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652A - 차량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652A
KR20140054652A KR1020120120396A KR20120120396A KR20140054652A KR 20140054652 A KR20140054652 A KR 20140054652A KR 1020120120396 A KR1020120120396 A KR 1020120120396A KR 20120120396 A KR20120120396 A KR 20120120396A KR 20140054652 A KR20140054652 A KR 20140054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oice recognition
voice
passeng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의현
김두열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4652A/ko
Publication of KR20140054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5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input of sound, e.g. by using a voice synthesiz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Means for detecting failure or mal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음성인식 제어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정보로 차량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음성인식장치와, 차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장치를 구비하며, 음성인식장치는, 탑승객의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음성정보 수신부와, 수신된 음성정보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장치 제어하는 음성정보 인식제어부를 포함하며,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차실내로의 공기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모드도어들 및,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음성인식장치의 음성정보 인식 실패여부를 판별하는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과;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으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가 입력될 시에, 공조장치의 모드도어들을 제어하여 차실내로의 공기토출방향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장치{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음성인식 제어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 그 일례로서, 음성인식장치가 있다.
음성인식장치는, 차량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를 인식한 다음, 인식한 음성명령정보에 따라 차량의 각종 장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명장치, 오디오장치, 공조장치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음성인식장치는, 음성으로 차량의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각종 장치들을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서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성인식장치는,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조장치의 풍량노이즈 때문에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공조장치가 벤트모드(Vent Mode)로 제어될 경우에는,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공기가 직접 토출되므로,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와 탑승객이 말한 음성정보 간의 간섭이 심화되어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이 더욱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음성인식 에러(Error)가 발생되고, 그 결과, 음성인식 제어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음성인식장치가 작동될 시에는, 공조장치의 블로어 단수를 낮춰 풍량노이즈를 최대한 저하시켜주고, 이로써,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을 높이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음성인식장치가 작동될 시에 공조장치의 블로어 단수를 낮춰주는 구조이므로, 음성인식장치가 작동될 시에는 차실내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조장치의 블로어 단수를 낮추지 않고서도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조장치의 블로어 단수를 낮추지 않고서도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음성인식 제어기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는, 음성정보로 차량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음성인식장치와, 차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음성인식장치는, 탑승객의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음성정보 수신부와, 수신된 음성정보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장치 제어하는 음성정보 인식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차실내로의 공기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모드도어들 및, 상기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장치의 음성정보 인식 실패여부를 판별하는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과; 상기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으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가 입력될 시에, 상기 공조장치의 모드도어들을 제어하여 차실내로의 공기토출방향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인식 실패신호가 입력될 시에, 상기 공조장치를 제어하되,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감되는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 의하면,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공조장치를 제어하여 탑승객의 얼굴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저감시키는 구조이므로, 음성명령정보 인식의 실패 원인인 공조장치의 토출공기와 음성명령정보 간의 간섭 및, 그로 인한 풍량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성명령정보 인식의 실패 원인인 공조장치의 토출공기와 음성명령정보 간의 간섭 및, 그로 인한 풍량노이즈를 저감시키는 구조이므로, 음성인식장치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 인식율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성인식장치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 인식율이 높아지므로, 음성인식 제어기능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장치의 공기토출방향 제어만으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음성명령정보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공조장치의 토출풍량을 저감시키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성명령정보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공조장치의 토출풍량을 저감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종래의 기술과 달리,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차량의 음성인식장치(10)와 공조장치(2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음성인식장치(10)는, 차량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를 수신하는 음성정보 수신부(12)와, 수신된 음성명령정보(A1)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명령정보(A1)에 따라 특정의 장치를 제어하는 음성정보 인식제어부(14)를 포함한다.
음성정보 수신부(12)는, 통상의 마이크로 구성되며, 탑승객으로부터 음성명령정보(A1)가 출력되면, 출력된 음성명령정보(A1)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명령정보(A1)를 음성정보 인식제어부(14)에 입력시킨다.
음성정보 인식제어부(14)는, 음성정보 수신부(12)에서 음성명령정보(A1)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명령정보(A1)를 인식하고, 인식한 음성명령정보(A1)에 대응되는 제어신호(A2)를 출력하여 해당 장치, 예를 들면, 공조장치(20)를 제어한다.
