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577A -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577A
KR20140059577A KR1020120126163A KR20120126163A KR20140059577A KR 20140059577 A KR20140059577 A KR 20140059577A KR 1020120126163 A KR1020120126163 A KR 1020120126163A KR 20120126163 A KR20120126163 A KR 20120126163A KR 20140059577 A KR20140059577 A KR 20140059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information
push server
ta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경
노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6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9577A/ko
Publication of KR2014005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 서버를 통해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 발생한 알람 정보 및 해당 영상을 빌딩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빌딩 내 공조, 냉난방, 냉온수, 조명 및 전력 설비 등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BAS서버, BAS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푸쉬 서버, 푸쉬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구글 푸쉬 서버 및 정보를 출력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BAS 서버가 푸쉬 서버로 알람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푸쉬 서버가 주기적으로 BAS 서버에 접속하여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푸쉬 서버가 구글 푸쉬 서버로 사용자 모바일 기기 정보,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구글 푸쉬 서버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모바일 기기가 알람 발생 시 팝업 메시지를 생성하고, 팝업 메시지 내에 알람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며, 영상 신호 재생 버튼 입력에 의해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푸쉬 서버(push server)를 통해 빌딩 자동화 시스템(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에서 발생한 알람 정보 및 해당 영상을 빌딩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빌딩 설비 및 센서 등의 필드 디바이스, 이러한 하드웨어와 연결되어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이 컨트롤러와 연동되어 결국엔 빌딩 설비 및 필드 디바이스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빌딩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빌딩 환경을 쾌적하게 만들고, 설비 알람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또한 에너지 및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 설비 고장 진단 시, 추가적인 시스템 인프라의 구성없이 알람을 실시간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방법은 이메일이나 SMS(short message service) 전송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전으로 모바일 기기의 고도화가 진행되었고, 이메일이나 SMS에 의한 단순 메시지 전송이 아닌 사용자가 메시지를 항상 확인 가능하도록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각 모바일 기기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술 트렌드가 바뀌어 가고 있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 관리 측면에서 사용자가 기존의 이메일 또는 SMS 전송을 통해 알람을 받는 경우 사용자가 알람 내용을 확인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는 알람의 내용에 대한 단순 메시지에 불과하며 관리자는 메시지를 확인한 후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접속하여 알람 원인을 분석한 후 조치를 취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병행해야만 한다.
알람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빌딩 자동화 시스템이 설치 되어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시스템에 접속해야 하고,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 남겨놓은 이력을 조회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알람 발생 원인을 파악해야만 한다. 또는 데이터 분석 이전에 알람 발생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 상황을 파악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런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설비 고장 현장을 확인하기 위해 장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빌딩 관리자가 언제 어디서든 알람 발생을 확인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솔루션이 필요하며, 각 관련 업체들은 빌딩 관리를 위한 모바일 연동 솔루션을 내놓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재는 서버와의 연동을 통한 설비 모니터링 수준에 불과하며, 최근 IT 기술 트렌드를 이용한 즉각적인 알람 전송 및 알람 원인 분석이 즉시 가능하도록 하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빌딩 시스템의 알람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보다 즉각적인 알람 전송 및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알람 확인이 가능해야 하며, 알람 확인 즉시 분석 및 대처가 가능해야 하고, 또한 관리자가 쉽게 알람 원인 분석이 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2009-010845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푸쉬 서버를 통해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 발생한 알람 정보 및 해당 영상을 빌딩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여 알람 발생 주변 상황 및 알람 원인 분석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시스템은 빌딩 내 공조, 냉난방, 냉온수, 조명 및 전력 설비 등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설비들의 이상동작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설비 주변 상황을 촬영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BAS 서버; 사용자 모바일 기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BAS 서버로부터 알람 리스트를 수신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BAS 서버에 접속하여 알람 정보 및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푸쉬 서버; 상기 푸쉬 서버로부터 사용자 모바일 기기 정보, 알람 정보 및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구글 푸쉬 서버; 및 상기 알람 발생 시 팝업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팝업 메시지 내에 상기 알람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며, 영상 신호 재생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푸쉬 서버가 상기 BAS로부터 수신하는 알람 정보는, 