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087B1 -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087B1
KR101427087B1 KR1020120120939A KR20120120939A KR101427087B1 KR 101427087 B1 KR101427087 B1 KR 101427087B1 KR 1020120120939 A KR1020120120939 A KR 1020120120939A KR 20120120939 A KR20120120939 A KR 20120120939A KR 101427087 B1 KR101427087 B1 KR 10142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message
transmission
movemen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886A (ko
Inventor
정윤원
김영한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0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노드의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모두 고려하여 전달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량에 대응하는 메시지 사본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드의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모두 고려하여 전달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함으로써, 수신노드에 효율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메시지 전달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ssage transmission in delay tolerant network}
본 발명은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노드와 수신노드 간의 연결이 보장되지 않은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다른 노드와 접촉하였을 때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해당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신노드와 수신노드 간의 연결이 보장되지 않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Delay Tolerant Network : DT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DTN에서는 종단 간 연결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미리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 라우팅을 수행하는 기존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적합하지 않으며, Store-Carry-Forward 기반의 새로운 라우팅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DTN에서 각 노드는 전송할 메시지를 버퍼에 저장하고 다른 노드를 만나면 저장된 메시지를 포워딩하는 방식에 의해 최종 목적지까지 메시지를 전달한다.
DTN 라우팅 프로토콜은 변화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환경에서 적용되는 Deterministic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정보를 미리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 적용되는 Dynamic 프로토콜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일반적인 환경에 적용되는 Dynamic 프로토콜에는 플러딩 방식에 기반한 Epidemic 프로토콜, 각 노드의 누적된 접촉 정보를 이용한 확률적인 전송을 수행하는 PRoPHET 프로토콜 및 메시지의 복사본에 여분이 있어 재전송을 수행하는 Spray 단계와 복사본을 모두 사용하여 목적지 노드를 만날 때까지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Wait 단계로 구성된 Spray and Wait 프로토콜 등이 있다.
Spray and Wait 프로토콜은 최초의 메시지 발생 노드가 메시지의 최대 복사본의 크기인 L을 설정하고, 최초의 접촉 노드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중계 노드는 다른 노드와 접촉했을 때 각자의 정해진 전송 정책에 따라 L의 범위 내에서 메시지 복사 횟수를 정하여 메시지 전달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L의 값이 아직 다 소진되지 않아서 재전송을 수행하는 상태를 'spray phase'라고 하고, L의 값이 다 소진되어 목적지 노드를 만날 때까지 더 이상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를 'wait phase'라고 한다. Spray and Wait 프로토콜은 L의 개수를 조절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환경에서 발전된 다양한 연구가 수행 되어 왔다. 기본 Spray and Wait 프로토콜에서는 접촉 노드에게 자신이 가진 복사본 중 하나를 전달하고, Binary Spray and Wait 프로토콜에서는 접촉 노드에게 자신이 가진 복사본의 절반을 전달하여 메시지를 확산시킨다.
최근 들어, 배터리로 동작하는 노드들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에서 Spray & Wai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고정된 목적지 노드로 센싱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이 연구에서는 L개의 메시지 복사본을 가진 노드가 다른 노드를 만났을 때 두 노드의 속도 및 잔여 에너지를 비교하고, 속도 및 잔여 에너지에 비례하여 메시지 복사본을 전달함으로써 전체적인 메시지 전달 확률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노드의 속도 및 잔여 에너지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전체적인 메시지 전달 확률을 증가시키고 있지만, 기존 기술에서는 노드의 이동 방향 정보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어 메시지 전달률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KR 10-2012-0045349 (숭실대 산학협력단) 2012. 5. 9. 특허문헌 1은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전달노드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제1이동벡터와 송신노드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제2이동벡터가 이루는 사잇각과 제1이동벡터 및 제2이동벡터의 크기를 기초로 메시지 사본 중에서 전달노드로 전송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9-004424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5. 7. 특허문헌 2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상에서 에너지 효율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는 센서노드의 센싱 데이터 라우팅 장치 및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2에는 센서노드의 무선수신범위 내에 있는 이웃센서노드들로부터 이웃센서노드 각각의 에너지 잔량 정보를 포함한 라우팅설정메시지들을 기정의된 수신대기시간 동안 수신하고, 이웃센서노드 각각의 에너지 잔량 정보에 따라 이웃센서노드들 중에서 라우팅할 부모노드를 선정하여 선정된 부모노드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노드의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모두 고려하여 전달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량에 대응하는 메시지 사본을 전송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노드의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모두 고려하여 전달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량에 대응하는 메시지 사본을 전송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는,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노드에 구비되어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를 상기 수신노드와 상이한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상기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2이동정보를 전송받는 정보 획득부; 상기 제2이동정보와 상기 송신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1이동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로부터 생성된 메시지 사본 중에서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할 상기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전송량에 대응하는 상기 메시지 사본을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은,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노드에 구비되어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를 상기 수신노드와 상이한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상기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2이동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제2이동정보와 상기 송신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1이동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로부터 생성된 메시지 사본 중에서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할 상기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량에 대응하는 상기 메시지 사본을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노드의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모두 고려하여 전달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함으로써, 수신노드에 효율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메시지 전달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100)(이하 '메시지 전송 장치'라 함)는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노드에 구비되며, 수신노드로 전송할 메시지의 사본을 수신노드와 상이한 전달노드로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메시지가 수신노드에 도달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수신노드는 이동하지 않는 노드로서,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노드의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모두 고려하여 전달노드로 전송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량에 대응하는 메시지 사본을 전달노드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저장부(110), 정보 획득부(130), 제어부(150) 및 전송부(170)를 구비한다.
