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154A -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154A
KR20140057154A KR1020130124461A KR20130124461A KR20140057154A KR 20140057154 A KR20140057154 A KR 20140057154A KR 1020130124461 A KR1020130124461 A KR 1020130124461A KR 20130124461 A KR20130124461 A KR 20130124461A KR 20140057154 A KR20140057154 A KR 20140057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signal
message
field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0304B1 (ko
Inventor
이용훈
김건
박소라
임형수
이용태
백명선
임보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DE201310111705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13111705A1/de
Publication of KR2014005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broadcast or relay 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는 지상파 디엠비 신호로부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고,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제1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재난방송부 및 재난방송부로부터 전달된 제2 재난 메시지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방송신호 중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 signal}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재난경보 서비스(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AEAS) 정보를 이용하여 터널 및 지하공간과 같은 특정 음영지역에서도 자동으로 단말을 활성화시키고, 멀티미디어를 통해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이동성과 휴대성이 뛰어나고 정전시에도 활용가능하며, 오디오 및 비디오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적으로 재난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방송매체이다. T-DMB는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ting, DAB) 표준에서 규정한 스트림 모드를 통하여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비디오 압축 데이터, MPEG-4 BSAC(bit-sliced audio coding) 오디오 압축 데이터, 대화형 데이터 방송을 위한 MPEG-4 BIFS(Binary Format for Scenes) 데이터를 MPEG-4 SL(Sync Layer)와 MPEG-2 TS(Transport Stream)로 다중화한 후 오류 보호 메커니즘이 적용된 스트림으로 전송한다.
전술한 T-DMB 및 DAB 방송망의 특징을 활용한 재난방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되었으며,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를 활용하여 재난 메세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T-DMB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 기술은 2006년 표준화되어 2009년 실험방송을 거쳐 실제 보급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급된 대부분의 단말들이 표준을 지원하고 있지 않아 일반 국민들은 재난경보방송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T-DMB 및 DAB 방송서비스 권역 내의 터널 및 지하공간 등과 같은 특정 음영지역에서는 T-DMB 수신환경이 열악하여 방송서비스를 수신하기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재난상황이 아닌 아닌 경우 T-DMB 방송을 중계하며, 재난상황인 경우에는 T-DMB 및 DAB 수신기의 조작없이 T-DMB 및 DAB 방송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재난방송을 송출하는 터널용 T-DMB 및 DAB 재난방송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특정 음역지역용 T-DMB 및 DAB 재난방송을 위한 시스템은 수신기가 꺼진 상황에서는 재난상황을 비디오 및 오디오를 통해 전달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운전 중 T-DMB 시청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 음영 지역에서 재난방송을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터널 및 지하공간 등과 같은 특정 음영 지역에서도 재난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 특허 제 10-1253159 호("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엘지전자 주식회사, 2007.11.29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재난경보 서비스(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AEAS) 정보를 이용하여 터널 및 지하공간과 같은 특정 음영지역에서도 자동으로 단말을 활성화시키고, 텍스트 메시지뿐만 아니라 영상 및 음성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통해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는 지상파 디엠비 신호로부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제1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재난방송부; 및 상기 재난방송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방송신호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내의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인 FIG Type 5 Extension 2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난방송부는,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 활성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구조를 변경한 후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 및 상기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음영지역용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에서 사용되지 않는 제2 필드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의 제1 필드에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의 메시지 세그먼트에 상기 메시지 발령 기관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를 분할하여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의 헤더의 테이블에 상기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를 메시지 세그먼트가 포함된 FIG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FIG 메시지 신호에서 사용하지 않는 제2 필드의 값에 따라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단문을 