공조장치(20)는, 공조케이스(22)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22)의 내부에는 블로어(Blower)(24)와 각종 모드도어(26)들이 설치된다.
블로어(24)는, 외기 또는 내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내, 외기를 차실내로 송풍한다.
모드도어(26)들은, 벤트 도어(Vent Door)(26a)와, 디프 도어(Def. Door)(26b)와, 플로어 도어(Floor Door)(26c)를 포함하며,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한다.
특히, 공조장치(20)가 "벤트모드"(Vent Mode)로 제어될 경우에는, 차실내로 송풍되는 냉,온풍을 탑승객의 얼굴방향으로 토출시키고, 공조장치가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로 제어될 경우에는, 차실내로 송풍되는 냉,온풍을 탑승객의 얼굴방향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시킨다. 그리고 공조장치가 "플로어 모드"(Floor Mode)로 제어될 경우에는, 차실내로 송풍되는 냉,온풍을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시킨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콘트롤러(28)를 구비한다. 콘트롤러(28)는,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며, 모드 스위치(28a)와, 디스플레이부(28b)를 포함한다.
모드 스위치(28a)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눌러서 조작하면, 누르는 횟수에 따라 "공기토출모드"가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벤트모드"와 "바이 레벨 모드"와 "플로어 모드"가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게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28b)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되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와 일련의 작동과정을 표시한다. 특히, 모드 스위치(28a)로 특정의 "공기토출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특정의 "공기토출모드"를 심볼(28c)로 표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를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제어장치는,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을 구비한다.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은, 음성인식장치(10)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 인식 실패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으로, 마이콤(32)을 포함한다.
마이콤(32)은, CAN 통신라인(32a)을 통해 음성인식장치(10)와 연결되는 것으로, 음성인식장치(10)의 음성정보 수신부(12)에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가 수신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예를 들면, 10초가 경과한 후에도 음성정보 인식제어부(14)로부터 제어신호(A2)가 출력되지 않으면, 음성정보 인식제어부(14)가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 인식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하고, 이에 대응하여 음성인식 실패신호(A3)를 출력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인식 실패신호(A3)를 처리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으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입력되면,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로 진입하면서 공조장치(20)의 각 모드도어(26)들을 제어하여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시킨다.
특히,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시키되,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감되는 "모드"로 각 모드도어(26)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공기의 토출방향이 탑승객의 얼굴방향과 차실내의 바닥면 방향인 "바이 레벨 모드"와, 공기의 토출방향이 차실내의 바닥면 방향인 "플로어 모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저감시킨다. 이로써,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와 탑승객이 말한 음성명령정보(A1) 간의 간섭을 저감시킨다.
그 결과, 공조장치(20)의 토출공기와 음성명령정보(A1) 간의 간섭으로 인한 풍량노이즈를 줄여준다. 이에 따라, 음성인식장치(10)로 하여금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를 효율좋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장치에 대한 음성인식 제어기능을 개선시킨다.
한편, 제어부(40)는,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의 진입 시에, 각 모드도어(26)를 특정의 "공기토출모드"로 제어하여 탑승객의 얼굴부분에 대한 토출공기량을 저감시키되, 특정의 "공기토출모드" 중, 얼굴부분에 대한 토출공기 저감량이 적은 "모드"로부터 많은 "모드"로 점차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로 진입한 제어부(40)는, 먼저, 얼굴부분에 대한 토출공기 저감량이 가장 적은 "바이 레벨 모드"로 각 모드도어(26)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예를 들면 10초 이내에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으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소거되지 않으면, 여전히 음성인식장치(10)가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를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각 모드도어(26)를 "바이 레벨 모드"보다 얼굴부분에 대한 토출공기 저감량이 더 많은 "플로어 모드"로 제어한다. 따라서,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더욱 저감시킨다. 이로써, 음성인식장치(10)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 인식율을 높인다.
한편, 제어부(40)는, 각 모드도어(26)를 "플로어 모드"로 제어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예를 들면 10초 이내에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으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소거되지 않으면, 여전히 음성인식장치(10)가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를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블로어(24)의 회전단수를 낮춰준다. 특히, 블로어(24)의 회전단수를 최소회전단수, 즉, 1단으로 낮춰준다.
