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345B1 -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345B1
KR101341345B1 KR1020120108838A KR20120108838A KR101341345B1 KR 101341345 B1 KR101341345 B1 KR 101341345B1 KR 1020120108838 A KR1020120108838 A KR 1020120108838A KR 20120108838 A KR20120108838 A KR 20120108838A KR 101341345 B1 KR101341345 B1 KR 101341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ransmission
node
packet
probability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원
김영한
Original Assignee
(주)텔레필드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텔레필드,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텔레필드
Priority to KR102012010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메시지 분류부는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한 기준에 따라 소정의 패킷으로 분류한다. 전달확률 수정부는 메시지가 분류된 결과에 따라, 송신 노드에서 목적 노드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1전달확률 값을 수정한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한다. 메시지 전송부는 목적 노드와 상이한 수신 노드에서 목적 노드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2전달확률 값과 수정 전달확률 값을 비교하여, 사전에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시지를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PRoPHET 프로토콜에서 목적 노드와의 접촉 정보를 기반으로 정의된 전달 가능성(delivery predictability) 뿐만 아니라 패킷의 특성도 고려하게 되어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ssage transmission in delay tolerant networ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acket}
본 발명은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빨리 전달되어야 하는 패킷과 신뢰성 있게 전달되어야 하는 패킷을 구분하고 각각의 패킷에 적합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신 노드와 착신 노드 간의 연결이 보장되지 않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Delay Tolerant Network : DT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DTN에서는 종단 간 연결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미리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 라우팅을 수행하는 기존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적합하지 않으며, Store-Carry-Forward 기반의 새로운 라우팅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즉, DTN에서 각 노드는 전송할 메시지를 버퍼에 저장하고 다른 노드를 만나면 저장된 메시지를 포워딩하는 방식으로 최종 목적지까지 메시지를 전달한다.
DTN 라우팅 프로토콜은 변화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환경에서 적용되는 Deterministic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정보를 미리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 적용되는 Dynamic 프로토콜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일반적인 환경에 적용되는 Dynamic 프로토콜에는 플러딩 방식에 기반한 Epidemic 프로토콜과 각 노드의 누적된 접촉 정보를 이용한 확률적인 전송을 수행하는 PRoPHET(Probabilistic Routing Protocol using History of Encounters and Transitivity) 프로토콜 등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개된 선행문헌 Probabilistic Routing Protocol for Intermittently Connected Networks(A. Lindgren, 2012)에서는 PRoPHET 프로토콜에서 목적 노드와의 접촉 정보를 기반으로 전달 가능성(delivery predictability)을 정의하고, 두 노드의 접촉시 기본적으로 더 큰 전달 가능성을 가지는 노드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GRTR, GTMX, GTHR, GRTR+, GTMX+, GRTRSort 및 GRTRMax 기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PRoPHET 프로토콜은 모든 패킷을 동일한 전달 기법에 의해 처리하기 때문에 각 패킷의 특성에 맞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없다. 즉, 패킷의 특성상 빨리 전달되어야 하는 패킷(Q패킷)과 신뢰성 있게 전달되어야 하는 패킷(R패킷)이 있을 수 있으나 이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없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개된 선행문헌 Me'lang: Supporting Heterogeneous QoS Requirements in Delay Tolerant Sensor Network(H. Liu, 2010)에서는 모든 노드에게 p의 확률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Epidemic 프로토콜에서, 빨리 전달되어야 하는 Q패킷에 대해서는 높은 p값을 사용하고 신뢰성 있게 전달되어야 하는 R패킷에 대해서는 낮은 p값을 사용하여 각 패킷의 특성에 맞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Epidemic 프로토콜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접촉시 서로 가지고 있는 메시지의 인덱스 정보를 교환하여, 상대방이 보유하지 않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접촉하는 모든 노드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메시지 전달 성공률은 높으나 부하가 심하고 무선 접속 충돌의 확률 증가로 인해 패킷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PRoPHET 프로토콜에서 빨리 전달되어야 하는 패킷과 신뢰성 있게 전달되어야 하는 패킷을 구분하고, 각각의 패킷에 적합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PRoPHET 