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181A - 차량용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181A
KR20140059181A KR1020140048469A KR20140048469A KR20140059181A KR 20140059181 A KR20140059181 A KR 20140059181A KR 1020140048469 A KR1020140048469 A KR 1020140048469A KR 20140048469 A KR20140048469 A KR 20140048469A KR 20140059181 A KR20140059181 A KR 20140059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outer shield
circuit boards
circuit board
ten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368B1 (ko
Inventor
한상열
김대승
이승호
조범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3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통전성 재질의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및 지지하는 아웃터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쉴드는 측벽면이 일부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이미지 획득을 위한 카메라 모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25570호(2006.12.06. 공개)에는, 차량 주변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과, 그러한 카메라 유닛에 접속 고정되어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 유닛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차량 탑재 카메라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유닛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센서 인쇄회로기판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인쇄회로기판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복수 개의 스크류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스크류를 이용하여 센서 및 파워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하면,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며, 렌즈의 광축 조정시 스크류 체결 힘에 따른 회전 모멘트에 의한 광축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및 파워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에 스크류 홀을 반드시 형성해야 하므로,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실장 면적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상 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은 방열 및 실장 기구물들 사이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간격 이격을 위한 별도의 스페이서를 설치해야 하며, 이 스페이서들은 각각의 인쇄회로기판과의 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라운드 처리를 따로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25570호(2006.12.06.)
본 발명은 별도의 스페이서와 스크류 나사 없이도 복수 매의 인쇄회로기판을 이격된 상태로 한번에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통전성 재질의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및 지지하는 아웃터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쉴드는 측벽면이 일부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또는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션스프링은 상기 그라운드부와 접촉하여, 상기 그라운드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텐션 스프링 주변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부와 접촉하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부와 접촉하는 제 2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아웃터쉴드와 상기 텐션스프링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부는 상기 아웃터쉴드의 측면에 상하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쉴드와 상기 텐션스프링은 통전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 이미지센서; 및 상기 렌즈 모듈, 상기 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쉴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3개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쉴드는 상기 그라운드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아웃터쉴드를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쉴드는 측벽면이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의 두께와 이들 사이의 이격거리의 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텐션스프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부의 사이 거리로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및 지지하는 통전성 재질의 아웃터 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은 각각 통전성 재질로 형성된 그라운드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쉴드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쉴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면을 가지며 통전성 재질로 한 몸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고정하고, 상기 텐션 스프링을 통해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텐션스프링은 상기 그라운드 단자부와 접촉하여 상기 아웃터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텐션 스프링은 상기 아웃터 쉴드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 이미지센서; 및 상기 렌즈 모듈, 상기 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단자부와 접촉하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단자부와 접촉하는 제 2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부는 상기 아웃터쉴드의 측면에 상하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아웃터 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쇄회로기판의 배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아웃터 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쇄회로기판의 배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제 1 인쇄회로기판(10), 제 2 인쇄회로기판(20), 아웃터 쉴드(30) 및 지지유닛(100)을 포함한다.
제 1 인쇄회로기판(10)은 상측면에 이미지 센서(10a)가 실장 되어, 외부 화상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20)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의 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20)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10a)에 화상을 전달하는 렌즈 모듈(10b) 및 상기 이미지 센서(10a)와, 렌즈 모듈(10b) 및 제 1 인쇄회로기판 상측면(10)을 커버하는 커버부재(10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부품 구성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아웃터 쉴드(30)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측면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을 EMI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아웃터 쉴드(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면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두께와 이들 사이의 이격 거리의 합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웃터 쉴드(30)는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의 한 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터 쉴드(30)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와, 외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 측으로 유입되는 전자기파를 흡수하여, 외부 전자기파의 교란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작동과 카메라 동작 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주변 부품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100)은 상기 아웃터 쉴드(30)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과 간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유닛(100)은 통공(110) 및 텐션 스프링(120)으로 구성된다.
통공(110)은 상기 아웃터 쉴드(30)의 벽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11)를 수용한다. 상기 지지돌기(11)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 각각의 둘레면의 대략 중앙 부근에 형성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둘레면에 일정 깊이를 가지는 요홈(13)을 형성하여 주변의 다른 둘레면들과 구분된 돌기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텐션 스프링(120)은 상기 아웃터 쉴드(30)의 측벽면이 일부 절곡 형성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가압부(1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 스프링(120)은 상기 통공(110)을 통과하는 상기 지지돌기(11)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돌기(11)의 마주보는 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터 쉴드(30)의 측벽면에 한 쌍씩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동시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돌기(11)는, 상기 텐션 스프링(120)과 간섭되는 위치에 통전성 재질로 도금된 그라운드 단자부(1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운드 단자부(11a)는 상기 금속재질의 아웃터 쉴드(3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 및 잔류 전기 등을 상기 아웃터 쉴드(30)를 통해 접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지지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적어도 3개 면을 지지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을 별도의 스페이서 없이도 일정한 간격 이상으로 이격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은 상기 한 쌍의 텐션 스프링(120)의 위와 아래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텐션 스프링(120)들의 길이만큼 서로 이격 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페이서와 같은 부품의 도움 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을 소정 간격 이격 배치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제 1 인쇄회로기판 10a; 이미지 센서
10b; 렌즈 모듈 10c; 커버부재
11; 지지돌기 11a; 그라운드 단자부
20; 제 2 인쇄회로기판 30; 아웃터 쉴드
100; 지지유닛 110; 관통공
120; 텐션 스프링

