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087A -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087A
KR20140059087A KR1020120125724A KR20120125724A KR20140059087A KR 20140059087 A KR20140059087 A KR 20140059087A KR 1020120125724 A KR1020120125724 A KR 1020120125724A KR 20120125724 A KR20120125724 A KR 20120125724A KR 20140059087 A KR20140059087 A KR 20140059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value
data
phone book
book data
spec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9087A/ko
Publication of KR2014005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장치로부터 폰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폰북 데이터에 포함된 필드값을 참조하여, 필드값을 특정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필드값을 특정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필드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하게 특정된 폰북 데이터가 AVN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AVN 시스템을 통해 폰북 데이터를 이용함에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METHOD FOR STORING PHONE BOOK DATA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장치의 폰북 데이터를 AVN 시스템에 저장함에 있어서, 필드값을 특정할 수 없는 데이터를 검출하여 해당 필드값을 운전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의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 구비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에는 블루투스(Bluetooth) 핸즈프리 기능이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능도 켜지면서,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 대기 상태가 된다. 운전자의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AVN 시스템과 연결되면, 운전자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능을 통해 통화를 할 수 있다.
한편,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능을 이용하더라도 폰북 데이터를 활용하려면 운전자가 휴대폰을 직접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에, 휴대폰에 저장된 폰북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파일 중 하나인 PBAP(Phone Book Access Profile)를 통해 AVN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휴대폰 제조사 별로 폰북 데이터의 필드값을 정의하는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된 폰북 데이터 중에는 필드값을 제대로 특정하기 곤란한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이처럼 필드값이 제대로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AVN 시스템에 저장되는 경우, 운전자가 AVN 시스템을 통해 폰북 데이터를 이용함에 있어 불편이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8862호(2009.09.17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 내 핸즈프리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장치의 폰북 데이터를 AVN 시스템에 저장함에 있어서, 필드값이 제대로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로 인해 운전자의 불편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은 모바일 단말장치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폰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폰북 데이터에 포함된 필드값을 참조하여, 상기 필드값을 특정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필드값을 특정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필드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드값은 집(HOME), 회사(WORK), 휴대폰(MOBILE), 음성(VOICE), 차량(CAR), 선호(PREF), 팩스(FAX) 및 메시지(MS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드값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는 상기 필드값에 집(HOME), 회사(WORK), 휴대폰(MOBILE) 중 어느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드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필드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택메뉴를 표시부에 출력하여 상기 필드값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선택메뉴는 집(HOME), 회사(WORK), 휴대폰(MOBIL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폰북 데이터 중 필드값이 제대로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를 검출하여 해당 필드값을 운전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으므로 올바르게 특정된 폰북 데이터가 AVN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올바르게 특정된 폰북 데이터가 AVN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AVN 시스템을 통해 폰북 데이터를 이용하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폰북 데이터 저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에서 운전자로부터 필드값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메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폰북 데이터 저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장치는 모바일 단말장치(10)와 AVN 시스템(20)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장치(10)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장치(10)는 폰북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미도시)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AVN 시스템(20)은 블루투스 통신부(21), 헤드유닛(22), 입력부(23), 메모리부(24) 및 표시부(25)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통신부(21)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차량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단말장치(10)와 접속을 수행한다. 이후, 블루투스 통신부(21)는 접속된 모바일 단말장치(10)로부터 블루투스 프로파일 중 하나인 PBAP(Phone Book Access Profile)를 통해 폰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헤드유닛(22)에 전달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장치(10)에 저장된 폰북 데이터는 VCARD 포맷으로 전송되며, 폰북 데이터에는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카테고리 분류정보를 나타내는 필드값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PBAP를 통해 폰북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폰북 데이터의 필드값은 집(HOME), 회사(WORK), 휴대폰(MOBILE), 음성(VOICE), 차량(CAR), 선호(PREF), 팩스(FAX) 및 메시지(MS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유닛(22)은 기본적으로 모바일 단말장치(1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부(21)를 통해 입력되는 폰북 데이터를 메모리부(24)에 저장한다.
이때, 헤드유닛(22)은 폰북 데이터의 필드값을 참조하여 폰북 데이터 중에 필드값이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필드값이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검출되는 경우, 헤드유닛(22)은 해당 필드값을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아 메모리부(24)에 저장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헤드유닛(22)은 필드값이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필드값을 운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택메뉴를 표시부(25)에 출력하고, 입력부(23)로부터 운전자의 선택 입력을 전달받아 선택된 필드값을 메모리부(24)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유닛(22)이 필드값이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를 검출하여 해당 필드값을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표시부(25)는 헤드유닛(22)의 제어에 따라 필드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선택 메뉴를 출력하여 표시한다.
또한, 입력부(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필드값에 대한 선택 입력을 헤드유닛(22)에 전달하며, 별도의 버튼(미도시) 또는 터치 패널(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모리부(24)는 모바일 단말장치(10)로부터 AVN 시스템(20)에 수신된 폰북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에서 운전자로부터 필드값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메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유닛(22)은 블루투스 통신부(21)를 통해 모바일 단말장치(10)가 접속되는지 확인한다(S100).
만약, 모바일 단말장치(10)가 블루투스 통신부(21)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장치(10)에 저장된 폰북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다(S110).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헤드유닛(22)은 폰북 데이터에 포함된 필드값을 참조하여 필드값이 특정되지 않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이때, 헤드유닛(22)은 필드값에 집(HOME), 회사(WORK), 핸드폰(MOBILE) 중 어느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를 필드값이 특정되지 않는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헤드유닛(22)은 필드값에 집(HOME), 회사(WORK), 휴대폰(MOBILE)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드값이 특정된 것으로 판단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필드값이 특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데이터의 필드값이 아래의 표 1과 같이 이루어진 경우, 헤드유닛(22)은 제3 데이터와 제4 데이터의 필드값이 특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표 1에서 'PREF:HOME'과 같은 표기는 해당 데이터의 필드값이 선호(PREF) 및 집(HOME)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데이터 No. 필드값 판단
1 PREF:HOME HOME 으로 특정된 것으로 판단
2 CAR:HOME HOME 으로 특정된 것으로 판단
3 PREF:VOICE 특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
4 PREF:CAR 특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
5 VOICE:WORK WORK 로 특정된 것으로 판단
만약, 필드값이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헤드유닛(22)은 모바일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된 폰북 데이터를 그대로 메모리부(24)에 저장한다(S170).
하지만 이와 달리 필드값이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헤드유닛(22)은 해당 필드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택 메뉴를 표시부(25)에 출력한다(S14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메뉴(M)는 해당 데이터의 필드값을 집(HOME), 회사(WORK), 휴대폰(MOBILE)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3)는 필드값을 집(HOME), 회사(WORK), 휴대폰(MOBILE)으로 각각 입력받기 위한 선택 버튼(23a,23b,23c) 및 선택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버튼(23d)을 구비할 수 있다.
헤드유닛(22)은 입력부(23)를 통해 운전자의 선택 입력이 전달되는지 판단하여(S150),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따라 해당 필드값을 설정하고(S160), 폰북 데이터를 메모리부(24)에 저장한다(S170).
반면, 운전자로부터 선택 입력이 없거나 취소 입력이 있는 경우, 운전자가 필드값을 직접 설정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것이므로, 헤드유닛(22)은 폰북 데이터를 그대로 메모리부(24)에 저장한다(S17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된 폰북 데이터 중 필드값이 제대로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를 검출하여 해당 필드값을 운전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으므로 올바르게 특정된 폰북 데이터가 AVN 시스템(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올바르게 특정된 폰북 데이터가 AVN 시스템(20)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AVN 시스템(20)을 통해 폰북 데이터를 이용하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모바일 단말장치
20 : AVN 장치
21 : 블루투스 통신부
22 : 헤드유닛
23 : 입력부
24 : 메모리부
25 : 표시부

