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422A -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펜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422A
KR20140053422A KR1020117029285A KR20117029285A KR20140053422A KR 20140053422 A KR20140053422 A KR 20140053422A KR 1020117029285 A KR1020117029285 A KR 1020117029285A KR 20117029285 A KR20117029285 A KR 20117029285A KR 20140053422 A KR20140053422 A KR 20140053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conductive
fixing member
input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타카 사노
시게키 구사카리
히데유키 쓰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세라프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세라프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세라프토
Publication of KR2014005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정보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내구성이 뛰어난 입력장치 및 입력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20)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22)와, 고정부재의 중공부(22a)에 삽입된 복수의 도전성 섬유(23)를 구비하며, 도전성 섬유의 선단은 고정부재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고정부재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입력펜(30)은 상기의 입력장치를 내부에 수납하는 펜 본체(21)와, 펜 본체의 일부에 마련한 금속링(24)을 구비하며, 금속링이 입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펜 {Input Device and Input Pe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형 정보단말기나 태블릿형 PC 등의 터치패널식 정보단말기의 입력조작에 사용되는 터치펜 등의 입력장치(input device) 및 이를 이용한 입력펜에 관한 것이다.
근래, 터치패널식 정보단말기의 화면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가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패널식 정보단말기에 있어서는 정보입력 화면이 되는 터치패널이나 소프트 키보드에 대해, 미스 터치나 지문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정전용량 방식의 펜형 입력장치(예를 들면 터치펜)가 이용되고 있다.
이 방식의 펜형 입력장치는 정전용량체인 펜 본체를 구비하며, 이 펜 본체의 선단부에는 터치패널식 정보단말기의 정보입력 화면이나 소프트 키보드의 버튼에 압접하는 도전성 펜촉이 마련되어 있다.
펜촉이 정보입력 화면에 가압되는 힘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며, 종래에는 터치패널에 대한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이 펜촉에 복수개의 도전성 섬유를 채용하여 붓모양으로 형성한 입력장치도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10-3998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개 2010-39610호 공보
종래의 입력장치는 터치패널식 정보단말기의 터치패널에 대해 가요성이 있는 펜촉을 사용하므로, 해당 터치패널에 대한 손상은 억제된다. 그러나, 이하에 나타낸 과제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이다.
즉, 제 1 과제로서, 터치패널에 대한 손상을 억제할 만큼의 가용성을 유지하면서도 반복 사용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여전히 존재하지 않는 점이다. 예를 들면, 붓 모양의 펜촉을 개시하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입력장치에서는 지지리브에 의해 복수개의 도전성 섬유를 지지하는 형태를 채용하는데, 이 형태에서는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몇 개인가의 도전성 섬유가 탈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사용시에 남은 도전성 섬유에는 필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펜촉의 변형 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 2 과제로서는 입력성능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없는 점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 입력장치를 터치패널에 누르는 힘은 다양하여, 어느 정도의 펜촉 변형은 예상해야만 한다. 한편, 만일 펜촉이 변형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후의 형상이 여전히 정보 입력에 바람직한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의 입력장치에서는 펜촉의 터치패널에 대한 접촉면적은 사용으로 인해 계속 증대되어(즉 사용으로 인해 펜촉이 일그러져), 예를 들면 가는 글자나 가는 선을 입력하는 것이 곧바로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터치패널 등에 펜촉을 강하게 접촉시키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정보 입력을 행할 수 있는 내구성이 뛰어난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된 복수의 도전성 섬유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성 섬유의 선단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된 복수의 도전성 섬유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정 섬유의 선단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섬유의 후단은 도전체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섬유는 탄소섬유와 금속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상기 (1)~(3)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섬유의 선단은 그 지름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의 노출길이를 점차 변화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5)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상기 (1)~(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폴리올레핀, PET, 불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열수축 튜브를 가열처리에 의해 수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6) 본 발명의 입력펜은 상기 (1)~(5) 중 어느 하나의 입력장치를 내부에 수납하는 펜 본체와, 상기 펜 본체의 일부에 마련한 금속링 등의 도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입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전자단말기의 터치패널에 펜촉을 강하게 접촉시키지 않더라도 원활하게 정보입력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내구성을 구비하여, 터치패널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높은 입력성능을 지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입력펜의 사용형태를 나타낸 개략설명도이다.
