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347A - 다중 선회 분무 노즐 - Google Patents

다중 선회 분무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347A
KR20140056347A KR1020147007247A KR20147007247A KR20140056347A KR 20140056347 A KR20140056347 A KR 20140056347A KR 1020147007247 A KR1020147007247 A KR 1020147007247A KR 20147007247 A KR20147007247 A KR 20147007247A KR 20140056347 A KR20140056347 A KR 20140056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liquid
nozzle assembly
passageway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188B1 (ko
Inventor
고든 우
리암 왕
Original Assignee
스프레잉 시스템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잉 시스템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잉 시스템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40056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01D53/185Liquid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1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swirl imparting inserts upstream of the swirl chamber

Abstract

중앙 입구 통로 및 이 중앙 입구 통로와 예각으로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경사진 통로를 갖는 노즐 본체를 구비하는 분무 노즐 조립체가 마련된다. 베인은, 선회 챔버가 베인과 경사진 통로의 배출 오리피스 사이에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의 경사진 통로 내에 배치된다. 각각의 베인은,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개별 베인 구성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원추형 분무 패턴을 갖도록, 상기 베인을 통해 상기 선회 챔버 내로 진행하는 액체 유동 스트림에 선회 운동을 부여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노즐 본체는 2개 이상의 경사진 통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사진 통로는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선회 부여용 베인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다중 선회 분무 노즐{MULTIPLE WHIRL SPRAY NOZZLE}
본 발명은 대체로 분무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연도 가스 스크러빙(flue gas scrubbing), 냉각 및 다른 산업상 처리를 위한 복수 개의 원추형 분무 패턴을 더욱 효과적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분무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가스 스크러빙에 있어서, 배출되는 연도 가스로부터 이산화황과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원추형 분무 패턴을 안내하는 공통 액체 공급 부움(liquid supply boom) 상에 복수 개의 분무 노즐을 장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분무 성능을 극대화하면서도 액체 공급 부움 상에 장착 및 유지되어야만 하는 노즐의 갯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중 선회 분무 패턴을 제공하는 이중 선회 분무 노즐이 알려져 있다. 공통 입구로부터 이러한 이중 분무 노즐 내로 액체를 안내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때 액체는 스월을 제공하기 위해 접선 방향으로 분무 노즐의 각각의 스월 챔버에 동시에 진입한다. 이러한 분무 노즐과 관련된 문제는, 소용돌이치는 액체 분무의 와동(vortex)이 노즐 본체 상에서 천공 효과(drilling effect)를 초래하여 노즐의 마모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또한 분무 액적 크기 및 분무 도달범위(spray coverage)의 타이트(tight)한 제어가 요구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분무 노즐은 때때로 처리에 있어서 최적 효율을 달성하도록 되어 있는 양호한 분무 입자 및 분무 패턴을 발생시키기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이러한 노즐은 또한 공통적으로 액체 공급 파이프 또는 부움 상의 직각 설치(right angle installation)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노즐 상에서의 결과적인 토크 및 더욱 강건한 공급 배관에 대한 필요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노즐은 또한 제조가 곤란할 수 있으며 막힘(clogging)의 위험을 겪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되는 연도 가스로부터의 오염물질 제거에서의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용도 및 다른 처리 용례를 위해 원추형 분무 배출물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다중 선회 분무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이상의 특징을 가지며 사용 중에 선회하는 액체로 인한 천공 마모 효과에 덜 민감한 다중 선회 분무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특정 분무 용례를 위해 중실 원추형 분무 배출물 또는 중공 원추형 분무 배출물을 안내하기에 용이하게 