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454A -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454A
KR20140056454A KR1020120119211A KR20120119211A KR20140056454A KR 20140056454 A KR20140056454 A KR 20140056454A KR 1020120119211 A KR1020120119211 A KR 1020120119211A KR 20120119211 A KR20120119211 A KR 20120119211A KR 20140056454 A KR20140056454 A KR 2014005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alloy
sheet material
alloy sheet
temperatur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615B1 (ko
Inventor
성동진
하수영
이석호
전순길
윤원호
박동환
윤재정
탁윤학
Original Assignee
아진산업(주)
재단법인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진산업(주), 재단법인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아진산업(주)
Priority to KR102012011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6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마그네슘 합금 판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하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상부다이와, 상기 상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예열부와, 상기 하부다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안착면의 저면 일측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펀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예열부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국부적으로 온도구배지도록 가열하되,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절곡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인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2 영역방향으로 온도가 낮아지도록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절곡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인 제1 영역으로부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2 영역방향으로 온도가 낮아지도록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예열함으로써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가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크랙발생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제2 영역에서 연신율 상승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Press apparatus for magnesium alloy sheet}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가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크랙발생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제2 영역에서 연신율 상승에 따른 변형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세계적인 유가의 급등과 함께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을 뿐 아니라 세계 각 국은 환경오염을 억제하기 위해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강화 및 연비향상의 개발에 치중하고 있다.
이 중 자동차 업계는 연비향상을 위해 엔진·구동계의 효율향상, 주행저항감소 및 경량화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급속히 증대되고 있는 반면에 최근에는 승객 충돌보호장치등 편의장치의 증가로 인해 자동차 중량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고 연비 에너지 효율 향상 자동차 개발을 위해 차체 중량을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초경량 차체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데, 최근 차체 경량화 방안으로 현재 연구되고 있는 경량소재로는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초고장력강 등의 금속재료와 플라스틱 및 섬유강화 플라스틱등이 있다.
이 중에서 플라스틱 소재는 재활용성 문제로 인해 환경오염을 야기한다는 이유로 금속재료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저 비중의 특성을 갖고, 알루미늄 소재 대비 66%의 밀도를 보이며, 치수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이 우수하고, 진동 특성이 높은 마그네슘 합금이 가격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어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체의 가공방법으로는 금형 사이에 소재를 넣고 금형으로 소재를 가압함으로써 금형의 형상대로 소재를 가공하는 다이 성형법(die forming)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한 마그네슘 합금은 상온에서 매우 낮은 연신율을 나타내는 바 상온에서는 가공성이 낮아 주로 온간(225℃이상)에서 가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온간성형은 크게 예열방가열로에서 소재를 예열하는 방법 또는 프레스 금형의 일측에 히터를 장착하여 금형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소재를 예열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소재를 225℃이상으로 예열한 후 프레스 금형으로 소재를 가공하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온간 프레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온간 프레스 장치(100)는 상면에 소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하부다이(110)와, 하부다이(1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다이(120)와, 상부다이(120)와 하부다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다이(110)에 안착된 소재를 가열하는 예열부(130) 및 하부다이(1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다이(12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하부다이(110)의 상면에 안착된 소재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펀치부(1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온간 프레스 장치(100)는 하부다이(110)의 상면에 소재가 안착되면 예열부(130)에 의해 안착된 소재가 가열되고, 소재가 가열된 상태에서 상부다이(12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소재의 상면을 가압함과 아울러 펀치부(140)가 소재의 저면 일측을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소재를 프레스 가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온간 프레스 장치(100)는 예열부에 의해 마그네슘 합금 판재 전 가공영역이 동일한 온도로 균일가열되어 비가공영역 또한 불필요하게 연신률이 높아지면서 비가공영역에서 변형율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비가공영역에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예열온도를 낮추는 경우 상온에 비해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연신률이 크게 향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을 무리하게 가압함으로써 가공영역 또는 가열영역과 비가공영역의 경계부분에서 크랙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가공불량률이 크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절곡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인 제1 영역으로부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제1 영역 및 냉각부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2 영역방향으로 온도가 낮아지도록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예열함과 아울러 냉각부에 의해 펀치부와 대응되는 영역이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가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펀치부의 코너부분과 대응되는 영역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계부분에서의 크랙발생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제2 영역에서 연신율 상승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온에서 연신률이 낮은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기 위한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마그네슘 합금 판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하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상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안착면의 저면 일측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펀치부와, 상기 상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예열부 및 상기 펀치부의 상부 및 상기 펀치부와 대응되는 상기 상부금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일측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예열부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온도구배지도록 가열하되,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절곡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인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제1 영역 및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2 영역방향으로 온도가 