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928A -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 Google Patents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9928A KR20140059928A KR1020120126311A KR20120126311A KR20140059928A KR 20140059928 A KR20140059928 A KR 20140059928A KR 1020120126311 A KR1020120126311 A KR 1020120126311A KR 20120126311 A KR20120126311 A KR 20120126311A KR 20140059928 A KR20140059928 A KR 201400599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rotation
- elastic
- sealing
- rotation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9—Devices to connect parts of a boom or an a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동 중심축에 끼워진 제1 회동 연결부와 제2 회동 연결부의 틈새를 덮으며 탄성을 갖는 탄성 립 및 상기 탄성 립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회동 연결부와 제2 회동 연결부에 밀착되는 실을 포함하는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동 중심축에 끼워진 제1 회동 연결부와 제2 회동 연결부의 틈새를 덮으며 탄성을 갖는 탄성 립 및 상기 탄성 립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회동 연결부와 제2 회동 연결부에 밀착되는 실을 포함하는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의 일종인 굴삭기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목 기계로서, 택지조성사업, 도로 및 하수도 공사, 하천개조 및 차수공사, 터널 및 지하철 공사, 토석 채취작업, 임야개간공사, 토사 적재작업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굴삭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에 붐이 연결되고, 붐의 선단에는 암(10)이 연결되며, 암(10)의 선단에는 버킷(20)이 연결되는데, 일 예로 암(10)과 버킷(20) 등과 같은 작업기는 연결핀(30)(즉, 회동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운동하도록 관절부를 갖고, 관절부는 실링 수단을 갖는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20)과 암(10)은 연결핀(3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버킷(20)에 설치된 브래킷(40)들 사이로 암(10)이 끼워지고 브래킷(40)과 암(10)을 관통하여 연결핀(30)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암(10)의 내부에는 연결핀(30)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부싱(50)이 구비되고, 부싱(50)의 끝단에는 토사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실(60)이 구비되며, 부싱(50)의 내측으로 윤활유가 주입되어 작동시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버킷(20)의 브래킷(40)과 암(10) 사이의 틈새에는 오링(70)을 설치하여 이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오링(70)은 NBR 재질의 폴리머로 일정 유격 수준에서는 암(10)과 브래킷(40) 사이에 밀착되어 밀봉력을 유지한다. 또한 관절부의 분해 및 조립을 위해 탄성력을 갖는다.
그러나, 오링(70)은 정적인 조건에서 실링을 제공하기 위한 기본적인 형태로, 건설기계 프론트와 같이 항상 이물질에 노출되고 불특정한 방향으로의 하중 및 충격을 수반하는 열악한 조건에서 사용되는 실(seal)로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예컨대, 탄성 고무 소재의 오링(70)은 내마모성이 및 내열화성이 열등하고 사용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성을 잃어 버킷(20)의 브래킷(40)과 암(10)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고,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마찰면이 윤활성을 잃어 암(10)과 브래킷(40)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접촉 형태도 암(10)이나 브래킷(40)과 같은 상대 면과의 접촉각이 매우 작은 선 접촉 상태이므로, 그 상태에서 암(10)과 브래킷(40)의 상대 운동이 발생하면 토사나 고경도 모래 입자 등과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배제하기가 어렵다.