도 2는 입력펜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입력장치의 펜촉 부근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펜 본체에 마련되는 금속링과 도전성 섬유와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펜촉의 형상을 나타낸 확대설명도로, (a),(b)는 그 지름방향에서의 일측단(가장자리부)(p)으로부터 타측단(가장자리부)(s)에 걸쳐, 고정부재로부터의 노출길이가 점차 변화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한 예이며, (c)는 펜촉을 하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펜촉의 다른 예의 형상을 나타낸 확대설명도이다. (a)는 심부의 길이를 길게 가장자리부의 길이를 짧게 형성한 예이며, (b)는 심부의 길이를 짧게 가장자리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 예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입력장치의 펜촉 부근을 나타낸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입력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4의 입력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5의 입력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입력장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도전성 섬유를 구비하며, 도전성 섬유의 선단(터치패널과 접촉하는 펜촉)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로서의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수지나 카본 등 파우더를 섞은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과 펜촉과의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전성 섬유>
도전성 섬유로서는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탄소섬유, 금속세선, 미크론 사이즈의 카본블랙입자를 이겨넣은 섬유, 금속도금섬유, 나일론섬유에 황화동을 화학결합시킨 유기도전성의 섬유, 표면에 도전성 폴리머를 코팅한 섬유 등 공지의 다양한 도전성 섬유를 들 수 있다.
<탄소섬유와 금속섬유와의 혼합>
상기 도전성 섬유는 탄소섬유와 금속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탄소섬유와 금속섬유를 혼합함으로써, 탄소섬유의 유연성과, 금속섬유의 내구성을 균형있게 섞어넣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전성 섬유 중 심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섬유와, 이 심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의 도전성 섬유에서 서로 경도를 다르게 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심부와 가장자리부에서 지름(예를 들면 심부에서의 섬유 지름을 가장자리부에서의 섬유 지름보다 굵게 하는 등), 또는 재질(예를 들면 심부에서는 금속섬유로 하고, 가장자리부에서는 탄소섬유로 하는 등)을 다르게 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심부와 가장자리부와의 경계를 엄밀하게 할 필요는 반드시 없으며, 의도하는 성능을 실현하기 위해 적절히 그 경계는 조정가능하다.
<도전성 섬유의 접착>
또한, 복수의 도전성 섬유의 후단(펜촉과는 반대측)은 수지에 의해 복수의 도전성 섬유를 서로 접착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고정부재나 도전체를 생략할 수 있다. 도전성 섬유를 접착하기 위한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우레탄수지나 아크릴수지,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에폭시수지 등의 공지의 합성계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접착성 수지는 단독으로도 도전성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으나, 카본 분말이나 금속 미립자를 혼재시켜도 좋다.
<고정부재>
고정부재는 복수의 도전성 섬유를 묶기 위한 부재로, 예를 들면 원통형의 플라스틱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재에는 도전성 수지(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지)나, 카본 등 파우더를 섞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지로서는 우레탄 수지나 아크릴수지, SBR(스티렌-부타디엔고무), 에폭시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카본 분말이나 금속 미립자를 혼재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를 열수축 튜브로 함>
또한, 상기 고정부재를 열수축 튜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드라이어 등의 가열수단에 의해 열수축 튜브(고정부재)를 수축시켜, 복수의 도전성 섬유를 고정부재 안에 간단하게 묶을 수 있다. 열수축 튜브로서는 폴리올레핀, PET, 불소계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열수축 튜브의 소재에 카본 분말 등의 도전분말을 혼합하여 도전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비고착형>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복수의 도전성 섬유의 선단(펜촉)은 도전성 섬유끼리가 고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비고착형)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착형으로 함으로써, 터치패널에 손상을 입히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으며, 설사 사용으로 인해 선단의 형상이 변화된 경우에도, 다른 형상에 비해 정보입력 화면과의 접촉면적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고착형'이란 소위 도전성 섬유끼리가 서로 분리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노출길이의 변화>
또한, 도전성 섬유의 선단(펜촉)의 지름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의 노출길이를 점차 변화시킨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펜촉의 마모나 변형으로 인해 정보입력 화면과의 접촉면적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여, 정보입력의 확실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전체를 고착함>
본 실시형태의 입력장치는 추가로 상기 도전성 섬유를 고정부재로 묶어, 그 후단(펜촉과는 반대측)에 도전체를 고착한 것을, 홀더로서의 펜 본체 안에 수납할 수도 있다.
