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237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237B1
KR101884237B1 KR1020170126838A KR20170126838A KR101884237B1 KR 101884237 B1 KR101884237 B1 KR 101884237B1 KR 1020170126838 A KR1020170126838 A KR 1020170126838A KR 20170126838 A KR20170126838 A KR 20170126838A KR 101884237 B1 KR101884237 B1 KR 101884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pring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ground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7947A (ko
Inventor
김대승
이승호
조범식
한상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23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04N5/2252
    • H04N5/22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 1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 제 1 그라운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 및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제1 측면에서 절곡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아우터 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스프링은 제1 텐션 스프링과 상기 제1 텐션 스프링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1 그라운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2 그라운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부와 제 2 그라운드부는 통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쉴드의 제1 측면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텐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제1 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텐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제2 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이미지 획득을 위한 카메라 모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25570호(2006.12.06. 공개)에는, 차량 주변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과, 그러한 카메라 유닛에 접속 고정되어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 유닛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차량 탑재 카메라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유닛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센서 인쇄회로기판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인쇄회로기판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복수 개의 스크류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스크류를 이용하여 센서 및 파워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하면,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며, 렌즈의 광축 조정시 스크류 체결 힘에 따른 회전 모멘트에 의한 광축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및 파워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에 스크류 홀을 반드시 형성해야 하므로,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실장 면적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상 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은 방열 및 실장 기구물들 사이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간격 이격을 위한 별도의 스페이서를 설치해야 하며, 이 스페이서들은 각각의 인쇄회로기판과의 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라운드 처리를 따로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스페이서와 스크류 나사 없이도 복수 매의 인쇄회로기판을 이격된 상태로 한번에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 1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 제 1 그라운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 및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제1 측면에서 절곡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아우터 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스프링은 제1 텐션 스프링과 상기 제1 텐션 스프링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1 그라운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2 그라운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부와 제 2 그라운드부는 통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쉴드의 제1 측면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텐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제1 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텐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제2 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아우터 쉴드의 측면에 배치되는 텐션 스프링을 통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가 줄어들고 제조단가가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아웃터 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쇄회로기판의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아웃터 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쇄회로기판의 배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제 1 인쇄회로기판(10), 제 2 인쇄회로기판(20), 아웃터 쉴드(30) 및 지지유닛(100)을 포함한다.
제 1 인쇄회로기판(10)은 상측면에 이미지 센서(10a)가 실장 되어, 외부 화상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20)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의 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20)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10a)에 화상을 전달하는 렌즈 모듈(10b) 및 상기 이미지 센서(10a)와, 렌즈 모듈(10b) 및 제 1 인쇄회로기판 상측면(10)을 커버하는 커버부재(10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부품 구성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아웃터 쉴드(30)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측면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을 EMI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아웃터 쉴드(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면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두께와 이들 사이의 이격 거리의 합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웃터 쉴드(30)는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의 한 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터 쉴드(30)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와, 외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 측으로 유입되는 전자기파를 흡수하여, 외부 전자기파의 교란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작동과 카메라 동작 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주변 부품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100)은 상기 아웃터 쉴드(30)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과 간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유닛(100)은 통공(110) 및 텐션 스프링(120)으로 구성된다.
통공(110)은 상기 아웃터 쉴드(30)의 벽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11)를 수용한다. 상기 지지돌기(11)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 각각의 둘레면의 대략 중앙 부근에 형성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둘레면에 일정 깊이를 가지는 요홈(13)을 형성하여 주변의 다른 둘레면들과 구분된 돌기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텐션 스프링(120)은 상기 아웃터 쉴드(30)의 측벽면이 일부 절곡 형성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가압부(1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 스프링(120)은 상기 통공(110)을 통과하는 상기 지지돌기(11)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돌기(11)의 마주보는 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터 쉴드(30)의 측벽면에 한 쌍씩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동시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돌기(11)는, 상기 텐션 스프링(120)과 간섭되는 위치에 통전성 재질로 도금된 그라운드 단자부(1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운드 단자부(11a)는 상기 금속재질의 아웃터 쉴드(3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 및 잔류 전기 등을 상기 아웃터 쉴드(30)를 통해 접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지지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의 적어도 3개 면을 지지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을 별도의 스페이서 없이도 일정한 간격 이상으로 이격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은 상기 한 쌍의 텐션 스프링(120)의 위와 아래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텐션 스프링(120)들의 길이만큼 서로 이격 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페이서와 같은 부품의 도움 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20)을 소정 간격 이격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 1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
    제 1 그라운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 및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제1 측면에서 절곡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아우터 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스프링은 제1 텐션 스프링과 상기 제1 텐션 스프링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1 그라운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2 그라운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부와 제 2 그라운드부는 통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쉴드의 제1 측면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텐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제1 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텐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제2 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측면의 최상단과 상기 제1 측면의 최하단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쉴드는 제2 측면, 제3 텐션 스프링 및 제4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쉴드의 제2 측면은 제3 홀과 제4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텐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제3 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4 텐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제4 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의 일부는 상기 아우터 쉴드의 제1 측면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의 측면의 일부는 상기 아우터 쉴드의 제1 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제3 그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제4 그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3 그라운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4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4 그라운드부와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그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쉴드는,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및 상기 제 2 그라운드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아우터 쉴드를 통해 그라운드 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쉴드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3개의 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3개의 면을 지지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쉴드는 하나의 일체형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
  1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운송체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 1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
    제 1 그라운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 및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제1 측면에서 절곡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아우터 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스프링은 제1 텐션 스프링과 상기 제1 텐션 스프링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1 그라운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텐션 스프링은 상기 제 2 그라운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부와 제 2 그라운드부는 통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쉴드의 제1 측면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텐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제1 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텐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제2 홀에 배치되는 운송체.
KR1020170126838A 2017-09-29 2017-09-29 카메라 모듈 KR101884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38A KR101884237B1 (ko) 2017-09-29 2017-09-29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38A KR101884237B1 (ko) 2017-09-29 2017-09-29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469A Division KR101785368B1 (ko) 2014-04-23 2014-04-23 차량용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974A Division KR102005479B1 (ko) 2018-07-26 2018-07-26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947A KR20170117947A (ko) 2017-10-24
KR101884237B1 true KR101884237B1 (ko) 2018-08-01

Family

ID=6029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838A KR101884237B1 (ko) 2017-09-29 2017-09-2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2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9183A1 (en) * 2005-02-18 2006-08-24 Ming-Hsun Yang Camera module connector
JP2008270106A (ja) * 2007-04-24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立体回路部品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447A (ja) * 1992-10-20 1994-05-13 Hitachi Ltd 混成型集積回路装置
JP4718243B2 (ja) * 2005-05-30 2011-07-06 市光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車載用デジタルカメラ、車載カメラ付きドアミラ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9183A1 (en) * 2005-02-18 2006-08-24 Ming-Hsun Yang Camera module connector
JP2008270106A (ja) * 2007-04-24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立体回路部品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947A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842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CN114624942B (zh) 相机模块
KR101785368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US10320961B2 (en) Bracket assembly for functional component for mobile terminal
EP3410687B1 (en) Camera module for a motor vehicle, method of using, and method of assembling a camera module
US10306032B2 (en) Bracket assembly,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8482665B2 (en) Camera module
KR101884237B1 (ko) 카메라 모듈
KR102005479B1 (ko) 카메라 모듈
KR102553964B1 (ko) 카메라 모듈
KR102116567B1 (ko) 카메라 모듈
KR102272461B1 (ko) 카메라 모듈
US11256057B2 (en) Lens module with electromagnetic proth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8033969A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