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239A - 에이전트 장치, 전기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에이전트 장치, 전기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239A
KR20140055239A KR1020120121762A KR20120121762A KR20140055239A KR 20140055239 A KR20140055239 A KR 20140055239A KR 1020120121762 A KR1020120121762 A KR 1020120121762A KR 20120121762 A KR20120121762 A KR 20120121762A KR 20140055239 A KR20140055239 A KR 20140055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
information
user
operation control
electr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839B1 (ko
Inventor
유영준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839B1/ko
Priority to EP18180227.3A priority patent/EP3402182A1/en
Priority to EP13190420.3A priority patent/EP2728854B1/en
Priority to ES13190420.3T priority patent/ES2693285T3/es
Priority to US14/065,983 priority patent/US9390618B2/en
Priority to PCT/KR2013/009705 priority patent/WO2014069885A1/en
Priority to CN201310532924.1A priority patent/CN103796054A/zh
Priority to JP2013226745A priority patent/JP6639071B2/ja
Publication of KR2014005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239A/ko
Priority to US15/183,038 priority patent/US10204510B2/en
Priority to US16/256,282 priority patent/US1080373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3Remote control using macros, scrip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1Remote control of gat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리모컨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 사이에서 동작 제어 정보를 중계하는 에이전트 장치에 있어서, 리모컨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크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및 생성된 매크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복수 전기기기의 기능들을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복수 전기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작성하기 때문에 매크로 작성에 소비되는 사용자의 노력과 시간을 줄여 줄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복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작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매크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에이전트 장치, 전기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gent apparatus,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전기기기를 통합적으로 원격 제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이전트 장치, 에이전트 장치와 통신하는 전기기기 및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기술은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가정 내의 전기기기를 동작시키는 기술로, 이러한 홈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집안에서 또는 외부에서 집안일을 자동화 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는 복수의 전기기기를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종 전기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키패드 또는 리모콘(Remote control)을 통해 동작 명령을 순차적으로 지시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리모컨의 복잡한 조작법을 사용자가 일일이 숙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가정 내에서 AV 시스템은 AV 시스템을 이루는 기기의 수만큼 리모컨을 포함한다. 즉 AV 시스템을 이루는 기기가 TV, STB(Set Top Box: STB), 홈 씨어터(Home Theater),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비디오 및 오디오 기기 등 6개이면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도 6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AV 시스템 이용 시 사용자는, TV를 보다가 DVD를 보고 싶을 경우 TV와 DVD 플레이어를 각각의 리모컨으로 다시 설정해야 한다.
즉 DVD 플레이어의 전원을 온시킨 후 시청하던 TV의 외부입력을 1로 전환시키고, 홈 씨어터의 디지털 접속 표준단자(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 이하 SPDIF라 한다)를 입력 1로 전환시킨 후, DVD 플레이어를 동작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기기들을 동작시킬 경우 리모컨을 이용한 각종 기기의 사용 순서는 미리 정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기의 동작을 변경할 때마다 복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복수 기기의 동작을 다시 설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기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이 개발되었고, 또한 리모컨과 전기기기와 통신 시 통신 거리 및 장애물 등에 구애받지 않고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이전트 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에이전트 장치는 리모컨의 제어 신호를 전기기기로 중계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AV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리모컨은 TV, 셋탑 박스, DVD 플레이어, 홈 씨어터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4개의 모드 선택 버튼을 포함하고, 각각의 기기를 조정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이 경우 TV, 셋탑 박스, DVD 플레이어, 홈 씨어터 중 통합 리모컨과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에이전트 장치를 통해 통합 리모컨의 제어 신호를 중계받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통합 리모컨을 이용하여 DVD를 보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통합 리모컨의 TV 모드 선택 버튼을 누르고 TV의 외부입력을 1로 전환한 후, 통합 리모컨의 DVD 플레이어 모드 선택버튼을 누르고 DVD 플레이어의 전원 버튼을 누른 후 DVD 플레이어의 플레이(play) 버튼을 누른다. 그 후 홈 씨어터 모드 선택 버튼을 누르고 홈 씨어터의 SPDIF 입력을 1로 전환시킨다.
이때 TV, DVD 플레이어, 홈 씨어터를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제어 신호는 TV, DVD 플레이어, 홈 씨어터에 직접 또는 에이전트 장치를 통해 전송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기기 선택 후 선택된 기기를 조정하는 과정을 복수 번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설정이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통합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찾아 눌러서 기기를 선택하고 또한 특정 버튼을 찾아 선택된 기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시켜야 하기 때문에, 연령층이 높거나 기기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일 측면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제어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및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별 매크로 리스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에이전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및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별 매크로 리스트를 생성하는 에이전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에이전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에이전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매크로 리스트를 출력하는 전기기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컨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 사이에서 동작 제어 정보를 중계하는 에이전트 장치에 있어서, 리모컨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크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및 생성된 매크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및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생성된 매크로를 가진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 및 매크로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기기는,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전기기기에 있어서,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제어 정보 및 매크로 리스트를 수신하는 통신부;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정보가 동작 제어 정보이면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고,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정보가 매크로 리스트이면 매크로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매크로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크로를 매크로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를 출력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에이전트 장치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복수 전기기기의 기능들을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복수 전기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작성하기 때문에 매크로 작성에 소비되는 사용자의 노력과 시간을 줄여 줄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복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작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매크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에 마련된 정보 수집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에 마련된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리모컨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기기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의 매크로 리스트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시스템의 구성도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이전트 시스템은, 에이전트 장치(100), 리모컨(200) 및 복수의 전기기기(3001-1, 300-2, 300-3)를 포함한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리모컨(200)과 복수의 전기기기(3001-1, 300-2, 300-3) 사이에서 정보를 중계하는 장치로, 리모컨(200)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전송한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한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매크로 리스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크로를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한다. 이때 매크로 리스트는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매크로 리스트를 생성 및 저장하고,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한 후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매크로 리스트를 제공한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날짜, 시간, 날씨, 계절 등과 같은 환경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기초로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한 후 매크로 리스트에 생성된 매크로를 추가하여 저장한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리모컨(200)을 통해 어느 하나의 매크로가 선택되면 선택된 매크로가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전송한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리모컨(200)에서 전송된 매크로 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에이전트 장치(100)는 사용자의 정보도 함께 수신하여 매크로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여기서 리모컨에서 전송된 매크로 정보는, 사용자가 리모컨에 직접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이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복수의 리모컨(200)에서 전송된 복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기초로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전트 장치(100)는 제1통신부(110), 정보 수집부(120), 제1제어부(130), 제1저장부(140) 및 제1표시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리모컨(200) 및 복수의 전기기기(300-1, 300-2, 300-3)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통신부(110)는 리모컨(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복수의 전기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적외선(IR) 통신, 블루투스 통신, RF 통신, Zigbee 통신, WiFi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포함한다.
