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534B1 -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534B1
KR100960534B1 KR1020080033841A KR20080033841A KR100960534B1 KR 100960534 B1 KR100960534 B1 KR 100960534B1 KR 1020080033841 A KR1020080033841 A KR 1020080033841A KR 20080033841 A KR20080033841 A KR 20080033841A KR 100960534 B1 KR100960534 B1 KR 100960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isaster alert
dmb
disaster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434A (ko
Inventor
최성종
권대복
오건식
김재연
장태욱
함영권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방송공사
주식회사 에스비에스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주)아이셋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방송공사, 주식회사 에스비에스,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주)아이셋,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33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53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시스템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재난 경보를 생성하는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와, 상기 DMB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난 경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재난 경보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와,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수신한 후,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제공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난 경보 서비스를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공통 서비스로 운영하여 앙상블을 선택한 모든 수신자가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별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재난 경보 서비스의 중복 전송에 따른 주파수의 비효율적 활용과 재난 경보 발령 기관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 측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망 설치 및 유지 비용의 증가를 방지하고,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수신 대상의 제한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책임 소재의 불분명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재난 경보 서비스(AEAS), 공통 서비스, 앙상블, 서비스, 서비스 컴포넌트

Description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BASED ON COMMON SER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난 경보 서비스를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공통 서비스로 운영하여 앙상블을 선택한 모든 수신자가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별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재난 경보 서비스의 중복 전송에 따른 주파수의 비효율적 활용과 재난 경보 발령 기관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 측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망 설치 및 유지 비용의 증가를 방지하고,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수신 대상의 제한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책임 소재의 불분명을 방지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이 실용화되면서 종래의 TV 또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해주는 방안이 고려되었다. 특히 공익적인 목적으로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여 재난 경보를 디지털 방송의 시청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방법과 전송 규약이 연구되고 보완되고 있다.
재난 경보 서비스(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은 디지털 방송의 전송 규약에 따라 방송 신호로부터 재난 경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재난 경보를 해당 전송 규약에 따라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재난 경보 서비스의 수신 장치는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뿐만 이 아니라 재난 경보의 수신을 위한 전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예컨대 지상파 디지털 방송, 케이블 또는 위성 디지털 방송, 통신망을 이용한 IP-TV 방송, 또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또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등의 방송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을 이용하여 재난 경보 서비스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T-DMB 표준은 서비스 모델을 표현하기 위해 앙상블, 서비스, 서비스 컴 포넌트를 정의한다. "앙상블"은 RF로 변조되어 송출되는 기본적인 단위이다. 하나의 앙상블은 여러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란 수신자가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한다.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컴포넌트"로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서비스 컴포넌트는 하나의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로 전송한다.
서비스 컴포넌트는 서비스 모델의 관점에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를 의미하며, 전송 채널은 프로토콜의 관점에서 서비스 컴포넌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송 프로토콜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T-DMB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T-DMB 전송 채널은 크게 FIC(빠른 정보 채널, Fast Information Channel)과 MSC(주요 서비스 채널, Main Service Channel)로 구분된다.
FIC는 T-DMB 서비스의 시그날링(signalling)을 위한 다중화 구성 정보(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MCI)를 전송하며, MCI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FIC는 시간 인터리브를 하지 않고 높은 수준의 전송 오류 보호를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FIC에 할당된 용량이 제한적이므로, 우선 MCI를 전송하며, 이후 FIC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를 전송한다.
FIDC(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 Fast Information Data Channel)는 FIC 내에서 페이징(paging), TMC(Traffic Message Channel) 또는 EWS(Emergency Warning Systems)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FIDC는 비교적 낮은 전송률을 제공하지 만 전원 소비가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는 특수 수신기 또는 단순한 이동형 수신기를 위한 전송 채널이다.
MSC는 오디오 스트림 모드(Audio Stream Mode), 네트워크 레벨 패킷 모드(Packet Mode -Network Level)와, 데이터 스트림 모드(Data Stream Mode)로 구성되며, 각 모드에서는 TDC(Transparent Data Channel), DLS(Data Linked Service), IP 터널링(IP Tunneling),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MPEG4 데이터(MPEG4 Data)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 컴포넌트를 전송한다.