Claims (21)

  1. 통전성 재질의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및 지지하는 아웃터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쉴드는,
    측벽면이 일부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또는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스프링은 상기 그라운드부와 접촉하여, 상기 그라운드부를 지지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 주변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부와 접촉하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부와 접촉하는 제 2 가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아웃터쉴드와 상기 텐션스프링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부는 상기 아웃터쉴드의 측면에 상하로 한 쌍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쉴드와 상기 텐션스프링은 통전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 모듈;
    이미지센서; 및
    상기 렌즈 모듈, 상기 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쉴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3개 면을 지지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쉴드는 상기 그라운드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아웃터쉴드를 통해 접지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쉴드는 측벽면이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의 두께와 이들 사이의 이격거리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텐션스프링으로 정해지는 카메라 모듈.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부의 사이 거리로 정해지는 카메라 모듈.
  16.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및 지지하는 통전성 재질의 아웃터 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은 각각 통전성 재질로 형성된 그라운드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쉴드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쉴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면을 가지며 통전성 재질로 한 몸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고정하고, 상기 텐션 스프링을 통해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스프링은 상기 그라운드 단자부와 접촉하여 상기 아웃터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은 상기 아웃터 쉴드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9. 제 16 항에 있어서,
    렌즈 모듈;
    이미지센서; 및
    상기 렌즈 모듈, 상기 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단자부와 접촉하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단자부와 접촉하는 제 2 가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부는 상기 아웃터쉴드의 측면에 상하로 한 쌍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048469A 2014-04-23 2014-04-23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1785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469A KR101785368B1 (ko) 2014-04-23 2014-04-23 차량용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469A KR101785368B1 (ko) 2014-04-23 2014-04-23 차량용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998A Division KR101428842B1 (ko) 2011-11-08 2011-11-08 차량용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838A Division KR101884237B1 (ko) 2017-09-29 2017-09-2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181A true KR20140059181A (ko) 2014-05-15
KR101785368B1 KR101785368B1 (ko) 2017-10-16

Family

ID=5088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469A KR101785368B1 (ko) 2014-04-23 2014-04-23 차량용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3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971A1 (ko) * 2016-01-12 2017-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90004457A (ko) * 2017-07-04 2019-0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90004458A (ko) * 2017-07-04 2019-0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90017388A (ko) * 2017-08-11 2019-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KR20190091978A (ko) * 2018-01-30 2019-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US11159701B2 (en) 2017-07-04 2021-10-2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EP3780922A4 (en) * 2018-03-27 2021-12-01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IMAGE DEVICE AND MOBILE BODY
CN114200741A (zh) * 2020-08-26 2022-03-18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71287U (en) * 2005-02-18 2005-07-21 Molex Taiwan Ltd Camera module connector
JP4943930B2 (ja) * 2007-04-24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回路部品の取付構造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2115B2 (en) 2016-01-12 2022-08-09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US11711599B2 (en) 2016-01-12 2023-07-25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WO2017122971A1 (ko) * 2016-01-12 2017-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4615405A (zh) * 2016-01-12 2022-06-10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US11076074B2 (en) 2016-01-12 2021-07-2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US10681251B2 (en) 2016-01-12 2020-06-09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20190004458A (ko) * 2017-07-04 2019-0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20038030A (ko) * 2017-07-04 2022-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910076B2 (en) 2017-07-04 2024-02-20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20190004457A (ko) * 2017-07-04 2019-0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159701B2 (en) 2017-07-04 2021-10-2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US11611688B2 (en) 2017-07-04 2023-03-21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20220034751A (ko) * 2017-07-04 2022-03-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90017388A (ko) * 2017-08-11 2019-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US11312314B2 (en) 2017-08-11 2022-04-26 Lg Innotek Co., Ltd. Vehicle camera
KR20190091978A (ko) * 2018-01-30 2019-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US11382230B2 (en) 2018-03-27 2022-07-05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mobile body
EP4236337A3 (en) * 2018-03-27 2023-10-11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imaging device, and mobile body
EP3780922A4 (en) * 2018-03-27 2021-12-01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IMAGE DEVICE AND MOBILE BODY
CN114200741A (zh) * 2020-08-26 2022-03-18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368B1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842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1785368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CN114624942B (zh) 相机模块
EP3410687B1 (en) Camera module for a motor vehicle, method of using, and method of assembling a camera module
JP2019047435A (ja) 撮像装置
KR20200055548A (ko) 카메라 모듈
KR101884237B1 (ko) 카메라 모듈
KR102005479B1 (ko) 카메라 모듈
KR102116567B1 (ko) 카메라 모듈
KR102424451B1 (ko) 카메라 모듈
KR102272461B1 (ko) 카메라 모듈
JP2006165360A (ja)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140086444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