제1통신부(110)는 리모컨(200)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해당 전기기기에 전송한다. 여기서 동작 제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 또는 매크로 리스트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매크로에 기초한 동작 제어 정보이다.
제1통신부(110)는 리모컨(200)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통신부(110)는 전기기기의 버튼을 통해 전기기기에 직접 입력된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전기기기로부터 직접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보 수집부(120)는 사용자별 매크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정보 수집부(120)는 리모컨(200)이나 전기기기에서 전송된 정보 또는 에이전트 장치에 직접 입력된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리모컨(200)에서 전송된 정보는,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전기기기에서 전송된 정보는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사용자 정보,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에이전트 장치에 직접 입력된 정보는 사용자 정보, 환경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수집부(120)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121), 입력 정보 수집부(122), 환경 정보 수집부(123)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수집부(121)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 수집부(121)는 사용자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 사용자의 지문의 영상을 수집하는 지문 수집부, 사운드를 수집하는 음성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집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 수집부(121)는 수집된 영상에서 얼굴을 인식하거나, 수집된 영상에서 지문을 인식하거나 또는 수집된 사운드에서 음성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 정보 수집부(121)는 사용자의 아이디를 입력받는 아이디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아이디 수집부는 복수의 버튼 등으로 구현 가능하고, 이 복수의 버튼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은 사용자 1 버튼, 사용자 2 버튼, 사용자 3 버튼, 사용자 4 버튼, 확인 버튼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 1이 매크로 리스트를 출력하고자 할 경우 아이디 수집부는 사용자 1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1 버튼 및 확인 버튼의 신호를 수집한다.
입력 정보 수집부(122)는 리모컨(200)을 통해 입력된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집한다.
입력 정보 수집부(122)는 제1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를 수집한다.
이러한 입력 정보 수집부(122)는 인식된 얼굴, 지문, 음성, 아이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입력 정보 수집부(122)는 리모컨(200)을 통해 사용자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입력된 경우, 통신부(110)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환경 정보 수집부(123)는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할 때의 환경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환경 정보는 날짜, 시간, 계절, 날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환경 정보 수집부(123)는 기온,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날짜, 시간, 계절 등을 판별하기 위한 타이머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환경 정보 수집부(123)는 타이머부의 카운트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날짜, 계절 등을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환경 정보 수집부(123)는 날씨 등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 수집부(123)는 비, 눈, 맑음, 안개 등의 날씨 버튼을 포함하고, 이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버튼의 신호를 수집함으로써 날씨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날씨, 계절, 시간 등의 환경 정보는 공기조화기나, 조명 장치 등과 같은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시에 기초가 되는 정보로, 매크로 생성 및 매크로 리스트 출력 시에 고려되는 정보들이다.
환경 정보 수집부(123)는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전기기기가 텔레비전인 경우, 텔레비전으로부터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20)에서 수집된 사용자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매크로를 생성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에 생성된 매크로를 추가하여 새로운 매크로 리스트를 생성한다.
제1제어부(130)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데, 이때 동일한 환경 정보를 가진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매크로를 생성한다.
제1제어부(130)는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횟수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매크로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의 환경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의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추천 매크로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1제어부(130)는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가 출력되도록 제1표시부(150) 또는 제1통신부(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어부(130)는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매크로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정보 수집부(120)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는 학습부(131)와, 학습부에서 학습된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매크로 생성부(132)를 포함한다.
학습부(131)는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와,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정보와,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의 수신 시점의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수신하며, 수신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각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 수신된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및 수신 시점의 환경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학습한다.
이때 학습부(131)는 각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 내에 수신 시점의 환경 정보 및 동작 제어를 위한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학습부(131)는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의 수신 횟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기기별로 사용 패턴을 학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학습부(131)는 사용자로부터 매크로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매크로 출력 명령이 입력된 입력 시점의 환경 정보와, 매크로 출력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수신하며, 수신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각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 및 입력 시점의 환경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학습한다.
학습부(131)는 매크로 리스트의 복수 매크로 중 어느 하나의 매크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매크로의 선택 횟수를 플러스하여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매크로의 선택 횟수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한다.
매크로 생성부(132)는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 매크로가 가진 환경 정보 중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의 수신 시점의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추천 매크로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매크로 생성부(132)는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 매크로가 가진 환경 정보 중 매크로 출력 명령의 입력 시점의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추천 매크로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매크로 생성부(132)는 학습부(131)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크로를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에 추가하여 새로운 매크로 리스트를 생성한다.
매크로 생성부(132)는 카운트된 매크로의 선택 횟수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의 표시 순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크로 생성부(132)는 전기기기별로 동작 제어 횟수를 카운트하고, 동작 제어 횟수가 많은 순으로 순차적으로 나열된 전기기기를 상위 메뉴로 갖고, 전기기기별 동작 제어 정보를 하위 메뉴로 갖는 매크로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저장부(140)는 매크로 리스트를 포함하고, 매크로가 새로 생성된 경우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에 새로 생성된 매크로를 포함시켜 저장한다. 즉, 저장부(140)는 새로운 매크로가 생성된 경우 기존의 매크로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매크로 리스트는 사용자별로 저장되어 있고, 복수의 매크로를 포함하며, 각 매크로 정보는 사용자 정보,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및 환경 정보를 포함한다.
