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276B1 -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276B1
KR101471276B1 KR1020130017536A KR20130017536A KR101471276B1 KR 101471276 B1 KR101471276 B1 KR 101471276B1 KR 1020130017536 A KR1020130017536 A KR 1020130017536A KR 20130017536 A KR20130017536 A KR 20130017536A KR 101471276 B1 KR101471276 B1 KR 10147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node
distance
data
node
acces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568A (ko
Inventor
한승재
문수훈
이건택
김선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2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에 있어서, 이동경로상 방향 전환 확률로부터 예측되는 방향 전환 발생 시점에서 목적지 노드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 새롭게 연결된 다른 이동 노드와 상기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 더 작은 값을 갖는 상기 다른 이동 노드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지까지 데이터 전달의 성공 확률을 높임과 동시에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MOBILE NODE AND METHOD FOR DELIVERING DATA IN DELAY TOLERANT NETWORK,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적지까지 데이터 전달의 성공 확률을 높임과 동시에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지연 허용 네트워크(Delay Tolerant Network, DTN)는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간의 연결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를 저장했다가 이동하여 전송하는 네트워크 기술을 의미한다.
이에, 지연 허용 네트워크는 지연에 둔감한 행성간 통신, 센서 네트워크, 교통정보수집망, 군사용 애드혹망과 같은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간헐적인 연결성을 갖는 특성상,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하는 두 센서 노드는 서로의 통신 범위 안에 서로가 감지될 때 연결을 형성하고, 통신 범위를 벗어날 때에 연결성을 잃는다.
따라서, 이동하는 센서 노드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고정된 특정 지점까지 전달하려고 할 때, 자신의 이동 경로에 의존하여 직접 데이터를 전달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연결이 형성된 다른 이동 센서 노드로 데이터를 전달할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는 새로운 연결이 형성된 모든 센서, 또는 제한된 개수의 몇몇 노드에게 데이터를 복사하는 방식으로 목적지까지 데이터의 전달 확률을 높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불필요하게 많은 데이터를 복사하여 네트워크의 무선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었고, 데이터 전달에 요구되는 충분한 수량을 알 수 없어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성공적으로 전달될 확률 또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까지 데이터 전달의 성공 확률을 높임과 동시에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에 있어서, 이동경로상 방향 전환 확률로부터 예측되는 방향 전환 발생 시점에서 목적지 노드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 새롭게 연결된 다른 이동 노드와 상기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 더 작은 값을 갖는 상기 다른 이동 노드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이동 노드의 현재 위치, 및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현재 이후 소정의 시간에서 상기 이동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거리 연산부; 상기 이동 노드의 방향 전환 시간을 누적하여 평균 방향 전환 시간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 방향 전환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이후 소정의 시간에서 상기 이동 노드의 방향 전환 확률을 산출하는 확률 산출부; 및 상기 연산된 거리와 상기 산출된 방향 전환 확률의 곱에 대한 시간에 따른 적분값으로부터 상기 접근 거리를 산출하는 접근 거리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의 크기를 조절하는 접근 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교부는 상기 크기가 조절된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와 상기 다른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접근 거리 조절부는 상기 데이터의 복사 횟수에 반비례하여 상기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데이터 해쉬값으로부터 상기 다른 이동 노드의 상기 데이터 보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교부는 상기 데이터를 보유하지 않은 상기 다른 이동 노드와 상기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동경로상 방향 전환 확률로부터 예측되는 방향 전환 발생 시점에서 목적지 노드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새롭게 연결된 다른 이동 노드와 상기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더 작은 값을 갖는 상기 다른 이동 노드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의 데이터 전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데이터 전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지까지 데이터 전달의 성공 확률을 높임과 동시에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노드가 목적지 노드까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의 데이터 전달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균 방향 전환 시간과 방향 전환 확률의 관계에 관한 지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이동 노드(100)가 목적지 노드(200)까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10)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보유한 이동 노드(100a)는 목적지 노드(200)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게 되는 다른 노드(100b)로 데이터를 복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전송할 데이터를 가진 노드(100a)는 자신의 통신 범위에 다른 노드(100b)가 들어오게 된 경우, 그 노드(100b)가 앞으로 얼마나 목적지 노드(200)까지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을지를 판단하고, 자신보다 가깝게 접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자신의 데이터를 상대에게 복사하는 것이다.