또한, 토사나 고경도 모래 입자가 침투하여 암(10)과 브래킷(40) 사이의 마찰면에서 연삭 마모가 진행되면 암(10)과 브래킷(40)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면서 더욱 큰 유격이 발생하므로, 브래킷(40)의 떨림 등 작업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연결핀(30)의 길이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오링(70)과 암(10) 사이 또는 오링(70)과 버킷(20)의 브래킷(40) 사이에 일시적으로 유격이 발생하여 이물질이 침투하는 경로가 생기게 되는데, 이때 침투 경로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이 쉽게 침투한다. 이에 수 mm 이상의 큰 유격에서는 실링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면접촉을 통해 넓은 범위의 실링 면적을 제공하고, 탄성적으로 실링 접촉이 되므로 상대 운동이 이루어지는 작업 중에도 항시 실링 접촉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도구 없이도 실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는 회동 중심축과; 상기 회동 중심축이 끼워지는 제1 회동 연결부와; 상기 회동 중심축이 끼워지며, 상기 제1 회동 연결부를 바라보는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회동 연결부; 및 상기 제2 회동 연결부를 바라보는 상기 제1 회동 연결부의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결합된 제1 실과, 상기 제2 회동 연결부의 안착홈에 놓인 제2 실 및 일단은 상기 제1 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실에 연결되며 탄성력이 있어서 상기 제2 실이 상기 제2 회동 연결부에 밀착되도록 미는 탄성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 립은 상기 제1 회동 연결부에서 제2 회동 연결부를 향하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요철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립은 상기 제1 회동 연결부에서 제2 회동 연결부를 향하는 폭 방향을 따라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진 경사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회동 연결부를 바라보는 상기 제1 회동 연결부의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실은 상기 걸림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립이 제1 회동 연결부와 제2 회동 연결부의 틈새를 덮으며 그와 동시에 탄성 립의 탄성력에 의해 실이 제1 회동 연결부와 제2 회동 연결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실의 면접촉을 통해 넓은 범위의 실링 면적을 제공함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실링 접촉이 되므로 상대 운동이 이루어지는 작업 중에도 항시 실링 접촉을 유지한다.
또한, 탄성 립을 손으로 변형시키면 실의 교체가 가능하여 회동 중심축에 끼워진 제1 회동 연결부와 제2 회동 연결부를 분해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도 실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건설기계의 일 예인 굴삭기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O-링을 구비한 굴삭기 관절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O-링을 구비한 굴삭기 관절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는 건설기계 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굴삭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저(dozer) 등을 비롯하여 그 외 다양한 건설기계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토사나 암석 등과 접촉이 많은 작업기의 프론트 부분인 암과 버킷을 연결하는 관절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외 붐과 암을 연결하는 관절부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회동 중심축에 끼워져 회동하는 각 연결부를 제1 회동 연결부와 제2 회동 연결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는 상대적인 것으로 제1 회동 연결부의 구성을 제2 회동 연결부에 구비하거나, 제2 회동 연결부의 구성을 제1 회동 연결부에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는 회동 중심축(X)과,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 및 실링 어셈블리(130)를 포함한다.
또한, 관절 조립체로서 회동 중심축(X)과 제1 회동 연결부(110) 사이에 부시(B)를 삽입하여 원활한 유동을 보장하거나, 토사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더스트 실(D)과 같은 보조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건설기계인 굴삭기에 적용되고, 굴삭기의 여러 관절부 중 암(arm)과 버킷(bucket)을 연결하는 관절부라면, 상기 제1 회동 연결부(110)는 암의 보스(boss)이고, 제2 회동 연결부(120)는 버킷의 보스가 될 것이다.
물론, 버킷에 브라켓(도 1의 40 참조)을 구비한 구성을 채택한 경우라면 제2 회동 연결부(120)가 브라켓이 될 것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에는 회동 중심축(X)이 끼워지므로 이들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가 회동 중심축(X)을 중심으로 서로 간에 상대 운동(즉, 회동)한다.
실링 어셈블리(130)는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 사이의 틈새로 토사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
실링 어셈블리(130)는 제1 회동 연결부(110)에 설치되는 제1 실(131)(seal)과, 제2 회동 연결부(120)에 설치되는 제2 실(132) 및 상기 제1 실(131)과 제2 실(132)을 연결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립(133)(lip)을 포함한다.
제1 실(131)과 제2 실(132)은 각각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 측을 통해 토사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 립(133)은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 사이를 덮어 이들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제1 실(131)은 제2 회동 연결부(120)를 바라보는 제1 회동 연결부(110)의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131)은 제1 회동 연결부(110)의 외주면 형상과 같은 원형 링 형상을 갖는다.