제1저장부(14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1저장부(140)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의 얼굴 영상, 지문 영상, 음성,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제1저장부(140)는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 매크로의 제목을 각각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50)는 제1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라 매크로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때 매크로 리스트는 사용자별 매크로 리스트로 복수의 매크로를 포함하고, 각 매크로는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정보를 중계할 리모컨과 전기기기의 등록 시작 및 등록 종료를 지시하는 등록 버튼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모컨(200)은 복수의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기와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에이전트 장치(100)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리모컨(200)은 복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통합 리모컨으로,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한다.
아울러 리모컨(200)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해당 전기기기에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모컨(200)은 복수의 전기기기를 각각 제어하도록 복수 개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리모컨(200)은 동작 제어를 위한 전기기기와 각각 페어링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동작 제어 정보가 입력되면 페어링된 전기기기로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에이전트 장치(100)로 페어링된 전기기기의 식별 정보 및 페어링된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리모컨(200)은 매크로 리스트 출력을 위한 출력 명령 버튼 및 매크로 선택 버튼을 포함하고, 출력 명령 버튼 및 매크로 선택 버튼의 입력에 대한 신호를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한다.
리모컨(200)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아이디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리모컨(200)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디 버튼의 정보를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와 함께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한다.
리모컨(200)은 사용자로부터 매크로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리모컨(2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매크로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200)은 제1입력부(210), 제2제어부(220), 제2통신부(230) 및 제2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제1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제1입력부(210)에 복수의 전기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가 입력될 경우, 입력부(210)에는 복수의 전기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가 시간 차이를 두고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제1입력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 및 환경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며, 또한 매크로 출력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제1입력부(21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사운드 입력부,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기 위한 지문 입력부를 포함한다.
제1입력부(210)는 환경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환경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환경 정보 입력부는 날씨, 온도, 습도, 계절, 시간, 날짜 등을 선택받기 위한 환경 버튼 및 숫자 버튼 등을 포함한다.
제1입력부(210)는 복수 매크로의 제목을 각각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입력된 복수 매크로의 각 제목을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1입력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제2제어부(220)에 전송한다.
제1입력부(210)는 신규 등록을 위한 전기기기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전기기기의 정보를 제2제어부(220)에 전송한다.
제2제어부(220)는 제1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정보가 에이전트 장치(100) 및 전기기기에 전송되도록 제2통신부(2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입력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사용자 정보,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다.
제2제어부(220)는 신규 등록을 위한 전기기기와의 페어링을 제어하고, 또한 신규 등록을 위한 전기기기와의 페어링 정보가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되도록 제2통신부(2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2통신부(230)는 제2제어부(220)의 명령에 따라 입력된 각종 정보를 에이전트 장치(100) 또는 전기기기에 전송한다.
제2저장부(240)는 페어링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대한 기기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복수의 전기기기(300: 3001-1, 300-2, 300-3)는 에이전트 장치(100) 또는 리모컨(200)에서 전송된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각 전기기기는 복수의 부하(미도시)를 포함하고 복수의 부하의 구동을 통해 정해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의 전기기기 중 표시 기능을 갖은 전기기기는,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전송된 매크로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를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하고, 또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기기기가 카메라를 갖는 텔레비전인 경우 텔레비전은 사용자의 영상을 수집한 후 수집된 영상 중 얼굴 영상을 추출하여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하고, 전기기기가 공기조화기인 경우 공기조화기는 공기 조화 동작 중 검출된 실외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러한 복수의 전기기기(300-1, 300-2, 300-3)는 제3통신부(310), 제2입력부(320), 제3제어부(330), 제3저장부(340) 및 제2표시부(350)를 각각 포함하며, 복수의 전기기기 중 하나의 전기기기(300)만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통신부(310)는 리모컨(200) 또는 에이전트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리모컨(200) 또는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전송된 동작 제어 정보를 제3제어부(330)에 전송한다.
제3통신부(310)는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전송된 매크로 리스트를 수신하여 제3제어부(33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통신부(310)는 제3제어부(330)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 정보 또는 환경 정보를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입력부(320)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제2입력부(320)는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제2입력부(320)는 사용자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입력부(32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정보 입력부와,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입력부는, 사용자의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사운드 입력부,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기 위한 지문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 정보 입력부는 날씨, 온도, 습도, 계절, 시간, 날짜 등을 선택받기 위한 환경 버튼 및 숫자 버튼 등을 포함한다.
제3제어부(330)는 수신된 동작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하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동작 제어 정보는, 리모컨(200)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 또는 매크로 리스트에서 선택된 정보이다.
제3제어부(330)는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전송된 매크로 리스트가 수신되면 수신된 매크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2표시부(3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3제어부(330)는 사용자 정보 또는 환경 정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또는 환경 정보가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되도록 제3통신부(3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3제어부(330)는 제3입력부(320)를 통해 동작 제어 정보가 직접 입력된 경우,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가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되도록 제3통신부(3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3저장부(340)는 동작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제2표시부(350)는 제3제어부(330)의 명령에 기초하여 전기기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매크로 리스트를 표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우선 에이전트 장치는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리모컨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를 정보 중계를 위한 대상 기기로 등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에이전트 장치는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200)과, 리모컨(200)을 통해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리모컨(200)의 식별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컨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를 매크로 정보 및 동작 제어 정보를 중계할 대상 기기로 등록 및 저장한다. 이 후, 에이전트 장치는 등록 버튼이 재 입력되면 정보 중계를 위한 대상 기기의 등록을 종료한다.
이러한 에이전트 장치는 리모컨의 식별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식별 정보를 리모컨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부터 수신 가능하다.
