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731A -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731A
KR20140054731A KR1020120120581A KR20120120581A KR20140054731A KR 20140054731 A KR20140054731 A KR 20140054731A KR 1020120120581 A KR1020120120581 A KR 1020120120581A KR 20120120581 A KR20120120581 A KR 20120120581A KR 20140054731 A KR20140054731 A KR 20140054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ode
delivery
memory
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973B1 (ko
Inventor
정윤원
김영한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주)텔레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주)텔레필드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9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06F13/1673Details of memory controller using buff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메시지별로 계산된 메시지 통합 전달 횟수를 기초로 메모리에서 삭제할 메시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별로 계산된 메시지 통합 전달 횟수를 기초로 메모리에서 삭제할 메시지를 결정하여 삭제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아직 많이 확산되지 않은 메시지는 버퍼 메모리에 남겨 두고 네트워크에 이미 충분히 확산된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제거하여 전체적인 메시지 전달율을 높이고자 하는 메모리 버퍼 관리의 기본 요구사항을 더 우수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mory management in delay tolerant network}
본 발명은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노드와 수신노드 간의 연결이 보장되지 않은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메시지를 저장할 만큼 메모리의 양이 충분치 않으면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삭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신노드와 수신노드 간의 연결이 보장되지 않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Delay Tolerant Network : DT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DTN에서는 종단 간 연결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미리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 라우팅을 수행하는 기존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적합하지 않으며, Store-Carry-Forward 기반의 새로운 라우팅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DTN에서 각 노드는 전송할 메시지를 버퍼에 저장하고 다른 노드를 만나면 저장된 메시지를 포워딩하는 방식에 의해 최종 목적지까지 메시지를 전달한다.
DTN 라우팅 프로토콜은 변화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환경에서 적용되는 Deterministic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정보를 미리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 적용되는 Dynamic 프로토콜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일반적인 환경에 적용되는 Dynamic 프로토콜에는 플러딩 방식에 기반한 Epidemic 프로토콜, 각 노드의 누적된 접촉 정보를 이용한 확률적인 전송을 수행하는 PRoPHET 프로토콜 및 메시지의 복사본에 여분이 있어 재전송을 수행하는 Spray 단계와 복사본을 모두 사용하여 목적지 노드를 만날 때까지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Wait 단계로 구성된 Spray and Wait 프로토콜 등이 있다.
PRoPHET(Probabilistic Routing Protocol using History of Encounters and Transitivity) 프로토콜은 노드들이 랜덤하게 이동하기보다는 이전의 이동 패턴에 기반하여 자주 방문한 위치는 더 자주 방문한다는 특성을 기반으로 한다. PRoPHET 프로토콜은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각 노드 a에서 모든 목적지 노드 b에 대하여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는 전달 가능성(delivery predictability) P(a, b)를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이전에 저장된 전달 가능성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는 초기 확률값을 나타낸다.
노드 a와 노드 b가 오랜 시간 접촉하지 않으면 노드 a와 노드 b 사의의 전달 가능성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a가 노드 b를 자주 접촉하고 노드 b가 노드 c를 자주 접촉하면, 노드 a와 노드 c는 자주 접촉할 확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드 a와 노드 c 사이의 전달 가능성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Figure pat00005
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는 스케일링 팩터(scaling factor)를 나타낸다.
PRoPHET 프로토콜에서 두 노드는 접촉 시 서머리 벡터(summary vector)를 교환하는 데, 이때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전달 가능성도 교환한다. 각 노드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달 가능성을 갱신하고, 더 큰 전달 가능성을 가지는 노드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PRoPHET 프로토콜에서 노드는 제한된 버퍼 메모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퍼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일부 메시지를 삭제하여야 한다. PRoPHET 프로토콜에서는 메시지를 삭제하는 다양한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는 FIFO 방식으로서, 버퍼 메모리에 가장 오래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MOFO 방식으로서, 각 노드는 메시지가 다른 노드에게 전달된 횟수를 관리하고 이 값이 가장 큰 메시지부터 우선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FIFO 방식은 메시지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버퍼 메모리에 가장 오래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제거하여 메시지의 전달율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MOFO 방식은 각 노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관리되는 각 메시지의 전달 횟수는 동일한 메시지라 할지라도 노드마다 편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어, 네트워크 전체적인 관점에서 가장 많이 확산된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전체적인 메시지 전달율을 최대화하고자 하는 버퍼 메로리 관리의 기본 요구사항을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2-009709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9. 