T-DMB 서비스 모델에서, 앙상블은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가 각각 담당한다. T-DMB 수신기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를 디코딩하여 수신자에게 제공한다. 즉 서비스 측면에서 볼 경우, 일반 수신자는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T-DMB를 기초로 재난 경보 서비스을 수행하는 경우 서비스 모델은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재난 경보를 제공하는 경우와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재난 경보를 제공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재난 경보는 소방 방재청 또는 지방 자치 단체의 재난 관리 기구 등에서 생성되며, 이하 이러한 재난 경보에 대한 발령 주체를 "재난 경보 발령자"라 지칭한다.
도 2는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재난 경보 발령자로부터 재난 경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서비스 제공자 A(도시되지 않음)는 서비스 A(130a)를 제공하며, 서비스 제공자 B(도시되지 않음)는 서비스 B(130b)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A(130a), 서비스 B(130b)는 앙상블(110)을 통하여 전송된다. 서비스 제공자 A와, 서비스 제공자 B 각각은 재난 경보 발령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재난 경보를 수신하면, 자신의 서비스 내의 서비스 컴포넌트, 즉 재난 경보 컴포넌트(150c)로 생성하여, 멀티플렉스 사업자(도시되지 않음)게 전송하여 앙상블(110)을 통하여 수신 측으로 전송된다. 이를 통하여 재난 경보가 수신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재난 경보는 서비스 제공자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컴포넌트 중의 하나로 간주된다.
그러나 T-DMB의 서비스 제공자는 다수 존재하며, 따라서 이러한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동일한 재난 경보를 전송하는 경우 방송 주파수의 비효율적인 사용을 초래한다. 즉 서비스 제공자 A는 자신의 서비스 컴포넌트 A(150a) 뿐만 아니라 재난 경보 컴포넌트(150c)를 전송하여야 하며, 서비스 제공자 B 역시 자신의 서비스 컴포넌트 B(150b) 뿐만 아니라 재난 경보 컴포넌트(150c)를 전송하여야 한다. 비록 두 개의 서비스, 즉 서비스 A(130a)와 서비스 B(130b) 만이 도시되었지만, 앙상블(110) 내에는 다른 서비스가 다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마다 재난 경보 컴포넌트(150c)를 전송하는 경우 방송 주파수는 비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재난 경보 발령자의 입장에서도 동일한 재난 경보를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 측에 동시에 전송하여야 하므로 재난 경보의 전송망 설치 및 유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재난 경보를 재난 경보 발령자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경우, 도 3 또는 도 4와 같은 두 가지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3은 재난 경보를 독립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T-DMB 서비스 모델은 앙상블(110) 내의 종래의 서비스 제공자(도시되지 않음)와 마찬가지로 재난 경보 발령자(도시되지 않음)를 독립된 서비스 제공자 형태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재난 경보 발령자가 재난 경보 서비스(130c)라는 별도의 서비스의 제공자로서 간주되고, 재난 경보 서비스(130c)는 재난 경보 컴포넌트(150c)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독립된 서비스 형태로 재난 경보를 간주하는 경우에는 도 1에서의 서비스 제공자 별로 재난 경보 컴포넌트(150c)를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서 방송 주파수의 효율적인 사용 면에서는 유리하지만, 해당 서비스, 즉 재난 경보 서비스(150c)를 선택한 사용자에게만 재난 경보 서비스이 전달된다. 즉 서비스 A(130a)를 선택한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 컴포넌트(150a)의 수신만이 가능할 뿐이다. 따라서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여야 하는 재난 경보 서비스의 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재난 경보 서비스(130c)는 서비스 시작 시간이 예측할 수 없다. 즉 재난 경보 서비스(130c)는 재난 경보가 발령되는 경우에 서비스를 시작하고 평상시에는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재난 경보를 별도의 독립적인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은 도 1에서의 서비스 제공자 별로 재난 경보 컴포넌트(150c)를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서 방송 주파수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지만, 재난 경보 서비스(130c) 자체의 존재로 인하여 방송 주파수의 낭비를 가져온다.