아울러, 리모컨과 전기기기 사이의 페어링은, 에이전트 장치에 등록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리모컨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등록이 완료된 에이전트 장치는, 리모컨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또한 리모컨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출력한다. 여기서 매크로의 생성 제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매크로의 출력 제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에이전트 장치의 매크로 생성 제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에이전트 장치는 등록된 리모컨의 정보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리모컨의 정보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리모컨에 입력된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에이전트 장치는 리모컨에 입력된 정보가 수신(161)되면 수신된 정보가 직접 입력을 통한 매크로 작성 정보인지 판단(162)하고, 판단 결과 매크로 작성 정보이면 매크로 작성을 위한 매크로 작성 모드로 진입하고, 매크로 작성 모드 진입 후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163)하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매크로로 생성(164)한다.
이때 에이전트 장치는 리모컨(200)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검색한 후 검색된 매크로 리스트에 생성된 매크로를 추가하여 저장(165)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직접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이다.
만약, 에이전트 장치는 리모컨(200)에서 전송된 정보가 직접 입력을 통한 매크로 작성 정보가 아니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인지 판단(166)하고,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이면 수신된 동작 제어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전송하고, 또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제1저장부(140)에 저장(167)한다.
만약, 에이전트 장치와 전기기기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경우, 에이전트 장치는 전기기기에 직접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에이전트 장치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제1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는 매크로 생성을 위한 매크로 생성 모드로 진입하고,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된 수신 시점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168)한다.
아울러 매크로 생성 시 생성된 매크로의 제목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이전트 장치는 리모컨(200)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검색한 후 검색된 매크로 리스트에 생성된 매크로를 추가하여 저장(165)한다.
에이전트 장치는 검색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의 매크로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에이전트 장치는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의 매크로 정보와, 수신 시점의 환경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에이전트 장치는 각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 내에 입력 시점의 환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포함되어 있으면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에이전트 장치는 오후 7시에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검색한 후 검색된 매크로 리스트 내 복수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와 환경 정보인 오후 7시를 비교 분석하여 매크로 리스트 내 복수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 중 여름철 오후 3시의 환경 정보를 가진 매크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학습을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 에이전트 장치는 여름철 오후 3시에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검색한 후 검색된 매크로 리스트 내 복수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와 환경 정보인 여름철 오후 3시를 비교 분석하여 매크로 리스트 내 복수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 중 여름철 오후 3시의 환경 정보를 가진 매크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학습을 수행한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는 학습 결과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진 매크로가 존재하면 유사한 환경 정보를 기초로 하는 새로운 매크로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매크로1: 공기 조화기 오후 2시에 온, 매크로 2: 공기 조화기 오후 7시에 온, 매크로3: 텔레비전 오전 7시에 온, 매크로 4: 텔레비전 오후 7시에 온인 매크로 리스트가 존재할 때, 에이전트 장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환경 정보인 오후 7시란 정보를 가진 매크로 2와 매크로 4를 검색하고, 매크로 2와 매크로 4를 조합하여 새로운 매크로 5를 생성한다.
여기서 매크로 5는 오후 7시 공기 조화기 온, 텔레비전 온인 정보를 갖는다.
또한 에이전트 장치는 동일한 전기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동작 제어 정보를 하위 메뉴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매크로1: 공기 조화기 오후 2시에 온, 매크로 2: 공기 조화기 오후 7시에 온, 매크로3: 텔레비전 오전 7시에 온, 매크로 4: 텔레비전 오후 7시에 온인 매크로 리스트가 존재할 때, 매크로 5: 공기조화기-오후 2시 온, 오후 7시 온, 매크로 6: 텔레비전-오전 7시 온, 오후 7시 온의 정보를 가진 매크로 5 및 6을 생성한다.
여기서 공기조화기와 텔레비전이 온되는 시간은 공기조화기와 텔레비전의 하위 메뉴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리모컨(200) 또는 전기기기에서 제공 받거나,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직접 수집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직접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의 매크로 출력 제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에이전트 장치는 리모컨으로부터 온 신호 또는 매크로 출력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171)하고, 리모컨으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172)한다.
이때 사용자의 정보는 정보수집부(120)를 통해 수집하거나, 리모컨(200)으로부터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전기기기(300)로부터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제1표시부를 통해 표시(173)한다.
이때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부의 기기는 정보 표시가 가능한 기기이다.
아울러 에이전트 장치는 리모컨의 온 신호의 수신 시점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 중 추천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매크로를 선택한 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매크로를 추천 매크로 리스트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에이전트 장치는 오후 7시에 리모컨이 온되면 리모컨을 조작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검색한 후 검색된 매크로 리스트 내 복수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와 환경 정보인 오후 7시를 비교 분석하여 매크로 리스트 내 복수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 중 여름철 오후 3시의 환경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추천 매크로 리스트로 표시한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는 제1표시부에 표시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 매크로 중 어느 하나의 매크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174)하고, 이때 어느 하나의 매크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매크로가 가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175)하고, 또한 선택된 매크로를 저장(176)한다.
에이전트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매크로가 하위 메뉴를 포함하고 있으면, 선택된 매크로의 하위 메뉴를 표시한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전트 장치는 사용자 A가 오후 8시에 영상 감상을 주로 한다고 가정했을 때, 오후 8시경 사용자 A의 매크로 리스트를 제1표시부(150)에 표시한 것이다. 즉 에이전트 장치의 제1표시부(150)는 영상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매크로 리스트를 추천 매크로 리스트로 출력한다.
사용자 A에 의해 매크로 2가 선택된 경우, 에이전트 장치는 매크로 2의 하위 메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이때 매크로 2의 하위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제1표시부(150)의 표시 정보를 매크로 2의 하위 메뉴로 변경함으로써 제1표시부(150)에 매크로 2의 하위 메뉴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에이전트 장치는 매크로 2의 하위 메뉴 중 매크로 2-1의 하위 메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매크로 2-1에 하위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매크로 2-1의 하위 메뉴를 제1표시부에 표시한다.