표시하는 제2 필드에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신호 중계부는, 제1 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변조한 신호를 전달받으며, 제2 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다중화하여 변조한 신호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송출하는 중간주파수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방법은 지상파 디엠비 신호로부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제1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의 송출이 제어되도록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내의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인 FIG Type 5 Extension 2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에서 사용되지 않는 제2 필드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의 제1 필드에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의 메시지 세그먼트에 상기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발령 기관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 발령 기관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를 분할하여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의 헤더의 테이블에 상기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메시지 세그먼트가 포함된 FIG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FIG 메시지 신호에서 사용하지 않는 제2 필드의 값에 따라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단문을 표시하는 제2 필드에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T-DMB 재난경보 서비스(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AEAS) 정보를 이용하여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AEAS 표준의 규격을 변경한 필드에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 및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여 송출함에 따라 터널 및 지하공간과 같은 특정 음영지역에서도 자동으로 단말을 활성화시켜 T-DMB 및 DAB의 비디오 및 오디오 서비스와 같은 재난방송에 대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EAS 표준의 규격을 변경하지 않고도 일반적인 재난 상황에 대한 기존 재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텍스트로 보내어진 재난정보와 관련된 재난방송 동영상을 T-DMB 및 DAB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과 계층별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에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생성하는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의 필드별 의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DMB 채널 전환 필드의 구성 및 필드별 의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EAS 표준의 규격을 변경하지 않고 기존 재난 메시지를 이용하여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AS 표준의 규격을 변경하지 않고 기존 재난 메시지를 이용하여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10)는 터널 및 지하공간과 같은 특정 음영지역에서도 자동으로 수신단말을 활성화시키고, 멀티미디어를 통해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10)는 재난발생 상황인 경우 재난방송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출력하며, 재난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 디지털 방송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10)는 방송신호 수신부(100), 방송신호 중계부(200), 재난방송부(300) 및 방송신호 송신부(400)를 포함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00)는 T-DMB RF(Radio Frequency)(이하, "지상파 디엠비 신호"라고 함)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방송신호 중계부(200) 및 재난방송부(300)로 전달한다. 이러한, 방송신호 수신부(100)는 수신 안테나(110) 및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120)를 포함한다.
수신 안테나(110)는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전달받는다. 수신 안테나(110)는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저잡음 증폭기(120)로 전달한다.
저잡음 증폭기(120)는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증폭시킨다. 그리고, 저잡음 증폭기(120)는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방송신호 중계부(200) 및 재난방송부(300)로 전달한다.
방송신호 중계부(200)는 재난발생 상황 아닌 경우 방송신호 수신부(100)로부터 전달된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신호 송신부(400)로 전달한다. 방송신호 중계부(200)는 재난발생 상황인 경우 재난방송부(300)로부터 재난방송 다중화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신호 송신부(400)로 전달한다.
이러한, 방송신호 중계부(200)는 하향 변환부(Down Converter)(2101-2103),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2201-2203),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 및 상향 변환부(Up Converter)(2401-24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 중계부(200)는 재난 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 세 개의 경로(path1-path3)로 디지털 방송신호를 분배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경로(path1)는 하향 변환부(2101), 신호 처리부(2201),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 및 상향 변환부(2401)를 통해 형성되며, 경로(path2)는 하향 변환부(2102), 신호 처리부(2202), 중간주파수 선택부(2302) 및 상향 변환부(2402)를 통해 형성되며, 경로(path3)는 하향 변환부(2103), 신호 처리부(2203), 중간주파수 선택부(2303) 및 상향 변환부(2403)를 통해 형성된다.
하향 변환부(2101-2103)는 방송신호 수신부(100)로부터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전달받는다. 하향 변환부(2101-2103)는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지상파 디엠비 IF 신호를 생성한다. 하향 변환부(130)는 지상파 디엠비 IF 신호를 신호 처리부(2201-2203)로 전달한다.
