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818A -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818A
KR20140056818A KR1020120122740A KR20120122740A KR20140056818A KR 20140056818 A KR20140056818 A KR 20140056818A KR 1020120122740 A KR1020120122740 A KR 1020120122740A KR 20120122740 A KR20120122740 A KR 20120122740A KR 20140056818 A KR20140056818 A KR 20140056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duct part
smok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059B1 (ko
Inventor
이덕희
박원희
정우성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0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8Roll-type gril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 실내공간의 사이(통로)에 설치되되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 유출입구와 연통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공기유로가 형성된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가압팬; 상기 덕트부의 공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외부 혹은 양측 실내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 상기 덕트부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이용해 양측 실내공간의 기류가 서로 교차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연기차단부; 및 상기 덕트부의 양측 상부의 적어도 어느 한곳에 설치되되 상기 덕트부의 공기 유출구 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부;를 포함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두 실내공간의 기류가 서로 교차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에어 커튼 및 롤스크린보다 효율성이 높고 소음 및 불쾌감의 부작용이 없으며, 출입시 공기가 혼입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Apparatus For Blocking Air Flow with punched screen}
본 발명은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구획 공간 사이에 출입문이나 창문 등의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외기가 침투하거나 실내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류의 유동만을 차단하는 장치로 에어커튼이나 롤스크린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 에어커튼을 설치하는 경우, 유속이 낮으면 유동이 미치지 못하는 바닥부로 공기가 혼입될 수 있으며, 바닥까지 유동을 단속하기 위하여 높은 유속의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에너지 낭비가 되며, 소음이 발생하거나 통과하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롤스크린을 이용하여 공간을 구획하는 경우, 롤스크린과 벽면의 틈새를 통하거나 사람이 출입하는 동안 공간을 분할하는 롤스크린이 개방되므로 양측의 공기가 서로 혼입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양측 냉난방 공간 간의 기류를 단속하거나, 일측 실내의 화재에 따른 연기가 타측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는,
양측 실내공간의 사이(통로)에 설치되되 공기 유입구(110a)와 공기 유출구(110b)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 유출입구(110a)(110b)와 연통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공기유로(110c)가 형성된 덕트부(110);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유로(110c) 상에 설치되는 가압팬(120);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입구(110a)와 연통되어 외부 혹은 양측 실내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130);
상기 덕트부(12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유입부(13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이용해 양측 실내공간의 기류가 서로 교차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연기차단부(140); 및
상기 덕트부(120)의 양측 상부의 적어도 어느 한곳에 설치되되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출구(110b) 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덕트부(110)에는,
그 내부에 밀폐된 공간(111a)을 형성하는 유로안내부재(11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안내부재(111)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팬(120)은,
상기 유로안내부재(111)의 양측과 인접한 상기 덕트부(110)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입부(130)는,
하측이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입구(110a)와 상시 연통되고, 상측은 외부덕트(135)와 연통되며, 좌측은 일측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우측은 타측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입부(130)의 내부의 상측 및 좌, 우측에는,
각각 제1댐퍼(131), 제2댐퍼(132) 및 제3댐퍼(13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덕트부(1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에 3층 구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다단 하우징(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기차단부(140)는,
상기 다단 하우징(160)의 1층 내부에 지지되는 수평바(141), 상기 수평바(141)에 각각 권치되며 풀림 가능한 한 쌍의 롤스크린(142), 상기 수평바(141)와 회전축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롤스크린(142)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143) 및 각각의 롤스크린(142)의 끝단에 고정되는 중량봉(1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롤스크린(142)에는,
복수의 천공(142a)이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세로가름선(14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분사부(150)는,
