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311A - 인코더 역량의 동적인 시그날링 매카니즘 - Google Patents

인코더 역량의 동적인 시그날링 매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311A
KR20140053311A KR1020147006639A KR20147006639A KR20140053311A KR 20140053311 A KR20140053311 A KR 20140053311A KR 1020147006639 A KR1020147006639 A KR 1020147006639A KR 20147006639 A KR20147006639 A KR 20147006639A KR 20140053311 A KR20140053311 A KR 20140053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r
node
control node
voice
communication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321B1 (ko
Inventor
라피 라비포우어
충-청 추
다니엘 코흔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4005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2Speech codec negoti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응하는 통신노드들의 보코더들의 인코더 역량을 동적으로 시그날링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들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 동안에,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예컨대,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센터)는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의 역량을 기반으로 제2통신노드는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해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요청한다.

Description

인코더 역량의 동적인 시그날링 매카니즘{Mechanism for dynamic signaling of encoder capabilities}
본 출원은 여기에서 그 기재내용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되는, 2001년 8월 17일자 가특허출원 제61/524,386호와 2011년 9월 9일자 가특허출원 제61/531,796호를 우선권주장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인코더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인코더 역량의 동적인 시그날링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통신장치 간에 통신되는 음성, 또는 대화의 품질과 명료성에서 큰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지난 수년 동안에 광대역 음성 인코더(wideband speech encoder)들이 도입되었다. 전형적으로, 광대역 음성 보코더(vocoder)는 다수의 상이한 인코더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음성 인코더들을 포함하고, 주어진 호출에 대한 인코더 모드의 선택은, 특정 통신기술에 관련된 기술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규칙들의 셋트에 규제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호출에 대한 인코더 모드는, 인코더 모드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 또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선택은 호출이 설정(set-up)되거나, 또는 택일적으로 베어러(bearer) 신호패킷읖 통해 교환되는 인밴드(in-band) 시그날링을 기반으로 하는 시점에서 발휘되는 시그날링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예로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 인핸스드 가변율 코덱-협대역-광대역(Enhanced Variable Rate Codec-Narrowband-Wideband:EVRC-NW) 보코더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와 다중 협대역 인코더 모드들을 포함한다. 현재, EVRC-NW 보코더의 인코더 모드는 선호하는 인코더 모드의 전송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EVRC-NW 보코더를 구비한 두 이동단말기(이동단말기 A 및 이동단말기 B) 간에 호출이 설정되면, 코어망(core network)을 통해 셀룰러 통신시스템에서 대응하는 제어노드들(예컨대, 기지국들 또는 이동 교환센터들) 간에 베어러 경로(bearer path)가 설정된다. 이 베어러 경로는 이동단말기들의 제어노드들 간에 인코드된 음성을 반송하는데 사용된다. 코드분할 다중 액세스(CDMA) 셀룰러 통신시스템들과 EVRC계의 보코더들에서, 코어망을 통한 베어러 경로는 실시간 프로토콜(RTP) 패킷들을 통해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더 모드 요청들은, 예컨대 콤멘트(RFC) 4788에 대한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 요청에 명시된 바와 같이, 인코드된 음성을 반송하기 위하여 코어망을 통해 전송된 RTP 패킷들의 페이로드 헤더 내, MMM 필드라 칭하는 전용필드에 포함된다.
특히, RTP 패킷은 헤더와 페이로드를 가진다. RTP 패킷 헤더는 타임 스탬프(time stamp)와.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 등과 같은 정보를 반송한다. RPT 패킷 헤더정보는 고유하고 또한 전형적으로 페이로드와는 무관하다. RTP 패킷의 페이로드는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등과 같은 소정의 미디어 페이로드일 수 있다. 여기서, RTP 패킷의 페이로드는 인코드된 음성을 코어망을 통해 반송하는데 사용딘다. 특히, 페이로드는 EVRC-NW 인코드된 음성을 반송한다. EVRC-NW 페이로드는 RTP 패킷 헤더와는 다른, 규정된 그 자신의 헤더를 가진다. EVRC-NW 페이로드 헤더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MMM필드를 포함한다.
EVRC-NW 보코더에 대한 현재 인코더 선택방법과 관련된 한 가지 문제는,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이, 요청을 수용하기 위해 원단(far-end)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의 현재 역량을 의식하지 않고 전송된다는 것이다. 특히, 단말기 A와 단말기 B 간의 호출에 대해, 이동단말기 A에 대한 제어노드는 이동단말기 B의 음성 인코더의 현재 역량 또는 호출구성으로 인해 부가될 수 있는 한계들을 의식하지 않고서 이동단말기 B의 음성 인코더에 대해 선호하는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요청한다. 마찬가지로, 이동단말기 B는 이동단말기 A의 음성 보코더의 현재 역량을 의식하지 않고서 이동단말기 A의 음성 인코더에 대해 선호하는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 요청한다. 이와 같이, 만일 예컨대 이동단말기 A가 광대역 음성을 수신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면, 이동단말기 A의 제어노드는 이동단말기 B의 음성 인코더 또는 호출구성이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지속적으로 요청하게 된다. 만일 이동단말기 B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엔코딩을 할 수 없다면(예컨대, 통신노드가 광대역 모드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노드가 광대역모드를 지원하지만 현재 통신노드가 광대역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섹터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광대역 엔코딩이 지역 운영자 정책에 의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등등), 이동단말기 B의 음성 인코더는 이동단말기 A의 선호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가 아닐 수 있는 몇몇 디폴트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사용하게 된다. 즉 달리 말하면, 이동단말기 A는, 이동단말기 B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엔코딩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식하지 않고, 따라서 선호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에 대한 선호도를 신호전송하지 않고서 협대역 인코더 모드들 중 하나에 따라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게 된다.
만일 무선망 운영자의 서비스정책이 광대역 동작에 가장 높은 우선도를 주는 것이라면(예컨대, 광대역 음성의 도입 위상 동안에 특히 최대 고객 충족을 얻기 위해), 이러한 문제는 나빠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단말기 B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음성의 전송을 갑자기 시작하게 할 수 있는, 협대역 음성의 수신이 광대역 음성을 지원하는 영역으로 핸드오버와 같은 이벤트를 불가능하지 않게 하기 때문에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유지하는 것 이외에 달리 방법이 없다. 상기 논의의 관점에서 보면, 광대역 보코더와 특히 EVRC-NW 보코더에 대해 개선된 인코더 모드 선택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대응하는 통신 노드들의 보코더의 동적인 시그날링 인코더 역량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에 호출 동안에,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예컨대,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센터)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정보(capability information)을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한다. 제1통신노드의 음성 인코더는 다수의 규정된 음성 인코더 모드들 중 적어도 몇몇에서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은 하나 또는 가능한 많은 광대역 인코더 모드들과 그리고 하나 또는 보다 많은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포함한다. 제1통신노드의 제어노드가 제1통신노드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함에 따라, 제2통신노드는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의 역량들을 기반으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만일 호출 동안에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의 역량이 변한다면, 제2통신노드의 제어노드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으 음성 인코더의 새로운 인코더 역량들을 기반으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이 프로세스는 호출 동안에 동적으로 반복된다.
한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인코드된 음성과 인밴드(in-band)인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에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전송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인핸스드 가변율 코덱-협대역-광대역(Enhanced Variable Rate Codec-Narrowband-Wideband:EVRC-NW) 보코더이고 또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실시간 프로토콜(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전송하고 또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에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인코드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out-of-band)인 제2통신노드에 전송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들이고, 그리고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전송하고 그리고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RPT 패킷과 아웃 오브 밴드인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역량 정보를 세션 기술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S에 메시지의 속성(attribute)로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어메시지를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들이고, 또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에 전송하고 또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RTP 제어메시를 통해 제2통신노드의 제어노드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의 호출 동안에,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으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수신한다.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는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 중 적어도 몇몇에서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은 하나 이상의 광대역 인코더 모드들과 하나 이상, 또는 바람직하게 보다 많은 협대역 인코더 모드들은 포함한다.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의 역량들을 기반으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을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호출 동안에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들에 대한 동적인 업데이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응답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해 선택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업데이트하고 그리고 제2통신노드에 대하 제어노드로 바람직한 인코드 모드에 대한 대응하는 요청을 전송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인코드된 음성과 인밴드인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들이고, 또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하고 또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드 내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인코드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인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들이고, 또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된 음성을 RPT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하고 또한 RTP 패킷과 아웃 오브 밴드인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수신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SDP 메시지의 속성으로서 역량 정보를 수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어메시지를 토애 수신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이고, 또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하고 또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RTP 제어메시지를 통해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 동안에,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indicator)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수신한다. 응답시, 만일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였고 또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원하는 인코더 모드로서 선택한다. 그렇지 않고, 만일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만일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에 의해 식별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원하는 인코더 모드로서 선택한다. 그런 다음,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원하는 인코더 모드를 제1통신노드로 전송한다. 응답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는 원하는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음성을 인코드하고 그리고 제2통신노드로 전송을 위해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인코드된 음성을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이 프로세스는 호출 동안에 동적으로 반복된다.