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전술한 유형의 분무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련된 목적은, 노즐 조립체의 다수의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다양한 원추형 분무 패턴 및 액체 분포를 발생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구성된 선회 부여용 베인을 갖는 전술한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목적은, 더욱 효율적인 가스 스크러빙 및 다른 처리 용례에 효과적인 더 넓은 분무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전술한 분무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노즐 조립체를 위한 액체 공급 배관 상에서의 토크를 감소시키도록 정렬되는 액체 유동 통로를 갖는 전술한 분무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막힘의 가능성이 더 적은 전술한 유형의 분무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추가적인 목적은,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전술한 유형의 분무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무 노즐 조립체로서,
액체 공급부에 대한 연결을 위한 중앙 입구 통로 그리고 중앙 입구 통로와 소정 각도로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로서, 상기 경사진 통로들 각각은 각각의 배출 오리피스와 연통되는 것인 노즐 본체, 및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 내에 배치되는 베인으로서,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는 상기 베인과 상기 배출 오리피스 사이에서 선회 챔버(whirl chamber)를 형성하는 것인 베인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액체가 개별 베인 구성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원추형 분무 패턴으로 상기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인을 통해 상기 선회 챔버 내로 진행하는 액체 유동 스트림에 선회 운동(vortical movement)을 부여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무 노즐 조립체로서,
액체 공급부에 대한 연결을 위한 중앙 입구 통로 그리고 중앙 입구 통로와 소정 각도로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로서, 상기 경사진 통로들 각각은 각각의 배출 오리피스와 연통되는 것인 노즐 본체, 및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 내에 배치되는 베인으로서,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는 상기 베인과 상기 배출 오리피스 사이에서 선회 챔버를 형성하는 것인 베인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 각각은 한 쌍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형성하며, 액체가 개별 베인 구성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원추형 분무 패턴으로 상기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인을 통해 상기 선회 챔버 내로 진행하는 액체 유동 스트림에 선회 운동을 부여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 입구 통로 및 경사진 통로는 공통 평면에 배치되는 축선들을 갖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무 노즐 조립체로서,
액체 공급부에 대한 연결을 위한 중앙 입구 통로 그리고 중앙 입구 통로와 소정 각도로 각각 연통되는 적어도 3개의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로서, 상기 경사진 통로들 각각은 각각의 배출 오리피스와 연통되는 것인 노즐 본체, 및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 내에 배치되는 베인으로서,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는 상기 베인과 상기 배출 오리피스 사이에서 선회 챔버를 형성하는 것인 베인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액체가 개별 베인 구성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원추형 분무 패턴으로 상기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인을 통해 상기 선회 챔버 내로 진행하는 액체 유동 스트림에 선회 운동을 부여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에 제시한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분무 노즐 조립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액체 공급 부움 상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회 분무 노즐 조립체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무 노즐 조립체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라인 3-3의 평면에서 취한, 예시된 분무 노즐 조립체의 선회 섹션이다.
도 4는 축방향 유동 통로의 평면에서 취한, 예시된 분무 노즐 조립체의 베인 인서트(vane insert)들 중 하나의 확대 부분 단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라인 5-5의 평면에서 취한 횡방향 단면이다.
도 6은 예시된 분무 노즐 조립체의 베인들 중 하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중실 원추형 분무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베인 인서트의 변형례의 단부도이다.
도 8은 중실 원추형 분무 패턴을 발생시키기 위한 베인 인서트의 대안적인 변형례의 단부도이다.