신호 처리부(2201-2203)는 지상파 디엠비 IF 신호의 궤환신호를 제거하고, 채널등화 과정, 즉 디지털 신호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신호 처리부(2201-2203)는 디지털 신호처리 과정이 수행된 지상파 디엠비 IF 신호를 중간주파수 선택부(2401-2403)로 전달한다.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는 IF(Intermediate Frequency) 스위치이며, 각각 입력단자(IN1, IN2)와 출력단자(OUT)를 포함한다.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의 입력단자(IN1)는 각각 대응하는 신호 처리부(2201-2203)에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의 입력단자(IN2)는 각각 재난방송부(300)의 대응하는 COFDM 변조기(3401-3403)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의 출력단자(OUT)는 각각 대응하는 상향 변환부(2401-2403)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는 재난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 신호 처리부(2201-2203)로부터 지상파 디엠비 IF 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10)의 채널선택을 제어하는 신호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지상파 디엠비 IF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향 변환부(Up Converter)(2501-2503)로 전달한다. 한편,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는 재난발생 상황인 경우 재난방송부(300)의 COFDM 변조부(340)로부터 IF 변조된 재난방송 다중화 신호를 전달받는다.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는 신호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재난방송 다중화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향 변환부(Up Converter)(2501-2503)로 전달한다.
상향 변환부(2401-2403)는 재난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로부터 디지털 신호처리 과정이 수행된 지상파 디엠비 IF 신호를 전달받는다. 상향 변환부(2401-2403)는 지상파 디엠비 IF 신호를 RF 신호, 즉 디지털 방송신호로 변환한다. 상향 변환부(2401-2403)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방송신호 송신부(400)로 전달한다. 한편, 상향 변환부(2401-2403)는 재난발생 상황인 경우 중간주파수 선택부(2301-2303)로부터 재난방송 다중화 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향 변환부(2401-2403)는 재난방송 다중화 신호를 RF 신호, 즉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로 변환한다. 상향 변환부(2401-2403)는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방송신호 송신부(400)로 전달한다.
재난방송부(300)는 방송신호 수신부(100)로부터 전달된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신호 중계부(2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재난방송부(300)는 재난정보 부호화부(310), 단말 활성화부(320), 방송신호 다중화부(330) 및 COFDM 변조부(340)를 포함한다.
재난정보 부호화부(310)는 시실물 관리센터 및 정합 시스템 등과 같은 재난감시센터(도시하지 않음)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재난상황에 해당하는 재난방송 소스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재난정보 부호화부(310)는 재난방송 소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재난방송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재난정보 부호화부(310)는 재난방송 부호화 데이터를 단말 활성화부(320)로 전달한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AEAS(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생성기이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재난정보 부호화부(310)로부터 재난방송 부호화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방송신호 수신부(100)로부터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전달받는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에서 FIC(Fast Information Channel)를 추출 및 분석하여 AEAS 표준에 따라 생성된 재난 메시지(이하, "기존 재난 메시지"라고 함)를 검출한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재난방송 부호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는 터널 및 지하공간과 같은 특정 음영지역에서 비활성화된 수신단말을 활성화(wake-up)하여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멀티미디어로 제공하기 위해 재난방송 관련 앙상블 프레임 및 서브채널 내의 방송 서비스의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채널 구성에 맞도록 재난방송 부호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단말 활성화부(320)는 기존 재난 메시지를 이용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활성화부(320)는 기존 재난 메시지의 FIG Type 5 Extension 2 필드(이하, "FIG 5/2 필드"라고 함)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존 재난 메시지의 FIG 5/2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말 활성화부(320)는 기존 재난 메시지의 구조를 변경한 재난 메시지(이하,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라고 함)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말 활성화부(320)는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에 새로 생성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 및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생성한다. 한편, 기존 재난 메시지의 FIG 5/2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단말 활성화부(320)는 기존 재난 메시지에 표시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새로 생성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기존 재난 메시지에 표시된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새로 생성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생성한다.
방송신호 다중화부(330)는 MUX(Multiplexer) 모듈(3301-3303)을 포함한다. MUX 모듈(3301-3303)은 단말 활성화부(320)로부터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전달받는다. MUX 모듈(3301-3303)은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다중화한다. 그리고, MUX 모듈(3301-3303)은 다중화된 신호(이하, "재난방송 다중화 신호"라고 함)를 생성하고, 이를 COFDM 변조부(340)로 전달한다.