한 실시예에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둘 다는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 음성과 인밴드로 수신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들이고, 그리고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하고 또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로 수신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이고, 또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한다. 이외에도,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RTP 패킷과 아웃 오브 밴드인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를 수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제어메시지를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수신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T-NW 보코더이고, 또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오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한다. 이외에도,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RTP 제어메시지를 통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 동안에,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한다. 응답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수신하고, 그런 다음 인코드된 음성을 제1통신노드로 전송하고, 제1통신노드에서 인코드된 음성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에 의해 디코드된다. 바람직하게, 만일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였고 또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나타낸다면, 인코드된 음성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인코드된다. 그렇지 않고, 만일 광대역 인코드 모드 요청 표시자가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가 광대역 인코드 모드를 요청하지 않았거나 또는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인코드된 음성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에 의해 식별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인코드된다. 바람직하게, 이 프로세스는 호출 동안에 동적으로 반복된다.
한 실시예에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둘 다는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에서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인코드된 음성과 인밴드로 전송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들이고, 그리고 제1통신노드에 대하 제어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에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로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전송하고 또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광대역 인코드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에서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인코드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로 전송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T-NW 보코더들이고, 그리고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에서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전송한다. 이외에도,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전송하고 또한 RTP 패킷과 아웃 오브 밴드인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를 전송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제어메시지를 통해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에서부터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이고, 그리고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는 코어망을 통해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에서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전송한다. 이외에도,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전송하고 또한 RTP 제어메시지를 통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에 호출 동안에,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에 후행하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한다. 응답시, 만일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원하는 인코더 모드로서 선택한다. 그렇지 않다면, 만일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면,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에 의해 식별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원하는 인코더 모드의 표시자를 제1통신장치에 전송한다. 응답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는 원하는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음성을 인코드하고 그리고 인코드된 음성을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하고, 제어노드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2통신노드의 제어노드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이 프로세스는 호출 동안에 동적으로 반복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이고, 또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다중 RTP 패킷들의 페이로드로서 수신한다. 이외에도,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대응하는 PRT 패킷들의 페이로드 헤더 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과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 동안에,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에 후행하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한다. 응답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고 그리고 인코드된 음성을 제1통신노드로 전송하고, 인코드된 음성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에 의해 디코드된다. 바람직하게, 만일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인코드된 음성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 따라서 인코드된다. 그렇지 않다면, 만일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면, 인코드된 음성은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에 의해 식별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인코드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이고, 그리고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다중 RTP 패킷들의 페이로드로서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는 대응하는 RTP 패킷들의 페이로드 헤더 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과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전송한다.
본 기술의 당업자라면 첨부도면들과 관련해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봄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이해하게 될 것이고 또한 부수적인 특징들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설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나타내고, 또한 설명과 함께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3GPP2 인핸스드 가변율 코덱-협대역-광대역(EVRC-NW) 보코더를 포함하는, 보코더들의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 인핸스드 가변율 코덱(EVRC) 계열에 대해 인코드된 음성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실시간 프로토콜(RTP) 패킷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기술된 다수의 인코더 선택방법들 중 하나를 구현하는 셀룰러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 역량들의 동적인 시그날링을 기반으로 인코더 모드 선택을 가증하게 하는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EVRC-NW 보코더들으 인코더 역량들의 동적인 인밴드 시그날링을 기반으로 인코더 모드 선택이 가능하게 하는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EVRC-NW 보코더에 대한 인코더 역량들의 동적인 인밴드 시그날링을 가능하게 하는 페이로드 헤더를 포함하는 RTP 패킷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EVRC-NW 보코더의 인코더 역량들의 동적인 아웃 오브 밴드 시그날링을 기반으로 인코더 모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a와 7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협대역 인코더 모드 역량만을 그리고 광대역과 협대역 인코더 역량을 각각 표시하는 인코더 역량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SDP)의 두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와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EVRC-NW 보코더들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메시지들의 동적인 교환을 기반으로 인코더 모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기반으로 인코더 모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a와 10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EVRC-NW 보코더들에 대한 인코드된 음성과 인밴드 통신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지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기반으로 인코더 모드 선택이을 가능하게 하는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EVRC-NW 보코더들에 대한 광대역 인코더 요청과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의 내포된 시그날링을 기반으로 인코더 모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노드들 중 하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통신노드들 중 하나의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제어노드들 중 하나의 블록도.
아래에서 주어지는 실시예들은 당업자들이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필수적인 정보를 나타내고 또한 실시예들을 실시하는 최고의 모드를 도시한다. 첨부도면들을 고려하여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개념을 이해하고 또한 여기에서 특별히 다루지 않은 이들 개념들의 적용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들 개념들과 응용들은 본 발명와 첨부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들어간다는 것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대응하는 통신노드들의 보코더들에 대한 인코더 역량들을 동적으로 시그날링하기 위한 시스템들과 방법을 기술한다. 이 점에서, 도 2는 대응하는 보코더(14-1 및 14-2)FMF 가지는 통신노드(12-1 및 12-2)를 포함하는 셀룰러 통신시스템(10)을 보여주는데, 셀룰러 통신시스템(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 모드 선택을 위해 인코더 역량들의 동적인 시그날링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 통신노드(12-1 및 12-2)는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동전화와 같은 무선장치들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기술된 개념들은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s), 음성 메시징 서버 등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통신들에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보코더(14-1)는 음성 인코더(16-1)와 음성 디코더(18-1)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보코더(14-2)는 음성 인코더(16-2)와 음성 디코더(18-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음성 인코더(16-1 및 16-2)는 다수의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 중 적어도 몇몇에서 동작할 수 있다. 규정된 인코드 도드들은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광대역 인코더 모드들과 그리고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들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코더(14-1 및 14-2)는 일곱 개의 상이한 협대역 인코드 모드들을 지원하고, 또한 선택적으로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지원하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 인핸스드 가변율 코덱-협대역-광대역(EVRC-NW) 보코더들이다. 그러나, 보코더(14-1 및 14-2)들은 EVRC-NW 보코더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여기에서 기술된 개념들은 다중 인코더 모드들을 지원하는 다른 유형의 보코더들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통신노드들(12-1 및 12-2)들 간에 호출 동안에, 보코더(14-1)에 의해 인코드도니 음성은 제1 및 제2통신노드(12-1 및 12-2)들 각각에 대한 제어노드(20-1 및 20-2)들과 코어망(22)을 통해 제1통신노드(12-1)에서 제2통신노드(12-2)로 전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노드(20-1 및 20-2)들은 통신노드(12-1 및 12-2)를 코어망(22)에 상호연결시키는 셀룰러 통신시스템(10) 내 노드들(예컨대,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센터(MSC))이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노드(20-1 및 20-2)들은 통신노드(12-1 및 12-2)들을 서버하는(즉, 통신노드(12-1 및 12-2)들에 무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제어기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통신노드(12-1)는 음성 인코더(16-1)에 의해 생성되는 인코드된 음성을 업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어노드(20-1)는 코어망(2)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셀룰러 통신시스템(10) 내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노드들(예컨대,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거쳐 제어노드(20-2)로 인코드된 음성을 전송한다.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면, 제어노드(12-2)는 다운링크를 통해 통신노드(12-2)로 인코드된 음성을 전송하고, 인코드된 음성은 통신노드(12-2)의 음성 디코더(18-2)에 의해 디코드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인코드된 음성은 통신노드(12-2)에서 통신노드(12-1)로 전송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노드(20-1 및 20-2)들은, 코어망(22)에 통신노드(12-1 및 12-2)들을 서버하는 기지국들을 연결하는 MSC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통신노드(12-1)는 음성 인코더(16-1)에 의해 생성되는 인코드된 음성을 관련 기지국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결국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어노드(20-1)는 인코드된 음성을 코어망(22)을 통해 직접 또는 셀룰러 통신시스템(10) 내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노드들을 거쳐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면, 제어노드(20-2)는 인코드된 음성을 통신노드(12-2)와 관련된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결국 다운링크를 통해 통신노드(12-2)로 전송한다. 통신노드(12-2)에서, 인코드된 음성은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8-2)에 의해 디코드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인코드된 음성은 통신노드(122)에서 통신노드(12-2)로 전송된다.
