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644A - 치아 인상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치아 인상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644A
KR20140055644A KR1020120122786A KR20120122786A KR20140055644A KR 20140055644 A KR20140055644 A KR 20140055644A KR 1020120122786 A KR1020120122786 A KR 1020120122786A KR 20120122786 A KR20120122786 A KR 20120122786A KR 20140055644 A KR20140055644 A KR 20140055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ssion material
shaped
support
teeth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주
Original Assignee
문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형주 filed Critical 문형주
Priority to KR102012012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644A/ko
Priority to PCT/KR2013/001941 priority patent/WO2014069725A1/ko
Publication of KR2014005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치아의 본을 뜨는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있어서, 제1손잡이부 및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를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는, 곡률 반지름이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제1지지대와 곡률 반지름이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작은 제2지지대, 및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1망포와 제1망포를 중심으로 제1지지대의 곡면 또는 제2지지대의 곡면 상,하부 일측에 각각 뚫려 있는 제1인상재배출공을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는 U자형의 중심으로부터 대칭형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구치 교합점 이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치아 일부의 본을 뜨는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있어서, 제2손잡이부 및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는, 일렬의 치아가 들어가도록 형성된 폭이 좁은 U자형 제3지지대와 제3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2망포와 제2망포를 중심으로 제3지지대의 곡면 상,하부 일측에 각각 뚫려 있는 제2인상재배출공을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는 U자형의 중심으로부터 대칭형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구치 교합점 이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인상용 트레이 {A impression-type tray of the teeth}
본 발명은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상 채득 과정에서 인상재를 과도하지 않게 사용하여 치아의 본을 뜰 수 있도록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치아 인상용 트레이는 치과 치료에 있어서, 치아의 본을 뜨기 위한 도구로서, 치아의 결손이 있는 경우, 구강조직의 복제물을 위한 음형을 제작하는 과정에 인상재를 수용하는 도구이다. 인상재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수용된 채로 치아의 형태대로 굳어져서(경화) 치과환자의 구강의 내부 인상구조의 음형을 제공한다. 이렇게 제공된 음형을 기초로 인공 치아 또는 치아의 일부분을 제작하는 것이다.
치아 인상용 트레이는 인상재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구조의 인상재 수용부와, 트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인상 채득 과정은 고형화되지 않은 유동성을 갖는 인상재를 구강에 넣어 환자가 인상재를 깨물어 압박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인상재가 굳도록 기다린 후 인상재가 굳어지면 트레이를 빼어냄으로써 치아의 인상을 완료하는 것인데, 인상재가 굳어지는 동안 환자가 치아를 고정한 상태에서 트레이가 움직이지 않고 일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트레이는 치아 중 전치에만 트레이가 물리게 되므로, 아래 치아와 윗 치아 간의 교합점이 단일 점이어서 트레이가 충분히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틸팅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아래 치와와 위치아를 동시에 본을 뜨는 트레이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트레이 역시 환자가 인상재를 깨물어 밀려나는 부분이 트레이의 뼈대를 넘어가 서로 굳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치아의 본을 뜨는데 과도한 인상재가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자가 인상재를 깨물어 밀려나는 부분이 트레이의 뼈대를 넘어가 서로 굳어 지는 방법으로 치아의 본을 뜸으로 인해 정확한 인상재를 주입하기가 어렵고 만약 충분히 인상재를 주입하지 않는 경우 인상재끼리 서로 결합되지 않아 인상채득 과정의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 치아와 윗 치아 간의 교합점이 둘 이상인 구치부까지 트레이가 물리게 하되 인상재가 트레이의 뼈대에 있는 구멍에 의해서 용이하게 흘러나와 볼에 의하여 압착되어 못 머리 형상을 형성하면서 고정되거나, 서로 결합됨으로 과도한 인상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오차없이 인상을 채득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치아의 본을 뜨는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있어서, 제1손잡이부 및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를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는, 곡률 반지름이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제1지지대와 곡률 반지름이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작은 제2지지대, 및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1망포와 제1망포를 중심으로 제1지지대의 곡면 또는 제2지지대의 곡면 상,하부 일측에 각각 뚫려 있는 제1인상재배출공을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는 U자형의 중심으로부터 대칭형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구치 교합점 이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치아 일부의 본을 뜨는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있어서, 제2손잡이부 및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는, 일렬의 치아가 들어가도록 형성된 폭이 좁은 U자형 제3지지대와 제3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2망포와 제2망포를 중심으로 제3지지대의 곡면 상,하부 일측에 각각 뚫려 있는 제2인상재배출공을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는 U자형의 중심으로부터 대칭형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구치 교합점 이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상 채득 과정(인상재 경화과정)에서 과도한 인상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인상을 채득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치아의 본을 뜰 수 있다.