상기 설비가 정상 상태였다가 비정상 상태로 변하는 경우인 알람 발생 정보에 제1 태그를 추가된 알람 정보,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변하는 경우인 알람 해제 정보에 상기 제1 태그 및 제2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인데 관리자에 의해 알람이 확인되는 경우인 알람 ACK 정보에 제3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회복된 이후 관리자에 의해 해제되는 경우인 노말 ACK 정보에 상기 제1 태그 및 상기 제3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 또는 상기 관리자에 알람이 해제되었으나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ACK pending이 되는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설비 주변 상황을 촬영한 영상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알람 발생 정보에 영상 존재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 출력되는 팝업 메시지는, 알람 발생 시간, 알람 값, 알람이 발생한 설비 명칭 및 알람 확인 상태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빌딩 내 공조, 냉난방, 냉온수, 조명 및 전력 설비 등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 서버, 상기 BAS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푸쉬 서버, 상기 푸쉬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구글 푸쉬 서버 및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BAS 서버가 상기 푸쉬 서버로 알람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푸쉬 서버가 주기적으로 상기 BAS 서버에 접속하여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푸쉬 서버가 상기 구글 푸쉬 서버로 사용자 모바일 기기 정보, 상기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글 푸쉬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알람 발생 시 팝업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팝업 메시지 내에 상기 알람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며, 영상 신호 재생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가 정상 상태였다가 비정상 상태로 변하는 경우인 알람 발생 정보에 제1 태그를 추가된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변하는 경우인 알람 해제 정보에 상기 제1 태그 및 제2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인데 관리자에 의해 알람이 확인되는 경우인 알람 ACK 정보에 제3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회복된 이후 관리자에 의해 해제되는 경우인 노말 ACK 정보에 상기 제1 태그 및 상기 제3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에 알람이 해제되었으나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ACK pending이 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 주변 상황을 촬영한 영상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알람 발생 정보에 영상 존재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팝업 메시지는, 알람 발생 시간, 알람 값, 알람이 발생한 설비 명칭 및 알람 확인 상태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BAS 서버와 구글 푸쉬 서버를 연동하여 알람 발생 정보 및 해당 영상을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즉각적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알람 발생 정보 및 해당 영상을 통해 빌딩 알람 주변 상황 및 알람 원인 분석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 중 모바일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알람 메시지 및 해당 영상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빌딩 시스템은 공조, 냉난방, 냉온수, 조명, 전력 설비 등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통해 쾌적한 빌딩 환경 조성 및 효율적인 제어를 통해 에너지 절감을 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또한 빌딩 내 각 설비들의 고장 진단 또는 알람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려주어 신속히 대응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빌딩 시스템의 존재 목적이다. BAS 서버는 빌딩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오픈 프레임워크 기반의 소프트웨어이다. 빌딩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공조기나 냉난방기와 같은 설비 및 온도 센서 등의 하드웨어와 BAS 서버를 연동시키기 위한 엔지니어링 작업이 필요하며, 일단 엔지니어링 작업을 통해 시스템 구성이 완료되면, 빌딩 내의 모든 설비를 관리자 서버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BAS 서버에서는 설비 기기 고장 진단 시 알람이 발생하면, 이 알람을 이메일 또는 SMS를 통해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모바일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서 제공하는 고도화된 기술 트렌드가 접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푸쉬 서버 및 구글 푸쉬 서버를 통해 설비 알람을 빌딩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알람 원인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보 제공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BAS 서버(100), 푸쉬 서버(200), 구글 푸쉬 서버(300), 모바일 기기(400) 및 CCTV(500)를 포함한다.
BAS 서버(100)는 빌딩 설비 하나하나와 시스템 내에서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빌딩 설비에서 발생하는 알람을 내부 데이터 베이스에서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있다. 또한 BAS 서버(100)는 설비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실시간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게 된다.
푸쉬 서버(200)는 주기적으로 BAS 서버(100)로부터 알람 발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obix,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폴링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푸쉬 서버(200)가 BAS 서버(100)로부터 획득하는 알람 정보는 5가지 종류가 있는데, 설비가 정상 상태였다가 비정상 상태 즉 알람 상태로 변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알람 발생 정보, 설비가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변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알람 해제 정보, 설비가 알람 상태인데 관리자에 의해 알람이 확인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알람 ACK 정보, 설비가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회복된 이후 관리자에 의해 해제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노말 ACK 정보 및 관리자에 의해 알람이 해제되었으나 서버와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ACK pending 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ACK pending 정보를 포함한다.