설명을 진행하기 앞서, 여기에서 기술한 많은 실시예들에서, 트래픽(즉, 인코드된 음성)은 제어노드(20-1 및 20-2)를 통과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제어노드(20-1 및 20-2)들은 트래픽 경로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어노드(20-1 및 20-2)는 여기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동적으로 시그날링된 인코더 역량을 기반으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통신노드(12-1 및 12-2)와 관련된 기지국 제어기 또는 MSC들과 상호작용하는 제어노드들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과 관련해 몇몇 지점에서(예컨대, 호출 설정 동안 또는 호출 동안),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통신노드(12-1)의 음성 인코더(16-1)의 인코더 역량 정보를 통신노드(12-2)의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100). 일반적으로, 인코더 역량 정보는,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 중 하나 이상에 관해 음성 인코더(16-1)의 현재 역량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기술하였듯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코더(14-1 및 14-2)들은 EVRC-NW 보코더들이고, 그리고 인코더 역량 정보는 음성 인코더(16-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사용하듯이, 용어 "지원(support)" 및 "할 수 있는(capable)"은 서로 구분되게 된다. 음성 인코더(16-1)는, 음성 인코더(16-1)가 인코더 모드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때 인코더 모드를 "지원"한다. 반대로, 음성 인코더(16-1)는, 음성 인코더(16-1)가 인코더 모드를 지원하지만 현재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음성 인코더(16-1)가 현재 인코드 모드에서 동작할 때 인코드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만일 예컨대 제어노드(20-1)가 인코더 모드를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인코드 모드를 금지한다면, 음성 인코더(16-1)는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코더 역량 정보는, 만일 음성 인코더(16-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지원하지만 현재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면 음성 인코더(16-1)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다면, 인코더 역량 정보는, 음성 인코더(16-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는 것(즉, 단지 협대역 모드들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아래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소정의 적절한 통신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노드(12-1)의 음성 인코더(16-1)의 인코더 역량 정보를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코어망(22)을 통해 제어노드(201-)에서 제어노드(20-2)로 전송된 인코드 음성과 인밴드로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제어노드(20-1)에서 제어노드(20-2)로 인코드된 음성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베어러신호와 관련된 제어메시지에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
통신노드(12-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수신한 후에,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2)는 음성 인코더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102). 그러므로, 인코더의 역량들에 대한 소정의 지식도 없이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가 선택되는 통상적인 인코더 선택방법과는 반대로,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1)의 역량들에 관한 지식으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 예컨대, 만일 인코더 역량 정보가, 음성 인코더(16-1)가 현재 광대역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제어노드(20-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였다 하더라도 제어노드(20-2)는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예컨대, 가벼운 무선주파수(RF) 부하를 겪는다면 EVRC-NW 모드 1을 또는 무거운 RF 부하를 겪는다면 EVRC-NW 모드 4를 선택한다). 역으로, 통상적인 인코더 선택방법들을 사용하면, 음성 인코더(16-1)가 현재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음에도 제어노드(20-2)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
다음에,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드 모드에 대한 요청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104). 여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은 인코드된 음성과 인밴드로 전송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웃 오브 밴드 기술이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요청에 응해, 통신노드(12-1)의 제어노드(20-1)는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 또는 요청에 의해 식별되는,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식별하는 보다 특별한 정보를 통신노드(12-1)로 전송한다(단계 106).
그런 다음, 통신노드(12-1)는 요청에서 식별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서 음성 인코더(16-1)가 동작하도록 구성하고, 그리고 음성 인코더(16-1)는 바람직한 인코드 모드에 따라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108). 음성을 엔코딩한 후, 음성 인코더(16-1)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110). 그런 다음, 제어노드(20-1)는 코어망(22)을 통해 베어러 신호를 통해서 인코드된 음성을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 아래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서, 보코더(14-1 및 14-2)들은 EVRC-NW 보코더들이고, 그리고 베어러신호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와 같은 인코드된 음성을 포함하는 실시간 프로토콜(RTP) 패킷이다.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면,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인코드된 음성을 통신노드(12-2)로 전송한다(단계 114). 통신노드(12-2)에서,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디코더(18-2)는 인코드된 음성을 디코드한다(단계 116). 그런 다음,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는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118). 예컨대, 보코더(14-2)는 통신노드(12-2)의 스피커를 통해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설명을 더 진행하기 전에, 도 3의 프로세스는 바람직하게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에 호출의 지속시간에 걸쳐 지속된다는 것을 알아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바람직하게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동적으로 갱신한다. 이와 같이, 만일 호출 동안에 음성 인코더(16-1)의 역량이 변한다면, 새로운 역량들이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신호전송되고,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1)의 새로운 역량들을 기반으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해 바람직한 새로운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 이 방식에서, 음성 인코더(16-1)는 호출 설정시에 선택되는 인코드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음성 인코더(16-1)에 대해 동적으로 신호전송된 인코더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노드(20-2)에 의해 발행된 요청들에 응해 모드들을 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논의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도 3은 단지 통신노드(12-1)의 음성 인코더(16-1)의 인코더 역량들의 시그날링만을 도시하지만, 음성 인코더(16-2)의 역량들도 바람직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노드(20-2)에서 제어노드(20-1)로 신호전송된다.
도 4a 내지 4c는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인코더 역량 정보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인코드된 음성과 인밴드로 통신된다. 이 실시예에서, 보코더(14-1 및 14-2)들은 EVRC-NW 보코더들이고, 그리고 인코드된 음성은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들 내에서 수송된다. 첫째로, 제1 및 제2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 동안에,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는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200). 초기에, 음성 인코더(16-1)는 디폴트 인코더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통신노드(12-1)는 인코드된 음서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202).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면,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단계 202에서 수신된 인코드 음성과 또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통신노드(12-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204).
도 5를 간단히 참조하면,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는 바람직하게 도시된 형태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RTP 패킷의 헤더(즉, RTP 헤더)와, 무엇보다도 용장(reserved) 비트(R)와, 역량 비트(C)와, 그리고 MMM필드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헤더와, 그리고 이 경우에는 EVRC-NW 페이로드인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RTP 패킷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1은 인코더 역량 정보를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판일 음성 인코더(16-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ㅎㄹ 수 있다면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1은 0에 설정되고 그렇지 않다면 1에 설정되며, 여기서 1의 값은, 음성 인코더(16-1)가 단지 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 5의 RTP 패킷에 대한 페이로드 헤더 포맷은 단지 예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만일 음성 인코더(16-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1은 1에 설정되고 그렇지 않다면 0에 설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들 0과 1은 인코더 역량 정보를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예컨대, 협대역 인코더모드에 대해서만은 00 그리고 광대역 및 협대역 인코드 모드 역량에 대해서는 01). 예컨대, 만일 하나 이상의 광대역 인코더 모드들이 있다면 비트 0과 1이 유리하다(예컨대, 협대역 인코더 모드에 대해서만 00 그리고 광대역 모드 1 역량에 대해서는 01, 광대역 모드 2 역량에 대해서는 10, 그리고 광대역 모드 1과 광대역 모드 2 역량에 대해서는 11).
도 4a 내지 4c로 돌아가면, RTP 패킷이 생성만 되면,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코어망(22)을 통해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RTP 패킷을 전송한다(단계 206). 그런 다음,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내 인코드된 음성을 통신노드(12-2)로 전송한다(단계 208). 이외에도,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된 통신노드(12-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노드(12-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210).
통신노드(12-2)에서,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2)의 음성 디코더(18-2)는 제어노드(20-2)로부터 수신된 인코드 음성을 디코드하고, 그런 다음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212 및 214). 이외에도,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는 통신노드(12-2)에서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216). 단계 206에서 제어노드(20-1)에 의해 수신된 RTP 패킷은 바람직하게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MMM 필더(도 5 참조)에 포함하고, 여기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는 제ㅇ노드(20-2)에서 통신노드(12-2)로 통신된다. 그러나, 초기에,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는 음성 인코더(16-2)의 역량들에 지식 없이 제어노드(20-1)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 216에서, 음성 인코더(16-2)는 단계 206에서 제어노드(20-2)에 의해 수신된 RTP 패킷 내에 요청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따라 작동할 수 있거나, 만일 단계 206에서 제어노드(20-2)에 의해 수신된 RTP 패킷에 요청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면, 디폴트 인코더 모드에서 작동한다.
음성이 인코드되면, 통신노드(12-2)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218).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면,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단계 218에서 수신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와 단계 210에서 선택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으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220).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MMM 필드에 포함된다(도 5 참조). RTP 패킷이 생성되면,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222). RTP 패킷을 수신하면,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내 수신된 인코드 음성과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통신노드(12-1)에 전송한다(단계 224). 이외에도,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노드(12-2)의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226).
통신노드(12-1)에서,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디코더(18-1)는 인코드된 음성을 디코드한 다음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228 및 230). 이외도,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는 단계 222DPTJ 제어노드(20-1)에 의해 수신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따라 통신노드(12-1)에서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232). 음성이 인코드되면, 통신노드(12-1)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12-1)로 전송한다(단계 234). 그런 다음, 상기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단계 232에서 생성된 인코드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와 단계 226에서 선택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으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236). 다시 한번,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은 RTP 패킷의 헤이로드 헤더의 MMM 필드에 포함된다(도 5 참조). 각 RTP 패킷에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는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에서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동적으로 신호전송되거나 또는 통신된다. 이와 같이, 음성 인코더(16-1)의 역량들에서 소정의 변화들은 음성 인코더(16-1)의 역량들에서 변화의 출현 즉시 제어노드(20-2)로 신호전송될 수 있다(즉, 다음 RTP 패킷에서).
RTP 패킷이 생성되면,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에 RTP 패킷을 전송한다(단계 238). RTP 패킷을 수신하면,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내 수신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통신노드(12-2)에 전송한다(단계 240). 이외에도,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너 내에 포함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노드(12-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242).