도전체로서는 가늘고 긴 막대형태의 금속이나 탄소 등을 들 수 있으며, 단면이 원형이나 각형인 파이프 형태의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금속파이프 등의 도전체를 통해, 사용자의 손과 펜촉과의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펜 본체>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입력장치는 터치패널 등의 정보입력 화면을 구비하는 터치패널식 전자단말기에 대해 사용되는 것이다. 터치패널식 전자단말기로서는 터치패널 등의 정보입력 화면을 구비한 거치형 퍼스널 컴퓨터나 터치패널식의 휴대형 정보단말기(소위 태블릿 PC나 i-Pad(등록상표) 등의 정보단말기나, 휴대형 음악재생기기나 내비게이션 단말기 등)를 들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의 형상에 제한은 없지만, 사용자가 손으로 취급하기 쉽도록 홀더인 펜 본체의 내부(중공부)에 수납되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링>
그리고, 펜 본체의 일부에 금속링 등의 도전성 부재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펜 본체의 금속링을 쥐었을 때 사용자의 손이 금속링, 도전체, 도전성 섬유를 통해 전자단말기의 터치 패널과 도통성을 갖게 된다.
또한, 도전성 섬유를 삽입하는 고정부재의 일부를 제거하여, 그 제거한 부위에서의 도전성 섬유와 금속링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보습성분>
또한, 금속링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하는 부분에 보습성분을 도포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금속링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 둘레에 걸쳐 홈을 형성하고, 이 홈 속에 보습성분을 메워둔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건조해 있는 경우에는 도전성이 떨어지므로, 이 보습성분에 의해 그 도전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펜 본체의 중공부에 콘덴서를 내장하여도 좋다. 콘덴서에는 단체형 (單體型), 적층형, 와인딩형, 전해 콘덴서 등이 있는데, 전압유지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공부의 단면에서의 지름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후술하는 도전성 섬유가 필요 충분하게 수납될 만큼의 지름이면 된다.
<실시예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이하에서는 그 일 예로서 '입력펜'이라 칭한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입력펜(20)의 사용형태를 나타낸 개략설명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입력 화면(12) 및 소프트 키보드(13) 등을 구비한 터치패널식 정보단말기(11)에 대해, 입력펜(2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있을 때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펜(20)의 펜 본체(21)를 쥐고 그 펜촉(23b)으로 정보입력 화면(12)에 정보를 입력한다.
도 2는 입력펜(20)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입력펜(20)은 펜 본체(21), 복수의 도전성 섬유(23)로 이루어진 펜촉(23b), 이 도전성 섬유를 묶는 고정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펜 본체(21)에는 도전성 부재(금속링)(2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도전성 부재(24)는 펜 본체(21) 내에 수용되어 있는 도전성 섬유(23)를 통해 펜촉(23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입력장치의 펜촉(23b) 부근을 나타낸 확대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도전성 섬유(23)는 탄소섬유를 사용하고 있으며, 고정부재(22)에 의해 묶여져 있다. 고정부재(22)는 에폭시 수지에 카본 분말을 혼합한 소재를, 중공부(22a)를 구비하도록 튜브형태로 한 것이다. 이 중공부(22a)에 복수의 도전성 섬유(23)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 섬유(23)의 후단(23a)은 접착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에 의해 서로 접착(고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입력펜(20)의 사용으로 인한 경시적 열화(劣化)(묶여진 도전성 섬유가 빠져 나가는 등)가 방지되고 있다.
또한, 선단(펜촉)(23b)은 도전성 섬유(23)가 분리상태로 되어 있다.
도 4는 펜 본체(21)에 마련되는 금속링(24)과 도전성 섬유(23)와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링(24)은 도전성 섬유(23)의 후단(23a) 부근의 펜 본체(21)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전성 섬유(23)의 후단(23a)과 금속링(24)의 접속부(24a)가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전성 섬유(23)의 후단(23a)이 그 지름에 걸쳐 모두 접속부(24a)에 접속되어 있는데,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도전성 섬유(23) 중 어느 한 도전성 섬유가 접속부(24a)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전성 섬유(23)의 후단(23a) 중 접속부(24a)와 접속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접착제인 에폭시 수지를 제거하는 것이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전성 섬유(23)의 선단(펜촉)(23b)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 섬유(23)의 선단(펜촉)(23b)은 비고착형(도전성 섬유 각각이 분리상태)으로 되어 있다. 펜촉(23b)은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도전성 섬유(23)를 묶어 형성함으로써, 굴곡상태가 간단히 얻어져서 터치패널에서의 입력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펜촉(23b)의 형상은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지름방향(도면에서는 X방향)에서의 일측단(가장자리부)(p)으로부터 타측단(가장자리부)(s)에 걸쳐, 고정부재(22)로부터의 노출길이가 점차 변화하는 테이퍼 형태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펜촉의 마모나 변형으로 인해 정보입력 화면과의 접촉면적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여, 정보입력의 확실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5(c)는 입력펜(20)을 하측(Z방향 중 펜촉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복수의 도전성 섬유(23)는 심부(23c)와 가장자리부(23d)(심부(23c)보다도 외측의 영역)에서 경도가 다르다.