푸쉬 서버(200)는 상기 알람 정보를 obix 프로토콜을 통해 수집하게 되며, BAS 서버(100)에서는 5가지 종류의 알람 정보를 정확히 구분해 주고 있지 않으므로, 정보 구분을 위한 태그가 추가되어 수신한다.
즉, BAS 서버(100)가 푸쉬 서버(200)로 알람 정보를 전송할 때 태그가 추가되는데, 알람 발생 정보 전송 시에는 “timestamp”라는 구별자를 가진 태그를 추가하며, 이 태그 내용에는 알람 발생 시간이 포함된다. 알람 해제 정보 전송 시에는 “timestamp”구별자 이외에 “normal timestamp”라는 구별자를 가진 태그를 추가하며, 이 태그 내용에는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으로 복귀한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알람 ACK 정보 전송 시에는 “ack timestamp”라는 구별자를 가진 태그를 추가하며, 이 태그 내용에는 ACK된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노말 ACK 정보 전송 시에는 “timestamp”구별자 외에 “ack timestamp”라는 구별자를 가진 태그를 추가하며, 이 태그 내용에는 ACK된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세 번째 알람 ACK 정보 및 네 번째 노말 ACK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알람을 ACK 하는 경우로, 알람을 ACK 하는 행위는 관리자가 알람을 확인하였으며, BAS 서버(100)는 더 이상 설비를 알람 상태로 표시하지 않는다. BAS 서버(100)는 빌딩 설비 장치와 게이트웨이(미도시) 및 컨트롤러(미도시) 등 여러 단계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동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가 BAS 서버(100)에서 알람을 해제한다 하더라도, 이 해제 명령은 유효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하지만 추후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적으로 복귀되는 경우 알람 해제 명령은 동작이 된다. 네트워크 상의 문제로 인하여 잠시 알람 해제 명령이 동작되기 전까지 알람 해제 명령은 pending 상태를 갖게 된다. 알람 해제 명령을 보냈으나 정상적인 알람 해제 응답이 오지 않으며 알람 쿼리(query)를 다시 한 번 수행하였을 때 설비가 여전히 알람 상태인 경우, 서버(100)가 푸쉬 서버(200)로 ACK pending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에 해당되는 설비 상태가 정상이었다가 알람 상태로 변하는 알람 발생 정보를 획득한 경우, 푸쉬 서버(200)는 구글 푸쉬 서버(300)로 알람 내용 및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게 되며, 구글 푸쉬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를 받아 알람 내용을 해당 모바일 기기(400)를 소지한 사용자에게 푸쉬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모바일 기기(400)에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소프트웨어이며, 빌딩 시스템을 시간 및 장소의 제약 없이 관리할 수 있으며, 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구글 푸쉬 서버(300)가 전송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400)는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은 기기 일 수 있다.
BAS 서버(100)는 빌딩 시스템을 비디오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비디오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즉, BAS 서버(100)는 CCTV(500)와 연동하기 위해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이 드라이버를 통해 빌딩 시스템 중 비디오로 모니터링 하기 원하는 설비 주위에 CCTV(500)를 설치하고, 빌딩 시스템 구성 시 모니터링을 원하는 설비와 CCTV(500)를 시스템 내에 논리적으로 연동시킨다.