Claims (5)

  1. 모바일 단말장치로부터 폰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폰북 데이터에 포함된 필드값을 참조하여, 상기 필드값을 특정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필드값을 특정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필드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값은 집(HOME), 회사(WORK), 휴대폰(MOBILE), 음성(VOICE), 차량(CAR), 선호(PREF), 팩스(FAX) 및 메시지(MS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값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는 상기 필드값에 집(HOME), 회사(WORK), 휴대폰(MOBILE) 중 어느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필드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택메뉴를 표시부에 출력하여 상기 필드값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메뉴는 집(HOME), 회사(WORK), 휴대폰(MOBIL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KR1020120125724A 2012-11-07 2012-11-07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KR20140059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724A KR20140059087A (ko) 2012-11-07 2012-11-07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724A KR20140059087A (ko) 2012-11-07 2012-11-07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087A true KR20140059087A (ko) 2014-05-15

Family

ID=5088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724A KR20140059087A (ko) 2012-11-07 2012-11-07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90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0474B2 (en) In-vehicle handsfree apparatus
JP4973580B2 (ja)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US8064965B2 (en) In-vehicle apparatus
US20060052141A1 (en) Handsfree system and mobile phone
US8478358B2 (en) In-vehicle apparatus having handsfree function and cellular phone having handsfree function
JP4736910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プロファイル検出方法
US8260369B2 (en) Vehicle hands-fre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vehicle hands-free communication method
US8706034B2 (en) On-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8280452B2 (en) In-vehicle apparatus having handsfree function
JP4844645B2 (ja) 近距離無線通信機能付きメール操作装置
JP5494578B2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両用通信装置、携帯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
CN102472627A (zh) 车内信息装置
JP4924656B2 (ja) 近距離無線通信機能付きメール操作装置
JP5603257B2 (ja) 電話帳データ処理装置
JP4661896B2 (ja)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KR20120038085A (ko) 모바일폰용 블루투스 헤드셋
JP2007143119A (ja)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KR20140059087A (ko) 차량 내에서의 폰북 데이터 저장 방법
JP5316613B2 (ja) 近距離無線通信機能付きメール操作装置
US10055373B2 (en)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system
JP5711068B2 (ja) 車載機
KR20140025243A (ko)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JP5871022B2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両用通信装置、携帯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
CA2517084A1 (en) Handsfree system and mobile phone
KR20220053776A (ko) 차량용 블루투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