3. 특허문헌 1은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DTN 라우팅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큐 안에 전송할 메시지가 존재한 소스 노드에서 다른 접촉 노드와 접촉되는지를 확인하고, 접촉 노드와 접촉 시 메시지의 목적지 클러스터를 비교하여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며, 클러스터 비교에 따른 포워딩 결정 여부에 따라 메시지 복사 또는 포워딩을 제어하고, 큐에 저장된 메시지를 목적지 노드로 전송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KR 10-1006260 (IBM) 2010. 12. 29. 특허문헌 2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의 오프로드에서 메모리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2에는 임의 개수의 속성에 기초하여 특정 접속체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는 DMA 버퍼의 그룹화를 허용하고,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도 있도록 DMA 요청을 지연시키는 부분 송신 및 수신 버퍼 동작 및 호스트 시스템으로의 데이터의 신속한 전송을 허용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시지별로 계산된 메시지 통합 전달 횟수를 기초로 메모리에서 삭제할 메시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메시지별로 계산된 메시지 통합 전달 횟수를 기초로 메모리에서 삭제할 메시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는,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노드에 구비되어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를 상기 수신노드와 상이한 전달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상기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전송받고,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정보 교환부; 및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획득하고,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기초로 상기 메모리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방법은,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노드에 구비되어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를 상기 수신노드와 상이한 전달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상기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전송받고,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획득하고,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기초로 상기 메모리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메시지별로 계산된 메시지 통합 전달 횟수를 기초로 메모리에서 삭제할 메시지를 결정하여 삭제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아직 많이 확산되지 않은 메시지는 버퍼 메모리에 남겨 두고 네트워크에 이미 충분히 확산된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제거하여 전체적인 메시지 전달율을 높이고자 하는 메모리 버퍼 관리의 기본 요구사항을 더 우수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100)(이하 '메모리 관리 장치'라 함)는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노드에 구비되며, 수신노드로 전송할 메시지를 수신노드와 상이한 전달노드로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메시지가 수신노드에 도달하도록 한다.
또한, 메모리 관리 장치(100)는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메모리 관리 장치(100)는 메모리의 양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없을 만큼 충분치 않으면 메시지별로 계산된 메시지 통합 전달 횟수를 기초로 메모리에서 삭제할 메시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는 PRoPHET(Probabilistic Routing Protocol using History of Encounters and Transitivity) 프토토콜로 동작한다. PRoPHET 프로토콜에서 노드는 제한된 버퍼 메모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퍼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일부 메시지를 삭제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버퍼 메모리가 부족하여 메시지를 삭제하여야 하는 경우 어떤 메시지를 버퍼 메모리에서 삭제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 관리 장치(100)는 저장부(110), 정보 교환부(130), 제어부(150) 및 전송부(170)를 구비한다.
저장부(110)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메모리 관리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나 메모리 관리 장치(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예컨대, 저장부(110)는 메시지,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 등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정보 교환부(130)는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전달노드와 교환한다. 즉, 정보 교환부(130)는 전달노드로부터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전송받고,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전달노드로 전송한다.
여기서,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는 노드별 메시지의 전달 횟수로 구성된다. 예컨대, 메시지 m에 대한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노드 식별 정보(Node ID)