이와 같이 설비와 CCTV(500)를 시스템 내에 연동시켜 놓으면, 임의의 설비에서 알람 발생 시 BAS 서버(100)는 알람 관련 정보 및 CCTV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푸쉬 서버(200)는 BAS 서버(100)로부터 정보 획득 시, 설비에 알람이 발생한 경우 알람 정보 이외에도 CCTV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푸쉬 서버(200)는 BAS 서버(100)로부터 수집한 알람 관련 정보 및 CCTV 정보를 구글 푸쉬 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CCTV 정보는 알람 원인 분석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모바일 기기(400)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구글 푸쉬 서버(300)로부터 알람을 수신하는 경우, 메시지 팝업 메시지 생성하여 출력하는데, 메시지 정보는 알람 발생 시간, 알람 값, 알람이 발생한 설비 이름, 확인 상태 등의 중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푸쉬 서버(200)에서 BAS 서버(100)로부터 폴링을 통해 알람 정보 획득 시, BAS 서버(100)는 알람 정보 이외에 시스템 구성 시 설비와 CCTV(500) 연동을 통해 설비 주위에 설치된 CCTV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즉, CCTV 정보를 획득하여 모바일 기기(400)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알람 메시지 수신 시 설비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CCTV 영상을 라이브(live)로 재생 할 수 있고, CCTV(500)가 DVR 또는 NVR과 연동되어 있는 경우는 녹화된 영상도 재생할 수 있다. 도 2에는 모바일 기기(4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알람 메시지 및 해당 영상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알람 발생 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푸쉬 서버(200)로부터 전달된 알람 정보 및 CCTV 정보를 조합하여 알람 팝업 메시지를 보여주며, 알람 팝업 메시지에서는 카메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하여, 모바일 기기(400)에서 손쉽게 영상 재생을 통해 알람 현장 상황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알람 이력을 통한 데이터 분석이 아닌 시각적으로 라이브 영상 또는 녹화된 영상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알람 발생 원인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푸쉬 서버(200)는 obix 프로토콜에서 제공하는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 제공을 사용하기 위해 make와 add 명령어를 BAS 서버(100)로 전송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이후 BAS 서버(100)는 현재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모든 알람 리스트를 푸쉬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알람 리스트는 xml 형태로 전송된다.
알람 리스트를 수신한 푸쉬 서버(200)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10초 이내로 pollchange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pollchange 명령어를 수신한 BAS 서버(100)는 푸쉬 서버(200)로 알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BAS 서버(100) 푸쉬 서버(200)로 전송하는 알람 정보는 5가지 종류, 알람 발생 정보, 알람 해제 정보, 알람 ACK 정보, 노말 ACK 정보 및 pending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한다. 또한 설비가 CCTV(500)와 연동되어 있는 경우 영상 정보를 전송한다. BAS 서버(100)에서는 5가지 종류의 알람 정보를 정확히 구분해 주고 있지 않으므로, 정보 구분을 위한 태그가 추가되어 수신한다. 즉, BAS 서버(100)가 푸쉬 서버(200)로 알람 정보를 전송할 때 태그가 추가되는데, 알람 발생 정보 전송 시에는 “timestamp”라는 구별자를 가진 태그를 추가하며, 이 태그 내용에는 알람 발생 시간이 포함된다. 알람 해제 정보 전송 시에는 “timestamp”구별자 이외에 “normal timestamp”라는 구별자를 가진 태그를 추가하며, 이 태그 내용에는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으로 복귀한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알람 ACK 정보 전송 시에는 “ack timestamp”라는 구별자를 가진 태그를 추가하며, 이 태그 내용에는 ACK된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노말 ACK 정보 전송 시에는 “timestamp”구별자 외에 “ack timestamp”라는 구별자를 가진 태그를 추가하며, 이 태그 내용에는 ACK된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설비가 CCTV와 연동되어 있는 경우, 알람 정보에는 “camera0rd”라는 구별자를 가진 태그를 추가한다.
이후, 푸쉬 서버(200)는 구글 푸쉬 서버(300)로 사용자 모바일 기기 정보,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사용자 모바일 기기 정보,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한 구글 푸쉬 서버(300)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400)로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60)를 수행한다.