통신노드(12-2)에서,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디코더(18-2)는 인코드된 음성을 디코드한 다음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244 및 246). 이외에도,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는 단계 238에서 제어노드(20-2)에 의해 수신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따라서 통신노드(12-2)에서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248). 음성이 인코드되면, 통신노드(12-2)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2)로 출력한다(단계 250). 그런 다음, 상기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단계 248에서 생성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와 단계 242에서 선택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으로 RTP 패킷을 생성하고 그리고 RTP 패킷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252 및 254). 다시 한번,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대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MMM 필드에 포함된다(도 5 참조). 각 RTP 패킷에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는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에서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로 동적으로 신호전송되거나 또는 통신된다. 이와 같이, 음성 인코더(16-2)의 역량들에서 소정의 변화들은 음성 인코더(16-2)의 역량들에서 변화의 출현 축시 제어노드(20-21)로 신호전송될 수 있다(예컨대, 다음 RTP 패킷에서).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이 종료하기 전까지 도 4a 내지 4c의 프로세스는 상기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지속된다. 이 방식에서, 음성 인코더(16-1 및 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들을 선택하고 또한 요청하기 위하여, 음성 인코더(16-1 및 16-2)들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들은 제어노드(20-1 및 20-2)들 간에 동적으로 신호전송되고 또한 제어노드(20-1 및 20-2)들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호출 동안에 음성 인코더(16-1 및 16-2)들 각각의 역량들이 변경되면, 호출 동안에 바람직한 새로운 인코더 모드가 선택되고 또한 요청된다.
도 6a 및 6b는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10)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인코더 역량 정보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인코드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로 통신된다. 이 실시예에서, 보코더(14-1 및 14-2)들은 EVRC-NW 보코더들이고, 또한 인코드된 음성은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들에서 수송된다. 첫째로, 제1 및 제2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에 호출을 위한 호출 설정 동안에, 통신노드(12-1)에 애한 제어노드(20-1)는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인코드된 음성과는 아웃 오브 밴드로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300). 보다 상세하게는, 한 특정 실시예에서,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에 호출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 기반 호출이고, 그리고 제어노드(20-1)는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SIP 호출에 대한 서비스 기술 프로토콜(SDP) 속성으로서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 SDP 속성은 예컨대, 인밴드 교한에 대히 상기에서 기술한 페이로드 헤더 내 역량 비트(들)과 유사하게 단일 비트 필드 또는 넓은 비트 필드일 수 있다. 도 7a와 7b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만의 역량(wb-역량=0)과 광대역 및 협대역 인코더 역량(wb-역량=1)을 각각 나타내는 역량 정보를 포함하는 SDP 오퍼의 두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역량 정보의 아웃 오브 밴드 시그날링은 SDP 속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것을 주의하라. 도 6a와 6b로 돌아가 보면, 동일한 방식으로,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로 인코드 음성과는 아웃 오브 밴드로 전송한다(단계 302).
이 실시예에서, 인코더 역량 정보는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에 호출을 위한 호출 설정 동안에 단계 30와 302에서 교환된다. 그러나, 인코더 역량 정보는 토폴로지 변화(에컨대, 다른 기지국 제어기로 핸드오버 또는 다른 통신노드로 호출의 이관)에 응해, 또는 필요에 따라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 동안에 부수적으로 또는 택일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도시하였듯이, 이 실시예에서 인코더 역량 정보가 교환된 후에,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단계 302에서 수신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304). 마찬가지로,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단계 300에서 수신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306). 상기에서 논의하였듯이, 통상적인 인코더 선택방법과는 반대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할 때 제어노드(20-1)는 음성 인코더(16-2)의 현재 역량을 동적으로 의식한다. 마찬가지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할 때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1)의 역량들을 의식한다. 이와 같이, 제어노드(20-1 및 20-2)들은 음성 인코더(16-1 및 16-2)들의 역량들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통신노드(12-2)에서,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는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308). 초기에, 음성 인코더(16-2)는 디폴트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음성을 인코드한다. 음성이 인코드되면, 통신노드(12-2)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310).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면,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단계 310에서 수신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단계 306에서 선택된 통신노드(12-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으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312).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MMM 필드에 포함된다(도 1 참조). RTP 패킷이 생성되면,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314).
RTP 패킷의 수신에 응해,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 인코드 음성과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통신노드(12-1)에 전송한다(단계 316). 그런 다음,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디코더(18-1)는 인코드된 음성을 디코드한 다음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318 및 320). 이외에도,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는 단계 314에서 제어노드(20-1)에 의해 수신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따라서 통신노드(12-1)에서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322). 음성이 인코드되면, 통신노드(12-1)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324).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면, 상기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제어노드(2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단계 324에서 수신된 인코드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단계 314에서 선택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으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326). 다시 한번,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MMM 필드에 포함된다(도 5 참조). RPT 패킷이 생성되면, 통신노드(12-1)는 RTP 패킷을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328). 그런 다음,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내 인코드 음성과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통신노드(12-2)에 전송한다(단계 330). 그런 다음,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디코더(18-2)는 인코드된 음성을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332 및 334).
이 방식에서 도 6a와 6b의 프로세스는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이 종료되기 전까지 지속된다. 이 방식에서, 음성 인코더(16-1 및 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는 음성 인코더(16-1 및 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들을 선택하고 요청하기 위해 제어노드(20-1 및 20-2)들 간에 동적으로 신호전송되고 또한 제어노드(20-1 및 20-2)들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만일 음성 인코더(16-1 및 16-2) 각각의 역량들이 호출 동안에 변경된다면, 호출 동안에 바람직한 새로운 인코더 모드가 선택되고 또한 요청된다.
도 8a 와 8b는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1)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인코더 역량 정보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인코드된 음성과 관련된 제어메시지들을 통해 통신된다. 이 실시예에서, 보코더(14-1 및 14-2)들은 EVRC-NW 보코더들이고, 그리고 인코드된 음성은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들에서 수송된다. 첫째로, 제1 및 제2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 동안에,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는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400). 초기에, 음성 인코더(16-1)는 디폴트 인코더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통신노드(12-1)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402).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면,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단계 402에서 수신한 인코드 음성으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404). RTP 패킷이 생성되면,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406).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서, 제어노드(20-1)는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메시지를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와 제어노드(20-2)로 전소안다(단계 408). 예컨대,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메시지는 RTP 제어 프로토콜(RTCP) 소오스 기술 RTCP(SDES) 패킷 또는 RTCP SDES APP 패킷과 같은 RTP 제어메시지이다. 바람직하게, 제어메시지는 상기에서 기술한 페이로드 헤더에 대한 인코더 역량 비트(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에대한 단일 또는 다중-비트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한 실시예에서, 제어메시지는 통신노드(12-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의 변화에 의해 발행된다.
RTP 패킷의 수신에 응해, 제어노드(20-2)는 인코드된 음성을 통신노드(12-2)로 전송한다(단계 410). 이외에도, 제어노드(20-2)는 단계 408에서 수신된 제어메시지 내에 포함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412). 통신노드(12-2)에서,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디코더(18-2)는 단계 410에서 수신된 인코드 음성을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414 및 416).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는 또한 통신노드(12-2)에서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418). 단계 406에서 제어노드(202)에 의해 수신된 RTP 패킷은 바람직하게,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MMM 필드에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을 포함한다(도 5 참조). 그런 다음,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는 통신노드(12-2)로 통신될 수 있다. 그러나, 초기에,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는 음성 인코더(16-2)의 역량들에 대한 지식 없이 제어노드(20-1)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 418에서, 음성 인코더(16-2)는 단계 406에서 제어노드(20-2)에 의해 수신된 RTP 패킷 내 요청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만일 RTP 패킷 내 요청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면, 디폴트 인코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음성이 인코드되면, 통신노드(12-2)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420).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면,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단계 420에서 수신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단계 412에서 선택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으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422).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MMM 필드에 포함된다(도 1 참조). RTP 패킷이 생성되면,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을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424).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서,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메시지를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426). 예컨대, 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메시지는, 예컨대 RTCP SDES 패킷 또는 RTCP SDES APP 패킷과 같은 RTP 제어메시지이다. 바람직하게, 제어메시지는 상기에서 기술한 페이로드 헤더에 대한 인코더 역량 비트(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에 대한 단일 또는 다중-비트 필드를 포함한다.
RTP 패킷의 수신에 응해,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통신노드(12-1)로 전송한다(단계 428). 이외에도,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단계 426에서 수신된 제어메시지 내에 포함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430). 통신노드(12-1)에서,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디코더(18-1)는 인코드된 음성을 디코드하여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432 및 434).
이외에도,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는 단계 424에서 제어노드(201-)에 의해 수신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따라서 통신노드(12-1)에서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436). 음성이 인코드되면, 통신노드(20-1)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438). 응답시, 상기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인코드된 음성과 그리고 단계 430에서 선택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으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440). 다시 한번,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더 헤더의 MMM 필드에 포함된다(도 1 참조).