저장부(110)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나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예컨대, 저장부(110)는 수신노드로 전송할 메시지 등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전달노드로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메시지로부터 생성된 메시지 사본의 일부 내지는 전부가 전송되며, 최대로 생성될 수 있는 즉 메시지 사본의 양은 사전에 설정된다. 이와 같이, 메시지 사본의 양이 일정 한도로 설정됨으로써, 전달노드로 메시지 전송 시 추가적인 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보 획득부(130)는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전달노드로부터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2이동정보를 전송받는다.
여기서, 방향성 지수는 노드의 이동 방향이 수신노드로의 이동 방향에 대해 가지는 방향의 일치도를 나타낸다. 방향성 지수는 노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에서 수신노드로의 이동 방향과 노드의 이동 방향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값으로부터 계산된다. 그리고, 상대적인 각도 값은 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값을 가지며, 0도로 가까워질수록 수신노드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노드 A의 방향성 지수는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2088611067-pat00001
여기서, dA는 노드 A의 방향성 지수를 나타낸다. aA는 노드 A의 이동 방향과 노드 A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노드로의 이동 방향 사이의 각도 값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산출된 노드 A의 방향성 지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이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노드 A의 이동 방향이 수신노드로의 이동 방향과 좀 더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100)가 구비된 송신노드에서는 전달노드로 메시지 사본을 전송하기 위해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정보 획득부(130)는 전달노드에 대하여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이동정보의 제공을 요청한다. 또한, 정보 획득부(130)는 전달노드로부터 제2이동정보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송신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이동정보를 전달노드에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100)가 각 노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노드는 다른 노드와 접촉하는 경우에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이동정보를 교환한 후, 특정 노드로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 경우에는 제공받은 이동정보를 기초로 하여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전달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2이동정보와 송신노드 자체의 정보인 제1이동정보를 기초로 저장부(110)에 저장된 메시지로부터 생성된 메시지 사본 중에서 전달노드로 전송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이동정보 및 제2이동정보는 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어부(150)가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는 송신노드 및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이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전달노드로 전송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2088611067-pat00002
여기서, LB는 전달노드로 전송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나타낸다. L은 송신노드가 가지고 있는 메시지 사본의 개수를 나타낸다. LA는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12088611067-pat00003
여기서, uA는 송신노드의 효용성(utility) 지수를 나타내며,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12088611067-pat00004
여기서, w1은 이동속도, w2는 잔여 에너지, w3은 방향성 지수에 관련된 가중치를 나타내며, 그 값은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예컨대, w1, w2 및 w3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w1, w2 및 w3를 다 더하면 1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운영자는 노드의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에 대한 가중치를 그 중요성에 따라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uS는 두 노드에 대한 이동속도의 상대적인 비교값이며, 다음의 [수학식 5]에 의해 산출된다. uE는 두 노드에 대한 잔여 에너지의 상대적인 비교값이며, 다음의 [수학식 6]에 의해 산출된다. uD는 두 노드에 대한 방향성 지수의 상대적인 비교값이며, 다음의 [수학식 7]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12088611067-pat00005
여기서, sA는 송신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sB는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88611067-pat00006
여기서, pA는 송신노드의 잔여 에너지, pB는 전달노드의 잔여 에너지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88611067-pat00007
여기서, dA는 송신노드의 방향성 지수, dB는 전달노드의 방향성 지수를 나타낸다.
전송부(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결정된 전송량에 대응하는 메시지 사본을 전달노드로 전송한다. 이후, 전달노드에서도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노드와 접촉한 후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기초로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여 최종 목적지인 수신노드까지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전달노드와의 연결을 감지한다(S210).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송신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1이동정보를 획득한다(S220). 그리고,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전달노드로부터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2이동정보를 수신한다(S230).
이후,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제1이동정보와 제2이동정보를 기초로 전달노드로 전송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한다(S240). 즉, 전달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2이동정보와 송신노드 자체의 정보인 제1이동정보는 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송신노드 및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결정된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에 대응하는 메시지 사본을 전달노드로 전송한다(S250).
이와 같이, 노드의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모두 고려하여 전달할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함으로써, 수신노드에 효율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메시지 전달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롬(ROM), 램(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110 : 저장부,
130 : 정보 획득부,
150 : 제어부,
170 : 전송부