COFDM 변조부(340)는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tiplexing) 변조기(3401-3403)를 포함한다. 이때, COFDM 변조기(3401)는 방송신호 중계부(200)의 중간주파수 선택부(2401)에 연결되어 있으며, COFDM 변조기(3402)는 중간주파수 선택부(2402)에 연결되어 있으며, COFDM 변조기(3403)는 중간주파수 선택부(2403)에 연결되어 있다. COFDM 변조기(3401-3403)는 방송신호 다중화부(330)로부터 재난방송 다중화 신호를 전달받는다. COFDM 변조기(3401-3403)는 재난방송 다중화 신호를 IF 신호 형태로 변조하여 방송신호 중계부(200) 의 대응하는 중간주파수 선택부(2401-2403)로 전달한다.
방송신호 송신부(400)는 상향 변환부(2501-2503)로부터 디지털 방송신호 또는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전달받는다. 방송신호 송신부(400)는 디지털 방송신호 또는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여 송출한다. 이러한, 방송신호 송신부(400)는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410), 채널필터(Channel Filter)(420) 및 출력 안테나(430)를 포함한다.
고출력 증폭기(410)는 방송신호 중계부(200)로부터 디지털 방송신호 또는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고출력 증폭기(410)는 디지털 방송신호 또는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고출력 증폭시켜 채널 필터(420)로 전달한다.
채널필터(420)는 고출력 증폭기(410)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방송신호 또는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송신채널에 맞도록 필터링하여 출력 안테나(430)로 전달한다.
출력 안테나(430)는 채널 필터(420)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방송신호 또는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송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과 계층별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는 AEAS 표준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AEAS 표준에서는 재난 메시지 계층(500a), 재난 메시지 분할 계층(500b),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 계층(500c), FIC(Fast Information Channel) 계층(500d) 및 TMF(Transmission Frame Multiplexer) 계층(500e)을 정의한다. 여기서, 재난 메시지 계층(500a) 및 재난 메시지 분할 계층(500b)은 새로 정의된 것이다. 또한, AEAS 표준에서는 FIDC 계층(500c), FIC 계층(500d) 및 TMF 계층(500e)에서의 추가적인 요구사항이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EAS 표준에서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재난 메시지 계층(500a), 재난 메시지 분할 계층(500b) 및 FIDC 계층(500c)을 이용한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재난 메시지 계층(500a)은 최상위 계층에 해당하며, 코드 및 문자형식으로 재난 메시지를 표현하기 위해 재난 메시지의 내용(semantics)과 표현 방법(syntax)을 정의한다.
재난 메시지 분할 계층(500b)은 재난 메시지를 분할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 시 하나의 FIG 5/2 필드에는 최대 26바이트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재난 메시지의 크기가 더 크게 전달되므로 재난 메시지 분할 계층(500b)은 모든 재난 메시지를 분할하여 메시지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메시지 세그먼트를 다음 계층으로 전달한다.