RTP 패킷이 생성되면,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442). 본 실시예에서, 인코더 역량 정보를 가지는 제어메시지가 각 RTP 패킷에 대해 전송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어메시지들은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예컨대, 매 1분 또는 매 5분), 또는 인코더 역량의 변화가 있을 때에만 전송된다. RTP 패킷을 수신하면,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통신노드(12-2)로 전송한다(단계 444). 그런 다음,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디코더(18-2)는 인코드된 음성을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446 및 448).
이외에도,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는 단계 442에서 제어노드(20-2)에 의해 수신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요청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따라서 통신노드(12-2)에서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450). 음성이 인코드되면, 통신노드(12-2)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452). 그런 다음, 상기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서 인코드된 음성과 그리고 단계 412에서 선택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으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454). 다시 한번,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대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MMM 필드에 포함된다(도 1 참조). RTP 패킷이 생성되면,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을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456). 그런 다음,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이 종료되기 전까지 프로세스는 상기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지속된다. 상기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단계 408 및 426에서와 같은 제어메시지들은 주기적으로 교환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다면 필요에 따라 음성 인코더(16-1 및 16-2)의 인코더 역량들을 동적으로 교환한다. 이 방식에서, 인코더 역량들의 변화들은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에 동적으로 신호전송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실시예들에서, 인코더 역량들은 통신노드(12-1 및 12-2)들에 대한 제어노드(20-1 및 20-2)들 간에 동적으로 신호전송된다. 그런 다음, 음성 인코더(16-1)의 인코더 역량들을 기반으로,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1)의 역량들 내에 있고 또한 제어노드(20-1)의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키는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어노드(20-1 및 20-2)들은 인코더 역량 정보를 동적으로 신호전송하지 않고서 통상적인 인코더 선택방법들과 관련된,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처리한다.
이와 관련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셀룰러 통신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인코더 모드 선택은 인코더 역량 정보의 동적인 신호전송에 의존하지 않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 동안에,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를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500).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제어노드(20-2)가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했는지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는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해 제어노드(20-2)에 의해 선택된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의 표시자이다. 일반적으로, 만일 음성 인코더(16-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어노드(20-2)가 선호한다면, 제어노드(20-2)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를 적절한 값에 설정하여, 제어노드(20-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외에도, 제어노드(20-2)는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들 선택하고 또한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적절히 표시하도록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 표시자를 설정한다.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는, 만일 음성 인코더(16-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면 음성 인코더(16-1)에 의해 사용되게 되는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이다. 반대로, 만일 제어노드(20-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호하지 않는다면, 제어노드(20-2)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를 적절한 값에 설정하여, 제어노드(20-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외에도, 제어노드(20-2)는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적절히 표시하도록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설정한다. 이 경우에, 제어노드(20-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지 않았기 때문에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는 음성 인코더(16-1)에 의해 사용되게 되는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이다.
한 실시예에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들은 인코드된 음성과 인밴드로 전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특정 실시예에서, 보코더(14-1 및 14-2)들은 EVRC-NW 보코더들이고, 또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들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서 인코드 음성과 인밴드로 전송된다. 예컨대,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0 및/또는 비트 1은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MMM 필드는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예컨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으로서)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인코드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로 전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특정 실시예에서, 보코더(14-1 및 14-2)들은 EVRC-NW 보코더들이고, 그리고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는 페이로드 헤더의 MMM 필드에 전송되고(도 1 참조) 그리고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RTP 패킷과 아웃 오브 밴드로 전송된다(예컨대, SDP 메시지를 통해).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RTP 제어메시지와 같은 제어메시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에, 제어노드(20-1)는 단계 500에서 제어노드(20-2)로부터 수신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드 모드 표시자를 기반으로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502). 보다 상세하게는, 만일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제어노드(20-2)로부터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나타내고 또한 음성 인코더(16-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제어노드(20-1)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 만일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제어노드(20-2)로부터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나타내고 또한 음성 인코더(16-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면, 제어노드(20-1)는 단계 500에서 제어노드(20-2)로부터 수신된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에 의해 식별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 역으로, 광대역 엔코어 모드 요청 표시자가 제어노드(20-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지 않았다는 것을 표시하면, 제어노드(20-1)는 단계 500에서 제어노드(20-2)로부터 수신된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에 의해 식별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
제어노드(20-1)가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노드(20-1)는 선택된 인코더 모드, 또는 선택된 인코더 모드를 식별하는 보다 특별한 정보를 통신노드(12-1)에 전송한다(단계 504). 그런 다음,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는 선택된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506). 통신노드(12-1)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에 전송하고, 계속해 코어망(22)을 통해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510). 다시 한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코더(14-1 및 14-2)들은 EVRC NW 보코더들이고, 그리고 제어노드(20-1)는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면, 제어노드(20-2)는 인코드도니 음성을 통신노드(12-2)로 전송한다(단계 512). 그런 다음,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2)의 음성 디코더(18-2)는 인코드된 음성을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514 및 516). 그런 다음, 호출이 종료되기 전까지 프로세스는 지속된다. 이 방식에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는 호출 동안에 동적으로 신호전송되고 또한 인코더 역량들의 변화에 응해 변한다.
도 9는 제어노드(20-2)에서 제어노드(20-1)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의 통신과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음성 인코더(16-2)의 인코더 모드의 선택을 도시하지만,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노드(20-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를, 통신노드(12-2)에서 음성 인코더(16-2)의 인코더 모드의 선택에서 사용을 위해 제어노드(20-2)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이와 관련해, 도 10a와 10b는 본 발명의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프로세스의 보다 상세한 설명이다. 이 실시예에서, 보코더(14-1 및 14-2)들은 EVRC-NW 보코더들이고, 또한 인코드된 음성은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 내에서 수송된다. 첫째로, 제1 및 제2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 동안에,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2)는 음성을 인코드한다(단계 600). 초기에, 음성 인코더(16-1)는 디폴트 인코더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통신노드(12-1)는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602). 응답시, 제어노드(20-1)는 페이로드로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604).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들은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의 인코드 모드에 관해 제어노드(20-1)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만일 제어노드(20-1)가,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선호한다면, 제어노드(20-1)는 광대역 인코드 모드 요청 표시자가 인코드 모드 요청을 나타내도록 구성하고 또한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는 경우에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가 바람직한 협대역 모드를 나타내도록 구성한다. 만일 제어노드(20-1)가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면, 제어노드(20-1)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이 없다는 것을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가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표시하게 되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광대약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0 또는 비트 1로 전송되고 그리고 제어노드(20-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지 않았다면 하나의 비트값(예컨대, 0)에, 만일 제어노드(20-1)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였다면 상이한 비트값(예컨대, 1)에 설정된다.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는 바람직하게 페이로드 헤더의 MMM 필드에서 전송된다(도 5 참조).
RTP 패킷이 생성되면,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606). PTP 패킷의 수신시에,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 내에 수신된 인코드 음성을 통신노드(12-2)로 전송한다(단계 608).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디코더(18-2)는 인코드된 음성을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610 및 612). 이외에도,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단계 606에서 수신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를 기반으로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단계 614) 그리고 선택된 인코더 모드, 또는 선택된 인코더 모드를 식별하는 보다 바람직한 정보를 통신노(12-2)로 전송한다(단계 616).
통신노드(12-2)의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는 선택된 인코더 모드에 따라서 통신노드(12-2)에서 음성을 인코드하고(단계 618) 그리고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620). 인코드된 음성의 수신시에,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622).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제어노드(20-2)가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해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였는지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는,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해 제어노드(20-2)에 의해 선택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나타낸다.
RTP 패킷이 생성되면,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는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624). RTP 패킷의 수신시에, 제어노드(20-1)는 인코드된 음성을 통신노드(12-1)로 전송한다(단계 626). 응답시,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디코더(18-1)는 인코드된 음성을 디코드하여, 디코드된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628 및 630). 이외에도,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단계 624DPTJ 수신한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를 기반으로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에 대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단계 632) 그리고 선택된 인코더 모드, 또는 선택된 인코더 모드를 식별하는 보다 특별한 정보를 통신노드(12-1)로 전송한다(단계 634).