도1은 본원발명 트레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트레이가 환자의 구강에 설치된 개략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 트레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평면도이다.
도6은 도4에서 제2수용부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인상용 트레이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 트레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트레이가 환자의 구강에 설치된 개략도이다.
본원발명은 치아 인상용 트레이(1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치아의 본을 뜨는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10)에 있어서, 제1손잡이부(100) 및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를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는, 곡률 반지름이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제1지지대(210)와 곡률 반지름이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작은 제2지지대(220), 및 제1지지대(210)와 제2지지대(220) 사이에 설치되는 제1망포(230)와 제1망포(230)를 중심으로 제1지지대(210)의 곡면 또는 제2지지대(220)의 곡면 상,하부 일측에 각각 뚫려 있는 제1인상재배출공(240)을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는 U자형의 중심으로부터 대칭형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구치 교합점 이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제1손잡이부(100)와 제1수용부(200)로 구성되어 있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10)에 관한 것이다. 기존발명의 트레이는 환자가 인상재를 깨물어 밀려나는 부분이 트레이의 뼈대를 넘어가 서로 굳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인상재를 과도하게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만약 인상재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환자가 인상재를 깨무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위,아래의 인상재가 서로 결합되지 못하여 치아의 본을 다시 떠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상재를 트레이에 과도하게 주입하지 않아도 환자가 가볍게 무는 압력에 의해서 제1인상재배출공(240)으로 배출된 인상재가 환자의 볼 내면에 의하여 압착되어 못 머리 형상을 형성하여 고정되거나 배출된 인상재가 서로 결합되어 치아의 본을 뜰 수 있게 만든 발명으로 치아의 본을 경제적으로 뜰 수 있다.
제1손잡이부(100)는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의 제1지지대(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트레이(10)가 치아의 본을 쉽게 뜰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제1손잡이부(100)는 상기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와 탈부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인상 채득 과정에서 제1손잡이부(100)를 임시적으로 분리하여 환자가 인상재의 경화 과정 동안 좀더 편안하게 대기할 수 있고, 인상재의 경화가 완료되면, 제1손잡이부(100)를 다시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에 결합하여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10)를 환자의 구강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1수용부(200)는 제1지지대(210), 제2지지대(220), 제1망포(230), 제1인상재배출공(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수용부(200)는 제1돌기(25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용부(200)는 치아의 본을 뜨기 위한 몸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U자형 형태이다. 제1지지대(210)는 곡률 반지름이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제1수용부(200)의 외측 지지대이다. 제2지지대(220)는 곡률 반지름이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작은 제1수용부(200)의 내측 지지대이다. 제1지지대(210)와 제2지지대(22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같은 합성수지 계열의 재료가 사용된다.
제1망포(230)는 제1지지대(210)와 제2지지대(220)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제1망포(230)는 양단이 제1지지대(210)와 제2지지대(220)의 중간부분에 결합되어 트레이(10)의 위와 아래를 나누는 부재이다. 제1망포(230)는 인상재가 주입되는 부분으로 면 또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망포이다.
