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 초기에 상기 라디오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라디오 채널 정보가 제1 이미지 정보 표시부(510)에 표시되고 상기 광고 정보 및/또는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 타이틀 정보가 제2 이미지 정보 표시부(520)에 표시되며, 이 후에 사용자 단말기(500)에 대한 터치 이벤트 또는 흔들기 동작이 수행되면 수신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가 현재 음원 정보 표시부(530)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도 5 및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5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0)와 연동되는 웹 계정(미도시)은 웹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저장할 수 있다(단계 S50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500)와 연동되는 상기 웹 계정은 클라우드 계정(또는 서버), 메일 계정(또는 서버) 등과 같은 웹 상의 임의의 저장공간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음원 목록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5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라디오 방송 어플리케이션에서 음원 목록 탭(544)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500)에 저장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가 음원 목록(550)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원 목록(550)에 포함되는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삭제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목록 탭(544)이 선택된 경우에, 편집 버튼(560)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수행되면 삭제 버튼(570)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삭제 버튼(570)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수행되면 상응하는 현재 음원 정보(CSINFO)가 삭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에서는, 터치 또는 흔들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주기로 또는 상기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웹 서버(400)에 업데이트되는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사용자 단말기(500)에 표시하고 저장함으로써, 운전 중인 경우와 같이 청취자가 상대적으로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라 하더라도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실시간으로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9를 참조하면, 라디오 방송 시스템(10)에서 실시간으로 라디오 음원을 구매하는 방법에 있어서, 로그파일(LFILE)을 생성하고(단계 S100), 로그파일(LFILE)을 분석하여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생성하고(단계 S200),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상기 소정의 주기로 또는 상기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웹 서버(400)에 업데이트하고(단계 S300),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를 생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350), 음원 정보 요청 신호(CSIREQ)를 생성한 경우에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하며(단계 S400),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사용자 단말기(500) 또는 웹 계정에 저장한다(단계 S500). 도 9의 단계 S100, S200 및 S300은 도 2의 단계 S100, S200 및 S300과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도 9의 단계 S350, S400 및 S500은 도 5의 단계 S350, S400 및 S500과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0) 또는 웹 계정에 저장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에 기초하여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를 직접 구매한다(단계 S600).
도 10은 도 9의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를 직접 구매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8, 9 및 10을 참조하면,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를 직접 구매하는데 있어서(단계 S600), 사용자 단말기(500) 또는 웹 계정에 저장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음원 목록 탭(544)이 선택된 경우에, 음원 목록(550)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수행되면 상응하는 현재 음원 정보(CSINFO)가 선택될 수 있다.
즉시 구매(즉, 바로 구매)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단계 S620),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의 활성화 여부 및 선택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에 기초하여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단계 S630).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이란 현재 음원 정보(CSINFO)가 선택되는 경우에 추가적인 조작 없이 음원 구매가 수행되는 기능을 나타낸다.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단계 S620: 예), 사용자 단말기(500)는 선택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에 기초하여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632). 사용자 단말기(500)는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를 제2 통신 네트워크(450)를 통하여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전송할 수 있다.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는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음원 데이터(CSDATA)를 제2 통신 네트워크(45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500)는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에 기초하여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음원 데이터(CSDATA)를 제2 통신 네트워크(450)를 통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다(단계 S640). 음원 데이터(CSDATA)를 다운로드하는 경우에,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상응하는 음원 컨텐츠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에서, 라디오 방송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음원 컨텐츠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서로 연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 또한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 가수 및 앨범 제목을 조합하여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서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목, 가수 및 앨범 제목의 세 가지 정보를 조합하는 경우에, 웹 서버(4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500)와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 사이의 API 매핑이 구현되어 있지 않더라도,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하나의 음원 콘텐츠를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단계 S620: 아니오), 구매 진행 확인 신호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634). 즉,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선택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에 상응하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를 구매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진행 확인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단계 S634: 예), 사용자 단말기(500)는 선택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에 기초하여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를 생성할 수 있고(단계 S632), 음원 구매 요청 신호(CSPREQ)에 기초하여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음원 데이터(CSDATA)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단계 S64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500)에 포함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수행되거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대한 흔들기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구매 진행 확인 신호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구매 진행 확인 신호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단계 S634: 아니오),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구매를 종료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에서는, 사용자 단말기(500)에 저장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예를 들어, 제목, 가수 및 앨범 제목)만을 조합하여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서 음원 데이터(CSDATA)를 검색함으로써, 웹 서버(4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500)와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의 API 매핑 없이 현재 음원 정보(CSINFO)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CSDATA)를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현재 음원 정보(CSINFO)가 선택되는 경우에, 동작 모드에 따라서 추가 조작 없이(상기 즉시 구매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또는 터치/흔들기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상기 즉시 구매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음원 데이터(CSDATA)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청취자가 상대적으로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이더라도 음원 데이터(CSDATA)를 실시간으로 효율적으로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웹 서버(4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500)와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600) 사이의 API 매핑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API 매핑에 기초하여 음원 데이터(CSDATA)에 대한 구매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식의 라디오 제작 모듈을 포함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라디오 음원 정보를 청취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이에 기초하여 라디오 음원을 효율적으로 구매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5)