도 4는 재난 경보를 공통된 서비스 컴포넌트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DMB 서비스 모델은 재난 경보를 앙상블(110) 내의 모든 서비스(130a, 130b)가 공통으로 가지는 서비스 컴포넌트로 간주한다. 즉 서비스 A(130a)와 서비스 B(130b)는 자신의 서비스 컴포넌트인 서비스 컴포넌트 A(150a)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 B(150b)와 더불어 재난 경보 컴포넌트(150c)를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서 서비스 A(130a)와 서비스 B(130b)에서 재난 경보 컴포넌트(150c)에 연결되는 점선은 재난 경보 컴포넌트(150c)가 특정 서비스에 종속된 서비스 컴포넌트가 아니며 다른 서비스, 예컨대 서비스 A(130a) 또는 서비스 B(130b)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 경우, 재난 경보는 서비스 A(130a) 또는 서비스 B(130b)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경보 서비스에서 재난 경보 발령자의 위치가 불명확하다. 또한 재난 경보 서비스의 수행 도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재난 경보 발령자와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책임 소재가 불명확하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재난 경보를 독립된 서비스 또는 공통적인 서비스 컴포넌트로 간주하는 경우에도 재난 경보 서비스의 송출 및 운영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난 경보 서비스를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공통 서비스로 운영하여 앙상블을 선택한 모든 수신자가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별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재난 경보 서비스의 중복 전송에 따른 주파수의 비효율적 활용과 재난 경보 발령 기관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 측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망 설치 및 유지 비용의 증가를 방지하고,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수신 대상의 제한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책임 소재의 불분명을 방지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시스템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재난 경보를 생성하는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와, 상기 DMB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난 경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재난 경보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와,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수신한 후,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제공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빠른 정보 채널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상기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빠른 정보 채널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주요 서비스 채널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링크 정보를 참조로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의 상기 빠른 정보 그룹 타입 5 익스텐션 2를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 경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고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MB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재난 경보를 수신하는 재난 경보 수신부와, 상기 재난 경보를 기초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생성하는 재난 경보 서비스 생성부와, 미리 지정된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비스 수신부와, 상기 DMB의 수신 측에서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수신 가능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DMB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DMB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DMB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상기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DMB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로부터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 경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고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DMB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수신기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추출하는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분석하여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 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는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는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한 이후 상기 링크 정보를 참조로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는 상기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는,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상기 재난 경보를 발령한 발령 기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발령 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발령 기관이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DMB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DMB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재난 경보를 기초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DMB의 수신 측에서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수신 가능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c)는, (c-2)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상기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3)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 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 경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고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DMB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수신기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분석하여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b)는, (b-2)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b)는, (b-3)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한 이후 상기 링크 정보를 참조로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4) 상기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상기 재난 경보를 발령한 발령 기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발령 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발령 기관이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 록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DMB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수신기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난 경보 서비스를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공통 서비스로 운영하여 앙상블을 선택한 모든 수신자가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별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재난 경보 서비스의 중복 전송에 따른 주파수의 비효율적 활용과 재난 경보 발령 기관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 측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망 설치 및 유지 비용의 증가를 방지하고,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수신 대상의 제한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책임 소재의 불분명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 경 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공통 서비스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서비스, 예컨대 서비스 A(230a)와는 다르게, 공통 서비스(270)는 일반적인 서비스, 예컨대 서비스 A(230a)의 수신과 독립적으로 수신되어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다른 서비스와 동일한 형태로 수신되어 제공되지는 않지만, 공통 서비스(27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앙상블(210) 내에 포함되는 서비스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본원 발명에서는 이러한 독립적으로 수신 및 제공되어 수신 측에서 공통으로 제공하여야 하는 서비스를 "공통 서비스"라 지칭한다. 또한 앙상블(210)에서 공통 서비스(270)로 연결되는 점선은 공통 서비스(270)가 일반적인 서비스의 형태는 아니지만 서비스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예컨대 일반적인 서비스는 도 1의 FIC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다중화 구성 정보(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MCI)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수신이 수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공통 서비스(270)는 이러한 MCI 정보를 사용하여 수신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며, 다만 수신 측에서 MCI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공통 적으로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공통 서비스(270)의 제공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측에서는 공통 서비스 컴포넌트(290)를 공통 서비스(270) 형식으로 제공한다. 도시되듯이 공통 서비스 컴포넌트(290)는 다른 서비스, 예컨대 서비스 A(230a)에 종속된 서비스 컴포넌트가 아니라, 공통 서비스(270)에 종속되어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다만 다른 서비스의 제공시에도 공통 서비스 컴포넌트(29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신기 측에서 서비스 A(230a)에 대응하는 서비스 컴포넌트 A(250a)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서비스 컴포넌트 A(250a)의 제공과 독립적으로 공통 서비스(270)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공통 서비스(27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신기 측에서는 공통 서비스 컴포넌트(290)를 서비스 컴포넌트 A(250a)와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A(230a)에서 공통 서비스 컴포넌트(290)로 연결되는 점선은 서비스 A(230a)가 대응하는 서비스 컴포넌트 A(250a)의 제공과는 독립적으로 공통 서비스(270)를 통하여 공통 서비스 컴포넌트(290)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공통 서비스(270)에서 공통 서비스 컴포넌트(290)로 연결되는 점선은 비록 일반적인 서비스 컴포넌트는 아니지만 공통 서비스(270)와 공통 서비스 컴포넌트(290)가 대응된다는 의미이다.