도 9는 중공 원추형 분무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베인 인서트의 대안적인 변형례의 단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 노즐 조립체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분무 노즐 조립체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분무 노즐 조립체의 수직 단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 노즐 조립체의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분무 노즐 조립체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분무 노즐 조립체의 수직 단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구성을 취할 수 있지만, 이들 중 특정한 예시적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며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으며, 오히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 대안적인 구성 및 등가물을 포괄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더욱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고하면, 액체 공급 부움(11)으로부터 복수 개의 원추형 분무 배출 패턴을 안내하기 위한 방식에 따라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분무 노즐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액체 공급 부움(11)은, 액체 공급부로부터, 가스 스크러빙 시스템(gas scrubbing system)에서 또는 다른 처리 용례를 위해서 배출되는 연도 가스 내로 안내하도록 액체 공급 부움으로부터 현수되는 복수 개의 분무 노즐 조립체(10)로, 슬러리 또는 다른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적인 분무 노즐 조립체(10)는, 입구 또는 상류 본체 부분(16), 그리고 한 쌍의 하류 중공 본체 부분(19)을 구비하는 노즐 본체(15)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 또는 상류 본체 부분은 액체 공급 부움(11)과 연통되는 중앙 액체 통로(18)를 구비하고, 상기 하류 중공 본체 부분은, 각각의 배출 오리피스(21)와 연통하며 외측을 향해 각각의 경사진 통로(20)를 각각 형성하고 외측을 향해 분기된다. 배출 오리피스(21)는 이 경우에 있어서, 원추형 분무 배출물을 안내하기 위해 내측을 향해 수렴하는 원추형 유입 섹션(21a) 및 외측을 향해 둥글린(radiused) 말단 섹션(21b)을 구비하는 원통형 통로 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중공 본체 부분(19)은, 각각의 유동 축선들이 서로에 대해 예각(φ)으로 배향되고 중앙 액체 통로(18)의 유동 축선(25)과 관련하여 공통 평면에 배치되는 것인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상류 본체 부분(16)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해 경사진 측벽(26)을 갖는데, 이 측벽은 원통형 본체 부분(19)의 외측 원통형 측벽으로 넘어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 부분(19)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내측 측벽을 가지며, 이들 측벽은 액체 유동 스트림을 중앙 유동 통로(18)로부터 각각의 원통형 본체 부분 통로(20)로 분할하기 위한 상류 V자형 분할기 벽 부분(28)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경사진 통로는,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구체적인 분무 용례에 대해 사전에 결정된 유동 특성을 갖는 원추형 분무 패턴으로 안내하기 위해 경사진 통로를 통과하는 액체에 스월 운동을 부여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된 각각의 베인 인서트(vane insert)를 구비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경사진 유동 통로(20)는 유동 통로(20) 내에 망원경식으로 수납되는 각각의 베인 인서트(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각각의 베인 인서트(30)는, 베인 인서트(30)와 배출 오리피스(21) 사이에 하류 원통형 선회 챔버(32)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원통형 본체 부분(16)에서 대항 보어(31)(도 4 참고)와 함께 맞물려 자리잡도록 배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베인 인서트(30)는, 액체가 베인 인서트(30)를 통해 안내될 때 액체에 스월 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한 쌍의 나선형 통로(31a, 31b)를 형성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하나의 베인 인서트(30)는 하나의 선회 방향(vortical direction)으로 액체에 스월 운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다른 하나의 베인 인서트(30)는 반대 선회 방향으로 스월 운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경사진 통로들로부터 분무 패턴을 배출하는 스월 작용들은, 배출되는 연도 가스의 유동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서로 상쇄되는 경향이 있다.
각각의 예시적인 베인 인서트(30)는, 경사진 통로(20)의 각각의 1/4 부분 내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베인 세그먼트(32a, 32b 그리고 34a, 34b)를 포함하는 캐스팅된 일부품 구조를 갖는다. 세그먼트(32a, 32b)는 베인 인서트(30)의 상류 단부에 이웃하여 정반대로 대향하는 1/4 부분에 배치되며, 세그먼트(34a, 34b)는 베인 인서트의 하류 단부에 이웃하여 정반대로 대향하는 1/4 부분에 배치된다. 더욱이, 세그먼트(32a, 34a)는 통로(20)의 대립하는 일 종방향 측면에 배치되며, 세그먼트(32b, 34b)는 통로(20)의 대립하는 종방향 대향 측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세그먼트(32a, 34a)는 베인의 종방향 축선을 통과하는 대립 평면(33)에 의해 세그먼트(32b, 34b)와 구분된다.
각각의 베인 인서트(30)의 상류 세그먼트(32a, 32b)는 각각 실질적으로 평평한 램프 표면(ramp surface; 37a, 37b 그리고 36a, 36b)과 함께 이 램프 표면의 상류 측에 형성되는데, 이 램프 표면은 노즐 본체의 원통형 통로(20)와 함께 각각의 유동 통로(31a, 31b)에 대한 입구를 형성한다. 하류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램프 표면(36a, 36b)은, 유입되는 액체를 대체로 축선 방향으로 베인 통로(31a, 31b) 내로 안내한다.