만약 매크로 2-1에 하위 메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채널 7의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매크로 2-1의 동작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TV 및 셋탑 박스에 온 신호를 전송한 후 TV에 채널 7의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에이전트 장치는 TV를 통해 드라마 채널 7이 방송되도록 TV에 드라마 채널 7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에이전트 장치는 전기기기인 텔레비전으로부터 EPG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된 EPG 정보에 기초하여 드라마 채널을 검색한 후 검색된 드라마 채널을 사용자에게 추천 매크로 리스트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에이전트 장치는 선택된 매크로의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매크로 리스트의 표시 순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매크로의 선택 횟수가 많다는 것은, 사용자의 이용도가 높다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선택 횟수가 많은 매크로가 매크로 리스트의 상위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에이전트 장치는 매크로 리스트 표시 후 리모컨(200)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즉 사용자가 매크로를 선택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제1저장부(140)에 저장(177)한 후 수신된 동작 제어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전송(178)한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는 매크로 생성을 위한 매크로 생성 모드로 진입하고,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된 수신 시점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 정보,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 매크로의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179)하고 학습 결과에 따라 매크로를 생성(180)하고, 생성된 매크로를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181)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시스템의 구성도로, 에이전트 시스템은 에이전트 장치(400) 및 복수의 전기기기(3001-1, 300-2, 300-3)를 포함한다.
에이전트 장치(400)는 복수의 전기기기와 원격에 위치하고 복수의 전기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를 복수의 전기기기(3001-1, 300-2, 300-3)에 각각 전송한다.
에이전트 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한다.
에이전트 장치(400)는 매크로 리스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크로를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한다. 이때 매크로 리스트는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에이전트 장치(400)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매크로 리스트를 생성 및 저장하고,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한 후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매크로 리스트를 제공한다.
에이전트 장치(400)는 날짜, 시간, 날씨, 계절 등과 같은 환경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기초로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한 후 매크로 리스트에 생성된 매크로를 추가하여 저장한다.
에이전트 장치(400)는 입력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매크로가 선택되면 선택된 매크로가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전송한다.
이러한 에이전트 장치(400)는 입력부(410), 정보 수집부(420), 제어부(430), 저장부(440), 표시부(450) 및 통신부(460)를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430)에 전송한다.
이러한 입력부(410)에 복수의 전기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가 입력될 경우, 입력부(410)에는 복수의 전기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가 시간 차이를 두고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입력부(410)는 전기기기의 등록 시작 및 등록 종료를 지시하는 등록 버튼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입력부(410)는 신규 등록을 위한 전기기기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전기기기의 정보를 제어부(430)에 전송한다.
입력부(410)는 매크로 리스트 출력을 위한 출력 명령 버튼 및 매크로 선택 버튼을 포함하고, 출력 명령 버튼 및 매크로 선택 버튼을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복수 매크로의 제목을 각각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410)는 사용자로부터 매크로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정보 수집부(420)는 사용자별 매크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매크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는 입력부(410)나 전기기기에서 전송된 동작 제어 정보, 사용자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다.
정보 수집부(420)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와,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입력 정보 수집부와,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시점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사용자 정보 수집부, 입력 정보 수집부, 환경 정보 수집부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 정보, 사용자의 음성 정보, 사용자의 지문 정보,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환경 정보는 날씨, 온도, 습도, 계절, 시간, 날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430)는 신규 등록을 위한 전기기기와의 페어링을 제어하고, 또한 신규 등록을 위한 전기기기와의 페어링 정보가 저장부(440)에 저장되도록 한다.
제어부(430)는 정보 수집부(420)에서 수집된 사용자 정보와 저장부(44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매크로를 생성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에 생성된 매크로를 추가하여 새로운 매크로 리스트를 생성한다.
제어부(430)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데, 이때 동일한 환경 정보를 가진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매크로를 생성한다.
제어부(430)는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횟수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430)는 입력부(410)를 통해 매크로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의 환경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의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추천 매크로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어부(430)는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가 출력되도록 표시부(450) 또는 통신부(46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30)는 입력부(410)를 통해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가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매크로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정보 수집부(420)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는 학습부와, 학습부에서 학습된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매크로 생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학습부 및 매크로 생성부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부는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와,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정보와,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의 입력 시점의 환경 정보와,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를 비교 및 분석하여 학습한다.
매크로 생성부는 사용자별로 매크로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이때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매크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크로를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한다.
매크로 생성부는 동일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에서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진 매크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매크로를 새로운 매크로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동일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에서 동일한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매크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매크로를 새로운 매크로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크로 생성부는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로 구분지어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크로 생성부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추천 매크로로 생성하고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매크로를 추천 매크로 리스트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저장부(440)는 사용자별 매크로 리스트를 포함하고, 매크로가 새로 생성된 경우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에 새로 생성된 매크로를 포함시켜 저장한다. 즉, 저장부(440)는 새로운 매크로가 생성된 경우 기존의 매크로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매크로 리스트는 복수의 매크로를 포함하며, 각 매크로 정보는 사용자 정보,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및 환경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부(44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440)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의 얼굴 영상, 지문 영상, 음성,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저장부(440)는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 매크로의 제목을 각각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450)는 제어부(430)의 명령에 따라 매크로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때 매크로 리스트는 사용자별 매크로 리스트로 복수의 매크로를 포함하고, 각 매크로는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통신부(460)는 제어부(430)의 명령에 따라 동작 제어 정보를 전기기기에 전송하고, 또한 전기기기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410)는 전기기기의 버튼을 통해 전기기기에 직접 입력된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전기기기로부터 직접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전기기기(300: 3001-1, 300-2, 300-3)는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전송된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각 전기기기는 복수의 부하(미도시)를 포함하고 복수의 부하의 구동을 통해 정해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의 전기기기 중 표시 기능을 갖은 전기기기는, 에이전트 장치(400)에서 전송된 매크로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전기기기는 에이전트 장치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경우, 직접 수집한 사용자 정보 및 환경 정보를 에이전트 장치(4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전기기기에 마련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를 에이전트 장치(4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의 전기기기(300-1, 300-2, 300-3)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우선 에이전트 장치는 입력부(410)의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리모컨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를 제어 대상 기기로 등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에이전트 장치는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전기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기기를 동작 제어 정보를 제공할 제어 대상 기기로 등록 및 저장한다. 이 후, 에이전트 장치는 등록 버튼이 재 입력되면 제어 대상 기기의 등록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등록이 완료된 에이전트 장치는, 입력부(410)에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매크로의 생성 제어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매크로의 출력 제어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다른 실시예의 에이전트 장치의 매크로 생성 제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에이전트 장치는 입력부(410)로부터 정보를 입력(461)받고, 입력된 정보가 직접 입력을 통한 매크로 작성 정보인지 판단(462)하고, 판단 결과 매크로 작성 정보이면 매크로 작성을 위한 매크로 작성 모드로 진입하고, 매크로 작성 모드 진입 후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463)받으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매크로로 생성(664)한다.