제1 실(131)은 제1 회동 연결부(1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실링 접촉을 유지할 수 있으면 되므로,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동 연결부(110)의 단부 외주면에 결합되거나,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제2 회동 연결부(120)를 바라보는 제1 회동 연결부(110)의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 방식에는 움직임이 불가능하도록 완전히 고정 결합된 경우와 그 외 움직임은 가능하면서도 접촉만 유지하는 유동 결합 2가지가 있는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전자에 해당하는 고정 결합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시 생략된 체결 볼트나 접착재를 이용하여 제1 실(131)을 제1 회동 연결부(110)에 완전히 고정 결합시킨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실(132)은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실링 접촉만 유지한다. 따라서, 제1 실(131)이 완전히 고정되어도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는 자유롭게 상대운동을 할 수 있다.
제2 실(132)은 제1 회동 연결부(110)를 바라보는 제2 회동 연결부(120)의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실(132)도 제2 회동 연결부(120)의 외주면 형상과 같은 원형 링 형상을 갖는다.
제2 실(132)은 제2 회동 연결부(120)에 완전히 고정 결합되지 않고 실링 접촉만을 유지한다. 즉, 제1 회동 연결부(110)를 바라보는 제2 회동 연결부(120)의 단부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2 실(132)은 이 안착홈(121) 위에 놓인다.
따라서, 제2 실(132)과 제2 회동 연결부(120)의 실링 접촉이 이루어지고, 이때 확실한 실링 접촉의 유지는 탄성 립(133)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 실(132)과 제2 회동 연결부(120)의 실링 접촉이 계속 유지되면서 제2 실(132)과 제2 회동 연결부(120)가 완전히 고정 결합되지는 않으므로 제2 회동 연결부(120)가 자유롭게 회동을 하면서 실링이 유지되는 것이다.
다만, 제2 실(132)도 제2 회동 연결부(1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실링 접촉을 유지할 수 있으면 되므로, 제2 회동 연결부(120)의 단부 외주면에 결합되거나, 제1 회동 연결부(110)를 바라보는 제2 회동 연결부(1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제2 실(132)의 단면이 사각형상(즉, 다각형상)인 것을 예로 들었지만 그 외 단면이 원형인 것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안착홈(121)도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2 실(132)의 단면적도 그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된다.
탄성 립(133)은 고강도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토사나 암석이 직접 부딪혀도 파손이 방지되고,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 사이의 틈새를 덮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특히, 탄성 립(133)의 일단은 제1 실(1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실(132)에 연결되며 탄성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실(132)이 제2 회동 연결부(120)에 밀착되도록 미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탄성 립(133)을 가압하면, 탄성 립(133)은 그 가압되는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탄성 립(133)에 연결된 제2 실(132)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고 제2 회동 연결부(120)의 안착홈(121) 벽면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불규칙한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계속해서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탄성 립(133)은 제1 회동 연결부(110)에서 제2 회동 연결부(120)를 향하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요철이 있는 형상을 갖는다. 요철을 형성하여 구불구불하게 만들면 탄성 립(133) 자체의 강도는 물론 탄성도 역시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탄성 립(1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 실(132)이 제2 회동 연결부(120)에 밀착되므로, 제2 실(132)의 면접촉을 통해 넓은 범위의 실링 면적을 제공함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실링 접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대 운동이 이루어지는 작업 중에도 항시 실링 접촉을 유지하고, 나아가 좌우 방향의 유격 발생은 물론 상하 방향의 유격 발생을 비롯한 어느 방향에서의 유격 발생에도 항상 적절한 실링 접촉을 유지한다.
또한, 제2 실(132)의 교체시 작업자가 탄성 립(133)을 눌러 변형시키기만 하면 그 교체가 가능하게 되므로, 종래처럼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를 분해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별도의 도구 없이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는 회동 중심축(X)과,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 및 실링 어셈블리(130)를 포함한다.