상기 다단 하우징(160)의 2층 내부에 지지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물탱크(151)와, 상기 다단 하우징(160)의 3층 내부에 지지 설치되되 상기 물탱크(151)와 연결되어 물을 가압 분사시키기 위한 가스탱크(152)와, 일단이 상기 물탱크(151)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출구(110b)에 배치되는 물분무 노즐(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연기나 가스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화재감지기(170)와, 상기 화재감지기(170)의 신호를 받아 상기 가압팬(120), 상기 연기차단부(140), 물분사부(150)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에 의하면, 두 실내공간의 기류가 서로 교차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에어 커튼 및 롤스크린보다 효율성이 높고 소음 및 불쾌감의 부작용이 없으며, 출입시 공기가 혼입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재시에는 연기차단장치와 물 분사 장치를 병행하여 작동시킴으로써 고온의 열 기류에 의하여 롤스크린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독성 가스가 일부 혼입되더라도 이를 수분으로 용해시킴은 물론, 롤스크린을 통과하는 피난자를 냉각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일측면을 보인 연기차단부의 요부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100)는 양측 실내공간의 사이(통로)에 설치되되 공기 유입구(110a)와 공기 유출구(110b)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 유출입구(110a)(110b)와 연통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공기유로(110c)가 형성된 덕트부(110)와,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유로(110c) 상에 설치되는 가압팬(120)과,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입구(110a)와 연통되어 외부 혹은 양측 실내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130)와 , 상기 덕트부(12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되 각각 풀림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 실내의 적어도 한곳에서 발생된 연기를 차단시키기 위한 연기차단부(140)와, 상기 덕트부(120)의 양측 상부의 적어도 어느 한곳에 설치되되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출구(110b)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양측 실내의 적어도 한곳에서 발생된 유독 가스를 용해시키는 물분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부(110)에는 공기 유입구(110a)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유속을 증대시켜 공기 유출구(110b)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 유로안내부재(111)가 지지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유로안내부재(111)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내부에 밀폐된 공간(111a)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로(110c)가 양측으로 각각 만곡된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 유출구(110b)를 상기 공기 유입구(110a)로부터 최대한 이격(유로 길이 연장 및 유속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팬(120)은 상기 유로안내부재(111)의 양측과 인접한 상기 덕트부(110)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로(110c)의 폭(도면의 상하방향)에 따라 좌, 우측에 각각 2개 혹은 그 이상 및 단일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십자 형태의 유로로 형성되며, 좌, 우측의 유로가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유입부(130)의 하측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입구(110a)와 상시 연통되는 반면에, 상측은 외부덕트(135)와 연통되어 양측 실내공간으로 보다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부(130)의 좌측은 일측 실내(도 2의 좌측)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우측은 타측 실내(도 2의 우측)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유입부(130)의 내부의 상측 및 좌, 우측에는 각각 제1댐퍼(131), 제2댐퍼(132) 및 제3댐퍼(133)가 설치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덕트부(1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에 3층 구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다단 하우징(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기차단부(140)는 상기 다단 하우징(160)의 내부에 지지되는 수평바(141), 상기 수평바(141)에 각각 권치되며 풀림 가능한 한 쌍의 롤스크린(142), 상기 수평바(141)와 회전축이 연결되어 각각의 롤스크린(142)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143) 및 각각의 롤스크린(142)의 끝단에 고정되는 중량봉(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수평바(141)는 상기 다단 하우징(160)의 1층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14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양방향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평바(141)는 대략 둥근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롤스크린(142)의 감김과 풀림이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스크린(142)은 일단이 상기 수평바(141)에 고정되어 감겨진 불연소재의 것으로 풀림된 상태가 양측 실내공간의 통로 전체를 막을 수 있는 정도의 길이가 됨이 바람직하다. 이 롤스크린(142)은 불연소재임은 물론 연기 및 유도가스의 유동을 차단시킬 수 있는 소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롤스크린(142)에는 가압팬(120)으로부터 발생된 가압된 공기가 외부로 분출(도 4 참조)되어 한 쌍의 롤스크린(142)들 사이로 연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복수의 천공(142a)이 형성되고, 사람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된 세로가름선(142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롤스크린(142)의 천공률과 직경을 적절히 조절하여 양측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의 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량봉(144)은 상기 롤스크린(142)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휘날리지 않도록 상기 롤스크린(142)의 하부에 일정 중량을 갖도록 고정설치되며, 그 재질은 설치공간의 용도에 따라 방염성, 투명성 등을 부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물분사부(150)는 상기 다단 하우징(160)의 2층 내부에 지지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물탱크(151)와, 상기 다단 하우징(160)의 3층 내부에 지지 설치되되 상기 물탱크(151)와 연결되어 물을 가압 분사시키기 위한 가스탱크(152)와, 일단이 상기 물탱크(151)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출구(110b)에 배치되는 물분무 노즐(153)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각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연기나 가스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화재감지기(170)와, 한 쌍의 구동모터(143), 가압팬(120), 물탱크(151) 및 가스탱크(152)와 연결되어 각각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와, 실내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연기나 가스를 배연시키는 팬(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화재감지기(170) 및 상기 팬(190)은 실내의 내부 천정이나 측면 등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가 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화재감지기(170) 및 상기 팬(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신호를 상기 화재감지기(170)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팬(190)의 가동을 즉각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80)는 별도 설치되는 경보장치를 통해 경보음을 울려 주변 승객들에게 화재가 발생했음을 인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유독가스와 연기가 동시에 발생이 된다.
