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011A -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011A
KR20140057011A KR1020120123593A KR20120123593A KR20140057011A KR 20140057011 A KR20140057011 A KR 20140057011A KR 1020120123593 A KR1020120123593 A KR 1020120123593A KR 20120123593 A KR20120123593 A KR 20120123593A KR 20140057011 A KR20140057011 A KR 20140057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input
touch screen
area
n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운
김명수
김현준
남훈곤
양철우
이지만
임형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7011A/ko
Publication of KR2014005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메모장을 통해 메모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메모 입력 영역 및 널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 장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며, 메모 입력 영역 및 널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 중에 메모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메모 입력으로 처리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MEMO IN TOUCH SCREEN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메모장을 통해 메모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 상에 그래픽과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며, 터치 스크린 상의 접촉을 감지하고 반응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소프트 키, 메뉴와 기타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object)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과 관련된 입력을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입력은 펜 입력 및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펜 입력은 터치 스크린에 스타일러스와 같은 펜을 접촉하는 입력을 의미하고, 터치 입력은 손가락과 같은 인체의 일부를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접촉은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직접 접촉하는 것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근접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휴대용 장치에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메모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메모장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메모장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에 의해 편집, 메모 등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장치를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라 칭한다.
통상적으로 메모 애플리케이션은 메모장의 전체 영역을 펜 입력 및 터치 입력이 모두 인식 가능한 영역으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펜을 사용하여 메모장을 통해 메모를 작성할 때 펜을 파지한 손이 터치 스크린 중에 메모장 영역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펜 입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도 메모로 입력 처리된다. 하지만 터치 입력에 따른 메모 입력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따라 펜을 사용하여 메모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이 메모장 영역에 접촉되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펜을 사용하여 메모를 작성하기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은 메모장 하단에 메모를 입력할 때 더욱 심해진다. 또한 메모 내용이 많아질수록 메모장 내에서 필기할 공간을 찾아 펜을 파지한 손을 계속해 움직여야 하므로 속기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펜을 파지한 손을 터치 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메모장을 통해 메모를 작성하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터치 스크린 입력을 방지할 수 있는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펜을 파지한 손을 터치 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메모장을 통해 메모를 작성하도록 할 수 있는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메모장을 통해 메모를 작성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방법은, 메모 입력 영역 및 널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 장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 입력 영역 및 상기 널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 중에 상기 메모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메모 입력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장치는, 메모 장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모 장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기 메모 장에 포함되는 메모 입력 영역 및 널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 중에 상기 메모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메모 입력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메모장이 메모 입력 영역과 널 영역으로 구분되고, 메모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만이 메모 입력으로 처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 스크린 입력이 방지될 수 있고, 사용자가 펜을 파지한 손을 터치 스크린에 지지한 상태에서 편안히 메모장을 통해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펜을 파지한 손을 크게 이동할 필요없이 터치 스크린에 지지한 상태에서 메모 입력 영역에만 필기하면 된다. 이에 따라 메모장을 통해 메모를 작성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속기도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입력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입력 처리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창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에 동일한 구성요소들에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 이하의 설명은 특허청구범위와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가지 특정 상세들이 포함되지만, 이는 단지 예시에 관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하에 설명된 실시 예들의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설명은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들 및 단어들은 서지적인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지 본 발명의 명확하고 일관된 이해가 가능하도록 발명자에 의해 사용된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로서 모바일 단말의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다른 장치들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라면 모바일 단말이 아니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모 입력을 하는 모바일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보인 모바일 단말(100)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제어부(102), 무선 통신부(104), 오디오 입/출력부(106), 메모리(108),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0)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입력에 관한 설명에 필요하지 않은 구성은 가급적 생략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부(104)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 모바일 단말(100)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오디오 입/출력부(106)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마이크와 같은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제어부(102)의 동작에 따른 각종 오디오를 입력 및 출력한다. 