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847A -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847A
KR20140057847A KR1020120124114A KR20120124114A KR20140057847A KR 20140057847 A KR20140057847 A KR 20140057847A KR 1020120124114 A KR1020120124114 A KR 1020120124114A KR 20120124114 A KR20120124114 A KR 20120124114A KR 20140057847 A KR20140057847 A KR 2014005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return spring
connecting link
exhaust brak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7847A/ko
Publication of KR2014005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4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exhaust conduits
    • F02D9/06Exhaust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4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using engine as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는 엔진의 배기라인을 개폐 가능하도록 밸브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는 밸브 플레이트,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백 플레이트 상에 구성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백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에 피스톤 로드를 통하여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 상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크에 복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EXHAUST BRAKE FOR VEHICLES}
본 발명은 배기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내부의 부식으로 인한 실린더의 작동불량을 방지하고, 부품의 수를 줄여주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화물차량이나 대형 승합차량에는 연속되는 비탈길의 하향 주행 또는 고속 주행 중, 급 감속 시에 주 브레이크 장치인 풋 브레이크의 제동력만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어 보조적으로 배기 브레이크가 적용된다.
이러한 배기 브레이크는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되는 배기 파이프 상에 연소후 대기로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을 강제로 억제시켜 엔진으로 하여금 압축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의 배기 파이프 일측에 설치되는 밸브 하우징(101)에 회전축(110)을 통하여 설치되는 밸브 플레이트(120), 상기 회전축(110)에 일단이 연결되어 백 플레이트(130) 상에 구성되는 연결링크(140), 및 상기 백 플레이트(130) 상에서 상기 연결링크(140)의 타단에 피스톤 로드(151)를 통하여 연결되는 실린더(1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100)는 상기 실린더(150)에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피스톤 로드(151)가 전진하여 연결링크(140)를 통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120)가 닫히도록 작동하며, 이에 따라 배기가스의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제동효과를 얻는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50)에는 내부에 피스톤(152)의 복원을 위한 코일 스프링(153)이 구비되는데, 상기 코일 스프링(153)은 압축공기의 공급에 따라 피스톤(152)에 의해 압축되고, 압축공기의 공급 해제 시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152)을 원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140)의 일측방에는 연결링크(140)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백 플레이트(130) 상에 스토퍼(160)를 구성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100)는 상기 실린더(150)의 내부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습기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153)이 부식되며, 이로 인해 배기 브레이크(100)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140)의 작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60)를 별도로 구성하여야 함에 따라 공정이 늘어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린더 내부에 구성되는 코일 스프링을 배제하고, 실린더 외부에 별도의 스토퍼 기능을 포함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성함으로써, 실린더 내부의 부식으로 인한 실린더의 작동불량을 방지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엔진의 배기라인을 개폐 가능하도록 밸브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는 밸브 플레이트,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백 플레이트 상에 구성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백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에 피스톤 로드를 통하여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 상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크에 복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클립형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제1연장단; 및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 상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연장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단은 일측에 형성된 조립홀을 통하여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에 형성된 볼트홀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장단에는 상기 백 플레이트 상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고정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스프링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실린더 내부에 구성되는 코일 스프링을 배제하고, 실린더 외부에 별도의 스토퍼 기능을 포함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성함으로써, 실린더 내부의 부식으로 인한 실린더의 작동불량을 방지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의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10)는 엔진의 배기라인을 개폐 가능하도록 밸브 하우징(20) 내부에 밸브 플레이트(21)가 구성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21)의 회전축(23) 일단에는 백 플레이트(30) 상에 구성되는 연결링크(40)가 연결된다.
상기 백 플레이트(30) 상에는 상기 연결링크(40)의 타단에 피스톤 로드(53)를 통하여 연결되는 실린더(50)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10)는 백 플레이트(30) 상에 리턴 스프링(60)을 더 구성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60)은 일단이 상기 백 플레이트(3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링크(4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크(40)에 복원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리턴 스프링(60)은 상기 연결링크(40)의 일단부, 즉 상기 회전축(23)과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감싸도록 클립형 스프링으로, 몸체(61), 제1연장단(63), 및 제2연장단(65)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61)는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양단이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단(63)은 상기 몸체(6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링크(40)의 일측면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연장단(63)은 일측에 형성된 조립홀(67)을 통하여 상기 연결링크(40)의 일측면에 형성된 볼트홀(69)에 볼트(70)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연장단(65)은 상기 몸체(6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30) 상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연장단(65)에는 고정단(7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71)은 상기 백 플레이트(30) 상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31)에 끼워져 상기 제2연장단(65)을 백 플레이트(30)에 고정한다.
이러한 리턴 스프링(60)은 스프링 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40)에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의 작동을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배기 브레이크(1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린더(50)가 후진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밸브 플레이트(21)는 밸브 하우징(20) 내부에서 개방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배기 브레이크(1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실린더(50)가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진 구동하여 연결링크(4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 플레이트(21)는 밸브 하우징(20) 내부에서 회전하여 닫힌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을 강제로 억제시켜 엔진으로 하여금 압축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리턴 스프링(60)은 상기 연결링크(40)와 함께 압축방향으로 변형된 상태가 되며, 상기 배기 브레이크(10)의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연결링크(40)에 복원 탄성력을 제공하여 연결링크(40)를 원위치 시킨다.
이러한 리턴 스프링(60)은 제2연장단(65)이 상기 백 플레이트(30)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연결링크(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지며, 배기 브레이크(10)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스토퍼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10)는 리턴 스프링(60)이 실린더(2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설치되어 밸브 플레이트(21)의 복원 작동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스토퍼 구성없이, 리턴 스프링(60)의 제2연장단(65)이 연결링크(40)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20: 밸브 하우징
21: 밸브 플레이트 23: 회전축
30: 백 플레이트 31: 고정홈
40: 연결링크 50: 실린더
51: 피스톤 53: 피스톤 로드
60: 리턴 스프링 61: 몸체
63: 제1연장단 65: 제2연장단
67: 조립홀 69: 볼트홀
70: 볼트 71: 고정단