제1인상재배출공(240)은 제1망포(230)를 중심으로 제1지지대(210)의 곡면 또는 제2지지대(220)의 곡면 상,하부 일측에 각각 다수의 구멍이 뚫려 있다. 제1인상재배출공(240)은 제1망포(230)에 인상재가 기존의 설치되는 량보다 적게 주입되더라도 위,아래에 주입된 인상재가 서로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제1망포(230)에 인상재가 적게 주입되더라도 환자가 무는 압력에 의해 인상재가 용이하게 제1인상재배출공(240)으로 배출된 인상재가 환자의 볼 내면에 의하여 압착되어 못 머리 형상을 형성하여 고정되거나 배출된 인상재가 서로 결합됨으로 인해 쉽게 치아의 본을 뜰 수 있다. 제1인상재배출공(240)는 4mm 간격으로 환자의 상태 및 환경에 따라 만들어 진다. 제1인상재배출공(240)의 지름은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 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mm 인 것이 적당하다. 또한 제1인상재배출공(240)은 상기 제1지지대(210)의 곡면 상, 하부 각각에 6개 내지 12개가 뚫려 있을 수 있다. 제1인상재배출공(240)의 갯수를 위와 같이 한정하고 있으나 환자의 치아 또는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돌기(250)는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에서 인상재가 쉽게 탈거되도록 인상재를 수용하는 면에 돌기가 돌출되어 있다. 제1돌기(250)는 인상 채득 과정에서 인상재의 경화가 완료되면,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10)를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빼내어, 경과된 인상재를 트레이(10)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이때 인상재가 맞닿는 트레이(10) 지지대의 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인상재가 트레이(10)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분리 과정에서 압력이 가해져 경화된 인상재가 손상을 입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제1돌기(250)는 선돌기 또는 점돌기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거가 더욱 용이하도록 상기 인상재가 수용되는 면에 특수 필름으로 코팅시켜 인상재가 접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4는 본원발명 트레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평면도이다.
도6은 도4에서 제2수용부의 상세도이다.
또 다른 본원발명의 치아 인상용 트레이(10)는 치아 일부의 본을 뜨는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10)에 있어서, 제2손잡이부(110) 및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300)를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300)는, 일렬의 치아가 들어가도록 형성된 폭이 좁은 U자형 제3지지대(310)와 제3지지대(310) 사이에 설치되는 제2망포(320)와 제2망포(320)를 중심으로 제3지지대(310)의 곡면 상,하부 일측에 각각 뚫려 있는 제2인상재배출공(330)을 포함하고,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300)는 U자형의 중심으로부터 대칭형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구치 교합점 이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제2손잡이부(110)와 제2수용부(300)로 구성되어 있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10)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되어지지 않는 구성은 위에서 설명되어 진 것으로 한다.
제2손잡이부(110)는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300)의 제3지지대(3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트레이(10)가 치아의 본을 쉽게 뜰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제2손잡이부(110)는 위에서 설명한 제1손잡이부(100)와 기본적으로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제2수용부(300)는 제3지지대(310), 제2망포(320), 제2인상재배출공(33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렬의 치아 즉 일부분의 치아 본을 뜨기 적당한 구성이다. 또한 제2수용부(300)는 제2돌기(340)를 더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지지대(310)는 일렬의 치아가 들어가도록 형성된 폭이 좁은 U자형 형태로 일렬의 치아 즉 일부분의 치아 본을 뜨기 적당한 형태이다. 제3지지대(31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같은 합성수지 계열의 재료가 사용된다.
제2망포(320)는 제3지지대(310)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제2망포(320)는 U자형 형태의 제3지지대(310) 가운데 설치되는 부재이다. 제2망포(320)는 제1망포(230)와 같은 성질의 재료로 같은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제2인상재배출공(330)은 제2망포(320)를 중심으로 제3지지대(310)의 곡면 상,하부 일측에 각각 다수의 구멍이 뚫려 있다. 제2인상재배출공(330)은 제1인상재배출공(240)과 같은 역할을 하는 구멍으로 통상 4mm 간격으로 환자의 상태 및 환경에 따라 만들어 진다. 제2인상재배출공(330)의 지름은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 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mm 인 것이 적당하다. 또한 제2인상재배출공(330)은 상기 제3지지대(310)의 직선면 상, 하부 각각에 6개 내지 12개가 뚫려 있어 제3지지대(310) 위,아래에 설치된 인상재가 서로 쉽게 결합되게 하는 구성이다.