비록 하나의 서비스, 즉 서비스 A(230a) 만이 도시되었지만, 앙상블(210) 내에는 다른 서비스가 다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른 서비스들도 자신의 서비스 컴포넌트의 제공과는 독립적으로 공통 서비스(270)를 통한 공통 서비스 컴 포넌트(290)의 제공이 가능하다. 즉 공통 서비스(270)는 해당 앙상블(210)을 선택한 모든 수신기에서 수신할 수 있는 독립적인 서비스이다.
즉 공통 서비스(270)를 이용하면, 종래 서비스 제공자마다 재난 경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멀티플렉스 사업자가 서비스 컴포넌트 형식으로 재난 경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독립된 서비스 제공자 형식으로 재난 경보를 전송하는 방식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든 DMB 수신기에서 공통 서비스(270)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300)와, 서비스 제공자 서버(350)와,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400)와, 수신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300)는 재난 경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소방 방재청이나 각 지방자치단체의 재난 경보 관련 기구 등에서는 재난 경보의 발령을 위해서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300)를 운영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350)는 DMB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전술한 DMB의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서비스 제공자 서버(350)를 운영할 수 있다.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400)는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재난 경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 제공자 서버(35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DMB 전송망을 통하여 수신기(500) 측으로 전송한다.
수신기(500)는 DMB 전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수신한 후,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300)가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400)는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재난 경보 메시지를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500)는 DMB의 빠른 정보 채널(FIC)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간단한 메시지 정보는 재난 경보 메시지로 제공이 가능하지만, 동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등의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메시지와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400)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그리고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500)는 빠른 정보 채널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주요 서비스 채널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간단한 메시지 정보인 재난 경보 메시지는 빠른 정보 채널을 통하여 수신기에서 간편하게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빠른 정보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DMB의 수신기 모두에서 재난 경보 메시지의 수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재난 경보 추가 정보는 예컨대 주요 서비스 채널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이 경우 수신기에 따라서 재난 경보 추가 정보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예컨대 해당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수신기의 경우에는 재난 경보 추가 정보의 수신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재난 경보 메시지는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므로 모든 DMB 수신기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해야 한다는 재난 경보 서비스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가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정보는 예컨대 URL 형식의 BWS 링크 정보 또는 T-DMB 로케이터 형식의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500)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재난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참조로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메시지의 전송에 있어서,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400)는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이용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500)는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의 빠른 정보 그룹 타입 5 익스텐션2를 확인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빠른 정보 그룹 타입 5 익스텐션 2는 도 1의 EWS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전송 채널 형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경우 EWS의 전송 대신에 재난 경보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400)는,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300)로부터 재난 경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재난 경보를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고, 재난 경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할 수 있다.
즉 재난 경보가 없는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DMB 데이터에 삽입함으로써 재난 경보를 위한 공간을 미리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확보는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400)에서 재난 경보가 존재하는 경우 DMB 데이터 생성을 위한 다중화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도 6을 참조로 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전반에 걸쳐서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의 공 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재난 경보 수신부(410)와, 재난 경보 서비스 생성부(430)와, 서비스 수신부(450)와, DMB 데이터 전송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수신부(410)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재난 경보를 수신한다. 재난 경보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서비스 생성부(430)는 재난 경보 수신부(410)에서 수신한 재난 경보를 기초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생성한다.