각각의 램프 표면(36a, 36b)은 세그먼트(34a, 34b)의 상류 측에 형성된 각각의 오목한 둥글린 표면(44a, 44b)으로 연장되는데, 이 오목한 둥글린 표면들은 또한 서로에 대해 정반대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베인 유동 통로(31a, 31b)를 통해 안내되는 유동 스트림에 접선방향 운동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오목한 둥글린 표면은 부분적인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이때 만곡부의 축선은 베인 축선에 대해 수직하고 각각의 상류 램프 표면(36a, 36b)의 평면에 평행하다. 오목한 둥글린 표면(44a, 44b)의 반경은 바람직하게는 베인의 직경의 약 절반이다.
베인 통로(31a, 31b)를 통한 고체의 최대 자유 통과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램프 표면(36a, 36b)을 형성하는 세그먼트(32a, 32b)의 하류 또는 하부는 오목한 둥글린 표면(45a, 45b)으로 형성된다. 오목한 둥글린 표면(45a, 45b)은 역시 형태 면에서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며,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둥글린 표면(44a, 44b)과 동일한 반경을 갖고, 이때 만곡부의 축선은 오목한 둥글린 표면(44a, 44b)에서의 만곡부의 축선에 평행하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한 둥글린 표면(44a, 44b)을 형성하는 세그먼트(34a, 34b)의 하부 표면은 평평한 램프 표면(51a, 51b)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세그먼트(32a, 32b)의 램프 표면(36a, 36b)에서의 리드(lead)와 유사하지만 대향되게 경사져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인 인서트(30)의 구성은 노즐 조립체에 공급되는 슬러리 또는 다른 액체 유동 스트림에 존재할 수 있는 비교적 큰 고체의 자유로운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무 노즐 조립체(10)는 선택적인 분무 용례를 위해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노즐 본체(15) 및 베인 인서트(30)는 각각 미가공 실리콘 카바이드 및 적절한 바인더로부터 개별적으로 몰딩될 수 있으며, 이때 베인 인서트(30)는 미가공 상태로 노즐 본체(15)에 조립된다. 일단 조립되면, 노즐 조립체는 노즐 본체 통로(20) 내에서 베인 인서트들을 긴밀하게 그리고 밀폐식으로 결합시키는 바인더를 제거하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기법에 의해 결합 해제 및 소결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인 인서트(30)는 또한 구체적인 분무 용례에 대해서 베인 인서트 자체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세그먼트(32a, 34a 그리고 32b, 34b)는 베인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베인의 대립 평면(33)에서 직선을 형성하는 횡방향 에지를 갖는다. 이러한 노즐 구조는 원추형 패턴 전체에 걸쳐 미세한 입사가 분포되는 상태로 배출되는 중실 원추형 분무 패턴을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원추형 패턴 내에서 입자 분포를 향상시키기 위해, 세그먼트(32a, 34a 그리고 32b, 34b)의 반경방향 에지는 세그먼트(32a, 34a 그리고 32b, 34b)들 사이에 간격(60)이 형성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각도만큼 직선으로부터 리세스(recess)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 세그먼트(34a, 34b)들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간격(60)을 형성하기 위해 경사진 리세스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베인 인서트(30)는 패턴 전체를 통해 입자가 더 강력하게 분배되는 중실 원추형 분무 패턴을 안내하게 된다. 대안으로, 직사각형 절단부 또는 개구(61)가,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하류 베인 세그먼트의 중앙 부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부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및 폭에 있어서 베인의 직경의 1/4보다 크게 되지 않도록 제한되어야 한다. 반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 세그먼트(34a, 34b)의 둘레방향 폭을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상하로 놓이도록 연장함으로써, 의외로, 실질적으로 중공형인 원추형 분무 패턴이 베인 인서트(30)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때 중공형 원추의 내부에는 액체 입자가 적게 분포되거나 전혀 분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베인의 구조는 구체적인 분무 용례를 위해 용이하게 변경 및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하나의 베인은 중실 원추형 분무 배출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약간의 변형을 통해 다른 베인은 중공 원추형 분무 패턴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분무 노즐이 대향되게 안내되는 이중 분무 배출을 형성하지만, 대안으로, 노즐(10)이 공통 중앙 통로(18)와 연통되는 3개의 액체 배출용 중공형 본체 부분(15)을 포함하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분무 노즐이 중앙 통로(18)와 연통하는 4개의 액체 배출용 중공형 본체 부분(15)를 구비하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많은 다수의 상기 액체가 중공형 본체 부분(15)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공형 본체 부분(15)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진 통로(20)는 중앙 통로(18)의 축선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되고, 구체적인 분무 용례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선회 부여용 베인 인서트(30)를 포함한다.