아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AEAS 표준의 규격을 변경하여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에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생성하는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송부(300)의 단말 활성화부(320)는 AEAS 표준에 따라 생성된 기존 재난 메시지(600)의 구조를 변경하고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단말 활성화부(320)는 AEAS 표준에 따라 생성된 기존 재난 메시지(600)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700)를 생성한다. 즉, 단말 활성화부(320)는 기존 재난 메시지(600)와의 호환될 수 있도록 예비 필드(660)의 3비트(bit) 중 2비트 크기만큼을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700)의 예비 필드(760a)의 크기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 활성화부(320)는 3비트(bit) 중 나머지 1비트 크기만큼을 DMB 채널전환 플래그 필드(760b)의 크기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 활성화부(320)는 DMB 채널전환 플래그 필드(760b)의 값에 따라 DMB 채널전환 필드(760c)를 할당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단말 활성화부(320)는 DMB 채널전환 플래그 필드(760b)의 값이 "0"이면 DMB 채널전환 필드(760c)를 0비트로 설정하여 DMB 채널전환 필드(760c)가 할당되지 않도록 하며, DMB 채널전환 플래그 필드(760b)의 값이 "1"이면 DMB 채널전환 필드(760c)를 16비트로 설정하여 DMB 채널전환 필드(760c)가 할당되도록 한다. 이때, DMB 채널전환 필드(760c)는 예비 필드(761c), 앙상블 채널지정 필드(762c) 및 서브채널 지정 필드(763c)를 포함한다. 기존 재난 메시지(600)의 예비 필드(660)에 대한 규격만을 변경하고, 나머지 필드(610-650, 670, 680)에 대한 규격은 동일하게 유지시켜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700)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존 재난 메시지(600)는 재난종류 필드(610), 경보 우선순위 필드(620), 재난 발령시간 필드(630), 재난지역 형식 필드(640), 재난 지역수 필드(650), 예비 필드(660), 재난지역 필드(670) 및 단문 필드(680)를 포함한다.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700)는 기존 재난 메시지(600)와 달리 예비(Reserved) 필드(760)에 대한 규격이 변경되었을 뿐 그 외 나머지 필드의 규격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단말 활성화부(3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 및 지하공간과 같은 특정 음영지역에서 비활성화된 수신단말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700)를 분할하여 메시지 세그먼트(800)를 생성하고, 메시지 세그먼트(800)의 세그먼트 헤더(810)에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한다. 이때, 재난 메시지 계층(500a)을 통해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700)가 재난 메시지 분할 계층(500b)으로 전달된다. 재난 메시지 분할 계층(500b)에서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700)가 분할되어 메시지 세그먼트(800)가 생성되고, FIDC 계층(500c)으로 전달된다. 즉, 단말 활성화부(320)는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700)를 분할하여 메시지 세그먼트(800)를 생성한다. 여기서, 메시지 세그먼트(800)는 세그먼트 헤더(810) 및 메시지 세그먼트 데이터(820)를 포함한다. 세그먼트 헤더(810)는 현재 세그먼트 번호 필드(811), 전체 세그먼트 수 필드(812) 및 재난 메시지 ID 필드(8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난 메시지 ID 필드(813)는 메시지 발령 기관 필드(8131) 및 메시지 고유 ID 필드(8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 활성화부(320)는 세그먼트 헤더(810)의 메시지 발령 기관 필드(8131)에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한다. 다시 말해, 단말 활성화부(320)는 메시지 발령 기관 필드(8131)의 3비트로 생성된 테이블(Table1)에 새로운 필드(8131a)를 추가하고 "터널 및 지하공간과 같은 특정 음영지역 관리기관"을 표시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의 필드별 의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DMB 채널 전환 필드의 구성 및 필드별 의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700)는 재난종류 필드(710), 경보 우선순위 필드(720), 재난 발령시간 필드(730), 재난지역 형식 필드(740), 예비 필드(760), 재난지역 필드(770) 및 단문 필드(7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재난종류 필드(710)는 3바이트(byte)의 크기이며, "기존 재난종류 코드에 맞게 재설정되며, 필요한 경우 재난종류 코드를 추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보 우선순위 필드(720)는 2비트의 크기이며, "음영지역용 재난방송 서비스인 경우 '11'로 설정(매우긴급, 문자정보+알람)"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난 발령시간 필드(730)는 28비트의 크기이며,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의 