또한, 심부(23c)의 외형은 원형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심부(23c)의 크기에 관해서도, 의도하는 펜촉의 단단함에 기초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심부(23c)에서의 도전성 섬유(23)의 지름(예를 들면 직경)은 가장자리부(23d)에서의 도전성 섬유(23)의 지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펜촉의 강도를 높이면서도 소위 붓과 같은 매끄러움도 실현할 수 있다.
도 6은 펜촉의 다른 예의 형상을 나타낸 확대설명도이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촉이 되는 선단(23b)은 그 심부(23c)의 길이가 길고, 가장자리부(23d)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즉, 입력부(펜촉)가 되는 선단(23b)의 형상이 구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형으로 함으로써, 터치패널과의 접촉으로 인한 정보입력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 섬유(23)의 심부(23c)의 길이를 짧게, 가장자리부(23d)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심부(23c)의 섬유 재질을 도전성 섬유 이외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을 사용함으로써 입력부(펜촉)가 되는 선단(23b)의 허리를 강하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7은 실시예 2의 입력장치의 펜촉 부근을 나타낸 확대종단면도이다. 실시예 2의 입력장치는 도전성 섬유(탄소섬유)(23)가 고정부재(22)에 의해 묶여져 있는 점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나, 고정부재(22)가 열수축 튜브에 의해 형성되고, 도전성 섬유(23)의 후단(23a)은 스테인리스제 도전체(파이프)(25)와 고착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실시예 2의 입력장치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한다. 도 7(a)에서는 고정부재로서의 열수축성 튜브의 내부에 도전성 섬유를 삽입하고, 그 후단에 도전체인 스테인리스 파이프(25)를 삽입하여 도전성 섬유 및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위로부터 수지제의 열수축 튜브로 피복한다.
이어서, 드라이어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열풍을 쐬어 열수축성 튜브를 수축시켜 스테인리스 파이프, 도전성 섬유, 고정부재를 일체화한다. 열수축 튜브의 수축에 의해, 도전성 섬유의 헝클어짐을 구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도전성 섬유의 후단에 고착할 수 있다.
도 7(b)에서는 먼저 고정부재로서의 열수축성 튜브의 내부에 도전성 섬유를 삽입한 것을, 드라이어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열풍을 쐬어 열수축성 튜브를 수축시켜 고정한다. 그 후, 도전체로서의 스테인리스 파이프(25)에 도전성 섬유(23)의 후단을 삽입하여, 도전성 섬유를 고정한 고정부재와 일체화한다.
또한, 이 경우 스테인리스 파이프(25)의 단부에 코킹(caulking)(25a)을 형성함으로써, 접속강도 및 도전성 섬유와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해진다.
<실시예 3>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 3의 입력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 나타낸 입력장치(20)와, 소위 볼펜 타입의 펜촉(31)의 2개를 회전식 또는 노크식으로 전환하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입력펜(30)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 중, 볼펜 타입의 펜촉(31)은 샤프펜슬 타입의 펜촉을 사용하여도 좋다.
<실시예 4>
도 9는 실시예 4의 입력펜(30)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실시예 4의 입력펜(30)은 볼펜 타입의 펜촉(31)과는 반대측에, 소위 등을 맞대고 반대방향으로, 복수의 도전성 섬유(23)로 이루어진 입력장치(20)를 마련하고 있다. 비사용시에는 펜촉에 캡(32)을 씌워 보호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타입의 입력펜(30)에 의하면, 정보입력 화면(12)에 입력할 문자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적절히 펜촉을 전환하여 정보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펜촉의 전환기구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공지의 전환기구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5>
도 10은 실시예 5의 입력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펜 본체에 수납된 입력장치(20)는 금속링(24)과의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가지고 있다. 즉, 금속링(24)으로부터 돌출된 접속부재(24a)는 고정부재(22) 또는 도전체(25)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접속부재로서는 판 스프링, 와이어, 도전성 브러시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장치가 상하나 회전으로 이동하더라도 금속링과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 및 입력펜은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휴대형 정보단말기나 거치형 PC 등의 터치패널식 정보단말기의 조작에 있어서, 터치패널에 대한 손상을 억제할 만큼의 가용성을 유지하면서도, 반복 사용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며, 입력성능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어 산업상의 이용가능성이 지극히 높다.