프로토콜에서 빨리 전달되어야 하는 패킷과 신뢰성 있게 전달되어야 하는 패킷을 구분하고, 각각의 패킷에 적합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메시지 전송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는,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 노드로부터 목적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전송장치로, 상기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한 기준에 따라 소정의 패킷으로 분류하는 메시지 분류부; 상기 메시지가 분류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 노드에서 상기 목적 노드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1전달확률 값을 수정한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하는 전달확률 수정부; 및 상기 목적 노드와 상이한 수신 노드에서 상기 목적 노드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2전달확률 값과 상기 수정 전달확률 값을 비교하여, 사전에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수신 노드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은,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 노드로부터 목적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으로, 상기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한 기준에 따라 소정의 패킷으로 분류하는 메시지 분류단계; 상기 메시지가 분류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 노드에서 상기 목적 노드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1전달확률 값을 수정한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하는 전달확률 수정단계; 및 상기 목적 노드와 상이한 수신 노드에서 상기 목적 노드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2전달확률 값과 상기 수정 전달확률 값을 비교하여, 사전에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수신 노드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PRoPHET 프로토콜에서 목적 노드와의 접촉 정보를 기반으로 정의된 전달 가능성(delivery predictability) 뿐만 아니라 패킷의 특성도 고려하게 되어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전달확률 수정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은 지연 허용 네트워크(Delay Tolerant Network : DTN)에서의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인 PRoPHET(Probabilistic Routing Protocol using History of Encounters and Transitivity) 프로토콜을 패킷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한 것인바, 기존의 PRoPHET 프로토콜을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PRoPHET 프로토콜은 노드들의 이전 이동 패턴을 기초로 각각의 노드는 통계적으로 자주 이동한 위치로 더 자주 이동하게 된다는 특성에 기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드 A에서 노드 B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확률 값인 전달 가능성(delivery predictability), 즉 전달확률을 정의하고 이는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12079493672-pat00001
여기서, P(A,B)는 노드 A에서 노드 B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 P(A,B)old는 P(A,B) 이전에 저장된 전달확률, Pinit는 초기 확률 값을 나타낸다. 각각의 값은 확률 값이므로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또한 노드 A가 노드 B와 자주 접촉하고 노드 B가 노드 C를 자주 접촉하면, 노드 A와 노드 C가 접촉할 확률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노드 A와 노드 C 간의 전달확률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은 관계를 가진다.
Figure 112012079493672-pat00002
여기서, P(A,C)는 노드 A에서 노드 C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 P(A,C)old는 P(A,C) 이전에 저장된 전달확률, P(B,C)는 노드 B에서 노드 C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 β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는 스케일링 팩터(scaling factor)를 나타낸다. 또한 각각의 전달확률 값은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한편, PRoPHET 프로토콜에서 두 노드가 접촉되면 Epidemic 프로토콜과 유사하게 서머리 벡터(summary vector)를 교환한다. 이때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전달확률도 교환된다. 각 노드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전달확률을 갱신하고 목적 노드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자신의 전달확률보다 더 큰 전달확률을 가지는 노드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PRoPHET 프로토콜에서 송신 노드 A는 목적 노드 D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목적 노드 D와 상이한 수신 노드 B와 접촉시, 7가지 메시지 전달 방식(GRTR, GTMX, GTHR, GRTR+, GTMX+, GRTRSort 및 GRTRMax)에 의해 수신 노드 B로의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대표적인 전달 방식인 GRTR은 다음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경우 송신 노드 A에서 수신 노드 B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Figure 112012079493672-pat00003
여기서, P(B,D)는 수신 노드 B에서 목적 노드 D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 P(A,D)는 송신 노드 A에서 목적 노드 D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을 나타낸다.