Claims (6)

  1. 엔진의 배기라인을 개폐 가능하도록 밸브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는 밸브 플레이트,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백 플레이트 상에 구성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백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에 피스톤 로드를 통하여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 상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크에 복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클립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제1연장단; 및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 상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연장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단은
    일측에 형성된 조립홀을 통하여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에 형성된 볼트홀에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단에는
    상기 백 플레이트 상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고정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스프링 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KR1020120124114A 2012-11-05 2012-11-05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KR20140057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114A KR20140057847A (ko) 2012-11-05 2012-11-05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114A KR20140057847A (ko) 2012-11-05 2012-11-05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847A true KR20140057847A (ko) 2014-05-14

Family

ID=5088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114A KR20140057847A (ko) 2012-11-05 2012-11-05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78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7271B2 (en) 2019-10-07 2021-06-29 Hyundai Motor Company Socket module of compression release type engine brake and operating method of engine brake using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7271B2 (en) 2019-10-07 2021-06-29 Hyundai Motor Company Socket module of compression release type engine brake and operating method of engine brake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9320B2 (ja) 排気ガスターボチャージャーの駆動力伝達装置
KR20150023663A (ko) 배기가스 터보차저
KR20120014922A (ko) 터보차저
KR20090087885A (ko) 터보차저
BR112015024229B1 (pt) Turboalimentador de gás de exaustão que apresenta um sistema de wastegate
KR101894871B1 (ko) 배기가스 터보차저
KR101970031B1 (ko) 컴프레서용 실린더 헤드
KR20140057847A (ko)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CN102808977B (zh) 临界、超临界火电机组阀门高排逆止阀
US9695754B2 (en) Exhaust brake for maintaining back pressure
KR101145300B1 (ko) 배기 브레이크
RU2597738C2 (ru) Управляющий цилиндр для моторного тормоза-замедлителя со средствами для выработки упруг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CN103089366B (zh) 一种发动机中的凸轮组件、发动机制动装置以及汽车
EP2558701A1 (en) Engine braking system using spring loaded valve
US11401839B2 (en) Rocker based bleeder engine brake
GB2535273A (en) Turbocharger wastegate linkage assembly
CN202531301U (zh) 发动机链轮室壳体、发动机以及汽车
CN201448137U (zh) 一种汽车发动机排气制动阀的操纵缸及一种排气制动阀
KR20170013122A (ko)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KR101047247B1 (ko) 배기 브레이크
RU70211U1 (ru) Тормоз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й
US20130340699A1 (en) Vehicle with a vacuum reservoir
US20110132300A1 (en) Driving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engine brake
JP5892681B2 (ja) エキゾーストブレーキ装置の取り付け方法
CN202125376U (zh) 止回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