이때,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는 노드(100)의 현재 위치와, 이동 속도, 예상 방향 전환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를 운반하고 있는 자신보다 더 목적지까지 가까이 접근하게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노드로 메시지를 복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목적지까지 전달 성공 확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10)에서는, 메시지의 과도한 복사로 인한 네트워크 과부하를 예방하기 위해, 메시지 복사를 위한 비교 조건에 가중치를 두고, 메시지가 복사될 때마다 가중치를 엄격히 적용한다.
즉, 메시지가 복사될 때마다 가중치가 엄격하게 적용되도록 하여 점진적으로 메시지 전달에 이득이 더욱 큰 노드를 만날 경우에만 메시지가 복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부하를 조절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작(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달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연 허용 네트워크(10)에서 현재 전송할 데이터를 가진 이동 노드(100a)는 자신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새롭게 위치하게 되는 다른 이동 노드(100b)보다 목적지 노드(200)로의 접근 거리가 더 먼 것으로 가정하며, 이에, 이동 노드(100a)는 새로운 연결이 형성된 다른 이동 노드(100b)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달하게 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그리고, 각 노드(100a, 100b)는 자신의 이동 경로를 따라, 소정의 시간 동안 일정 속도로 이동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는 속도를 바꾸어 다시 소정의 시간 동안 이동하기를 반복하며, 각 노드(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100)의 데이터 전달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노드(100)는 연산부(110), 판단부(120), 비교부(130), 및 전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노드(100)의 데이터 전달 방법은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S310), 데이터 보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0),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S330), 및 메시지를 복사하여 전송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계(S310)에서 연산부(110)는 노드(100)의 이동경로상 방향 전환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목적지 노드(200)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를 연산한다.
즉, 두 노드(100a, 100b)가 접근하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 현재 데이터를 가진 노드(100a)는 다른 노드(100b)로 메시지를 복사해야 할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하기 위해,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를 연산한다.
이때,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는 노드(100)가 현재 이후 다음 방향 전환을 하게 될 시점에서의 위치와 목적지 노드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연산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연산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거리 연산부(112)는 이동 노드(100)의 현재 위치, 및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현재 이후 소정의 시간(t)에서 이동 노드(100)와 목적지 노드(2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연산부(112)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현재 이후 소정의 시간에서 노드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3014826212-pat00001
여기서, n은 노드(100), d는 목적지 노드(200), Dnd는 t시간 이후 노드와 목적지 노드 사이의 거리, n의 좌표는 (xn, yn), d의 좌표는 (xd, yd), n의 속도 벡터는 (a, b)이다.
그리고, 연산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률 산출부(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확률 산출부(114)는 이동 노드(100)의 방향 전환 시간을 누적하여 평균 방향 전환 시간을 연산하고, 연산된 평균 방향 전환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이후 소정의 시간에서 이동 노드(100)가 방향을 전환할 확률을 산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노드는 자신의 스스로의 방향 전환 시간을 누적하여 평균값을 연산함과 동시에 접촉한 노드끼리 값을 교환하여 노드간의 평균값의 편차를 균등화시킬 수 있다.
각 노드에서 연산된 현재 평균 방향 전환 시간을 λ라고 할 경우, 현재로부터 t시간 이후 노드가 방향을 전환할 확률은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지수 분포(exponential distribution)을 따르게 된다.
Figure 112013014826212-pat00002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균 방향 전환 시간과 방향 전환 확률의 관계에 관한 지수 분포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부(110)는 접근 거리 산출부(1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접근 거리 산출부(116)는 t시간 이후 노드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 및 그 위치에서 노드가 방향을 전환하게 될 확률을 곱한 값을 모든 t값에 대해 누적 연산함으로써 접근 거리를 산출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거리 산출부(116)는 거리 연산부(112)에 의해 연산된 거리와 확률 산출부(114)에 의해 산출된 방향 전환 확률의 곱에 대한 시간에 따른 적분값으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3014826212-pat00003
여기서, U(n;λ)는 노드 n이 평균 방향 전환 시간 λ를 가질 때, 예상되는 다음 방향 전환 시점에서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의 수학식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U(n;λ)값이 작을수록 목적지에 보다 근접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요컨대, 이동 노드(100)가 데이터를 갖고 있을 때, 해당 데이터는 목적지까지 U(n;λ)만큼 접근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이동 노드(100)가 자신의 통신 범위에 들어온 노드 중 더 작은 U(n;λ)값을 갖는 노드로 데이터를 복사할수록 데이터는 보다 목적지로 가깝게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320)에서 판단부(120)는 데이터 해쉬값으로부터 새롭게 연결된 다른 이동 노드의 데이터 보유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100a)는 현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다른 이동 노드로만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새롭게 연결된 다른 이동 노드(100b)와 데이터의 해쉬값을 비교하여 동일 데이터 보유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새롭게 연결된 다른 이동 노드(100b)가 해당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단계(S330)에서 비교부(130)는 다른 이동 노드(100b)와 단계(S310)에서 연산된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는 이하 설명하는 전송부(140)로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이동 노드(100a)가 더 작은 크기의 접근 거리를 갖는 다른 이동 노드(100b)로만 데이터를 복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단계(S340)에서 전송부(140)는 단계(S330)에서의 비교 결과 더 작은 값을 갖는 다른 이동 노드(100b)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부(130)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새롭게 연결된 노드와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고, 전송부(140)는 하기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경우, 새롭게 연결된 다른 이동 노드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다.