낮아지도록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예열부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온도가 225 ~ 350℃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열부는 상기 상부다이 및 상기 하부다이의 일측 중 상기 제1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제1 예열유닛 및 상기 상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일측 중 상기 제2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예열유닛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열하는 제2 예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절곡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인 제1 영역으로부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제1 영역 및 냉각부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2 영역방향으로 온도가 낮아지도록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예열함과 아울러 냉각부에 의해 펀치부와 대응되는 영역이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가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펀치부의 코너부분과 대응되는 영역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계부분에서의 크랙발생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제2 영역에서 연신율 상승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온간 프레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프레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에 표시된 'A'의 확대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다이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부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도2에 표시된 'A'의 확대도이다.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1)는 하부다이(10)와, 상부다이(20)와, 펀치부(30)와, 예열부(40) 및 냉각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다이(1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대상영역에 설치되는 제1 다이부(11)와, 제1 다이부(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금형(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금형(12)의 상면에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안착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부다이(20)와 함께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압하여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하부금형(12)은 상면 중 미리 설정된 가공물의 절곡부위, 즉 가공물의 가공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술하는 펀치부(30)가 설치되는 설치홈(12a)이 형성된다.
상부다이(20)는 하부다이(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다이부(21)와, 제2 다이부(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금형(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다이부(21)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부금형(22)이 하부금형(12)의 상면에 안착된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압함으로써 하부다이(10)와 함께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하부다이(10)와, 상부다이(2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펀치부(30)는 상단부가 가공대상물의 가공부위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금형(12)의 설치공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금형(22)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금형(12)의 상면에 안착된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압하는 경우 상방으로 이동하여 마그네슘 합금 판재가 상부금형(22)의 형상에 따라 프레스 가공되도록 함과 아울러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가공부위를 가압하여 가공률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펀치부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열부(40)는 상부다이 및 하부다이의 일측 중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절곡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인 제1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예열유닛(41) 및 상부다이(20)와 하부다이(10)의 일측 중 제1 영역 및 냉각부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2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예열유닛(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금형(22) 및 하부금형(12)을 통해 하부금형(12)의 상면에 안착된 마그네슘 합금 판재에 열을 전달하여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예열함과 아울러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예열온도가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방향으로 온도구배지도록 함으로써 온도편차에 따른 크랙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열선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제2 예열유닛(42)은 제1 예열유닛(41)보다 낮은 가열온도로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열하여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예열온도가 온도구배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예열부(40)가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열하는 경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예열온도가 온도구배지도록 하는 이유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가공부위, 즉 제1 영역의 연신률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2 영역에서는 가공에 필요한 최소한의 연신률만 갖도록 함으로써 마그네슘 합금 판재 가공부위의 가공성이 유지되도록 함 아울러 제1 영역 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부분에서 크랙발생률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한 예열부(40)는 하부금형(12)에 안착된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열하는 경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특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한 후 그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 합금의 경우 상온에서는 연신률이 낮은 특성을 갖는 바 상온에서는 가공이 낮아 프레스 가공전 예열을 하게 되는데, 예열부(40)에서는 마그네슘 합금을 225 ~ 300℃로 가열한 후 그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마그네슘 합금은 열처리 온도를 225℃ 미만으로 하는 경우 상온에서 실시한 것과 비교하여 볼 때 소재의 성형성 즐가 효과가 크지 않고, 열처리 온도를 3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소재의 성형성이 감소되어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므로 225 ~ 300℃로 가열한 후 그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예열부(40)가 제1 예열유닛(41) 및 제2 예열유닛(42)만으로 이루어져 마그네슘 합금 판재가 두 단계로 온도구배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특성에 따라 복수의 예열유닛을 구비하여 마그네슘 합금 판재가 복수의 단계로 온도구배지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냉각부(50)는 펀치부(30)의 상부 일측과, 펀치부(30)와 대응되는 상부금형(20)의 일측에 설치되어 펀치부(30)와 대응되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을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냉각부(50)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공하는 경우 펀치부(30)의 상단 모서리 부분, 즉 펀치부(30)에 의해 가압되어 절곡성형되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의 온도가 예열부에 의해 상승되지 않고 10 ~ 40℃, 즉 상온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펀치부(30)에 의해 가압되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 일측의 파단저항이 높은값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펀치부(30)의 가압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크랙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변형률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다이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부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부가 진동하면서 정밀가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1)를 이용하여 마그네슘 합금 판재(M)를 프레스 가공하는 방법을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가공하고자 하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M)를 프레스 가공위치, 즉 하부금형(12)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이송한다.