이 경우, 복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복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시간 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입력받고, 매크로 작성 완료의 인식을 위해 완료 버튼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에이전트 장치는 정보 수집부(420)에서 수집된 사용자 정보와 저장부(44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검색한 후 검색된 매크로 리스트에 생성된 매크로를 추가하여 저장(465)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전기기기로부터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에이전트 장치는 입력부(410)에 입력된 정보가 직접 입력을 통한 매크로 작성 정보가 아니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인지 판단(466)하고,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이면 수신된 동작 제어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전송하고, 또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저장부(440)에 저장(467)한다.
만약, 에이전트 장치(400)와 전기기기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경우, 에이전트 장치(400)는 전기기기에 직접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에이전트 장치(40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는 매크로 생성을 위한 매크로 생성 모드로 진입하고,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된 수신 시점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468)한다.
이때 에이전트 장치는 입력부(410)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검색한 후 검색된 매크로 리스트에 생성된 매크로를 추가하여 저장(465)한다.
에이전트 장치는 검색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의 매크로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에이전트 장치는 저장부(440)에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의 매크로 정보와, 입력 시점의 환경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에이전트 장치는 각 매크로의 매크로 정보 내에 입력 시점의 환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포함되어 있으면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한다.
아울러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전기기기에서 제공 받거나, 정보 수집부(420)를 통해 직접 수집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의 매크로 출력 제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에이전트 장치(400)는 입력부(410)로부터 온 신호 또는 매크로 출력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471)하고, 입력부(410)로부터 온 신호 또는 매크로 출력 명령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472)한다.
이때 사용자의 정보는 정보수집부(420)를 통해 수집하거나, 전기기기로부터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는 저장부(44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표시부(450)를 통해 표시(773)한다.
이때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부의 기기는 정보 표시가 가능한 기기이다.
아울러 에이전트 장치는 입력부(410)에 신호가 입력된 입력 시점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 중 추천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매크로를 선택한 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매크로를 추천 매크로 리스트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는 표시부(450)에 표시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 매크로 중 어느 하나의 매크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474)하고, 이때 어느 하나의 매크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매크로가 가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475)하고, 또한 선택된 매크로를 저장(476)한다.
에이전트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매크로가 하위 메뉴를 포함하고 있으면, 선택된 매크로의 하위 메뉴를 표시한다.
아울러 에이전트 장치는 선택된 매크로의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매크로 리스트의 표시 순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에이전트 장치는 매크로 리스트 표시 후 입력부(410)로부터 선택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즉 사용자가 매크로를 선택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저장부(440)에 저장(477)한 후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전송(478)한다.
복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할 경우, 순차적 전송 및 동시 전송 모두 가능하다.
다음 에이전트 장치는 매크로 생성을 위한 매크로 생성 모드로 진입하고,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된 수신 시점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 정보,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 내의 복수 매크로의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479)하고 학습 결과에 따라 매크로를 생성(480)하고, 생성된 매크로를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481)한다.
100: 본체 110: 표시부
120: 베젤 130, 150, 180: 구동 모듈
200: 수집 모듈

Claims (40)

  1. 적어도 하나의 리모컨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 사이에서 동작 제어 정보를 중계하는 에이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크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및 상기 생성된 매크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매크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매크로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에이전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미리 저장된 매크로와 상기 생성된 매크로를 매크로 리스트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기초로 학습하여 새로운 매크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새로운 매크로를 상기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에 추가 저장을 제어하는 에이전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의 신호가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을 지시하는 신호이면 상기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에이전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을 통해 상기 매크로 리스트 내 어느 하나의 매크로가 선택되면면 선택된 매크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정보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에이전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매크로와 상기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를 기초로 학습하여 상기 매크로 리스트의 표시 순위를 조정하는 에이전트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매크로 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에이전트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리모컨에서 전송된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매크로 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에이전트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에이전트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리모컨에서 전송된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에이전트 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매크로 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에이전트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에이전트 장치.
  14.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 및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상기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매크로를 가진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 및 상기 매크로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매크로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에이전트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매크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매크로 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에이전트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환경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에이전트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 리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에이전트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서 전송된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에이전트 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매크로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에이전트 장치.
  22.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전기기기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제어 정보 및 매크로 리스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정보가 동작 제어 정보이면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정보가 매크로 리스트이면 매크로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매크로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기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정보가 동작 제어 정보이면 상기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전기기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정보가 동작 제어 정보이면 상기 환경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전기기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제어 정보는 리모컨에 입력된 정보인 전기기기.