서비스 수신부(450)는 미리 지정된 서비스 제공자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한다.
DMB 데이터 전송부(470)는 재난 경보 서비스 생성부(430)에서 생성한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 수신부(450)에서 수신한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DMB의 수신 측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DMB 데이터 전송부(470)는 DMB의 수신 측에서 서비스 제공자 서버(도시되지 않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재난 경보 서비스가 수신 가능하도록 그리고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는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도시되지 않음)가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전송한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DMB 데이터 전송부(470)는 재난 경보 수신부(410)에서 수신한 재난 경보 메시지를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DMB 데이터 전송부(470)는 재난 경보 수신부(410)에서 수신한 재난 경보 메시지를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그리고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가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정보는 예컨대 URL 형식의 BWS 링크 정보 또는 T-DMB 로케이터 형식의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DMB 데이터 전송부(470)는 재난 경보 추가 정보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에 대한 정보를 링크 정보로 재난 경보 메시지에 추가하여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메시지의 전송에 있어서, DMB 데이터 전송부(470)는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이용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서비스 생성부(430)는, 재난 경보 수신부(410)에서 재난 경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재난 경보를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고, 재난 경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할 수 있다.
즉 재난 경보가 없는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DMB 데이터에 삽입함으로써 재난 경보를 위한 공간을 미리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확보는 DMB 데이터 전송부(470)에서 재난 경보가 존재하는 경우 DMB 데이터 생성을 위한 다중화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도 7을 참조로 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는 디지털 방송 전반에 걸쳐서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수신기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510)와,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530)와,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550)와,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데이터 수신부(510)는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DMB 전송망을 통하여 수신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 버(도 6의 400)는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도 6의 300)로부터 수신한 재난 경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 제공자 서버(도 6의 35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DMB 전송망을 통하여 수신기(도 6의 500) 측으로 전송한다. 방송 데이터 수신부(510)는 이러한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DMB 전송망을 통하여 수신한다.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530)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510)에서 수신한 DMB 데이터 중에서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추출한다.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550)는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530)에서 추출한 재난 경보 서비스를 분석하여 재난 경보 서비스의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부(570)는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550)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제공한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530)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510)에서 수신한 DMB 데이터 중에서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530)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510)에서 수신한 DMB 데이터 중에서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 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고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가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정보는 예컨대 URL 형식의 BWS 링크 정보 또는 T-DMB 로케이터 형식의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530)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510)에서 수신한 DMB 데이터 중에서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한 이후 재난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참조로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메시지의 추출에 있어서,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530)는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확인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550)는,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530)에서 추출한 재난 경보 서비스가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DMB 데이터의 생성시,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는 재난 경보가 있는 경 우에는 재난 경보를 재난 경보 서비스로 생성하며, 재난 경보가 없는 경우에도 재난 경보를 위한 공간을 미리 확보하기 위하여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550)는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만 존재하는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하지 않으므로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를 발령한 발령 기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령 기관 식별 정보는 재난 경보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형식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부(570)는,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550)에 의해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발령 기관 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발령 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발령 기관이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도 8을 참조로 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는 디지털 방송 전반에 걸쳐서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DMB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한 다(S110).
즉 단계 S110은 DMB를 위하여 DMB의 각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서비스의 수신은 종래의 DMB의 경우와 차이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재난 경보를 기초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생성한다(S130).
즉 단계 S130에서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 예컨대 소방 방재청 또는 지방 자치 단체의 재난 관리 기구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로부터 재난 경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재난 경보를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여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생성하고 또는 재난 경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여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단계 S130에서는 재난 경보가 없는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DMB 데이터에 삽입함으로써 재난 경보를 위한 전송 공간을 미리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확보는 이후 재난 경보가 존재하는 경우 DMB 데이터 생성을 위한 다중화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재난 경보는 후술하지만,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DMB의 수신 측에서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재난 경보 서비스가 수신 가능하도록 그리고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가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단계 S130에서 생성한 재난 경보 서비스와 단계 S110에서 수신한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전송한다(S150).