그런 다음,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는 선택된 인코드 모드에 따라서 통신노드(12-1)에서 음성을 인코드하고(단계 636) 그리고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638). 인코드된 음성의 수신시, 상기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통신노드(12-1)에 대한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드 모드 표시자로 RTP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640). 베어러신호(즉, 인코드된 음성을 반송하는 신호)에 대한 각 RTP 패킷에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표시자를 포함시킴으로써, 제어노드(20-1)는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요청된 인코더 모드들을 동적으로 갱신할 수 있게 된다. RTP 패킷이 생성되면, 제어노드(20-1)는 코아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642).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에 호출이 종료되기 전까지 프로세스는 상기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지속된다. 이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어노드(20-1 및 20-2)들 각각은 다른 제어노드(20-1 또는 20-2)들에, 이들의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뿐만 아니라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 대한 선호도를 동시에 동적으로 신호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통신시스템(10)의 동작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인밴드 또는 아웃 오브 밴드를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명시적으로 통신하기보다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들은 일련의 광대역 및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통해 암묵적으로 식별된다. 특히, 만일 제어노드(20-1)가,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면, 제어노드(20-1)는 일련의 광대역 인코드 모드 요청들과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전송한다. 만일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음성 인코더(16-2)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제어노드(20-2)는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무시한다. 역으로, 만일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면, 음성 인코더(16-2)는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제어노드(20-2)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무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는 음성을 인코드 하고 그리고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700 및 702). 그러면,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인코드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즉, 페이로드 헤더의 MMM 필드 내) 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포함하는 RTP 패킷을 생성하고 그리고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704 및 706).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노드(20-2)는 인코드된 음성을 통신노드(12-2)에 전송하고, 여기서 인코드된 음성은 보코더(14-2)에 의해 디코드되어 출력된다. 다음에,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는 음성을 인코드하고 그리고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708 및 710). 그런 다음, 제어노드(20-1)난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인코드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즉, 페이로드 헤더의 MMMM 필드 내)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에 대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포함하는 RTP 패킷을 생성하고 그리고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712 및 714).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노드(20-2)는 인코드된 음성을 통신노드(12-2)로 전송하고, 여기서 인코드된 음성은 보코더(14-2)에 의해 디코드되어 출력된다. 몇몇 실싱예들에서, 통신노드(12-1)와 제어노드(20-1)는 단계 708 내지 714를 반복한다.
다음에, 통신노드(12-1)의 보코더(141-)의 음성 인코더(16-1)는 음성을 인코드하고 그리고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716 및 718). 그런 다음, 제어노드(20-1)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인코드 음성과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즉, 페이로드 헤더의 MMM 필드 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포함하는 RTP 패킷을 생성하고 그리고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720 및 722). 따라서, 단계 706, 714 및 722에서, 제어노드(20-1)는 제어노드(20-2)에 주기적인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전송하고 또한 주기적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 간에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전송한다. 이 방식에서, 제어노드(20-1)는,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 따라 그리고, 만일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면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 또는 적어도 가장 최근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에 의해 식별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음성을 인코드하는 것을 제어노드(20-1)가 선호한다는 것을 제어노드(20-2)에 함축적으로 표시한다.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에서, 제어노드(20-2)는 제어노드(20-1)로부터의 광대역 및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기반으로 보코더(142-)의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724). 보다 상세하게는, 만일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광대역 인코더 모드가 선택된다. 만일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면,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또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 중 적어도 가장 최근의 요청에 의해 식별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가 선택된다. 그런 다음, 제어노드(20-2)는 선택된 인코더 모드, 또는 선택된 인코더 모드를 식별하는 보다 특별한 정보를 통신노드(12-2)에 전송한다(단계 726). 그런 다음, 음성 인코더(16-2)는 선택된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음성을 인코드하고 그리고 인코드된 음성을 제어노드(20-2)로 전송한다(단계 728 및 730). 그런 다음, 제어노드(20-2)는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인코드된 음성으로 RTP 패킷을 생성하고 그리고 코어망(22)을 통해 RTP 패킷을 제어노드(20-1)로 전송한다(단계 732 및 734).
그럼 다음 도 11의 프로세스는,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이 종료되기 전가지 지속된다. 이 방식에서,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 동안에 인코더 모드 선호도들이 동적으로 신호전송된다.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과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이 제어노드(20-1)에서 제어노드(20-2)로 전송되는 것으로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비슷한 광대역 인코드 모드 요청들과 협대역 인코드 모드 요청들이 제어노드(20-2)에서 제어노드(20-1)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노드(20-1)로부터의 인코더 모드 요청에 응해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도 11의 통신노드(12-2)에 대한 제어노드(20-2)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노드(20-2)는 제어노드(20-1)로부터 인코더 모드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800). 응답시, 제어노드(20-2)는, 주기적인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이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 동안에 제어노드(20-1)로부터 수신하였는지를 결정한다(단계 802).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제어노드(20-2)는, 인코더 모드 요청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인지를 결정한다(단계 804). 만일 그렇지 않다면, 인코더 모드 요청은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이고, 그리고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모드로서 요청된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806). 그렇지 않고, 만일 인코더 모드 요청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이라면,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단계 808).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모드로서 디폴트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810). 그렇지 않고, 만일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모드로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812).
단계 802로 돌아가, 만일 제어노드(20-2)가 통신노드(12-1 및 12-2)들 간의 호출 동안에 제어노드(12-1)로부터 주기적인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수신하였다면,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단계 814).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제어노드(20-2)는 제어노드(20-1)로부터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 또는 제어노드(20-1)로부터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 중 적어도 가장 최근의 요청에 의해 식별되는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를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모드로서 선택한다. 그렇지 않고, 만일 음성 인코더(16-2)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제어노드(20-2)는 음성 인코더(16-2)에 대한 인코더 모드로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818). 이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어노드(20-1)의 선호도들과 음성 인코더(16-2)의 역량들을 기반으로 음성 인코더(16-2)에 대해 최고의 인코더 모드가 선택된다. 음성 인코더(16-2)의 역량들이 변한다면, 인코더 모드는 제어노드(20-1)의 선호도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FMS 통신노드(12)로 부르는, 통신노드(12-1 및 12-2)들 중 하나의 블록도이다. 통신노드(12)A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4)과 송수신 서브시스템(26)을 포함한다. 송수신 서브시스템(26)은 일반적으로, 셀룰러 통신시스템(10)에서, 한 실시예에서 제어노드(20-1)를 포함하는, 기지국들 또는 다른 무선장치들로 및 로부터 메시지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또한 수신하기 위한 아날로그 및, 몇몇 실시예에서들은 디지털 부품들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송수신 서브시스템(26)은 기지국들 또는 다른 무선장치들로 이러한 메시지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RF 송수신기들, 또는 개별적인 RF 송신기 및 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4)은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4)은 통신노드(12)의 보코더(14)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4)은 예컨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일반목적 또는 특별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여기에서 기술하는 통신노드(12)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프로그램된 다른 마이크로컨트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또는 택일적으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4)은 여기에서 기술하는 통신노드(12)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하드웨어 블록들(예컨대, 하나 이상의 응용 특정 집적회로:ASICs), 하나 이상의 규격품 디지털 및 아날로그 하드웨어 부품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에서 기술한 통신노드(12)의 기능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자기저장장치, 광저장장치,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데이터 저장부품들과 같은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매체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다른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4)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노드(20)로 부르는, 제어노드(20-1 및 20-2)들 중 하나의 블록도이다. 제어노드(20)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8)과, 송수신 서브시스템(30)과, 그리고 망 통신 서브시스템(32)을 포함한다. 도 14의 제어노드(20)는 송수신 서브시스템(30)과 망 통신 서브시스템(32) 둘 다를 포함하지만, 제어노드(20)가 단지 망 통신 서브시스템(32)만을 V함하는 실시예들이 있을 수 있다(예컨대, 제어노드(20)가 망 통신 서브시스템(332)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코어망(22)에 연결된 MSC인 실시예). 송수신 서브시스템(30)과 망 통신 서브시스템(32)은 일반적으로 여기에서 통신인터페이스들로 부른단. 송수신 서브시스템(30)은 일반적으로, 셀룰러 통신시스템(10)에서 관련된 통신노드(12)로 및 로부터 메시지들을 무선으로 전송하고 또한 수신하기 위한 아날로그 및,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디지털 부품들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드에서, 송수신 서브시스템(30)은, 관련딘 통신노드(12)에 이러한 메시지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RF 송수신기, 또는 개별적인 RF 송신기 및 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망 통신 서브시스템(32)은 코어망(22)을 통해 통신하는 아날로그 및,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디지털 부품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8)은 여기에서 기술한 제어노드(20)의 기능들 중 몇몇 또는 전체를 수행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8)은 예컨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일반목적 또는 특별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여기에서 기술한 제어노드(20)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수행하기 하기 위해 적절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프로그램되는 다른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또는 택일적으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8)은 여기에서 기술하는 제어노드(20)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하드웨어 블록들(예컨대, 하나 이상의 응용 특정 집적회로:ASICs), 하나 이상의 규격품 디지털 및 아날로그 하드웨어 부품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에서 기술한 제어노드(20)의 기능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자기저장장치, 광저장장치,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데이터 저장부품들과 같은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매체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다른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8)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명세서를 통해 다음의 약어들이 사용되었다.