하부금형(12)의 상면에 마그네슘 합금 판재(M)가 안착되면, 예열부(40)가 작동하면서 하부금형(12)의 상면에 안착된 마그네슘 합금 판재(M)를 225 ~ 300℃로 가열한 후 그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마그네슘 합금 판재(M)의 제1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1 예열유닛(41)은 마그네슘 합금 판재(M)의 절곡부위를 250 ~ 300℃로 가열하고, 마그네슘 합금 판재(M)의 제2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예열유닛(42)은 마그네슘 합금 판재(M)의 제2 영역을 225 ~ 250℃로 가열하여 마그네슘 합금 판재(M)의 예열온도가 온도구배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마그네슘 합금 판재(M)가 예열되면 상부금형(22)이 하강하여 마그네슘 합금 판재(M)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마그네슘 합금 판재(M)은 저면이 하부금형(12)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면이 가압되고, 펀치부(30)가 저면을 가압하여 상부금형(22)에 보다 밀착됨으로써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게 된다.
한편, 본 출원인은 딥드로잉 시험을 실시한 후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절곡부위와 그 외 영역의 경계부분, 즉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부분(A)과, 제2 영역(B)에서 각각 크랙발생율 및 변형율을 테스트 함과 아울러 LDR값을 계산하여 시편의 가공성을 테스트 하였다.
여기서 딥드로잉 시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이는 판재의 성형성을 평가하는 시험방법 중의 한 방법으로서, 크랙이나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판재가 얼마나 드로잉(drwing)되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이다.
이때 시험의 결과로서 하기 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랙 발생없이 컵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는 가장 큰 블랭크의 지름을 드로잉 펀치의 지름으로 나눈 값을 LDR(Limit Drawing Ratio)이라 하며, 이 값이 클수록 드로잉성 및 성형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테스트의 시편으로는 마그네슘 - 알루미늄 합금판재를 사용하였고,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편별로 금형을 각각 200℃,250℃,300℃,400℃의 온도로 가열하였으며, 펀치의 지름은 50nm, 드로잉 속도는 13mm/min으로 유지하였다.
또한, 시편별로 각각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한 일반 예열가공과,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온도편차를 준 온도구배가공을 실시하였으며, 여기서 온도편차는 20℃로 유지하였다.