즉 단계 S150은 단계 S130을 통하여 생성한 재난 경보 서비스와 단계 S110을 통하여 수신한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DMB의 수신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종래의 DMB 데이터의 결합 및 전송과는 다르게, 단계 S150은 DMB의 수신 측에서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재난 경보 서비스가 수신 가능하도록 그리고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는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가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하듯이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150은 단계 S130을 통하여 생성한 재난 경보 서비스의 재난 경보 메시지를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150은 단계 S130을 통하여 생성한 재난 경보 서비스의 재난 경보 메시지를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그리고 재난 경보 서비스의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가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정보는 예컨대 URL 형식의 BWS 링크 정보 또는 T-DMB 로케이터 형식의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150은 단계 S130을 통하여 생성한 재난 경보 서비스의 재난 경보 추가 정보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에 대한 정보를 링크 정보로 재난 경보 메시지에 추가하여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메시지의 전송에 있어서, 단계 S150은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이용하여 단계 S130을 통하여 생성한 재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도 9를 참조로 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 전반에 걸쳐서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수신기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한다(S210).
즉 도 6을 참조하면,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도 6의 400)는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도 6의 300)로부터 수신한 재난 경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 제공자 서버(도 6의 35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DMB 전송망을 통하여 수신기(도 6의 500) 측으로 전송한다.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은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DMB 전송망을 통하여 수신한다.
이후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추출한다(S230).
즉 단계 S230에서는 서비스의 추출과는 독립적으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추출한다.
한편, 전술하듯이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230은 단계 S210에서 수신한 DMB 데이터 중에서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하듯이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230은 단계 S210에서 수신한 DMB 데이터 중에서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고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가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정보는 예컨대 URL 형식의 BWS 링크 정보 또는 T-DMB 로케이터 형식의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230은 단계 S210에서 수신한 DMB 데이터 중에서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한 이후 재난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참조로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확인하여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메시지의 추출에 있어서, 단계 S230은 단계 S210에서 수신한 DMB 데이터 중에서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확인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230에서 추출한 재난 경보 서비스를 분석하여 재난 경보 서비스의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S250).
즉 단계 S250에서는 단계 S230에서 추출한 재난 경보 서비스가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DMB 데이터의 생성시,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는 재난 경보가 있는 경우에는 재난 경보를 재난 경보 서비스로 생성하며, 재난 경보가 없는 경우에도 재난 경보를 위한 공간을 미리 확보하기 위하여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 S250은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만 존재하는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하지 않으므로 제공하지 않도록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250의 판단 결과,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제공한다(S270).
한편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를 발령한 발령 기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령 기관 식별 정보는 재난 경보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형식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계 S270은, 단계 S250에 의해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발령 기관 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발령 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발령 기관이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0을 참조로 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 전반에 걸쳐서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데이터, 즉 코드 또는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지칭한다.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컨대 ROM, RAM 등의 메모리와, CD-ROM, DVD-ROM 등의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저장 매체,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며,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난 경보 서비스를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공통 서비스로 운영하여 앙상블을 선택한 모든 수신자가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별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재난 경보 서비스의 중복 전송에 따른 주파수의 비효율적 활용과 재난 경보 발령 기관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 측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망 설치 및 유지 비용의 증가를 방지하고,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수신 대상의 제한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책임 소재의 불분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재난 경보 발령자로부터 재난 경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재난 경보를 독립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재난 경보를 공통된 서비스 컴포넌트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공통 서비스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앙상블 130: 서비스
150: 서비스 컴포넌트 210: 앙상블
230: 서비스 250: 서비스 컴포넌트
270: 공통 서비스 290: 공통 서비스 컴포넌트
300: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 350: 서비스 제공자 서버
400: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 410: 재난 경보 수신부
430: 재난 경보 서비스 생성부 450: 서비스 수신부
470: DMB 데이터 전송부 500: 수신기
510: 방송 데이터 수신부 530: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
550: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 570: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부

Claims (39)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시스템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재난 경보를 생성하는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와,
    상기 DMB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난 경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재난 경보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와,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수신한 후,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제공하는 수신기
    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빠른 정보 채널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상기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빠른 정보 채널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주요 서비스 채널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링크 정보를 참조로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의 상기 빠른 정보 그룹 타입 5 익스텐션 2를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 경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고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인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재난 경보를 수신하는 재난 경보 수신부와,
    상기 재난 경보를 기초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생성하는 재난 경보 서비스 생성부와,
    미리 지정된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비스 수신부와,