실링 어셈블리(130)는 제1 회동 연결부(110)에 설치되는 제1 실(131a)과, 제2 회동 연결부(120)에 설치되는 제2 실(132) 및 상기 제1 실(131a)과 제2 실(132)을 연결하는 탄성 립(1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2 회동 연결부(120)를 바라보는 제1 회동 연결부(110)의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걸림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실(131a)은 걸림홈(111)에 끼워져 결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 실(131a)이 체결 볼트나 접착재 등을 통해 제1 회동 연결부(110)에 완전히 고정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걸림홈(111) 내에 끼움 결합이 됨으로써 제1 실(131a) 역시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131a)을 끼움 결합하면 탄성 립(133)의 탄성 복원력이 제2 실(132) 뿐만 아니라 제1 실(131a)에도 동시에 작용하여 제1 실(131a)이 제1 회동 연결부(110)에 강하게 밀착되므로 실링 접촉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이탈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는 회동 중심축(X)과,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 및 실링 어셈블리(140)를 포함한다.
실링 어셈블리(140)는 제1 회동 연결부(110)에 설치되는 제1 실(141)과, 제2 회동 연결부(120)에 설치되는 제2 실(142) 및 상기 제1 실(141)과 제2 실(142)을 연결하는 탄성 립(143)을 포함한다. 제1 실(141)과 제2 실(142) 사이의 지지체(142a)는 탄성 립(143)을 지지하여 탄성 립(143)의 변형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회동 연결부(110)의 단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단턱에 제1 실(141)이 안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 실(142)은 종전과 마찬가지로 제2 회동 연결부(120)의 단부에 형성된 안착홈(121) 내에 놓인다.
따라서,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가 조립됨으로써 탄성 립(143)이 가압되면 탄성 립(143)의 양측 방향으로 동시에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고, 제1 실(141)과 제2 실(142)은 탄성 립(143)에 의해 각각 실링 접촉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링 어셈블리(140)의 교체시 제1 실(141)을 잡고 제2 회동 연결부(120) 측으로 잡아당겨 분리를 하거나, 혹은 탄성 립(143)을 제1 회동 연결부(110) 측으로 누른 후 상측으로 잡아당겨 분리할 수 있다.
제2 실(132) 역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밀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위와 같이 탄성 립(143)을 누를 때 압착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탄성 립(143)을 눌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립(143)의 형상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차이가 있는데, 도 5와 같이 탄성 립(143)의 다른 예로서 제1 회동 연결부(110)에서 제2 회동 연결부(120)를 향하는 폭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경사판이 사용된다.
물론, 회동 중심축(X)을 기준으로 제1 실(141)보다 제2 실(132)이 더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제1 회동 연결부(110)에서 제2 회동 연결부(120)를 향하는 폭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판도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는 회동 중심축(X)과,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제2 회동 연결부(120) 및 실링 어셈블리(140)를 포함한다.