메시지 전송 횟수

N-ID-1

NF(M-ID-m, N-ID-1)

N-ID-2

NF(M-ID-m, N-ID-2)




N-ID-n

NF(M-ID-m, N-ID-n)
여기서, N-ID-n은 노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나타낸다. M-ID-m은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나타낸다. NF(M-ID-m, N-ID-n)은 노드 식별 정보가 N-ID-n인 노드에서 메시지 식별 정보가 M-ID-m인 메시지가 다른 노드로 전달된 횟수를 나타내고, 메시지가 1회 전달될 때 마다 1씩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관리 장치(100)가 구비된 송신노드에서는 메모리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메모리에서 삭제할 메모리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노드를의 메시지 전달 횟수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정보 교환부(130)는 전달노드에 대하여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의 제공을 요청한다. 또한, 정보 교환부(130)는 전달노드로부터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전달노드에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관리 장치(100)가 각 노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노드는 다른 노드와 접촉하는 경우에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교환한 후, 특정 노드로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 경우에는 제공받은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기초로 하여 메모리에서 삭제할 메시지를 결정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정보 교환부(130)를 통해 전송받은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비교하여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즉, 제어부(150)는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 양쪽에 동일한 노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면, 메시지 전송 횟수가 큰 값으로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획득하고, 메시지 통합 횟수를 기초로 메모리에서 메시지를 삭제한다.
즉, 제어부(150)는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메시지별로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계산한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SNF(M-ID-m)는 메시지 식별 정보가 M-ID-m인 메시지의 전달 통합 횟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가 가장 큰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예컨대, 메모리에 메시지 a, 메시지 b 및 메시지 c가 저장되어 있고, 메시지 a, b 및 c 각각의 전달 통합 횟수가 4, 8 및 3이라고 하면,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가 가장 큰 메시지 b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메모리의 양이 새로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없을 만큼 충분치 않은 경우에 메모리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메모리의 양이 새로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면, 제어부(150)는 전송부(170)를 통해 새로운 메시지를 전달노드로 전송하고 새로운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달노드와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교환하고,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전송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를 전달노드로 전송한다. 이후, 전달노드에서도 메모리의 양이 충분치 않으면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기초로 산출된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기초로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삭제하여 최종 목적지인 수신노드까지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메모리 관리 장치(100)는 전달노드와의 연결을 감지한다(S210).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메모리 관리 장치(100)는 전달노드와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교환한다(S220).
그리고, 새로운 메시지를 저장할 만큼 메모리의 양이 충분치 않으면(S230-N), 메모리 관리 장치(100)는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로부터 획득한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기초로 메모리에서 메시지를 삭제한다(S240). 즉, 메모리 관리 장치(100)는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메시지별로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계산하고, 전달 통합 횟수가 가장 큰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이에 반면, 새로운 메시지를 저장할 만큼 메모리의 양이 충분하면(S230-Y), 메모리 관리 장치(100)는 새로운 메시지를 전달노드로 전송하고 새로운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250). 그리고, 메모리 관리 장치(100)는 전달노드와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교환하고(S260),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S270).
이와 같이, 메시지별로 계산된 메시지 통합 전달 횟수를 기초로 메모리에서 삭제할 메시지를 결정하여 삭제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아직 많이 확산되지 않은 메시지는 버퍼 메모리에 남겨 두고 네트워크에 이미 충분히 확산된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제거하여 전체적인 메시지 전달율을 높이고자 하는 메모리 버퍼 관리의 기본 요구사항을 더 우수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PRoPHET 프로토콜이 적용된 지연 허용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복수의 메시지 복사본을 통해 목적지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모든 지연 허용 네트워크 라우팅 기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롬(ROM), 램(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110 : 저장부,
130 : 정보 교환부,
150 : 제어부,
170 : 전송부

Claims (7)

  1.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노드에 구비되어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를 상기 수신노드와 상이한 전달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상기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전송받고,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정보 교환부; 및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획득하고,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기초로 상기 메모리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메시지별로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계산하고,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가 가장 큰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메시지를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의 양이 새로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없을 만큼 충분치 않으면 상기 메모리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메모리의 양이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면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4.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노드에 구비되어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를 상기 수신노드와 상이한 전달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상기 전달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전송받고,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획득하고,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기초로 상기 메모리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삭제 단계에서,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와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메시지별로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를 계산하고, 메시지 전달 통합 횟수가 가장 큰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삭제 단계는 상기 메모리의 양이 새로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없을 만큼 충분치 않으면 수행되며,
    상기 메모리의 양이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면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노드의 메시지 전달 횟수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방법.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20120581A 2012-10-29 2012-10-29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414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581A KR101414973B1 (ko) 2012-10-29 2012-10-29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581A KR101414973B1 (ko) 2012-10-29 2012-10-29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731A true KR20140054731A (ko) 2014-05-09
KR101414973B1 KR101414973B1 (ko) 2014-07-04

Family

ID=5088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581A KR101414973B1 (ko) 2012-10-29 2012-10-29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124B1 (ko) * 2020-10-26 2022-04-15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 기반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전달 우선순위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18B1 (ko) * 2010-10-29 2012-11-06 (주) 엠엠씨 테크놀로지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124B1 (ko) * 2020-10-26 2022-04-15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 기반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전달 우선순위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973B1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2597B2 (ja) 情報共有システム
CN111886835B (zh) 网状网络中的消息高速缓存管理
JP6183536B2 (ja) Disruption/Delay/Disconnect Tolerant Networkで利用されるノード装置及び通信方法
KR101546759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메시지 복사 횟수에 기반한 메시지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120045349A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JP691553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同期制御方法
CN102752799A (zh) 容迟网络路由方法、设备及系统
JP7097427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KR101991716B1 (ko) 지연 감내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컨텐츠 기반 정보 중심 네트워크를 위한 기회적 포워딩 방법 및 장치
KR101414973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81510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정보 중심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혼잡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KR101341345B1 (ko)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JP2016189132A (ja) コンテンツ取得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JP2009055511A (ja) 移動端末を媒体としてデータを転送する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移動端末位置管理方法、中継移動端末、中継固定局及びプログラム
JP6682342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端末装置
KR101422516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컨텐트 공유 서비스의 트래픽 부하 관리기능을 구비한 노드 장치 및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JP5780601B2 (ja)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143510B1 (ko) 통신 인프라를 이용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534526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노드 밀도에 기반한 메시지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US9842481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llect device information published in past times via a network of gateways
KR100928295B1 (ko) 모바일(mobile)P2P(Peer―to―Peer)애드혹(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콘텐츠 정보를방송하는 단말 및 콘텐츠 정보의 분배 방법
JP6345560B2 (ja) 通信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200364B2 (ja)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12164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5991544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無線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