메모리(108)는 제어부(102)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제어부(102)의 실행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08)에는 외장형 메모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스토리지 장치도 더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는 모바일 단말(100)과 사용자 사이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스크린(도시하지 않았음)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는 제어부(102)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스크린 입력을 제어부(102)에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제어부(102)에 의해 실행됨에 따른 메모장을 디스플레이하며 메모장 상의 터치 스크린 입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02)에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 이외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키패드나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04) 이외의 다른 통신 수단,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LAN(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와 같은 유선 및 무선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무선 통신부(104), 오디오 입/출력부(106), 메모리(108),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100)의 통상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2)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메모장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하고 메모장을 통한 터치 스크린 입력에 따른 메모 입력을 제어한다. 제어부(102)로는 통상적인 모바일 단말의 주 제어부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이 추가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을 위한 메모 기능 전용 프로세서(또는 콘트롤러)가 사용되거나 전용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0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메모장의 전체 편집 영역을 메모 입력 영역 및 널(null) 영역으로 구별하여 나타내며 메모 입력 영역 및 널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서로 구분하여 인식한다. 편집 영역은 메모장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이 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메모장의 전체 영역은 메모장에 관한 편집, 저장, 삭제 등에 관련된 여러 종류의 아이콘들 등이 배치되는 아이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메모장에 아이콘 영역들과 같은 영역들이 포함되는 경우 이 영역들은 편집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제어부(102)는 메모 입력 영역 및 널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 중에 메모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메모 입력으로 처리한다. 제어부(102)는 널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은 메모 입력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펜을 사용하여 메모장을 통해 메모를 작성할 때 널 영역에 손을 접촉하여도 메모 입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펜을 파지한 손을 널 영역에 댄 채로 펜에 의해 편안하게 메모 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입력 흐름도이다. 도 2에 따른 메모 입력에 관한 제어는 제어부(102)가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제어부(102)에 의해 실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2)는 (200)단계에서 메모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메모장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데, 메모장은 메모 입력 영역 및 널 영역을 포함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장의 예를 보인다. 도 4a에서 참조 부호 400은 메모장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402는 메모 입력 영역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404는 널 영역을 나타낸다. 도 4a에 보인 것처럼 메모 입력 영역(402)은 메모장(400)의 상단에 배치되고, 널 영역(404)은 메모 입력 영역(402)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2)는 메모 입력 영역(402)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만을 메모 입력으로 처리하고,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은 메모 입력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펜을 파지한 손을 널 영역(404)에 댄 채로 메모 입력 영역(402)에 필기를 하여도 메모 입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 4a와 같은 메모 입력 영역(402) 및 널 영역(404)의 배치에 따라 사용자가 펜을 파지한 손이 널 영역(404)에 지지된 채로 펜을 사용하여 메모 입력 영역(402)에 편안하게 필기를 함으로써 메모 입력을 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메모 입력 영역(402)과 널 영역(404)을 서로 구별되게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4a에 보인 것처럼 메모 입력 영역(402)과 달리 널 영역(404)에는 음영을 표시함으로써 메모 입력 영역(402)과 널 영역(404)을 구별되게 나타낼 수 있다. 이외에도 메모 입력 영역(402)과 널 영역(404)을 서로 다른 색으로 나타내거나 배경을 달리하는 등 얼마든지 다른 방식으로 메모 입력 영역(402)과 널 영역(404)을 구별되게 나타낼 수 있다.
메모 입력 영역(402)은 메모 입력 라인(406)을 포함한다. 메모 입력 라인(406)은 메모 입력 라인(406)을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가 펜을 사용하도록 하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메모 입력 라인(406)에 필기를 하여 메모를 입력하기 전에는 제어부(102)는 도 4a에 예를 들어 보인 것처럼 "입력하세요"와 같은 입력 안내 문구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력 안내를 한다.
메모 입력 영역(402)은 엔터 아이콘(408)을 포함한다. 엔터 아이콘(408)은 사용자가 메모 입력 라인(406)에 1라인의 메모를 입력 완료하고 다음 라인의 메모를 더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된다. 엔터 아이콘(408)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됨으로써 엔터 아이콘(408)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되면 제어부(102)는 메모 입력 라인(406)에 입력된 메모를 윗 라인으로 이동한다.