따라서, 공조장치(20)의 토출공기로 인한 풍량노이즈를 최소화시켜준다. 이로써, 음성인식장치(10)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 인식율을 극대화시킨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는,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공조장치(20)의 콘트롤러(28)로 입력된 "수동제어신호"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사용자가 "공기토출모드"를 임의로 변경하기 위해 콘트롤러(28)의 모드 스위치(28a)를 조작하였을 경우, 모드 스위치(28a)로 입력된 "수동제어신호"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의 진입 시에는 "공기토출모드"의 변경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공기토출모드"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없게 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사용자가 공조장치(20)의 "공기토출모드"를 얼굴방향측으로 조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음성인식장치(10)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 인식율이 더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부(40)는,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공기토출모드"를 임의로 변경하기 위해 콘트롤러(28)의 모드 스위치(28a)를 무단으로 조작하였을 경우, 디스플레이부(28b)의 모드 표시 심볼(28c)을 점멸(點滅)시키도록 제어한다.
특히, 사용자가 모드 스위치(28a)를 통해 특정의 "공기토출모드"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공기토출모드"에 해당하는 심볼(28c)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점멸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사용자에게 현재 음성인식장치(10)의 음성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공기토출모드"를 특정모드로 고정한 상태이므로, "공기토출모드"의 무단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음성인식장치(10)와 공조장치(20)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은, 음성인식장치(10)가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 인식에 실패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음성명령정보(A1) 인식에 실패하였으면, 음성인식 실패신호(A3)를 출력한다(S105).
그리고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출력되면, 제어부(40)는,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로 진입(S107)하면서 공조장치(20)의 "공기토출모드"를 제어한다(S109).
특히,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감되는 "공기토출모드"로 제어한다. 이때, "공기토출모드"들 중, 얼굴부분에 대한 토출공기 저감량이 가장 적은 "바이 레벨 모드"로 제어한다(S109).
그러면,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감되고, 이로써, 음성인식장치(10)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 인식율이 높아진다.
한편, 제어부(40)는, "바이 레벨 모드"로 제어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의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소거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1).
판단 결과,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소거되었으면, 제어부(40)는 음성인식장치(10)가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고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로부터 해제된다(S113). 그리고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공조장치(2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S115).
한편, 판단 결과,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소거되지 않았으면(S111-1), 제어부(40)는, 여전히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가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공조장치(20)의 "공기토출모드"를 제어한다(S117).
특히, "공기토출모드"들 중, 얼굴부분에 대한 토출공기 저감량이 "바이 레벨 모드"보다 많은 "플로어 모드"로 제어한다(S117).
그러면,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은 더욱 저감된다. 이로써, 음성인식장치(10)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 인식율이 더욱 더 높아진다.
한편, 제어부(40)는, "플로어 모드"로 제어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의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소거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19).
판단 결과,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소거되었으면, 제어부(40)는 음성인식장치(10)가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고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로부터 해제시킨다(S113). 그리고 "공기토출방향 변경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공조장치(2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S115).
한편, 판단 결과,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소거되지 않았으면(S119-1), 제어부(40)는, 여전히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가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블로어(24)의 회전단수를 저감시킨다(S121).
특히, 블로어(24)의 회전단수를 1단으로 저감시킨다. 그러면,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은 더욱 저감된다. 이로써, 음성인식장치(10)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A1) 인식율이 더욱 더 높아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공조장치(20)를 제어하여 탑승객의 얼굴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저감시키는 구조이므로, 음성명령정보 인식의 실패 원인인 공조장치(20)의 토출공기와 음성명령정보 간의 간섭 및, 그로 인한 풍량노이즈를 저감시킨다.
또한, 음성명령정보 인식의 실패 원인인 공조장치(20)의 토출공기와 음성명령정보 간의 간섭 및, 그로 인한 풍량노이즈를 저감시키는 구조이므로, 음성인식장치(10)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 인식율이 현저하게 높아진다.