10 : 노즐 11 : 액체 공급 부움
15 : 노즐 본체 16 : 상류 본체 부분
19 : 하류 중공 본체 부분 26 : 측벽

Claims (19)

  1. 분무 노즐 조립체로서,
    액체 공급부에 대한 연결을 위한 중앙 입구 통로 그리고 중앙 입구 통로와 소정 각도로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로서, 상기 경사진 통로들 각각은 각각의 배출 오리피스와 연통되는 것인 노즐 본체, 및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 내에 배치되는 베인으로서,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는 상기 베인과 상기 배출 오리피스 사이에서 선회 챔버(whirl chamber)를 형성하는 것인 베인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액체가 개별 베인 구성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원추형 분무 패턴으로 상기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인을 통해 상기 선회 챔버 내로 진행하는 액체 유동 스트림에 선회 운동(vortical movement)을 부여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통로는 각각 중앙 입구 통로의 유동 축선에 대해 예각으로 배치되는 유동 축선을 갖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입구 통로 및 경사진 통로는 각각 공통 평면에 배치되는 유동 축선을 갖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각각 특정하게 구성되는 베인 인서트들이며, 상기 베인 인서트들 중 하나는 제1 통로와 연통되는 배출 오리피스로부터의 액체로서 베인을 통과하는 액체에 사전에 정해진 선회 운동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경사진 통로 중 제1 통로에 장착되고, 상기 베인 인서트들 중 제2 베인 인서트는 베인을 통과하는 액체 및 제2 통로와 연통되는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원추형 분무 패턴에 선회 운동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경사진 통로 중 제2 통로에 장착되며, 제1 통로와 연통되는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원추형 분무 패턴은 제2 통로와 연통되는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원추형 분무 패턴과 상이한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제1 베인 인서트는 일 회전 방향으로 액체의 선회 운동을 발생시키며 제2 베인 인서트는 상기 제1 베인 인서트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통과 액체의 선회 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제1 베인 인서트는 중실 원추형 분무 배출 및 액체의 선회 운동을 발생시키며 제2 베인 인서트는 중공 원추형 분무 패턴 배출 및 액체의 선회 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베인은 한 쌍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각각은 각각의 통로의 상이한 1/4 부분에 배치되는 한 쌍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베인의 상기 세그먼트는, 베인을 통과하는 액체 유동 스트림이 램프 표면에 의해 하류 축선 방향으로, 액체 유동 스트림을 접선방향으로 안내하는 오목 표면 상에,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상류 유입 램프 표면 및 하류 오목 표면을 형성하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각각은 내부에 베인이 장착된 경사진 통로의 각각의 1/4 부분에 배치되는 4 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 중 2개는 각각 상류 램프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세그먼트 중 2개는 각각 오목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 표면 각각은, 베인을 통과하는 액체 유동 스트림이 램프 표면에 의해 하류 축선 방향으로, 액체 유동 스트림을 접선방향으로 안내하는 상기 오목 표면 상에,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램프 표면의 하류에 마련되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1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표면은 평평한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베인은 베인의 대립되는 일측 상의 한 쌍의 세그먼트 그리고 베인의 대립되는 대향측 상에 한 쌍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세그먼트는 