Figure 112013014826212-pat00004
여기서, U(n0;λ)는 현재 전송할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이동 노드(100a)의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 U(n1;λ)는 새로운 연결이 설정된 다른 이동 노드(100b)의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를 각각 의미한다.
즉, 노드(100a)는 자신의 목적지로의 접근 거리보다 더 작은 목적지로의 접근 거리를 갖는 다른 노드(100b)로 자신의 데이터를 복사해 주게 된다.
한편, 데이터의 발생 빈도와 양이 매우 많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전달 속도보다 데이터에 의한 네트워크 포화 속도가 더 빠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100)는 접근 거리 조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접근 거리 조절부(150)는 비교 조건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데이터가 복사될 때마다 가중치가 엄격하게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점진적으로 데이터 전달에 이득이 더욱 큰 노드를 만날 경우에만 데이터가 복사되도록 한다.
메시지 복사 조건의 가중치를 α라고 할 때, 상기의 수학식 4에 따른 비교 조건은 접근 거리 조절부(150)에 의해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수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3014826212-pat00005
이때, 가중치 α의 초기값은 1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의 수학식 5에 따르면, α값이 클수록 데이터 복사가 활성화되고 데이터 전달 확률이 높아지게 되나 네트워크의 포화 확률 또한 높아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고, α값이 작을수록 데이터의 복사가 억제되고 데이터 전달 확률은 낮아질 수 있으나 네트워크의 포화 속도는 진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근 거리 조절부(150)는 비교부(130)에 의한 접근 거리 비교 과정에 있어서, 자신의 접근 거리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접근 거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활성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복사가 과도하게 진행되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가중치 α는 데이터가 복사될 때마다 일정량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중치 α는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3014826212-pat00006
여기서, c는 가중치 α의 감소 속도를 결정하는 상수이다.
상기의 수학식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c값이 클수록 α는 더욱 빠른 속도로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이터 복사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새롭게 연결된 노드로 데이터를 복사해주기 위한 조건이 점차 엄격해지므로, 데이터의 복사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근 거리 조절부(150)는 데이터의 복사 횟수에 반비례하여 자신의 접근 거리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의 과도한 복사에 따른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이동 노드의 개수별 전송 성공률, 전송 거리별 전송 성공률을 도시하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존의 방식 대비 향상된 전송 성공률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지까지 데이터 전달의 성공 확률을 높임과 동시에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지연 허용 네트워크 100 : 이동 노드
110 : 연산부 112 : 거리 연산부
114 : 확률 산출부 116 : 접근 거리 산출부
120 : 판단부 130 : 비교부
140 : 전송부 150 : 접근 거리 조절부
200 : 목적지 노드

Claims (10)

  1.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에 있어서,
    이동경로상 방향 전환 확률로부터 예측되는 방향 전환 발생 시점에서 목적지 노드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
    새롭게 연결된 다른 이동 노드와 상기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 더 작은 값을 갖는 상기 다른 이동 노드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이동 노드의 현재 위치, 및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현재 이후 소정의 시간에서 상기 이동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거리 연산부;
    상기 이동 노드의 방향 전환 시간을 누적하여 평균 방향 전환 시간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 방향 전환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이후 소정의 시간에서 상기 이동 노드의 방향 전환 확률을 산출하는 확률 산출부; 및
    상기 연산된 거리와 상기 산출된 방향 전환 확률의 곱에 대한 시간에 따른 적분값으로부터 상기 접근 거리를 산출하는 접근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의 크기를 조절하는 접근 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교부는 상기 크기가 조절된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와 상기 다른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거리 조절부는 상기 데이터의 복사 횟수에 반비례하여 상기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5.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해쉬값으로부터 상기 다른 이동 노드의 상기 데이터 보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교부는 상기 데이터를 보유하지 않은 상기 다른 이동 노드와 상기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6.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동경로상 방향 전환 확률로부터 예측되는 방향 전환 발생 시점에서 목적지 노드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로의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새롭게 연결된 다른 이동 노드와 상기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더 작은 값을 갖는 상기 다른 이동 노드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노드의 현재 위치, 및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현재 이후 소정의 시간에서 상기 이동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이동 노드의 방향 전환 시간을 누적하여 평균 방향 전환 시간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 방향 전환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이후 소정의 시간에서 상기 이동 노드의 방향 전환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거리와 상기 산출된 방향 전환 확률의 곱에 대한 시간에 따른 적분값으로부터 상기 접근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의 데이터 전달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크기가 조절된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와 상기 다른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의 데이터 전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복사 횟수에 반비례하여 상기 이동 노드의 접근 거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의 데이터 전달 방법.