또한, 음성인식장치(10)에 대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 인식율이 높아지므로, 음성인식 제어기능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또한, 공조장치(20)의 공기토출방향 제어만으로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음성명령정보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공조장치(20)의 토출풍량을 저감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음성명령정보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공조장치(20)의 토출풍량을 저감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종래의 기술과 달리,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탑승객의 음성정보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음성인식장치 12: 음성정보 수신부
14: 음성정보 인식제어부 20: 공조장치
22: 공조케이스(Case) 24: 블로어(Blower)
26: 모드도어(Mode Door) 28: 콘트롤러(Controller)
28a: 모드 스위치(Mode Switch) 28b: 디스플레이부
28c: 심볼(Symbol) 30: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
32: 마이콤(Micom) 40: 제어부
A1: 음성명령정보 A2: 제어신호
A3: 음성인식 실패신호

Claims (9)

  1. 음성정보로 차량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음성인식장치(10)와, 차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장치(1)를 구비하며, 상기 음성인식장치(10)는, 탑승객의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음성정보 수신부(12)와, 수신된 음성정보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A2)를 출력하여 해당 장치 제어하는 음성정보 인식제어부(14)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장치(20)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24)와, 차실내로의 공기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모드도어(26)들 및, 상기 공조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28)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장치(10)의 음성정보 인식 실패여부를 판별하는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과;
    상기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으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입력될 시에, 상기 공조장치(20)의 모드도어(26)들을 제어하여 차실내로의 공기토출방향을 변경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입력될 시에, 상기 공조장치(20)를 제어하되,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감되는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입력될 시에, 상기 공조장치(20)를 제어하되, 공기토출방향이 탑승객의 얼굴방향과 차실내의 바닥면 방향인 바이 레벨 모드와, 공기토출방향이 차실내의 바닥면 방향인 플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입력될 시에, 상기 공조장치(20)를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감되는 모드로 제어하되, 모드들 중, 얼굴부분에 대한 토출공기 저감량이 적은 모드로부터 저감량이 많은 모드로 시간차를 두고 점차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입력될 시에, 상기 공조장치(20)를 제어하되, 공기토출방향이 탑승객의 얼굴방향과 차실내의 바닥면 방향인 바이 레벨 모드로 제어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으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소거되지 않으면, 공기토출방향이 차실내의 바닥면 방향인 플로어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공조장치(20)의 공기토출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콘트롤러(28)를 수동조작할 시에, 상기 콘트롤러(28)에 입력된 수동제어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공기토출방향의 무단 변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공조장치(20)의 공기토출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콘트롤러(28)를 수동조작할 시에, 상기 콘트롤러(28)의 디스플레이부(28b)의 모드 표시 심볼(28c)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점멸(點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음성인식장치(10)의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소거되면, 상기 공조장치(20)의 공기토출방향을 상기 음성인식 실패신호(A3)가 입력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 실패 판별수단(30)은,
    상기 음성인식장치(10)의 음성정보 수신부(12)에서 탑승객의 음성정보가 수신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음성정보 인식제어부(14)로부터 제어신호(A2)가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음성정보 인식제어부(14)가 탑승객의 음성명령정보 인식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하여 음성인식 실패신호(A3)를 출력하는 마이콤(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KR1020120120396A 2012-10-29 2012-10-29 차량용 제어장치 KR20140054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396A KR20140054652A (ko) 2012-10-29 2012-10-29 차량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396A KR20140054652A (ko) 2012-10-29 2012-10-29 차량용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652A true KR20140054652A (ko) 2014-05-09

Family

ID=5088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396A KR20140054652A (ko) 2012-10-29 2012-10-29 차량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46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1460B2 (en) 2018-10-15 2020-12-08 Hyundai Motor Company Dialogu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dialogue processing method
US11505200B2 (en) * 2019-12-10 2022-11-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ystem and method for voice command vehicle systems cont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1460B2 (en) 2018-10-15 2020-12-08 Hyundai Motor Company Dialogu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dialogue processing method
US11505200B2 (en) * 2019-12-10 2022-11-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ystem and method for voice command vehicle systems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24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4076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174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KR101315708B1 (ko)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40054652A (ko) 차량용 제어장치
KR101527518B1 (ko) 차량용 제어장치
KR1022954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364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35773B1 (ko) 차량용 제어장치
KR2013002190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859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518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96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17816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디포깅 제어방법
KR10166264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5168281A (ja) 車両用気体供給装置
KR20140089092A (ko) 차량의 후석 공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9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38982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4905913A (zh) 车辆用空调装置
JP3709850B2 (ja) 車両用空調装置、音声認識装置付き空調システム
KR201301362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465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9990000949A (ko) 자동차 실내의 산소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19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