·3GPP2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VRC Enhanced Variable Rate Codec
·EVRC-NW Enhanced Variable Rate Codec-Narrowband-Wideband
·MSC Mobile Switching Center
·RAM Random Access Memory
·RF Radio Frequency
·ROM Read Only Memory
·RTCP Real Time Protocol Control Protocol
·RTP Real Time Protocol
·SDES Source Description PRCP Packet
·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개선사항들과 수정안들을 이해하게 될 굿이다. 이러한 개선사항들과 수정안들은 기술한 개념들과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85)

  1. 셀룰러 통신시스템에서의 제어노드에 있어서, 제어노드는:
    다수의 규정된 인코드 모드들로 된 서브셋트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음성 인코더를 포함하는 보코더를 포함하는 제1통신노드와 코어망에 제어노드를 통신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관련되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과 관련해,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는, 음성 인코더가 동작할 수 있는 다수의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의 서브셋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 동안에,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 동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를 서버하는 기지국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를 서버하는 기지국에 대한 이동교환센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음성 인코더로부터의 인코드 음성과 인밴드로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음성 인코더로부의 인코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로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7.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은 하나 이상의 광대역 인코더 모드들과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8. 제7항에 있어서,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는, 음성 인코더가 하나 이상의 광대역 인코더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수신하고;
    인코드된 음성을 코어망을 통해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고; 그리고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인코드 음성과 인밴드로 제2통신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10. 제8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음성을 수신하고;
    코어망을 통해 제2제어노드로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에서 전송하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하나 이상의 역량 비트들을 통해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역량 비트들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0과 비트 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13.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역량 비트들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광대역 인코더 모드들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포함하고, 그리고 만일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1을 0에 설정함으로써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15. 제14항에 있어서, 만일 음성 인코더가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들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면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1을 1에 설정함으로써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16. 제14항에 있어서,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17. 제10항에 있어서,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의 호출 동안에,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RTP 패킷을 포함하는 다수의 RTP 패킷들 내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음성을 코어망을 통해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고; 그리고
    다수의 RTP 패킷들 각각의 페이로드 헤더 내 하나 이상의 역량 비트들을 통해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통신노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18. 제8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수신하고;
    코어망을 통해, 인코드된 음성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를 통해 인코드된 음성을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고; 그리고
    베어러 이외의 통신링크를 통해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통신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19. 제8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수신하고;
    코어망을 통해, 인코드된 음성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를 통해 인코드된 음성을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고; 그리고
    SDP 시그날링을 통해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통신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20. 제19항에 있어서, 베어러는 RTP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21. 제20항에 있어서,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22. 제8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수신하고;
    코어망을 통해, 인코드된 음성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를 통해 인코드된 음성을 제2통신노드로 전송하고; 그리고
    제어메시지를 통해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통신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23. 제22항에 있어서, 베어러는 RTP 패킷이고, 제어메시지는 RTP 제어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24. 제23항에 있어서, RTP 제어메시지는 RTCP SDES 패킷이고, 그리고 역량 정보는 RTCP SDES 패킷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25. 제24항에 있어서,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26. 제23항에 있어서, RTP 제어메시지는 RTCP SDES APP 패킷이고, 역량 정보는 RTCP SDES APP 패킷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27. 제26항에 있어서,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28. 셀룰러 통신시스템에서 제어노드의 동작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노드는 다수의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의 서브셋트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음성 인코더를 포함하는 보코더를 포함하는 제1통신노드에 연결되는, 셀룰러 통신시스템에서 제어노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 동안에, 음성 인코더가 동작할 있는 다수의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의 서브세트를 나타내는,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다수의 규정된 인코드 모드들의 서브셋트로부터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식별하는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어노드에 있어서, 제어노드는:
    제1통신망과 코어망에 제어노드를 통신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관련되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과 관련해,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동작할 수 있는 다수의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의 서브셋트를 나타내는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 그리고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식별하는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0. 제29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 동안에: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 그리고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식별하는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제어노드로 동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1. 제29항에 있어서,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를 서버하는 기지국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2. 제29항에 있어서,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를 서버하는 기지국에 대한 이동교환센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3. 제29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2통신노드의 보커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 음성과 인밴드로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4. 제29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2통신노드의 보커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로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5. 제29항에 있어서, 다수의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은 하나 이상의 광대역 인코더 모드들과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6. 제35항에 있어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는,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하나 이상의 광대역 인코더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7. 제36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인코드 음성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를 통해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베어러를 통해 인코드 음성과 인밴드로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8. 제36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선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제2제어노드로부터 RTP 패킷에서 수신하고; 그리고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 하나 이상의 역량 비트들을 통해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39. 제3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역량 비트들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1 및 비트 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0. 제39항에 있어서,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1. 제3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역량 비트들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2. 제4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광대역 인코더 모드들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포함하고, 그리고 만일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1은 0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3. 제42항에 있어서, 제2통신노드의 음성 인코더가 하나 이상의 인코더 모드들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면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 1은 1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4. 제42항에 있어서,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5. 제38항에 있어서,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 동안에,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제2통신노드로부터 RTP 패킷을 포함하는 다수의 RTP 패킷들에서 수신하고; 그리고
    다수의 RTP 패킷들 각각의 페이로드 헤더 내 하나 이상의 역량 비트들을 통해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6. 제36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드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인코드 음성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들을 통해 수신하고; 그리고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베어러 이외의 통신링크를 통해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7. 제36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제2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 음성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를 통해 수신하고; 그리고
    제2통신노드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SDP 시그날링을 통해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8. 제47항에 있어서, 베어러는 RTP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49. 제48항에 있어서,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50. 제36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드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제2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 음성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를 통해 수신하고; 그리고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어메시지를 통해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51. 제50항에 있어서, 베어러는 RTP 패킷이고, 그리고 제어메시지는 RTP 제어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52. 제51항에 있어서, RTP 제어메시지는 RTCP SDES 패킷이고, 그리고 역량 정보는 RTCP SDES 패킷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53. 제52항에 있어서,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54. 제51항에 있어서, RTP 제어메시지는 RTCP SDES APP 패킷이고, 그리고 역량 정보는 RTCP SDES APP 패킷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55. 제54항에 있어서, 보코더는 EVRC-NW 보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56. 제29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코어망을 통해, 인코더 모드 요청에 의해 식별되는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제2통신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57. 셀룰러 통신시스템에서 제1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동작할 수 있는 다수의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의 세브셋드를 나타내는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제2통신노드의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역량 정보를 기반으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대한 바람직한 인코더 모드를 식별하는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제어노드에 있어서,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와 코어망에 제어노드를 통신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그리고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관련되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과 관련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부터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수신하고;
    제2제어노드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였고 또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나타낸다면 광대역 인코더 모드가 원하는 인코더 모드로서 선택되고; 그리고
    제2제어노드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지 않았거나 또는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는 것을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나타낸다면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에 의해 식별되는 다수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들 중 하나가 원하는 인코더 모드로서 선택되도록,
    원하는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 그리고
    원하는 인코더 모드를 제1통신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59. 제58항에 있어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은 제2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 음성과 인밴드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60. 제58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2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제2통신노드로부터의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61. 제58항에 있어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제2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62. 제58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2제어노드로부터 RTP 패킷의 페이로드 내 인코드 음성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제2제어노드로부터의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되고, 그리고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인코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63. 제58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2제어노드로부터 인코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제2제어노드로부터의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되고, 그리고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RTP 제어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64.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제어노드 동작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과 관련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부터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2제어노드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였고 또한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나타낸다면 광대역 인코더 모드가 원하는 인코더 모드로서 선택되고; 그리고
    제2제어노드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지 않았거나 또는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는 것을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나타낸다면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에 의해 식별되는 다수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들 중 하나가 원하는 인코더 모드로서 선택되도록,
    원하는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원하는 인코더 모드를 제1통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5.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제어노드에 있어서,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와 코어망에 제어노드를 통신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그리고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관련되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과 관런하여:
    코어망을 통해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고;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인코드 음성을 제2통신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66. 제65항에 있어서, 제어노드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였고 또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은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나타낸다면 인코드 음성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인코드되고, 그리고 제어노드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를 요청하지 않았거나 또는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는 것을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가 나타낸다면 인코드 음성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처엥 의해 식별되는 다수의 규정된 인코더 모드들 중 하나에 따라 인코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67. 제65항에 있어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은 코어망을 통해 제어노드에서 제2제어노드로 인코드 음성과 인밴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68. 제65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코어망을 통해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69. 제65항에 있어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제어노드에서 제2제어노드로 인코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70. 제65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은 RPT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되고, 그리고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인코드 음성과 아웃 오브 밴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71. 제65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RTP 패킷의 페이로드로서 제2제어노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은 RTP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되고, 그리고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는 RTP 제어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72.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에 호출과 관련해, 셀룰러 통신시스템에서 제어노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 표시자와 바람직한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드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인코드 음성을 제1통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3.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제어노드에 있어서,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와 코어망에 제어노드를 통신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그리고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관련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호출과 관련해:
    코어망을 통해, 제2제어노드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에 후행하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면 광대역 인코더 모드가 원하는 인코드 모드로서 선택되고; 그리고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으면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 중 하나에 의해 식별되는 다수의 협대역 인코드 모드들 중 하나가 원하는 인코더 모드로서 선택되도록,
    원하는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고; 그리고
    원하는 인코더 모드를 제1통신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74. 제73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되는 인코드 음성을 코어망을 통해 제2제어노드로부터 다수의 RTP 패킷들에서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과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은 다수의 RTP 패킷들 중 대응하는 것들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75. 제73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되는 인코드 음성을 제2제어노드로부터 다수의 RTP 패킷들에서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포함하여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은 다수의 RTP 패킷들 중 대응하는 것들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주기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76. 제7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포함하여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은 다수의 RTP 패킷들 중 모든 나머지 것들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77. 제76항에 있어서, 강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과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 동안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78. 셀룰러 통신시스템에서 제어노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과 관련해:
    제2제어노드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에 후행하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통신노드의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면 광대역 인코더 모드가 원하는 인코드 모드로서 선택되고; 그리고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으면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 중 하나에 의해 식별되는 다수의 협대역 인코드 모드들 중 하나가 원하는 인코더 모드로서 선택되도록,
    원하는 인코더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원하는 인코더 모드를 제1통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79.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제어노드에 있어서, 제어노드는:
    제1통신노드와 코어망에 제어노드를 통신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그리고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들과 관련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호출과 관련해:
    코어망을 통해, 제2제어노드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에 후행하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고;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코어망을 통해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인코드 음성을 제1통신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80. 제79항에 있어서,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면 인코드 음성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 따라 인코드되고, 그리고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가 광대역 인코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다면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에 의해 식별되는 협대역 인코더 모드에 따라서 인코드 음성이 인코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81. 제79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제2제어노드로 다수의 RTP 패킷들에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과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은 다수의 RTP 패킷들 중 대응하는 것들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82. 제79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제1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제2제어노드로 다수의 RTP 패킷들에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포함하여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은 다수의 RTP 패킷들 중 대응한 것들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주기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83. 제8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을 포함하여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은 RTP 패킷들 중 모든 나머지 것들의 페이로드 헤더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84. 제83항에 있어서,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과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 동안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노드.