구글 푸쉬 서버(300)에 의해 모바일 기기(400)로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가 전송되면, 모바일 기기(40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팝 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70)를 수행한다. 팝업 메시지 정보는 알람 발생 시간, 알람 값, 알람이 발생한 설비 이름, 확인 상태 등의 정보 및 CCTV 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구글 푸쉬 서버(300)에 디스플레이된 팝 업 메시지 내의 CCTV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버튼 클릭 시, 알람이 발생한 설비 주변에 설치된 CCTV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S80)를 수행한다. 이로써 빌딩 관리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알람 화면을 보고 있는 경우 알람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기기(400)는 내부 알람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S90)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100: BAS 서버
200: 푸쉬 서버
300: 구글 푸쉬 서버
400: 모바일 기기
500: CCTV

Claims (6)

  1. 빌딩 내 공조, 냉난방, 냉온수, 조명 및 전력 설비 등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설비들의 이상동작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설비 주변 상황을 촬영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 서버;
    사용자 모바일 기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BAS 서버로부터 알람 리스트를 수신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BAS 서버에 접속하여 알람 정보 및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푸쉬 서버;
    상기 푸쉬 서버로부터 사용자 모바일 기기 정보, 알람 정보 및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구글 푸쉬 서버; 및
    상기 알람 발생 시 팝업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팝업 메시지 내에 상기 알람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며, 영상 신호 재생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서버가 상기 BAS로부터 수신하는 알람 정보는,
    상기 설비가 정상 상태였다가 비정상 상태로 변하는 경우인 알람 발생 정보에 제1 태그를 추가된 알람 정보,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변하는 경우인 알람 해제 정보에 상기 제1 태그 및 제2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인데 관리자에 의해 알람이 확인되는 경우인 알람 ACK 정보에 제3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회복된 이후 관리자에 의해 해제되는 경우인 노말 ACK 정보에 상기 제1 태그 및 상기 제3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 또는
    상기 관리자에 알람이 해제되었으나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ACK pending이 되는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설비 주변 상황을 촬영한 영상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알람 발생 정보에 영상 존재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 출력되는 팝업 메시지는,
    알람 발생 시간, 알람 값, 알람이 발생한 설비 명칭 및 알람 확인 상태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
  4. 빌딩 내 공조, 냉난방, 냉온수, 조명 및 전력 설비 등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 서버, 상기 BAS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푸쉬 서버, 상기 푸쉬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구글 푸쉬 서버 및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BAS 서버가 상기 푸쉬 서버로 알람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푸쉬 서버가 주기적으로 상기 BAS 서버에 접속하여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푸쉬 서버가 상기 구글 푸쉬 서버로 사용자 모바일 기기 정보, 상기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글 푸쉬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알람 발생 시 팝업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팝업 메시지 내에 상기 알람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며, 영상 신호 재생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가 정상 상태였다가 비정상 상태로 변하는 경우인 알람 발생 정보에 제1 태그를 추가된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변하는 경우인 알람 해제 정보에 상기 제1 태그 및 제2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인데 관리자에 의해 알람이 확인되는 경우인 알람 ACK 정보에 제3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가 알람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회복된 이후 관리자에 의해 해제되는 경우인 노말 ACK 정보에 상기 제1 태그 및 상기 제3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에 알람이 해제되었으나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ACK pending이 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 주변 상황을 촬영한 영상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알람 발생 정보에 영상 존재 태그를 추가한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메시지는,
    알람 발생 시간, 알람 값, 알람이 발생한 설비 명칭 및 알람 확인 상태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20126163A 2012-11-08 2012-11-08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059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163A KR20140059577A (ko) 2012-11-08 2012-11-08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163A KR20140059577A (ko) 2012-11-08 2012-11-08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577A true KR20140059577A (ko) 2014-05-16

Family

ID=5088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163A KR20140059577A (ko) 2012-11-08 2012-11-08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95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52266A1 (zh) 一种智能物联网管理系统、方法以及服务器
JP2013068615A (ja) 赤外線サーモグラフィ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11757281B (zh) 用于家庭网络系统中的事件通知的方法和设备
JP5185368B2 (ja) 情報家電のイベントメッセージの分類処理方法
US7653723B2 (en) Event notifying arrangements showing reason of generation of event and/or prompting a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event
KR10106814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댁내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KR102125022B1 (ko)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3345431A (ja) 遠隔からの監視を可能にするプラント監視装置
US2003022111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security access control system
KR20150069923A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US11133952B2 (en) Notification control apparatus, detection apparatus, notification control system,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detection method
KR20140059577A (ko)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4579394A (zh) 日志查看方法、日志生成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JP2008140188A (ja) 監視制御端末
JP2004326762A (ja) 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映像配信方法
JP2010113472A (ja) 緊急情報ネットワーク表示システム
JP2012079203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434039Y1 (ko) 중앙 집중형 감시 시스템
KR101080120B1 (ko) 보안 감시시스템
CN216623451U (zh) 整合型警报设备
KR102245140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KR100981370B1 (ko) 디지털 영상의 고정 시설물용 객체정보 안내시스템
CN113099170B (zh) 用于信息处理的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11842518B2 (en) Camera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amera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039096B1 (ko) 웹 페이지에 의하여 관리하는 홈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