11 : 터치패널식 정보단말기
12 : 정보입력 화면
13 : 키보드
20 : 입력장치
21 : 본체
22 : 고정부재
22a : 중공부
23 : 도전성 섬유
23a : 도전성 섬유의 후단
23b : 도전성 섬유의 선단(펜촉)
23c : 도전성 섬유의 심부
23d : 도전성 섬유의 가장자리부
24 : 도전성 부재(금속링)
24a : 접속부
25 : 도전체(스테인리스 파이프)
25a : 코킹
30 : 입력펜
31 : 펜촉
32 : 캡
p : 펜촉의 일측단(가장자리부)
s : 펜촉의 타측단(가장자리부)

Claims (6)

  1. 중공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된 복수의 도전성 섬유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성 섬유의 선단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중공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된 복수의 도전성 섬유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정 섬유의 선단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섬유의 후단은 도전체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섬유는 탄소섬유와 금속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섬유의 선단은 그 지름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의 노출길이를 점차 변화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폴리올레핀, PET, 불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열수축 튜브를 가열처리에 의해 수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입력장치를 내부에 수납하는 펜 본체와,
    상기 펜 본체의 일부에 마련한 금속링 등의 도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입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펜.
KR1020117029285A 2011-08-29 2011-11-14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펜 KR20140053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86606 2011-08-29
JP2011186606 2011-08-29
PCT/JP2011/076218 WO2013031034A1 (ja) 2011-08-29 2011-11-14 入力デバイス及びそれを用いた入力ペ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422A true KR20140053422A (ko) 2014-05-08

Family

ID=4775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285A KR20140053422A (ko) 2011-08-29 2011-11-14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39601B1 (ko)
KR (1) KR20140053422A (ko)
WO (1) WO2013031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7448B2 (ja) * 2013-06-12 2017-04-05 富士通株式会社 スタイラスペンおよびダンパースプリング
WO2016171114A1 (ja) * 2015-04-20 2016-10-27 株式会社ワコム 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を用いた方法、センサコントローラ、並びに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
JP6230755B2 (ja) * 2015-04-20 2017-11-15 株式会社ワコム 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を用いた方法、センサコントローラ、並びに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
TWI668603B (zh) * 2018-10-01 2019-08-11 幸芯科技有限公司 Stylus device with anti-vibratio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686U (ja) * 1983-02-15 1984-08-25 ぺんてる株式会社 毛筆状筆記具
JPH10171579A (ja) * 1996-12-13 1998-06-26 Mitsubishi Pencil Co Ltd 静電容量型座標入力パッド用入力ペン
JP4731304B2 (ja) * 2005-12-14 2011-07-20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液体塗布具
JP5042159B2 (ja) * 2008-08-01 2012-10-03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ペ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031034A1 (ja) 2015-03-23
WO2013031034A1 (ja) 2013-03-07
JP5139601B1 (ja)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9754B2 (en) Touch screen pen for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JP5042159B2 (ja) 静電容量型入力ペン
KR101234453B1 (ko) 스타일러스 터치펜
US20130300693A1 (en) Writing instrument
KR20140053422A (ko)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펜
JP5946396B2 (ja) 入力用タッチペン
KR20110105500A (ko) 스타일러스 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JP5832238B2 (ja) 情報入力用ペン
JP5890694B2 (ja) 情報入力用ペン
KR101328682B1 (ko) 감응부가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
JP5890693B2 (ja) 情報入力用ペン
JP5832237B2 (ja) 情報入力用ペン
KR101200971B1 (ko) 터치스크린용 터치부재
JP2014215975A (ja) 入力ペン
KR101180973B1 (ko) 터치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JP5944289B2 (ja) スタイラスペンおよび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JP2016115029A (ja) 手書き入力ペン
JP5832235B2 (ja) 情報入力用ペン
KR102050889B1 (ko)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KR101180828B1 (ko) 정전식 터치펜
JP6083782B2 (ja) 情報入力用ペン
KR101218760B1 (ko) 연필심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펜
KR20140072531A (ko) 정전용량식 터치 붓
KR20140115081A (ko) 정전식 터치펜
KR101208366B1 (ko) 정전식 터치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