상기 (200)단계에 따라 메모장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중에, 제어부(102)는 (202)단계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를 통한 터치 스크린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2)는 (204)단계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 영역이 메모 입력 영역(402) 및 널 영역(404) 중에 어느 영역에 대한 것인지를 확인한다. 메모 입력 영역(402)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라면, 제어부(206)단계에서 메모 입력 영역(402)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메모 입력으로 처리한다. (206)단계 이후 제어부(102)는 (202)단계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입력 처리 흐름도로서, 상기 (206)단계의 일 실시 예를 보인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204)단계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 영역이 메모 입력 영역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02)는 (30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 입력이 메모 입력 라인(406)에 대한 것인지 아니면 엔터 아이콘(408)에 대한 것인지 확인한다. 터치 스크린 입력이 메모 입력 라인(406)에 대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2)는 (302)단계에서 메모 입력 라인(406)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메모로 입력한다. (302)단계 이후 제어부(102)는 도 2의 (202)단계를 수행한다.
도 4b는 메모 입력 라인(406)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메모로 입력하는 예를 보인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펜을 사용하여 메모 입력 라인(406)에 문자들 "ABCDEF"를 필기한 경우 사용자가 필기한 문자들 "ABCDEF"이 메모로 입력된다.
상기 (30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엔터 아이콘(408)에 대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2)는 (304)단계에서 메모 입력 라인(406)에 입력된 메모를 메모 입력 라인(406)의 윗 라인으로 이동한다. (304)단계 이후 제어부(102)는 도 2의 (202)단계를 수행한다.
도 4c는 엔터 아이콘(408)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에 따른 처리 예를 보인다. 도 4c를 참조하면,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엔터 아이콘(408)이 터치된 경우 메모 입력 라인(406)에 입력된 문자들 "ABCDEF"가 메모 입력 라인(406)의 윗 라인으로 이동된다. 도 4c에는 메모 입력 라인(406) 위의 1라인의 메모 내용이 메모장(4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였으나, 2라인 이상의 메모 내용이 메모장(4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장(400)에는 메모 입력 라인(406)에 입력된 메모 내용만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엔터 아이콘(408)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기 이전에 메모 입력 라인(406)에 입력된 메모 내용은 디스플레이만 되지 않을 뿐 메모리(108)에 일시 저장된다.
도 4d는 엔터 아이콘(408)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에 따라 문자들 "ABCDEF"가 메모 입력 라인(406)의 윗 라인으로 이동된 후, 사용자에 의해 다음 라인의 문자들 "GHI"가 메모 입력 라인(406)에 입력된 예를 보인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204)단계의 확인 결과,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라면, 제어부(102)는 (208)단계에서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는 것만을 체크해 놓는다. 즉, 제어부(102)는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은 메모 입력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체크해 놓는 것에는 예를 들어 플래그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는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는 경우 널 영역(404)에 관한 입력 체크용 플래그를 세트하고, 이후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중단되면 입력 체크용 플래그를 리세트한다. (208)단계 이후 제어부(102)는 (20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102)는 (210)단계에서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중단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터치 스크린 입력의 중단 여부는 상기한 입력 체크용 플래그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 입력이 없는 경우에 입력 체크용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다면, 제어부(102)는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중단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중단된 것이 아니라면, 제어부(102)는 (202)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중단된 것이라면, 제어부(102)는 현재까지 작성된 메모가 있는지 여부를 (212)단계에서 확인한다. 현재까지 작성된 메모가 없다면, 제어부(102)는 (202)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현재까지 작성된 메모가 있다면, 제어부(102)는 작성된 메모를 (214)단계에서 널 영역(404)에 디스플레이한다. (214)단계 이후 제어부(102)는 (202)단계를 수행한다.