실시 시점부터 재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재난지역 형식 필드(740)는 3비트의 크기이며, "현재 지역 '011'을 추가하여 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재난 지역수 필드(750)는 4비트의 크기이며, "터널용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시에는 무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비 필드(760a)는 2비트의 크기이며, "DMB 채널전환 플래그 필드(760b)에서 1비트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DMB 채널전환 플래그 필드(760b)는 1비트의 크기이며, "DMB 방송으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DMB 채널전환 플래그 필드(760b)의 값이 '0'인 경우 DMB 방송으로 전환하지 않게된다(DMB 채널 전환 필드(760c)의 크기는 0비트가 됨). DMB 채널전환 플래그 필드(760b)의 값이 '1'인 경우 DMB 방송으로 전환된다(DMB 채널 전환 필드(760c)의 크기는 16비트가 됨). DMB 채널 전환 필드(760c)는 0비트 또는 16비트로 가변적으로 설정된다. DMB 채널 전환 필드(760c)의 크기가 0비트로 설정되면, DMB 채널 전환 필드(760c)는 사용하지 않는 필드가 된다. 한편, DMB 채널 전환 필드(760c)의 크기가 16비트로 설정되면, DMB 채널 전환 필드(760c)는 도 7과 같이 예비 필드(761c), 앙상블 채널지정 필드(762c) 및 서브채널 지정 필드(763c)가 할당된다. 구체적으로, 예비 필드(761c)는 4비트의 크기이며, 바이트 조정(Byte aline)을 위해 할당된다. 앙상블 채널 지정 필드(762c)는 6비트의 크기이며, DMB 방송채널로 전환시키기 위한 채널 전환용으로 사용된다. 이때, 채널 매핑은 국가별 채널 설정에 따라 다르다. 국내의 경우, "0"은 7A, "1"은 7B, "2"은 7C, "3"은 8A, "5"는 8C,…,"18"은 13A, "19"은 13B, "20"은 13C, "21-63"은 예비로 설정된다. 서브채널 지정 필드(763c)는 6비트로 설정되며, 선택된 앙상블에 대한 서브채널 선택용으로 사용되며, DAB 표준의 "0-63번" 서브채널 번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재난지역 필드(770)는 가변 크기이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700)에서는 보내지 않는다. 단문 필드(780)는 가변 크기로 설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EAS 표준의 규격을 변경하지 않고 기존 재난 메시지를 이용하여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재난방송부(300)의 단말 활성화부(320)는 기존 재난 메시지(600)의 FIG 5/2 필드의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방송신호 수신부(100)로부터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전달받는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로부터 기존 재난 메시지(600)를 검출한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재난정보 부호화부(310)로부터 전달된 재난방송 부호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기존 재난 메시지(600)의 단문 필드(680)에 링크정보와 같은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존 재난 메시지(600)에 부가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T-DMB 수신기(도시하지 않음)는 무조건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의 재난방송 관련 앙상블 및 서브채널을 파싱하여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및 오디오(이하, "재난방송 동영상"이라고 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 다중화부(330)는 도 8의 T-DMB MATE 표준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상파 DMB 로케이터 형식의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인 "dab.service://F1E044.F1F1E00441"(681)를 단문 필드(680)에 표시하여 전달한다. 그러면, T-DMB 수신기(도시하지 않음)는 해당 서브채널(681)을 파싱하여 재난방송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브채널(681)을 기호("")로 구분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기호({},[], * *, % % 등)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방송신호 다중화부(330)는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의 앙상블이 "12A"이고, 서브채널이 "3"인 경우, 단문 필드(680)의 내용 마지막에 "12A03"를 표시하여 전송한다. 이때도 전술한 바와 같이 기호("")뿐만 아니라 다른 기호({},[], * *, % % 등)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방법도 "12A-03" 또는 "12A/03"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앙상블 12A"에 주파수 정보를 표시하는 "205.280,03", "205008,03", "205.280/03", "205008/03"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하게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AS 표준의 규격을 변경하지 않고 기존 재난 메시지를 이용하여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재난방송부(300)의 단말 활성화부(320)는 기존 재난 메시지(600)의 FIG 5/2 필드에 표시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새로 표시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활성화부(320)는 방송신호 수신부(100)로부터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전달받는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로부터 기존 재난 메시지(600)를 검출한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기존 재난 메시지(600)를 이용하여 FIG 메시지(900)를 생성하고, FIG 메시지(900)의 FIG 5/2 필드에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새로 표시한다. 