  10.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전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17536A 2013-02-19 2013-02-19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KR10147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536A KR101471276B1 (ko) 2013-02-19 2013-02-19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536A KR101471276B1 (ko) 2013-02-19 2013-02-19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568A KR20140104568A (ko) 2014-08-29
KR101471276B1 true KR101471276B1 (ko) 2014-12-11

Family

ID=5174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536A KR101471276B1 (ko) 2013-02-19 2013-02-19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2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039B1 (ko) * 2015-05-26 2016-09-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중계 노드 선택방법
KR20210052133A (ko) 2019-10-29 2021-05-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전달 노드의 특성을 이용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전송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220055304A (ko) 2020-10-26 2022-05-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 기반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메시지의 ttl 결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2816B (zh) * 2019-04-08 2021-09-07 合肥工业大学 移动社交网络中基于节点运动能量的数据转发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573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케이티 노드 이동에 의한 링크 라이프타임을 반영한 멀티홉 라우팅장치 및 방법
KR20120045349A (ko) * 2010-10-29 2012-05-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573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케이티 노드 이동에 의한 링크 라이프타임을 반영한 멀티홉 라우팅장치 및 방법
KR20120045349A (ko) * 2010-10-29 2012-05-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039B1 (ko) * 2015-05-26 2016-09-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중계 노드 선택방법
KR20210052133A (ko) 2019-10-29 2021-05-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전달 노드의 특성을 이용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전송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220055304A (ko) 2020-10-26 2022-05-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 기반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메시지의 ttl 결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568A (ko) 2014-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hman et al. A hybrid relay node selection scheme for message dissemination in VANETs
Wang et al. VDNet: an infrastructure‐less UAV‐assisted sparse VANET system with vehicle location prediction
Qin et al. Vehicloud: Cloud computing facilitating routing in vehicular networks
JP6633630B2 (ja) 複数の移動体間の通信を管理する方法
KR101471276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달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Park et al. Network intelligence based on network state information for connected vehicles utilizing fog computing
KR101196818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746658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 내 노드간 메시지 전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Rashidi et al.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epidemic routing in non-sparse delay tolerant networks
Suganya et al. LNR-PP: Leaf node count and RSSI based parent prediction scheme to support QoS in presence of mobility in 6LoWPAN
Rajasekar et al. Enhanced WSN routing protocol for internet of things to process multimedia big data
Huang et al. The mobile edge computing (MEC)-based VANET data offloading using the staying-time-oriented k-hop away offloading agent
Wang et al. Mobility support enhancement for rpl with multiple sinks
KR102252301B1 (ko) 재난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
Lorenzen et al. Achieving global fairness at urban intersections using cooperative DSRC congestion control
KR101427087B1 (ko)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ulanthaiyappan et al. Internet of Vehicle: effects of target tracking cluster routing in vehicle network
KR101341345B1 (ko) 패킷의 특성을 고려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CN115915263A (zh) mesh网络的数据传输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chida et al. Resilient network with autonomous flight wireless nodes based on delay tolerant networks
KR101655062B1 (ko) 이동 노드의 에너지 잔여량에 기반한 기회적 메시지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akarla et al. A delay and energy aware coordination mechanism for WSAN
Koti et al. Multi Agent Assisted Safety Information Dissemination Scheme for V2V Communication in VANETs: Intelligent Agent Approach
Rezha et al. Adaptive transmission power in cluster-based routing VANET
Shaikh et al.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vehicle-to-vehicle traffic congestion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