도 4e는 작성된 메모를 널 영역(404)에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보인다. 사용자가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손을 널 영역(404)에 댄 상태로 메모 입력 라인(406)에 메모를 입력하기 시작한 후, 도 4b 및 도 4c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 4d와 같이 메모를 입력한 상태에서 널 영역(404)으로부터 손을 떼면, 널 영역(404)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중단되기 전까지 입력된 메모가 도 4e와 같이 널 영역(404)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널 영역(404)으로부터 손을 떼기 전까지 입력된 메모 내용을 널 영역(404)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메모 내용의 확인은 이와 다른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 내용 확인을 위한 별도의 아이콘이 메모장(4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메모 내용 확인용 아이콘이 터치되는 경우에만 메모 내용이 널 영역(404)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모 내용이 널 영역(404)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널 영역(404)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여부와 무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장(400)이 메모 입력 영역(402)과 널 영역(404)으로 구분되고, 메모 입력 영역(402)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만이 메모 입력으로 처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 스크린 입력이 방지될 수 있고, 사용자가 펜을 파지한 손을 터치 스크린에 지지한 상태에서 편안히 메모장(400)을 통해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펜을 파지한 손을 터치 스크린에 지지한 상태에서 메모 입력 영역(402)에만 필기하면 되므로 손을 크게 이동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모 입력 라인(406)에 메모를 입력하고 엔터 아이콘(408)을 터치하는 동작만을 반복하면 되므로, 장문의 내용이라도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 가능해 진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모 입력 영역(402)에 메모 입력 라인(406)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메모 입력 라인(406)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메모장(400)의 상단에 있는 메모 입력 영역(402)에만 메모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펜을 파지한 손을 크게 이동할 필요없이 터치 스크린에 지지한 상태에서 편안하고 빠르게 필기할 수 있다. 또한 엔터 아이콘(408)은 메모 입력 영역(402)에 배치되는 대신에 메모장에 관한 편집, 저장, 삭제 등에 관련된 여러 종류의 아이콘들 등이 배치되는 아이콘 영역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펜을 사용하여 필기 입력을 하게 되는 유사한 애플리케이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메모 입력 방법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모장을 위한 프로그램(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에 위치한 프로그램 제공 장치(예컨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거나, 설치하여 실행함으로써, 메모에 사용할 수 있다. 즉, 메모장을 위한 프로그램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인스톨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어 메모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자동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때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 판단, 사용자 인증 및 결재 정보 확인 등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상기 프로그램을 통신부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매체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10)

  1.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방법에 있어서,
    메모 입력 영역 및 널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 장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 입력 영역 및 상기 널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 중에 상기 메모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메모 입력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 영역은 상기 메모 장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널 영역은 상기 메모 입력 영역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 입력 영역 및 상기 널 영역을 서로 구별되게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 영역은 메모 입력 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장은 엔터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엔터 아이콘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으면 상기 메모 입력 라인에 입력된 메모를 상기 메모 입력 라인의 윗 라인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널 영역에 대해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은 후 중단되는 경우 중단되기 전까지 작성된 메모가 있으면 상기 작성된 메모를 상기 널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방법.
  6.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장치에 있어서,
    메모 장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모 장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기 메모 장에 포함되는 메모 입력 영역 및 널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 중에 상기 메모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을 메모 입력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 영역은 상기 메모 장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널 영역은 상기 메모 입력 영역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입력 영역 및 상기 널 영역을 서로 구별되게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 영역은 메모 입력 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장은 엔터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터 아이콘에 대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으면 상기 메모 입력 라인에 입력된 메모를 상기 메모 입력 라인의 윗 라인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널 영역에 대해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은 후 중단되는 경우 중단되기 전까지 작성된 메모가 있으면 상기 작성된 메모를 상기 널 영역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장치.
KR1020120123593A 2012-11-02 2012-11-02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40057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593A KR20140057011A (ko) 2012-11-02 2012-11-02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593A KR20140057011A (ko) 2012-11-02 2012-11-02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11A true KR20140057011A (ko) 2014-05-12

Family

ID=5088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593A KR20140057011A (ko) 2012-11-02 2012-11-02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70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65A1 (ko) * 2022-10-05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65A1 (ko) * 2022-10-05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0113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393045B (zh) 瀏覽多個應用視窗的方法、系統及圖形化使用者介面
US9595238B2 (en) Electronic devic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9632595B2 (en) Method for operation of pe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4363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cursor in an electronic device
JP5805588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76119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204305B2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パターン認識を用いた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方法
KR101376286B1 (ko) 터치스크린 텍스트 입력
US201201697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zoom function
US9569107B2 (en) Gesture keyboard with gesture cancellation
JP6313028B2 (ja) タッチ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
US20140104178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mode coversion in performing memo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138913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019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US110298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input field
CN105892872A (zh) 一种基于触摸屏的电子书自动滚屏控制方法及移动终端
JP2014032450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283360B1 (ko) 텍스트 편집 위치를 가이드 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40057011A (ko)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메모 입력 방법 및 장치
JP5345609B2 (ja) タッチパネル式端末、語削除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195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2014047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109529A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4041595A1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