베인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세그먼트의 대립 표면에서 정렬되는 에지를 갖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세그먼트들의 쌍은 중실 원추형 분무 배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베인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대립 평면에서 간격을 형성하는 에지들을 갖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세그먼트들의 쌍은 베인을 통해 안내되는 액체의 중공 원추형 분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상하 관계로 연장되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14. 분무 노즐 조립체로서,
    액체 공급부에 대한 연결을 위한 중앙 입구 통로 그리고 중앙 입구 통로와 소정 각도로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로서, 상기 경사진 통로들 각각은 각각의 배출 오리피스와 연통되는 것인 노즐 본체, 및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 내에 배치되는 베인으로서,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는 상기 베인과 상기 배출 오리피스 사이에서 선회 챔버를 형성하는 것인 베인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 각각은 한 쌍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형성하며, 액체가 개별 베인 구성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원추형 분무 패턴으로 상기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인을 통해 상기 선회 챔버 내로 진행하는 액체 유동 스트림에 선회 운동을 부여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 입구 통로 및 경사진 통로는 공통 평면에 배치되는 축선들을 갖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각각은 특정하게 구성되는 베인 인서트들이며, 상기 베인 인서트들 중 하나는 제1 통로와 연통되는 배출 오리피스로부터의 액체로서 베인을 통과하는 액체에 사전에 정해진 선회 운동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경사진 통로 중 제1 통로에 장착되고, 상기 베인 인서트들 중 제2 베인 인서트는 베인을 통과하는 액체 및 제2 통로와 연통되는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원추형 분무 패턴에 선회 운동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경사진 통로 중 제2 통로에 장착되며, 제1 통로와 연통되는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원추형 분무 패턴은 제2 통로와 연통되는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원추형 분무 패턴과 상이한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중 하나의 베인은 상기 하나의 베인이 배치되는 경사진 통로의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중공 원추형 분무 패턴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의 베인은 상기 다른 하나의 베인이 장착되는 경사진 통로의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중실 원추형 분무 패턴을 형성하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17. 분무 노즐 조립체로서,
    액체 공급부에 대한 연결을 위한 중앙 입구 통로 그리고 중앙 입구 통로와 소정 각도로 각각 연통되는 적어도 3개의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로서, 상기 경사진 통로들 각각은 각각의 배출 오리피스와 연통되는 것인 노즐 본체, 및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 내에 배치되는 베인으로서, 각각의 상기 경사진 통로는 상기 베인과 상기 배출 오리피스 사이에서 선회 챔버를 형성하는 것인 베인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액체가 개별 베인 구성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원추형 분무 패턴으로 상기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인을 통해 상기 선회 챔버 내로 진행하는 액체 유동 스트림에 선회 운동을 부여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통로 각각은, 중앙 입구 통로의 유동 축선에 대해 예각으로 배치되는 유동 축선을 갖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각각은 한 쌍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분무 노즐 조립체.