Claims (7)

  1.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노드에 구비되어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를 상기 수신노드와 상이한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상기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2이동정보를 전송받는 정보 획득부;
    상기 제2이동정보와 상기 송신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1이동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로부터 생성된 메시지 사본 중에서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할 상기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전송량에 대응하는 상기 메시지 사본을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할 상기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은 다음의 [수학식 A]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수학식 A]
    Figure 112014028891120-pat00014

    여기서, 상기 LB는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할 상기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나타내고, 상기 L은 상기 송신노드가 가지고 있는 상기 메시지 사본의 개수를 나타내며, 상기 LA는 다음의 [수학식 B]에 의해 산출되고,
    [수학식 B]
    Figure 112014028891120-pat00015

    여기서, 상기 uA는 상기 송신노드의 효용성(utility) 지수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지수는 노드의 이동 방향이 상기 수신노드로의 이동 방향에 대해 가지는 방향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노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에서 상기 수신노드로의 이동 방향과 상기 노드의 이동 방향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값으로부터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3. 삭제
  4.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송신노드에 구비되어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를 상기 수신노드와 상이한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달노드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노드로부터 상기 전달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2이동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제2이동정보와 상기 송신노드의 현재 이동속도, 잔여 에너지 및 방향성 지수를 나타내는 제1이동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노드로 전송될 메시지로부터 생성된 메시지 사본 중에서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할 상기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량에 대응하는 상기 메시지 사본을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할 상기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은 다음의 [수학식 A]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
    [수학식 A]
    Figure 112014028891120-pat00016

    여기서, 상기 LB는 상기 전달노드로 전송할 상기 메시지 사본의 전송량을 나타내고, 상기 L은 상기 송신노드가 가지고 있는 상기 메시지 사본의 개수를 나타내며, 상기 LA는 다음의 [수학식 B]에 의해 산출되고,
    [수학식 B]
    Figure 112014028891120-pat00017

    여기서, 상기 uA는 상기 송신노드의 효용성(utility) 지수를 나타낸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지수는 노드의 이동 방향이 상기 수신노드로의 이동 방향에 대해 가지는 방향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노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에서 상기 수신노드로의 이동 방향과 상기 노드의 이동 방향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값으로부터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
  6. 삭제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기재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20120939A 2012-10-30 2012-10-30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42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39A KR101427087B1 (ko) 2012-10-30 2012-10-30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39A KR101427087B1 (ko) 2012-10-30 2012-10-30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886A KR20140054886A (ko) 2014-05-09
KR101427087B1 true KR101427087B1 (ko) 2014-08-07

Family

ID=5088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939A KR101427087B1 (ko) 2012-10-30 2012-10-30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342B1 (ko) * 2015-07-07 2016-10-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이동 경로 예측 방법
KR102025921B1 (ko) * 2018-08-09 2019-09-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정보 중심 네트워크 기반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캐싱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KR102423509B1 (ko) * 2020-10-26 2022-07-22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 기반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메시지의 ttl 결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249A (ko) * 2007-10-31 2009-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 상에서 에너지 효율성 및 신뢰성을제공하는 센서노드의 센싱 데이터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20120045349A (ko) * 2010-10-29 2012-05-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20097092A (ko) * 2011-02-24 2012-09-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dtn 라우팅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249A (ko) * 2007-10-31 2009-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 상에서 에너지 효율성 및 신뢰성을제공하는 센서노드의 센싱 데이터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20120045349A (ko) * 2010-10-29 2012-05-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20097092A (ko) * 2011-02-24 2012-09-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dtn 라우팅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대성 외 1명,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고려한 메시지 전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886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88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uting path in multi-hop network
KR101196818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Al-Mayouf et al. Efficient and stable routing algorithm based on user mobility and node density in urban vehicular network
US8885501B2 (en) Reachability rate computation without link layer acknowledgments
EP2974087A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routing protocols in wireless mesh networks
KR101546759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메시지 복사 횟수에 기반한 메시지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1427087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680726B1 (ko) 목적지 노드로의 메시지 전달 횟수를 이용하는 PRoPHET 프로토콜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시스템 및 장치
JP5866111B2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的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そ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装置
KR101058931B1 (ko) 노드 이동에 의한 링크 라이프타임을 반영한 멀티홉 라우팅장치 및 방법
KR101341345B1 (ko)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471276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Kim et al. Use of contact duration for message forwarding in intermittently connected mobile networks
KR101422516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컨텐트 공유 서비스의 트래픽 부하 관리기능을 구비한 노드 장치 및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KR101765416B1 (ko) 상황 정보 기반 기회적 전송을 통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194733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들 간 경로 캐쉬 정보 공유 방법
Poonguzharselvi et al. Data forwarding in opportunistic network using mobile traces
KR101143510B1 (ko) 통신 인프라를 이용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Xia et al. A deliver probability routing for delay tolerant networks (DTN)
JP5780601B2 (ja)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895887B1 (ko) 기회적 네트워크에서 접촉 비율에 기반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Xie et al. Routing for group mobility in mobile ad hoc networks with delay-tolerant approach
Ukey et al. Energy based recent trends in delay tolerant networks
WO2017170010A1 (ja) 情報共有方式
KR101534527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체류 이력에 기반한 메시지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