  1.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을 포함하는 음원 아카이브(Archive);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기초한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기 위한 동작이 기록된 로그파일을 생성하는 라디오 제작 모듈;
    상기 로그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현재 음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또는 음원 콘텐츠의 재생에 상응하는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업데이트하는 로그파일 분석 모듈; 및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로부터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파일은 상기 음원 아카이브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 콘텐츠를 로딩하는데 사용되는 로딩 정보 및 상기 로딩된 음원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제작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은 상기 로딩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제목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는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가수 및 앨범 제목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은 상기 로딩 정보 및 상기 제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음원 아카이브를 검색하여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가수 및 앨범 제목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상기 음원 아카이브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의 재생 시간의 평균 값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 재생되는 라디오 방송에 대한 음원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수행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흔들기(shaking) 동작이 수행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는 센서에 의해 미리 정해진 동작이 감지되는 동작 인식(gesture recognition)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현재 음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웹 계정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는 음원 목록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웹 계정에 저장되며, 상기 음원 목록에 포함되는 상기 현재 음원 정보는 삭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대한 복수의 음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음원 구매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음원 구매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음원 데이터들 중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음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10. 음원 아카이브(Archive), 라디오 제작 모듈, 로그파일 분석 모듈 및 웹 서버를 포함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라디오 음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라디오 제작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음원 아카이브에 포함되는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기초한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라디오 제작 모듈의 동작이 기록된 로그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로그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현재 음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또는 음원 콘텐츠의 재생에 상응하는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웹 서버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방송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음원 정보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상기 음원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과 관련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13. 음원 아카이브(Archive), 라디오 제작 모듈, 로그파일 분석 모듈, 웹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라디오 음원을 구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라디오 제작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음원 아카이브에 포함되는 복수의 음원 콘텐츠들에 기초한 라디오 방송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라디오 제작 모듈의 동작이 기록된 로그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로그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라디오 방송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현재 음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로그파일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또는 음원 콘텐츠의 재생에 상응하는 음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웹 서버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음원 정보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웹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를 직접 구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를 구매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웹 계정에 저장된 상기 현재 음원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즉시 구매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선택된 현재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음원 구매 요청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구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구매 요청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음원 구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즉시 구매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 구매 진행 확인 신호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구매 진행 확인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음원 구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진행 확인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현재 재생되는 음원 콘텐츠의 구매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
KR1020120126518A 2012-11-09 2012-11-09 라디오 방송 시스템,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및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 KR101472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518A KR101472034B1 (ko) 2012-11-09 2012-11-09 라디오 방송 시스템,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및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518A KR101472034B1 (ko) 2012-11-09 2012-11-09 라디오 방송 시스템,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및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981A true KR20140059981A (ko) 2014-05-19
KR101472034B1 KR101472034B1 (ko) 2014-12-26

Family

ID=5088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518A KR101472034B1 (ko) 2012-11-09 2012-11-09 라디오 방송 시스템,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및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0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392A (ko) * 2004-10-01 2006-04-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데이터 라디오 채널을 이용한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83075A (ko) * 2006-12-19 2008-09-16 김준철 라디오 방송 중 음악파일의 실시간 다운로드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039946A (ko) * 2008-10-09 2010-04-19 주식회사 문화방송 모바일 ip 라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120069908A (ko) * 2010-12-21 201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034B1 (ko) 201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0563B2 (en) Aggregating metadata for media content from multiple devices
TWI441471B (zh) 用於標記位置之方法
JP3174819U (ja) 標準化プレーリストの作成および統一の維持
JP5133508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受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US81807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ing evaluation values of content data stored for reproduction
US20100205222A1 (en) Music profiling
US200502543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udio track based upon audio excerpts
US20120117042A1 (en) Combining song and music video playback using playlists
JPWO2008096414A1 (ja) コンテンツ取得装置、コンテンツ取得方法、コンテンツ取得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70083408A (ko) 재생장치, 콘텐츠 선택 방법, 콘텐츠 분배 시스템,정보처리장치, 콘텐츠 전송방법 및 기억매체
JP2007164078A (ja) 楽曲再生装置および楽曲情報配信サーバ
EP21652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umbnail image for an audiovisual file
WO2011066432A2 (en) System and method for uploading and downloading a video file and synchronizing videos with an audio file
JP5143620B2 (ja) 試聴用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US8296315B2 (en) Earmarking media documents
CN104681048A (zh) 多媒体读取控制装置、曲线获取装置、电子设备、曲线提供装置及方法
CN106775567B (zh) 一种音效匹配方法及系统
JP4419912B2 (ja) 検索システム、検索装置、検索方法および検索プログラム、ならびに、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200614662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ユーザ端末,再生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72034B1 (ko) 라디오 방송 시스템, 라디오 음원 정보 제공 방법 및 라디오 음원 구매 방법
JP2005285285A (ja) コンテンツ読出装置及び楽曲再生装置
JP2008176126A (ja) 通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リスト管理システム
KR20060095971A (ko) 통신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
JP2006126679A (ja) オーディオ装置並びに同装置の楽曲リストソート方法及び楽曲リストソートプログラム
KR20180034718A (ko) 마인드맵을 활용한 뮤직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