KR1020147007247A 2011-08-22 2011-08-22 다중 선회 분무 노즐 KR101881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1/048605 WO2013028165A2 (en) 2011-08-22 2011-08-22 Multiple whirl spray nozz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347A true KR20140056347A (ko) 2014-05-09
KR101881188B1 KR101881188B1 (ko) 2018-07-23

Family

ID=4774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247A KR101881188B1 (ko) 2011-08-22 2011-08-22 다중 선회 분무 노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81188B1 (ko)
CN (1) CN103826720B8 (ko)
WO (1) WO201302816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7741A1 (de) * 2015-04-28 2016-11-03 Lechler Gmbh Sprühdüse
CN110975519A (zh) * 2019-12-13 2020-04-10 陈丽娜 一种呼吸科传染病病房用空气净化过滤装置
GB2592267A (en) * 2020-02-24 2021-08-25 Altair Uk Ltd Pulse nozzle for filter cleaning systems
CN114604410A (zh) * 2022-03-30 2022-06-10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除硫系统排水导流装置及船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298A (en) * 1990-10-31 1992-09-01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Spray nozzle assembly with swivel mounted hollow cone spray tip
US6076744A (en) * 1998-12-23 2000-06-20 Spraying Systems Co. Full cone spray nozzle
US6464154B1 (en) * 1994-04-25 2002-10-15 Versuvius Crucible Company Casting nozzle with diamond-back internal geometry and multi-part casting nozzle with varying effective discharge angles and method for flowing liquid metal through same
US7543601B2 (en) * 2004-03-31 2009-06-09 Continental Automotive Canada, Inc. Passive pressure activation valv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7842A (en) * 1971-06-24 1973-04-17 Toro Mfg Corp Agricultural sprinkler head
US7222802B2 (en) * 2003-05-23 2007-05-29 Meadwestvaco Corporation Dual sprayer with external mixing chamber
CN2761283Y (zh) * 2004-12-08 2006-03-01 李冠军 喷雾器用双喷头
KR100865475B1 (ko) * 2007-08-30 2008-10-27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어셈블리, 이를 갖는 처리액 공급 장치 및 이를이용하는 처리액 공급 방법
CN201220190Y (zh) * 2008-06-13 2009-04-15 马建忠 节能喷雾器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298A (en) * 1990-10-31 1992-09-01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Spray nozzle assembly with swivel mounted hollow cone spray tip
US6464154B1 (en) * 1994-04-25 2002-10-15 Versuvius Crucible Company Casting nozzle with diamond-back internal geometry and multi-part casting nozzle with varying effective discharge angles and method for flowing liquid metal through same
US6076744A (en) * 1998-12-23 2000-06-20 Spraying Systems Co. Full cone spray nozzle
US7543601B2 (en) * 2004-03-31 2009-06-09 Continental Automotive Canada, Inc. Passive pressure activation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6720B8 (zh) 2016-10-26
KR101881188B1 (ko) 2018-07-23
CN103826720B (zh) 2016-08-17
WO2013028165A3 (en) 2014-03-20
WO2013028165A2 (en) 2013-02-28
CN103826720A (zh)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16463B1 (en) Full cone spray nozzle
RU2501610C1 (ru) Форсунка со сплошным конусом распыла
KR101881188B1 (ko) 다중 선회 분무 노즐
RU2380127C2 (ru) Способ распыления среды и распылительное сопло
JP2000334335A (ja) 高圧噴射ノズル
JP2009269025A (ja) デスケーリング噴射ノズルアセンブリ
JP2005508741A (ja) 金属鋳造冷却システム用の完全円錐スプレーノズル
ES2901147T3 (es) Boquilla atomizadora
PL212903B1 (pl) Dysza wodna rozpylajaca oraz sposób optymalizacji parametrów pracy dyszy wodnej rozpylajacej
JP4141006B2 (ja) 高圧清浄スプレーノズル
CA3067791A1 (en) Hydrocyclone separator
JP4188881B2 (ja) 二重旋回スプレイノズル
KR102551079B1 (ko) 노즐
CN111185315B (zh) 旋流喷射模式还原剂喷嘴
CN101400431B (zh) 用于使气态流体与大流量气流混合的方法和装置
CN111188671A (zh) 具有径向空气注入的还原剂喷嘴
JP5042770B2 (ja) 広角ベーンレスフルコーンスプレーノズル
US11938494B2 (en) Nozzle
JPS61254263A (ja) ノズル組立体
JP2019141828A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RU2418171C1 (ru) Эжекторный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и форсунка для него
KR102277056B1 (ko) 오존필터에 사용되는 가이드
JP7455128B2 (ja) 遠心式クリーナーのリジェクト・チャンバ、及び遠心式クリーナー
AU2019265217B2 (en) Spray head
RU2202734C2 (ru) Паромеханическая форсунка "тагпо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