한편, 송신 노드 A는 메시지를 수신 노드 B로 전송한 후에도 버퍼에 충분한 메모리가 있는 한 자신의 버퍼에서 메시지를 삭제하지 않는다. 이는 송신 노드 A가 더 높은 전달확률 값을 가지는 다른 노드나 목적 노드 D와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바를 요약하면, PRoPHET 프로토콜에서는 송신 노드로부터 목적 노드로 메시지가 전송되는 전달확률 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여부 및 속도가 결정된다. 즉, 목적 노드로의 전달확률 값이 작은 송신 노드는 자신과 접촉하는 다른 수신 노드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확률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메시지의 전송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반면, 목적 노드로의 전달확률 값이 큰 송신 노드는 자신과 접촉하는 다른 수신 노드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확률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정확하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나 메시지의 전송 속도는 느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PRoPHET 프로토콜에서는 메시지가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속도 및 신뢰도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최초 메시지가 발생한 노드의 전달확률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PRoPHET 프로토콜은 메시지의 특성, 즉 빠른 전송을 요구하는 메시지(Q패킷)인지 신뢰성 있게 전송되어야 하는 메시지(R패킷)인지 여부는 고려하지 않고 전달확률 값에 기반하여 일률적으로 전송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장치는 메시지 분류부(110), 전달확률 수정부(120) 및 메시지 전송부(1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장치는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 노드로부터 목적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로, 각각의 노드에 구비될 수 있다.
메시지 분류부(110)는 목적 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한 기준에 따라 소정의 패킷으로 분류한다. 메시지를 분류하는 기준은 고려하고자 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분류부(110)는 메시지가 사전에 설정한 기준 전달 지연 이하로(기준 속도 이상의 전송 속도로) 목적 노드에 전송되어야하는 경우 제1패킷으로 분류하고, 메시지가 제1패킷으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 제2패킷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메시지를 빠른 속도로 전송(사전에 설정한 기준 전달 지연 이하로)되어야 하는 Q패킷과 신뢰성 있게 전송되어야 하는 R패킷으로 분류할 수 있다. 메시지 분류를 위한 기준은 사전에 설정되어 각 노드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전달확률 수정부(120)는 메시지가 분류된 결과에 따라, 송신 노드에서 목적 노드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1전달확률 값을 수정한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메시지 전송부(130)는 목적 노드와 상이한 수신 노드에서 목적 노드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2전달확률 값과 수정 전달확률 값을 비교하여, 사전에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시지를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로 전송한다.
도 2는 전달확률 수정부(12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달확률 수정부(120)는 제1패킷 전달확률 수정부(122) 및 제2패킷 전달확률 수정부(124)를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시지는 만족시키고자 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시지를 빠르게 전송(사전에 설정한 기준 전달 지연 이하로)되어야 하는 제1패킷(Q패킷) 및 신뢰성 있게 전송되어야 하는 제2패킷(R패킷)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PRoPHET 프로토콜은 메시지의 특성은 고려하지 않고 전달확률 값에만 의존하여 수신 노드로의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시지가 제1패킷(Q패킷)으로 분류되면 제1패킷 전달확률 수정부(122)는 전달확률 값이 작아지도록 수정하고, 메시지가 제2패킷(R패킷)으로 분류되면 제2패킷 전달확률 수정부(124)는 전달확률 값이 커지도록 수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패킷 전달확률 수정부(122)는 메시지가 제1패킷으로 분류되면 제1전달확률 값에서 사전에 설정한 소정의 상수 값을 감하여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패킷 전달확률 수정부(124)는 메시지가 제2패킷으로 분류되면 제1전달확률 값에서 사전에 설정한 소정의 상수 값을 가하여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수정 전달확률 값은 이와 같이 제1전달확률 값에 소정의 상수를 감하거나 가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제1전달확률 값에 따라 산출되는 함수의 결과 값으로도 산출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메시지 전송부(130)는 산출된 수정 전달확률 값이 제2전달확률 값보다 작은 경우 메시지를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로 전송하고, 산출된 수정 전달확률 값이 제2전달확률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메시지를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로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로, 메시지가 제1패킷으로 분류되면 메시지 전송부(130)는 다음의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경우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Figure 112012079493672-pat00004
여기서, P(B,D)는 수신 노드 B에서 목적 노드 D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제2전달확률), P(A,D)는 송신 노드 A에서 목적 노드 D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제1전달확률)을 나타낸다. 그리고 Vq 및 Qfixed는 Vq > 1, 0 < Qfixed <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수이다. Qfixed는 메시지 특성을 고려하고자 하는 정도에 따른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메시지가 제1패킷으로 분류되면 메시지 전송부(130)는 다음의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경우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Figure 112012079493672-pat00005