또한, 실링 어셈블리는 제1 회동 연결부(110)에 설치되는 제1 실(141a)과, 제2 회동 연결부(120)에 설치되는 제2 실(142)과, 탄성 립(143) 및 지지체(142a)를 포함하며 이점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회동 연결부(110)의 단부에 끼움홈(112)이 형성되어 있어서 끼움홈(112)에 제1 실(141a)이 끼움 결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와 같이 단턱에 제1 실(141)이 설치되더라도 탄성 립(14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실(141)의 이탈이 방지되기는 하지만, 작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진동이나 충격 등을 고려하면 제1 실(141a)을 끼움홈(112)에 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제1 회동 연결부 111: 걸림홈
112: 끼움홈 120: 제2 회동 연결부
121: 안착홈 130, 140: 실링 어셈블리
131, 131a, 141, 141a: 제1 실 132, 142: 제2 실
133, 143: 탄성 립 X: 회동 중심축
B: 부시(bush) D: 더스트 실(dust seal)
112: 끼움홈 120: 제2 회동 연결부
121: 안착홈 130, 140: 실링 어셈블리
131, 131a, 141, 141a: 제1 실 132, 142: 제2 실
133, 143: 탄성 립 X: 회동 중심축
B: 부시(bush) D: 더스트 실(dust seal)
Claims (4)
- 회동 중심축(X)과;
상기 회동 중심축(X)이 끼워지는 제1 회동 연결부(110)와;
상기 회동 중심축(X)이 끼워지며, 상기 제1 회동 연결부(110)를 바라보는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회동 연결부(120); 및
상기 제2 회동 연결부(120)를 바라보는 상기 제1 회동 연결부(110)의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결합된 제1 실(131, 131a, 141, 141a)과, 상기 제2 회동 연결부(120)의 안착홈(121)에 놓인 제2 실(132, 142) 및 일단은 상기 제1 실(131, 131a, 141, 14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실(132, 142)에 연결되며 탄성력이 있어서 상기 제2 실(132, 142)이 상기 제2 회동 연결부(120)에 밀착되도록 미는 탄성 립(133, 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립(133)은 상기 제1 회동 연결부(110)에서 제2 회동 연결부(120)를 향하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요철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립(143)은 상기 제1 회동 연결부(110)에서 제2 회동 연결부(120)를 향하는 폭 방향을 따라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진 경사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 연결부(120)를 바라보는 상기 제1 회동 연결부(110)의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홈(111, 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실(131a, 141a)은 상기 홈(111, 11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311A KR20140059928A (ko) | 2012-11-08 | 2012-11-08 |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311A KR20140059928A (ko) | 2012-11-08 | 2012-11-08 |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9928A true KR20140059928A (ko) | 2014-05-19 |
Family
ID=5088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6311A KR20140059928A (ko) | 2012-11-08 | 2012-11-08 |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59928A (ko) |
-
2012
- 2012-11-08 KR KR1020120126311A patent/KR2014005992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446333B2 (ja) | 機械用具に先端具を取り付けるためのアダプタを備えた地面係合工具アセンブリ | |
RU2657588C2 (ru) | Землеройный инструмент в сборе | |
US20220243429A1 (en) | Implement ground engaging tip assembly having tip with tapered retention channel | |
RU2651722C2 (ru) | Землеройный инструмент в сборе | |
RU2651730C2 (ru) | Землеройный орган в сборе | |
CN102917944B (zh) | 用于履带销接头组件的密封组件 | |
CN101002042A (zh) | 两个组件的销钉连接 | |
CN102822044B (zh) | 用于履带销接头组件的密封组件 | |
US20170057572A1 (en) | Track Joint Assembly | |
US20200048873A1 (en) | Implement tip assembly having tip with support rib | |
KR101458353B1 (ko) | 작업기계의 2부재 연결구조 | |
RU2664988C2 (ru) | Землеройный инструмент в сборе | |
KR20140059928A (ko) |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 |
JP2007009598A (ja) | 作業機械の連結ピン構造 | |
KR20130092010A (ko) | 굴삭기의 버킷과 암의 연결 구조 | |
KR101980916B1 (ko) | 굴삭기의 버켓과 암의 연결구조 | |
US20200048872A1 (en) | Implement tip assembly having tip with wear indicator | |
KR20070065648A (ko) | 굴삭기 암과 버킷의 연결 구조 | |
KR20140059927A (ko) | 실링 수단을 갖는 건설기계용 관절 조립체 | |
KR200143078Y1 (ko) | 굴삭기용 아암 보스의 측면 마모 방지 구조 | |
KR20100011782U (ko) | 굴삭기의 버킷과 암의 연결 구조 | |
CN106480912B (zh) | 防止异物流入密封件以及包括其的工程机械 | |
CN203546772U (zh) | 挖掘机及其工作装置 | |
CN205530417U (zh) | 一种挖掘机的推土装置总成 | |
KR20170000956U (ko) | 건설장비의 유압 파이프용 러버 클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