  26.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크로를 매크로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를 출력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리모컨에서 전송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 정보와 미리 저장된 매크로 리스트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은,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얼굴 영상, 음성, 지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은,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를 학습하여 매크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시간, 날짜, 날씨 및 계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34.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은,
    외부 기기에서 출력되도록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35.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은,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36.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은,
    매크로 리스트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매크로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3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매크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매크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매크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매크로가 선택되면 선택된 매크로의 하위 메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의 하위 메뉴가 존재하면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39. 제 26 항에 있어서,
    신규 전기기기가 등록되면 등록된 신규 전기기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40. 제 26 항에 있어서,
    매크로가 직접 입력되면 입력된 매크로를 상기 매크로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에이전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20121762A 2012-10-31 2012-10-31 에이전트 장치, 전기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4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762A KR101942839B1 (ko) 2012-10-31 2012-10-31 에이전트 장치, 전기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EP13190420.3A EP2728854B1 (en) 2012-10-31 2013-10-28 Ag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gent apparatus
ES13190420.3T ES2693285T3 (es) 2012-10-31 2013-10-28 Aparato de agente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aparato de agente
EP18180227.3A EP3402182A1 (en) 2012-10-31 2013-10-28 Agent apparatus,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gent apparatus
US14/065,983 US9390618B2 (en) 2012-10-31 2013-10-29 Agent apparatus,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gent apparatus
PCT/KR2013/009705 WO2014069885A1 (en) 2012-10-31 2013-10-30 Agent apparatus,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gent apparatus
CN201310532924.1A CN103796054A (zh) 2012-10-31 2013-10-31 代理设备、电子设备以及控制代理设备的方法
JP2013226745A JP6639071B2 (ja) 2012-10-31 2013-10-31 エージェント装置、電気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15/183,038 US10204510B2 (en) 2012-10-31 2016-06-15 Agent apparatus,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gent apparatus
US16/256,282 US10803735B2 (en) 2012-10-31 2019-01-24 Agent apparatus,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g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762A KR101942839B1 (ko) 2012-10-31 2012-10-31 에이전트 장치, 전기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239A true KR20140055239A (ko) 2014-05-09
KR101942839B1 KR101942839B1 (ko) 2019-01-29

Family

ID=4955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762A KR101942839B1 (ko) 2012-10-31 2012-10-31 에이전트 장치, 전기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390618B2 (ko)
EP (2) EP2728854B1 (ko)
JP (1) JP6639071B2 (ko)
KR (1) KR101942839B1 (ko)
CN (1) CN103796054A (ko)
ES (1) ES2693285T3 (ko)
WO (1) WO20140698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87B1 (ko) * 2014-11-19 2016-03-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금 기반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한 기기 컨트롤 장치 및 그 방법
KR102042690B1 (ko) * 2018-05-30 2019-11-27 (주)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기기 자동 제어를 위한 엣지-클라우드 시스템
KR102203804B1 (ko) * 2019-09-16 2021-01-15 주식회사 오성전자 사용자 인식을 이용한 통합 리모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4481A1 (en) * 2014-12-02 2016-06-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Intelligent illumination of controllers
US9525707B2 (en) * 2014-12-23 2016-12-20 Mcafee, Inc. Incident response tool using a data exchange layer system
JP6458672B2 (ja) * 2015-07-24 2019-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996069B2 (en) * 2015-11-06 2018-06-12 Logitech, Inc. Program generation for a universal control system
KR102409903B1 (ko) * 2015-12-09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5719451B (zh) * 2016-01-20 2020-12-11 深圳市润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交互方法
JP6751896B2 (ja) * 2016-05-19 2020-09-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制御方法
KR20170143406A (ko) * 2016-06-21 2017-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컨신호를 수신하고 변환된 리모컨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357319A (zh) * 2016-10-21 2017-01-25 佛山市禅城区盛晖电子厂 一种单向无线遥控信号中继系统
KR20190088532A (ko) * 2016-12-01 2019-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 시스템
CN109003434B (zh) * 2017-06-07 2021-08-31 北京中天鼎盛视讯科技有限公司 红外遥控系统及方法
JP6763352B2 (ja) * 2017-07-05 2020-09-30 Smk株式会社 機器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10795466B1 (en) * 2018-05-08 2020-10-06 Elysian Labs,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programmable buttons
CN111866566B (zh) * 2019-04-25 2022-06-1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显示系统和图像显示系统的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1414A1 (en) * 2004-01-08 200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macro of remote control
US20060187079A1 (en) * 2002-05-30 2006-08-24 X10 Wireles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macro routines in a remote control
EP1727107B1 (en) * 2005-05-24 2008-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US20100156694A1 (en) * 2008-12-23 2010-06-24 X-10 Lt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acro routines in a remote control
KR20120099857A (ko) * 2011-03-02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992A (en) * 1987-05-08 1989-02-28 Rca Licensing Corporation Component audio/video system with automatic turn-off of peripheral devices
US6239718B1 (en) * 1996-02-23 2001-05-29 Kabushiki Kaisha Kenwood Learning-by-example programmable remote control system
US6067478A (en) * 1996-10-29 2000-05-2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ontrol system with macro creation based on recording responses
CN1117462C (zh) * 1997-06-25 2003-08-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家庭网络自动树生成的装置和方法
JP2000287388A (ja) * 1999-03-31 2000-10-13 Hitachi Ltd グラフイック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6690392B1 (en) * 1999-07-15 2004-02-10 Gateway, Inc. Method system software and signal for automatic generation of macro commands
JP4543513B2 (ja) * 2000-07-1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双方向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ベース装置および双方向通信方法
US20030046698A1 (en) * 2001-06-11 2003-03-06 Yakov Kam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ducting a TV EPG search in various search time periods
US20020194596A1 (en) * 2001-06-18 2002-12-19 Srivastava Gopal K. Control of multiple AV-devices by a single master controller using infrared transmitted commands and bus transmitted commands