즉, 단말 활성화부(320)는 기존 재난 메시지(600)를 분할하여 메시지 세그먼트(600a)를 생성한다. 단말 활성화부(320)는 FIDC 계층(500c)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시지 세그먼트(600a)를 포함하는 FIG 메시지(900)를 생성한다. 여기서, FIG 메시지(900)는 FIG 헤더(910) 및 FIG 데이터(920)를 포함한다. FIG 데이터(920)는 D1 필드(921), D2 필드(922), FIDCId 필드(923) 및 FIG 5/2 필드(924)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 활성화부(320)는 FIG 메시지(900)를 방송신호 다중화부(330)로 전달한다. 이때, D1 필드(921)가 AEAS 표준의 규격에서 필드값이 "0"으로 설정되어 사용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방송신호 다중화부(330)는 FIG 메시지(900)의 D1 필드(921)를 이용하여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한다. 다시 말해, 방송신호 다중화부(330)는 D1 필드(921)의 값이 "0"이면, AEAS 표준의 규격에 따른 재난방송 데이터(924a)를 FIG 5/2 필드(924)에 표시하며, D1 필드(921)의 값이 "1"이면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924b)를 FIG 5/2 필드(924)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 다중화부(330)는 D1 필드(921)의 값이 "1"이면 FIG 5/2 필드(924)의 내용을 "dab.service://F1E044.F1F1E00441" 또는 "12A03"으로 표시하여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 재난 메시지(600)의 FIG 5/2 필드에 표시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새로 표시하기 위해 D1 필드(921)의 값에 따라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새로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D1 필드(921)의 값에 관계없이 AEAS 표준의 규격에 따른 재난방송 데이터를 삭제한 후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AEAS 표준의 규격을 변경하지 않고도 일반적인 재난 상황에 대한 기존 재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텍스트로 보내어진 재난정보와 관련된 재난방송 동영상을 T-DMB 및 DAB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10)의 방송신호 수신부(100)는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방송신호 중계부(200) 및 재난방송부(300)로 전달한다(S100).
방송신호 중계부(200)는 재난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송출한다(S110). 재난방송부(300)는 재난발생 상황인 경우 증폭된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이용하여 기존 재난 메시지를 검출한다(S120). 재난방송부(300)는 재난방송 소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방송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재난방송 부호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재난방송부(300)는 기존 재난 메시지의 FIC 내에 FIDC에 해당하는 FIG 5/2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0).
S130 단계의 판단결과 기존 재난 메시지의 FIG 5/2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재난방송부(300)는 기존 재난 메시지의 구조를 변경한 재난 메시지(이하,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라고 함)를 생성한다(S140a). 그리고, 단말 활성화부(320)는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의 FIG 5/2 필드에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한다(S140b). 그리고, 단말 활성화부(320)는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의 메시지 세그먼트의 헤더에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생성한다(S140c).
한편, S130 단계의 판단결과 기존 재난 메시지의 FIG 5/2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재난방송부(300)는 기존 재난 메시지에 표시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새로 생성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S150a)하거나 또는 기존 재난 메시지에 표시된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표시(S150b)하여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생성한다.