여기서, P(B,D)는 수신 노드 B에서 목적 노드 D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제2전달확률), P(A,D)는 송신 노드 A에서 목적 노드 D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제1전달확률)을 나타낸다. 그리고 Qmax는 0 < Qmax <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수이며 Qmax는 메시지 특성을 고려하고자 하는 정도에 따른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수정 전달확률 값은 P(A,D)(1-Qmax)로 산출되며 이는 P(A,D)에 따른 함수의 결과 값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시지가 제2패킷으로 분류되면 메시지 전송부(130)는 다음의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경우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Figure 112012079493672-pat00006
여기서, P(B,D)는 수신 노드 B에서 목적 노드 D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제2전달확률), P(A,D)는 송신 노드 A에서 목적 노드 D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제1전달확률)을 나타낸다. 그리고 Vr 및 Rfixed는 Vr > 1, 0 < Rfixed <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수이다. Rfixed는 메시지 특성을 고려하고자 하는 정도에 따른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메시지가 제2패킷으로 분류되면 메시지 전송부(130)는 다음의 수학식 7을 만족하는 경우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Figure 112012079493672-pat00007
여기서, P(B,D)는 수신 노드 B에서 목적 노드 D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제2전달확률), P(A,D)는 송신 노드 A에서 목적 노드 D와 접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전달확률(제1전달확률)을 나타낸다. 그리고 Rmax는 0 < Rmax <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수이며 Rmax는 메시지 특성을 고려하고자 하는 정도에 따른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수정 전달확률 값은 P(A,D)(1-Rmax)+Rmax로 산출되며 이는 P(A,D)에 따른 함수의 결과 값으로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메시지 분류부(110)는 목적 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한 기준에 따라 제1패킷 또는 제2패킷으로 분류한다(S310).
메시지가 제1패킷 또는 제2패킷으로 분류되지 않으면(S320), 메시지 전송부(130)는 송신 노드에서 목적 노드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1전달확률 값과 수신 노드에서 목적 노드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2전달확률 값을 비교한다. 그 결과 제1전달확률 값이 제2전달확률 값보다 작은 경우 메시지를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로 전송한다(S330).
메시지가 제1패킷 또는 제2패킷으로 분류되면(S320), 먼저 전달확률 수정부(120)는 제1전달확률 값을 수정한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한다(S340). 이와 같은 수정 전달확률 값은 메시지가 제1패킷인 경우 제1전달확률 값이 감소하고, 메시지가 제2패킷인 경우 제1전달확률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메시지 전송부(130)는 수정 전달확률 값과 제2전달확률 값을 비교한다. 그 결과 수정 전달확률 값이 제2전달확률 값보다 작은 경우 메시지를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로 전송한다(S35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은 PRoPHET 프로토콜에서 메시지의 전송 특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전달확률 값을 수정한 것으로 GRTR 방식 이외 GTMX, GTHR, GRTR+, GTMX+, GRTRSort 및 GRTRMax 방식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 노드로부터 목적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한 기준에 따라 소정의 패킷으로 분류하는 메시지 분류부;
    상기 메시지가 분류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 노드에서 상기 목적 노드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1전달확률 값을 수정한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하는 전달확률 수정부; 및
    상기 목적 노드와 상이한 수신 노드에서 상기 목적 노드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2전달확률 값과 상기 수정 전달확률 값을 비교하여, 사전에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수신 노드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분류부는 상기 메시지가 사전에 설정한 기준 전달 지연 이하로 상기 목적 노드에 전송되어야하는 경우 제1패킷으로 분류하고,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1패킷으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 제2패킷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확률 수정부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1패킷으로 분류되면 상기 제1전달확률 값에서 사전에 설정한 소정의 상수 값을 감하여 상기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하는 제1패킷 전달확률 수정부; 및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패킷으로 분류되면 상기 제1전달확률 값에서 사전에 설정한 소정의 상수 값을 가하여 상기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하는 제2패킷 전달확률 수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산출된 수정 전달확률 값이 상기 제2전달확률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수신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산출된 수정 전달확률 값이 상기 제2전달확률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수신 노드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장치.