    상기 DMB의 수신 측에서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수신 가능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DMB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DMB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DMB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상기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MB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로부터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 경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고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MB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인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15.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수신기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추출하는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분석하여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는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는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한 이후 상기 링크 정보를 참조로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추출부는 상기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판단부는,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상기 재난 경보를 발령한 발령 기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발령 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발령 기관이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MB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인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2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DMB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재난 경보를 기초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DMB의 수신 측에서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수신 가능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에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가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를 DMB 데이터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c)는, (c-2)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상기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3)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상기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재난 경보 발령자 서버로부터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 경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고 상기 재난 경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로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DMB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인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3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수신기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재난 경보 서비스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분석하여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유효한 경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b)는, (b-2) 상기 DMB의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DMB의 주요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을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b)는, (b-3)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한 이후 상기 링크 정보를 참조로 상기 재난 경보 추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34.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4) 상기 DMB의 빠른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빠른 정보 그룹(Fast Information Group, FIG) 타입(type) 5 익스텐션(extension) 2를 확인하여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가 미리 지정된 재난 경보 서비스 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상기 재난 경보를 발령한 발령 기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발령 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발령 기관이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 간주되도록 상기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DMB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인 것인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38. 제23항 내지 제26항, 제28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멀티플렉스 사업자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9. 제30항 내지 제33항,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수신기 측에서의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33841A 2008-04-11 2008-04-11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60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841A KR100960534B1 (ko) 2008-04-11 2008-04-11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841A KR100960534B1 (ko) 2008-04-11 2008-04-11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434A KR20090108434A (ko) 2009-10-15
KR100960534B1 true KR100960534B1 (ko) 2010-06-30

Family

ID=4155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841A KR100960534B1 (ko) 2008-04-11 2008-04-11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9492B (zh) * 2013-02-03 2018-11-27 Lg 电子株式会社 通过广播系统提供紧急报警服务的装置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739B1 (ko) * 2005-10-04 2006-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api를 이용한 메시지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20070028035A (ko) * 2005-09-07 2007-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방송 수신을 위한 통신/방송 통합 단말 장치 및 그방법
KR20080003550A (ko) * 2006-07-03 200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035A (ko) * 2005-09-07 2007-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방송 수신을 위한 통신/방송 통합 단말 장치 및 그방법
KR100650739B1 (ko) * 2005-10-04 2006-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api를 이용한 메시지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20080003550A (ko) * 2006-07-03 200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434A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12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vent notifications
US200800341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mergency notifications over network
US200500866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system messages in an internet protocol
EP3048794B1 (e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A25944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notification about broadcast servic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MXPA05005019A (es) Sistema de alerta de clima/desastres mediante el uso de una red de datos.
KR100677150B1 (ko)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50971A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WO2017038494A1 (ja) 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CN104717547B (zh) 直播卫星紧急广播系统和直播卫星广播接收装置
KR100960534B1 (ko) 공통 서비스 기반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재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과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04036B1 (ko) 디지털 방송채널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18292B1 (ko) Atsc-m/h 방송 서비스 송수신 시스템
KR100984059B1 (ko) 복수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재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JP5002499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とこ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緊急情報告知装置及び受信端末
JP4955059B2 (ja) 放送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放送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983338B1 (ko) 재난 경보 서비스를 위한 시그날링 장치 및 시그날링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20304B1 (ko)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80104B1 (ko) Tpeg을 이용한 재난 정보 제공 장치, 재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851796B1 (ko) Dmb를 이용한 재난 방송용 중계기
KR20150088486A (ko)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재해 조기경보 방법 및 시스템
JP5288968B2 (ja) 緊急速報送出装置、緊急速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緊急速報表示方法
KR101616206B1 (ko) 이동형 dmb 재난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10104216A (ko) 재난 경보 서비스 메시지 중복 여부 확인 장치, 재난 경보 서비스 메시지 중복 여부 확인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yu et al. Design of an Emergency Wake‐up Alert System Utilizing Digital Television Guard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