US6792323B2 (en) * 2002-06-27 2004-09-14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US7005979B2 (en) * 2003-06-25 2006-02-2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mote control transmissions
KR100606760B1 (ko) * 2003-07-07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예약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131272B2 (en) * 2003-11-04 2015-09-0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nd recalling state data for media and home appliances
US7155305B2 (en) * 2003-11-04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050110652A1 (en) * 2003-11-20 2005-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delivering an atomic remote control macro
US7626641B1 (en) * 2004-04-29 2009-12-01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implified power scan for remote control
JP2006211541A (ja) * 2005-01-31 2006-08-10 Osaka Prefecture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7907222B2 (en) * 2005-09-08 2011-03-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setup of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8678928B2 (en) * 2005-10-31 2014-03-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deliver video games
US20070101381A1 (en) * 2005-11-02 2007-05-03 Alcatel IP remote
US7716637B2 (en) * 2005-12-15 2010-05-11 Microsoft Corporation Embedded macros
KR20080066379A (ko) * 2007-01-12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외부기기 제어방법
KR101504115B1 (ko) * 2007-03-12 2015-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매크로 명령 동작 장치와 매크로 명령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382504B1 (ko) * 2007-05-21 2014-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매크로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90026535A (ko) * 2007-09-10 2009-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시스템과 그의 소프트웨어업그레이드 방법
US9503562B2 (en) * 2008-03-19 2016-11-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personal communication or entertainment device
EP2279504A4 (en) * 2008-05-08 2013-12-18 Robert P Stratto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098337B2 (en) * 2008-09-30 2012-01-17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JP2010109446A (ja) * 2008-10-28 2010-05-13 Sony Corp 制御装置、電子機器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EP2487662B1 (en) * 2009-03-17 2013-07-24 Onkyo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US8704958B2 (en) * 2009-06-01 2014-04-22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00135145A (ko) * 2009-06-16 201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WO2011027957A1 (en) * 2009-09-01 2011-03-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US8410971B2 (en) * 2009-10-13 2013-04-02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by a display device
US9055256B2 (en) * 2009-10-13 2015-06-09 Sony Corporation On screen programming of universal remote control features
KR20110051734A (ko) * 2009-11-11 2011-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문스캐너를 갖춘 셋탑박스를 이용한 인터넷 tv의 시청제한, 개인 맞춤형 광고 및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418217B2 (ja) * 2009-12-25 2014-02-19 ソニー株式会社 プログラム利用システム、プログラム利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39405A (ja) * 2010-01-04 2011-07-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制御対象機器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3414952A (zh) 2010-03-26 2013-11-27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控制装置、电视接收机、显示装置的控制方法、程序及记录介质
US9294800B2 (en) * 2010-05-10 2016-03-2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Intelligent remote control
KR101699736B1 (ko) * 2010-06-17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8922334B2 (en) * 2010-07-12 2014-12-30 Echostar Technologies L.L.C. Assisted remote control macros
WO2012036475A2 (ko) * 2010-09-17 2012-03-22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시스템
KR20120139475A (ko) * 2011-06-17 2012-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의 세팅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582656B2 (en) 2011-09-12 2017-02-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for validating hardware devices
US20130067326A1 (en) * 2011-09-14 2013-03-14 Eldon Technology Limited Associating Macro User Input Events with Cont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7079A1 (en) * 2002-05-30 2006-08-24 X10 Wireles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macro routines in a remote control
US20050231414A1 (en) * 2004-01-08 200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macro of remote control
EP1727107B1 (en) * 2005-05-24 2008-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US20100156694A1 (en) * 2008-12-23 2010-06-24 X-10 Lt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acro routines in a remote control
KR20120099857A (ko) * 2011-03-02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87B1 (ko) * 2014-11-19 2016-03-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금 기반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한 기기 컨트롤 장치 및 그 방법
KR102042690B1 (ko) * 2018-05-30 2019-11-27 (주)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기기 자동 제어를 위한 엣지-클라우드 시스템
KR102203804B1 (ko) * 2019-09-16 2021-01-15 주식회사 오성전자 사용자 인식을 이용한 통합 리모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56660A1 (en) 2019-05-23
JP6639071B2 (ja) 2020-02-05
US20140118122A1 (en) 2014-05-01
EP3402182A1 (en) 2018-11-14
EP2728854A2 (en) 2014-05-07
CN103796054A (zh) 2014-05-14
ES2693285T3 (es) 2018-12-10
US20160300481A1 (en) 2016-10-13
KR101942839B1 (ko) 2019-01-29
US9390618B2 (en) 2016-07-12
JP2014093783A (ja) 2014-05-19
US10204510B2 (en) 2019-02-12
WO2014069885A1 (en) 2014-05-08
EP2728854B1 (en) 2018-08-01
US10803735B2 (en) 2020-10-13
EP2728854A3 (en)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839B1 (ko) 에이전트 장치, 전기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2668593B (zh) 遥控系统、遥控设备以及遥控方法
US20060176188A1 (en) Method for recognizing control command and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US200500338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umerous slave devices in an integrated manner
CN102098461A (zh) 一种遥控系统及其遥控方法
KR101509493B1 (ko) Ip 셋톱박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90289243A1 (en) Signal command translation
KR100778757B1 (ko) 동작인식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별 맞춤형 스마트 텔레비젼장치 및 방법
KR20110019894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20005315A (ko) 가전기기 통합 제어시스템
JP200711648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電気機器の遠隔操作方法
CN101127823A (zh) 多个遥控器的控制装置及其方法
EP4016525A1 (en) Display devi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capable of controlling home appliance through user's voice
KR20160133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4088759A (ja) 制御機器、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対象機器の登録方法
RU53797U1 (ru) Система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KR100533676B1 (ko) 다수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09212A (ko) 티브이의 채널선택방법
JP2005269372A (ja) リモコン信号変換装置及びリモコン装置
KR101175364B1 (ko) 텔레비젼의 리모콘 학습 제어방법과 학습 제어장치
WO2016006087A1 (ja) 制御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58920A1 (en) Display devi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which can control home appliance through user voice
EP4027334A1 (en) Display apparatus
JP2016010051A (ja) 情報設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収集システム
CN105120330A (zh) 电视频道切换方法及电视频道切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