  5.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 노드로부터 목적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한 기준에 따라 소정의 패킷으로 분류하는 메시지 분류단계;
    상기 메시지가 분류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 노드에서 상기 목적 노드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1전달확률 값을 수정한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하는 전달확률 수정단계; 및
    상기 목적 노드와 상이한 수신 노드에서 상기 목적 노드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2전달확률 값과 상기 수정 전달확률 값을 비교하여, 사전에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수신 노드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분류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사전에 설정한 기준 전달 지연 이하로 상기 목적 노드에 전송되어야하는 경우 제1패킷으로 분류하고,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1패킷으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 제2패킷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확률 수정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1패킷으로 분류되면 상기 제1전달확률 값에서 사전에 설정한 소정의 상수 값을 감하여 상기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확률 수정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패킷으로 분류되면 상기 제1전달확률 값에서 사전에 설정한 소정의 상수 값을 가하여 상기 수정 전달확률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수정 전달확률 값이 상기 제2전달확률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수신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산출된 수정 전달확률 값이 상기 제2전달확률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수신 노드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10.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시지 전송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108838A 2012-09-28 2012-09-28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34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38A KR101341345B1 (ko) 2012-09-28 2012-09-28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38A KR101341345B1 (ko) 2012-09-28 2012-09-28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345B1 true KR101341345B1 (ko) 2013-12-16

Family

ID=4998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838A KR101341345B1 (ko) 2012-09-28 2012-09-28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3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726B1 (ko) 2016-05-04 2016-11-2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목적지 노드로의 메시지 전달 횟수를 이용하는 PRoPHET 프로토콜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시스템 및 장치
KR101841643B1 (ko) * 2016-01-14 2018-03-26 한국과학기술원 중앙 서버 및 이에 의한 네트워크 검사 방법, 및 레이어-7 장비 및 이에 의한 검증 패킷 전달 방법
KR20210052133A (ko) * 2019-10-29 2021-05-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전달 노드의 특성을 이용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전송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10B1 (ko) 2010-11-10 2012-05-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인프라를 이용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10B1 (ko) 2010-11-10 2012-05-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인프라를 이용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HENGCHANG LIU
비특허문헌2:ANDERS LINDGR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643B1 (ko) * 2016-01-14 2018-03-26 한국과학기술원 중앙 서버 및 이에 의한 네트워크 검사 방법, 및 레이어-7 장비 및 이에 의한 검증 패킷 전달 방법
KR101680726B1 (ko) 2016-05-04 2016-11-2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목적지 노드로의 메시지 전달 횟수를 이용하는 PRoPHET 프로토콜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시스템 및 장치
KR20210052133A (ko) * 2019-10-29 2021-05-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전달 노드의 특성을 이용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전송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286509B1 (ko) * 2019-10-29 2021-08-0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전달 노드의 특성을 이용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전송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556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노드의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130188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uting path in multi-hop network
KR101196818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US2004025806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CN108513330B (zh) 一种基于网络情境感知的路由协议分布式自适应切换方法
Gowtham et al. Congestion control and packet recovery for cross layer approach in MANET
CN103843295A (zh) 集中式数据面流控制
KR101341345B1 (ko)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uai et al. Delay-tolerant forwarding strategy for named data networking in vehicular environment
KR101746658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 내 노드간 메시지 전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991716B1 (ko) 지연 감내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컨텐츠 기반 정보 중심 네트워크를 위한 기회적 포워딩 방법 및 장치
CN112737940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Pirzadi et al. A novel routing method in hybrid DTN–MANET networks in the critical situations
KR101427087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081510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정보 중심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혼잡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KR101422516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컨텐트 공유 서비스의 트래픽 부하 관리기능을 구비한 노드 장치 및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KR101765416B1 (ko) 상황 정보 기반 기회적 전송을 통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1143510B1 (ko) 통신 인프라를 이용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CN111629416A (zh) 消息传输方法、系统、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95887B1 (ko) 기회적 네트워크에서 접촉 비율에 기반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Xia et al. A deliver probability routing for delay tolerant networks (DTN)
KR101534526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노드 밀도에 기반한 메시지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1024901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노드 및 백 오프 레인지 조절 방법
Xie et al. Routing for group mobility in mobile ad hoc networks with delay-tolerant approach
Khan et al. Data rate adaptation strategy to avoid packet loss in MAN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