이때, 화재감지기(170)가 화재가 발생했음을 인지하여 제어부(180)로 화재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이때 제어부(180)는 좌측 팬(190)의 가동을 제어하여 내부의 연기를 배출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180)는 구동모터(143)를 가동시켜 권치된 상태의 한 쌍의 롤스크린(142)을 풀도록 제어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댐퍼(131)와 제2댐퍼(132)는 닫은 상태로 제3댐퍼(133)를 개방시켜서 우측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가압팬(120)을 가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110a)로 유입된 우측 실내의 공기는 공기유로(110c)를 거쳐 가압된 상태로 공기 유출구(110b)로 유동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공기 유출구(110b)로 배출되는 공기는 각각의 롤스크린(142)에 형성된 복수의 천공(142a)을 통해 양측 실내로 공급되어 좌측 실내의 연기가 우측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연기차단부(140)의 작동에 의해 두 실내공간의 기류가 서로 교차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화재시에 발생되는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물탱크(151)와 가스탱크(152)를 작동시켜서 물분무 노즐(153)을 통해 물을 가압 분사시킴으로써 고온의 열 기류에 의하여 롤스크린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독성 가스가 롤스크린(142)들 사이로 일부 혼입되더라도 이를 용해시킴은 물론, 롤스크린을 통과하는 피난자(화상 환자 등)를 냉각 보호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 예로, 양측 실내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나, 일측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 제2댐퍼(132)와 제3댐퍼(133)를 닫고 제1댐퍼(131)를 열어 외부덕트(135)로부터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양측 실내공간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양측 실내공간의 사이(통로)에 설치되되 공기 유입구(110a)와 공기 유출구(110b)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 유출입구(110a)(110b)와 연통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공기유로(110c)가 형성된 덕트부(110);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유로(110c) 상에 설치되는 가압팬(120);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입구(110a)와 연통되어 외부 혹은 양측 실내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130);
    상기 덕트부(12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유입부(13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이용해 양측 실내공간의 기류가 서로 교차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연기차단부(140); 및
    상기 덕트부(120)의 양측 상부의 적어도 어느 한곳에 설치되되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출구(110b) 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부(150);를 포함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110)에는,
    그 내부에 밀폐된 공간(111a)을 형성하는 유로안내부재(11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안내부재(111)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팬(120)은,
    상기 유로안내부재(111)의 양측과 인접한 상기 덕트부(110)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130)는,
    하측이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입구(110a)와 상시 연통되고, 상측은 외부덕트(135)와 연통되며, 좌측은 일측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우측은 타측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130)의 내부의 상측 및 좌, 우측에는,
    각각 제1댐퍼(131), 제2댐퍼(132) 및 제3댐퍼(13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1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에 3층 구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다단 하우징(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차단부(140)는,
    상기 다단 하우징(160)의 1층 내부에 지지되는 수평바(141), 상기 수평바(141)에 각각 권치되며 풀림 가능한 한 쌍의 롤스크린(142), 상기 수평바(141)와 회전축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롤스크린(142)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143) 및 각각의 롤스크린(142)의 끝단에 고정되는 중량봉(1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한 쌍의 롤스크린(142)에는,
    복수의 천공(142a)이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세로가름선(14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150)는,
    상기 다단 하우징(160)의 2층 내부에 지지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물탱크(151)와, 상기 다단 하우징(160)의 3층 내부에 지지 설치되되 상기 물탱크(151)와 연결되어 물을 가압 분사시키기 위한 가스탱크(152)와, 일단이 상기 물탱크(151)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덕트부(110)의 공기 유출구(110b)에 배치되는 물분무 노즐(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각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연기나 가스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화재감지기(170)와, 상기 화재감지기(170)의 신호를 받아 상기 가압팬(120), 상기 연기차단부(140), 물분사부(150)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KR1020120122740A 2012-10-31 2012-10-31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KR10141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40A KR101412059B1 (ko) 2012-10-31 2012-10-31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40A KR101412059B1 (ko) 2012-10-31 2012-10-31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818A true KR20140056818A (ko) 2014-05-12
KR101412059B1 KR101412059B1 (ko) 2014-06-27

Family

ID=5088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740A KR101412059B1 (ko) 2012-10-31 2012-10-31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073B1 (ko) * 2021-07-27 2021-12-01 (주)성우이엠이 건축물의 소방용 제연장치
KR102606776B1 (ko) * 2022-12-30 2023-11-30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연기 및 화재 확산방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97Y1 (ko) * 2003-08-27 2003-11-21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터널의 수벽차단 소화시스템
KR101136990B1 (ko) * 2011-04-06 2012-04-19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에어커튼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073B1 (ko) * 2021-07-27 2021-12-01 (주)성우이엠이 건축물의 소방용 제연장치
KR102606776B1 (ko) * 2022-12-30 2023-11-30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연기 및 화재 확산방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059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7474A (en) Flame and smoke shutoff system
KR101402942B1 (ko) 피난장치
KR101136990B1 (ko) 에어커튼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구조물
KR101289865B1 (ko) 화연을 이용한 에어커튼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토목 건축 구조물
BRPI0709765A2 (pt) cortina de ar e mÉtodo de instalaÇço da mesma
KR200464937Y1 (ko)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JP2016536556A (ja) 除湿機
KR101412059B1 (ko) 천공스크린을 사용한 기류 차단장치
WO2017110058A1 (ja) 送風装置および送風機能付空気清浄装置
JP5472669B2 (ja) 横ばり及び縦仕切り埋立型窓戸用の換気装置
JP2007010184A (ja) エアーカーテン
JP5230370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JP5199330B2 (ja) 喫煙室と壁部材
JP2006288282A (ja) 喫煙室換気方法および喫煙室と壁部材
JP2011239834A (ja) 機械排煙設備
JP2010107054A (ja) 空気調和機
JP2002089923A (ja) 換気ユニット
JP2012051722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換気装置
JP2009000049A (ja) 虫侵入阻止システム
JP2014092305A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20003150A (ja) 吹出し機構および送風装置
JPH06269511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の消火設備と消火方法
KR20120036144A (ko) 공기조화기
JPH0566048A (ja) 排煙バリア装置
JP4936181B2 (ja) 煙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