Figure pat00002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 하에서 일반 예열가공에 비해 온도구배가공의 경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크랙발생율이 작게는 2배 크게는 4배이상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2 영역에서의 변형률 또한 온도구배가공의 경우 일반 예열가공에 비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형률과 크랙발생율이 저감됨에도 불구하고, 표를 살펴보면 온도구배가공과, 일반 예열가공은 가공성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절곡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인 제1 영역으로부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2 영역방향으로 온도가 낮아지도록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예열함으로써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가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크랙발생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제2 영역에서 연신율 상승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10 : 하부다이
11 : 제1 다이부 12 : 하부금형
12a : 설치홈 20 : 상부다이
21 : 제2 다이부 22 : 상부금형
30 : 예열부 40 : 펀치부
50 : 진동부

Claims (3)

  1. 상온에서 연신률이 낮은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기 위한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마그네슘 합금 판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하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상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안착면의 저면 일측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펀치부와;
    상기 상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예열부; 및
    상기 펀치부의 상부 및 상기 펀치부와 대응되는 상기 상부금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일측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예열부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온도구배지도록 가열하되,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절곡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인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일측 중 제1 영역 및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2 영역방향으로 온도가 낮아지도록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온도가 225 ~ 350℃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는
    상기 상부다이 및 상기 하부다이의 일측 중 상기 제1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제1 예열유닛; 및
    상기 상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일측 중 상기 제2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예열유닛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가열하는 제2 예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KR1020120119211A 2012-10-25 2012-10-25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KR10143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11A KR101432615B1 (ko) 2012-10-25 2012-10-25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11A KR101432615B1 (ko) 2012-10-25 2012-10-25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454A true KR20140056454A (ko) 2014-05-12
KR101432615B1 KR101432615B1 (ko) 2014-08-22

Family

ID=5088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211A KR101432615B1 (ko) 2012-10-25 2012-10-25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6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8789A1 (de) 2014-05-12 2015-11-12 Hyundai Mobis Co., Ltd. Intelligenter Fahrzeugbatteriesensor und Verfahren zum Speichern von Daten in einem Sensor
CN109420700A (zh) * 2017-08-30 2019-03-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镁合金冲压工艺及汽车座椅座盆
KR20210039198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부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CN113290149A (zh) * 2021-04-30 2021-08-24 合肥合锻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温度连续可调的热压模具
CN115369338A (zh) * 2022-08-19 2022-11-22 内蒙古工业大学 一种镁合金表面韧化设备
KR102639506B1 (ko) * 2023-08-28 2024-02-21 이기정 금형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밴딩금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2378B2 (ja) * 2005-04-20 2010-08-11 ジヤトコ株式会社 プレス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8000795A (ja) * 2006-06-22 2008-01-10 Shinei Sangyo:Kk マグネシウム系合金のプレス成形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8789A1 (de) 2014-05-12 2015-11-12 Hyundai Mobis Co., Ltd. Intelligenter Fahrzeugbatteriesensor und Verfahren zum Speichern von Daten in einem Sensor
CN109420700A (zh) * 2017-08-30 2019-03-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镁合金冲压工艺及汽车座椅座盆
CN109420700B (zh) * 2017-08-30 2020-08-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镁合金冲压工艺及汽车座椅座盆
KR20210039198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부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CN113290149A (zh) * 2021-04-30 2021-08-24 合肥合锻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温度连续可调的热压模具
CN113290149B (zh) * 2021-04-30 2023-12-15 合肥合锻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温度连续可调的热压模具
CN115369338A (zh) * 2022-08-19 2022-11-22 内蒙古工业大学 一种镁合金表面韧化设备
KR102639506B1 (ko) * 2023-08-28 2024-02-21 이기정 금형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밴딩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615B1 (ko)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615B1 (ko)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장치
JP5765496B2 (ja) 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部品の製造方法
JP4794492B2 (ja) 絞りプレス成形装置及び絞りプレス成形方法
JP5954380B2 (ja) 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部品の製造方法
JP5789150B2 (ja) プレス成形用アルミニウム合金製ブランク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ブランク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合金製プレス成形体の製造方法
JP5695381B2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JP5435981B2 (ja) 冷間プレス成形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ブランクシートの部分的復元処理装置
JP4968208B2 (ja) 金属板の熱間プレス成形方法
JP2010149184A (ja) 熱間プレス成形品、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0227954A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プレス成形方法
KR20140056418A (ko) 마그네슘 합금 판재용 프레스 가공방법
JP4922037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装置
JP2010188393A (ja) 鋼板のプレス成形方法
JP2010207887A (ja) 軽合金材料製プレス成形品のプレス成形用金型
JP6271408B2 (ja) 温間成形方法
JP2013116475A (ja) アルミニウム板材の温間プレス絞り成形方法
JP5942606B2 (ja) 温間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金型表面に溝形状を有する成形金型
JP2009242907A (ja) プレス成形加工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ランク材の製造方法
KR101505272B1 (ko) 국부 연화가 가능한 핫 스탬핑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5206042B2 (ja) 金属板のプレス成形装置
KR101482395B1 (ko) 도금 강재의 열간 프레스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JP5357587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材料製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軽合金材料製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4176883A (ja) 自動車パネルのプレス成形方法
CN104388651B (zh) 一种沉淀硬化型不锈钢板材制零件的热加工成型方法
JP2012006066A (ja) 被加工材の鍛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