재난방송부(300)는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를 다중화한다. 재난방송부(300)는 다중화하여 생성된 재난방송 다중화 신호를 방송신호 중계부(200)로 전달한다(S160). 그러면, 방송신호 중계부(200)는 재난방송 다중화 신호를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방송신호 중계부(200)는 음영지역에서 텍스트뿐만 아니라 재난방송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로 재난경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를 방송신호 송신부(400)를 통해 송출한다(S17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가 제공되면 터널 및 지하공간과 같은 특정 음영지역에서 비활성화 상태인 T-DMB 수신기도 무조건 음역지역용 재난 메시지에 포함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의 재난방송 관련 앙상블 및 서브채널을 파싱하여 디지털 재난 방송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및 오디오 등과 같은 재난방송 동영상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재난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서 기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판단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0 :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100 : 방송신호 수신부
200 : 방송신호 중계부
300 : 재난방송부
400 : 방송신호 송신부

Claims (19)

  1. 지상파 디엠비 신호로부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제1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재난방송부; 및
    상기 재난방송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방송신호 중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내의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인 FIG Type 5 Extension 2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송부는,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 활성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구조를 변경한 후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 및 상기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음영지역용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에서 사용되지 않는 제2 필드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의 제1 필드에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의 메시지 세그먼트에 상기 메시지 발령 기관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를 분할하여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의 헤더의 테이블에 상기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를 메시지 세그먼트가 포함된 FIG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FIG 메시지 신호에서 사용하지 않는 제2 필드의 값에 따라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단문을 표시하는 제2 필드에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중계부는,
    제1 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지상파 디엠비 신호를 변조한 신호를 전달받으며, 제2 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다중화하여 변조한 신호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송출하는 중간주파수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장치.
  11. 지상파 디엠비 신호로부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제1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의 송출이 제어되도록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내의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인 FIG Type 5 Extension 2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에서 사용되지 않는 제2 필드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의 제1 필드에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의 메시지 세그먼트에 상기 음영지역용 재난경보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발령 기관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령 기관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변경 재난 메시지 신호를 분할하여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의 헤더의 테이블에 상기 메시지 발령 기관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메시지 세그먼트가 포함된 FIG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FIG 메시지 신호에서 사용하지 않는 제2 필드의 값에 따라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 대신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에 재난방송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재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재난 메시지 신호의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재난방송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단문을 표시하는 제2 필드에 상기 재난방송 활성화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제공방법.
KR1020130124461A 2012-10-29 2013-10-18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2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310111705 DE102013111705A1 (de) 2012-10-29 2013-10-24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digitalen rundfunk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384 2012-10-29
KR20120120384 2012-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54A true KR20140057154A (ko) 2014-05-12
KR101920304B1 KR101920304B1 (ko) 2018-11-21

Family

ID=5088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461A KR101920304B1 (ko) 2012-10-29 2013-10-18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030A (ko) * 2019-04-25 2020-1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116A (ko) 2020-06-15 2021-12-22 (주)남경텔레콤 Dmb 재방송 중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6133A1 (en) * 2002-05-16 2003-11-20 Poltorak Alexander I.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broadcast information via a media playing device
KR101253159B1 (ko) 2006-05-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030A (ko) * 2019-04-25 2020-1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304B1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8794B1 (e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0636216B1 (ko)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송 수신 장치
GB2418803A (en) Emergency digital broadcast message transmitter system
KR10111925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시 긴급 서비스 송수신을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수신기
KR101920304B1 (ko)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EP1800424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messages into a region such as a tunnel or a bridge
KR101341045B1 (ko) 등화기능을 구비한 터널용 지상파 디엠비 재난 방송 장치 및 방법
KR100880046B1 (ko)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JP4537926B2 (ja) 無線中継システムおよび中継監視方法
US200601604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streaming digital data to FM modulated data
KR101984066B1 (ko)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재해 조기경보 방법 및 시스템
Glazkov et al. GNU Radio Based RDS Transceiver for Data Communication
KR101851796B1 (ko) Dmb를 이용한 재난 방송용 중계기
KR101265604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42973B1 (ko)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에이 에서 시분할다중화 방식의 경로를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027408A (ko) 디지털 방송시스템에서의 부가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032427B1 (ko) 위성을 이용한 재난 경보 방송 시스템
JP4633187B2 (ja) 地上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における緊急速報の受信機及び送信装置、並びに伝送システム
KR100983338B1 (ko) 재난 경보 서비스를 위한 시그날링 장치 및 시그날링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4090194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20150108228A (ko) 자동 인지가 가능한 긴급전송 신호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101181776B1 (ko) 재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재난 정보 수신 장치
KR100960534B1 (ko)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576301B1 (ko) 송수신 단말장치
KR100466069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송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