제2돌기(340)는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300)는 인상재가 쉽게 탈거되도록 인상재를 수용하는 면에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제1돌기(250)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인상용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트레이
100 : 제1손잡이부 110 : 제2손잡이부
200 : 제1수용부
210 : 제1지지대 220 : 제2지지대
230 : 제1망포 240 : 제1인상재배출공
250 : 제1돌기
300 : 제2수용부
310 : 제3지지대 320 : 제2망포
330 : 제2인상재배출공 340 : 제2돌기

Claims (10)

  1. 치아의 본을 뜨는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있어서,
    제1손잡이부(100) 및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는,
    곡률 반지름이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제1지지대(210)와 곡률 반지름이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작은 제2지지대(220) 및 상기 제1지지대(210)와 상기 제2지지대(220) 사이에 설치되는 제1망포(230)와 상기 제1망포(230)를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대(210)의 곡면 또는 상기 제2지지대(220)의 곡면 상,하부 일측에 각각 뚫려 있는 제1인상재배출공(240)을 포함하고,
    상기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는 U자형의 중심으로부터 대칭형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구치 교합점 이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상재배출공(240)의 간격은 4mm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상재배출공(240)의 지름은 1 내지 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상재배출공(240)은 상기 제1지지대(210)의 곡면 상, 하부 각각에 6개 내지 12개가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인상재 제1수용부(200)는 인상재가 쉽게 탈거되도록 인상재를 수용하는 면에 제1돌기(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6. 치아 일부의 본을 뜨는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에 있어서,
    제2손잡이부(110) 및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300)는,
    일렬의 치아가 들어가도록 형성된 폭이 좁은 U자형 제3지지대(310)와 상기 제3지지대(310) 사이에 설치되는 제2망포(320)와 상기 제2망포(320)를 중심으로 상기 제3지지대(310)의 곡면 상,하부 일측에 각각 뚫려 있는 제2인상재배출공(330)을 포함하고,
    상기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300)는 U자형의 중심으로부터 대칭형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구치 교합점 이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상재배출공(330)의 간격은 4mm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상재배출공(330)의 지름은 1 내지 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상재배출공(330)은 상기 제3지지대(310)의 직선면 상, 하부 각각에 6개 내지 12개가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인상재 제2수용부(300)는 인상재가 쉽게 탈거되도록 인상재를 수용하는 면에 제2돌기(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인상용 트레이.
KR1020120122786A 2012-11-01 2012-11-01 치아 인상용 트레이 KR20140055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86A KR20140055644A (ko) 2012-11-01 2012-11-01 치아 인상용 트레이
PCT/KR2013/001941 WO2014069725A1 (ko) 2012-11-01 2013-03-11 치아 인상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86A KR20140055644A (ko) 2012-11-01 2012-11-01 치아 인상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644A true KR20140055644A (ko) 2014-05-09

Family

ID=5088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786A KR20140055644A (ko) 2012-11-01 2012-11-01 치아 인상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6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4818A (ja) * 2018-10-03 2020-04-09 株式会社be—king 印象トレ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4818A (ja) * 2018-10-03 2020-04-09 株式会社be—king 印象トレ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26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dental die models in dental stone
KR101495733B1 (ko) 덴탈 구조의 인상 취득에 사용하기 위한 덴탈 인상 트레이
US59613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nd fitting dentures
KR100927677B1 (ko) 이보캡 시스템을 이용한 틀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고경체득부터 배열까지의 오차 수정방법
ATE444027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ahnmedizinischen transfervorrichtung
US20040013998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126583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US20040166466A1 (en) Pin tray dental prostheses modeling system with re-usable tray
US7175437B2 (en) Dental bridge holder alignment mechanism
US20090298007A1 (en) Double bite impression tray for making dental impressions
US6398550B1 (en) Mouthpiece for dental impressions
US2700219A (en) Dental platen
ITRM940500A1 (it) "corredo di elementi per la col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modelli di gesso per protesi dentarie, e sistemi di colatura che impiegano tali elementi".
KR20140055644A (ko) 치아 인상용 트레이
CA2274883A1 (en) A device for dispensing artificial teeth
JP2006223693A (ja) 間接法作業模型
KR101652673B1 (ko) 임시치아 제조형틀 및 그 형틀에 의해서 제조된 임시치아 시술방법
WO2010147060A1 (ja) 歯科作業模型の基台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歯科作業模型の嵌合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15025362B1 (pt)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a base de suporte para instrumentos médicos
US20180333234A1 (en) Articulator
JP2004523284A (ja) 改良歯型ベースアセンブリ
KR10180810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US61935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dental articulators
KR100651015B1 (ko) 치아 인상용 트레이
EP0986345B1 (en) Container and method for cross-linking composite materials on dental prosthe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