  85. 셀룰러 통신시스템에서 제어노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제1통신노드와 제2통신노드 간의 호출과 관련해:
    제2제어노드로의 하나 이상의 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들에 후행하는 광대역 인코더 모드 요청을 제2통신노드에 대한 제2제어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2통신노드의 보코더의 음성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인코드 음성을 제2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인코드 음성을 제1통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7006639A 2011-08-17 2012-08-17 인코더 역량의 동적인 시그날링 매카니즘 KR102034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24386P 2011-08-17 2011-08-17
US61/524,386 2011-08-17
US201161531796P 2011-09-07 2011-09-07
US61/531,796 2011-09-09
PCT/IB2012/054202 WO2013024464A2 (en) 2011-08-17 2012-08-17 Mechanism for dynamic signaling of encoder capab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311A true KR20140053311A (ko) 2014-05-07
KR102034321B1 KR102034321B1 (ko) 2019-10-18

Family

ID=4714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639A KR102034321B1 (ko) 2011-08-17 2012-08-17 인코더 역량의 동적인 시그날링 매카니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277057B2 (ko)
EP (2) EP2745499B1 (ko)
JP (1) JP6073887B2 (ko)
KR (1) KR102034321B1 (ko)
CN (2) CN103858160B (ko)
CA (1) CA2842886C (ko)
DK (1) DK2822262T3 (ko)
ES (1) ES2730709T3 (ko)
HK (2) HK1198844A1 (ko)
WO (1) WO20130244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3887B2 (ja) 2011-08-17 2017-02-0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エンコーダケイパビリティの動的シグナリングの仕組み
WO2014166074A1 (en) * 2013-04-09 2014-10-1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unking operations in an ad-hoc network
US9952160B2 (en) 2014-04-04 2018-04-24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mpact of manufacturing processes on the caliper of a sheet material
US9591124B2 (en) * 2014-04-30 2017-03-0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n audio signal between devices of a single user
CN105743872B (zh) * 2014-12-12 2019-06-1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系统及pcm通信协议的自动调整方法
US10334276B2 (en) * 2015-12-28 2019-06-25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severity of corruption in a picture
WO2018045518A1 (zh) * 2016-09-07 2018-03-15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VoLTE通信的方法和基站
EP4128708B1 (en) * 2020-03-24 2024-05-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sion of resource represent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0659A1 (en) * 2002-05-02 2003-11-13 Chu Chung Cheung C. TFO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codec mismatch resolution and/or optimization logic
KR20080045650A (ko) * 2006-11-20 2008-05-23 주식회사 케이티네트웍스 SIP 기반 영상 VoIP 서비스의 호환성 있는코덱협상을 제공하는 확장된 제어 메커니즘 방법
US20080219244A1 (en) * 2007-02-28 2008-09-11 Stmicroelectronics, Inc. Speech codec selection for improved voice quality in a packet based network
WO2009098783A1 (ja) * 2008-02-08 2009-08-13 Nec Corporation 無線伝送装置及び無線伝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1969A (en) * 1998-08-21 2000-07-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band signaling control of vocoder bypass
US6373839B1 (en) * 1999-12-10 2002-04-16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Bandwidth biased codec selection system and method
US6845095B2 (en) * 2001-04-27 2005-0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fficient header handling involving GSM/EDGE radio access networks
US7260722B2 (en) * 2001-12-28 2007-08-2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Digital multimedia watermarking for source identification
DE60319744D1 (de) 2003-01-09 2008-04-24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codec-auswahl
KR20040064867A (ko) * 2003-01-10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메시지의 전송 구간을제공하는 방법
KR20050018295A (ko) * 2003-08-16 200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KR20050095419A (ko) * 2004-03-26 2005-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망을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SE0402384D0 (sv) * 2004-10-01 2004-10-01 Ericsson Telefon Ab L M Terminal capability determination subject to call forwarding
US7646763B2 (en) * 2004-10-08 2010-01-1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oice band data (VBD) connectivit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944896B1 (en) * 2005-04-26 2011-05-17 Cellco Partnership Method to identify voice over packet device capability and use it to make appropriate calls with other client devices
ZA200709592B (en) * 2005-05-25 2009-09-30 Ericsson Telefon Ab L M Enhanced VolP media flow quality by adapting speech encoding based on selected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DE102005050586B3 (de) * 2005-10-21 2006-11-02 Siemens Ag Verfahren zum Aufbau einer Videotelefonverbindung und/oder Multimediatelefonverbindung in einem Datennetz
US8249140B2 (en) * 2005-12-30 2012-08-21 Intel Corporation Direct macroblock mode techniques for high performance hardware motion compensation
WO2007098783A1 (en) * 2006-03-02 2007-09-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deband codec negotiation
US8837441B2 (en) * 2006-03-28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satile system for WLAN/CDMA2000 interworking
CN105635172B (zh) * 2007-08-14 2019-11-05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编解码器协商的方法、模块和系统
US8155090B2 (en) * 2007-11-01 2012-04-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multimedia delivery in a wireless packet network
US7801543B2 (en) * 2007-12-14 2010-09-21 Motorola, Inc. Dynamic vocoder assign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PT2294742E (pt) * 2008-06-30 2014-06-09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sso e dispositivo para proporcionar confirmações num sistema de telecomunicações
MX2011000372A (es) * 2008-07-11 2011-05-19 Fraunhofer Ges Forschung Sintetizador de señales de audio y codificador de señales de audio.
US7983310B2 (en) * 2008-09-15 2011-07-19 Airbiquity Inc. Methods for in-band signaling through enhanced variable-rate codecs
US20100195564A1 (en) * 2008-11-26 2010-08-05 Je-Hong Jo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iming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for satellite diversity
EP2417749A4 (en) * 2009-04-07 2017-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ssion negotiation
US8605584B2 (en) * 2009-07-02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control information across multiple packets
ES2749222T3 (es) * 2010-11-10 2020-03-19 Panasonic Ip Corp America Terminal y procedimiento de selección de modo de codificación
JP6073887B2 (ja) 2011-08-17 2017-02-0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エンコーダケイパビリティの動的シグナリングの仕組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0659A1 (en) * 2002-05-02 2003-11-13 Chu Chung Cheung C. TFO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codec mismatch resolution and/or optimization logic
KR20080045650A (ko) * 2006-11-20 2008-05-23 주식회사 케이티네트웍스 SIP 기반 영상 VoIP 서비스의 호환성 있는코덱협상을 제공하는 확장된 제어 메커니즘 방법
US20080219244A1 (en) * 2007-02-28 2008-09-11 Stmicroelectronics, Inc. Speech codec selection for improved voice quality in a packet based network
WO2009098783A1 (ja) * 2008-02-08 2009-08-13 Nec Corporation 無線伝送装置及び無線伝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58160B (zh) 2016-11-16
US20130046534A1 (en) 2013-02-21
CN107103907B (zh) 2021-01-26
DK2822262T3 (da) 2019-05-20
EP2822262B1 (en) 2019-04-03
CN107103907A (zh) 2017-08-29
EP2745499A2 (en) 2014-06-25
KR102034321B1 (ko) 2019-10-18
ES2730709T3 (es) 2019-11-12
US9769320B2 (en) 2017-09-19
HK1198844A1 (en) 2015-06-12
JP6073887B2 (ja) 2017-02-01
CN103858160A (zh) 2014-06-11
US20160142552A1 (en) 2016-05-19
EP2822262A1 (en) 2015-01-07
WO2013024464A2 (en) 2013-02-21
HK1243222A1 (zh) 2018-07-06
WO2013024464A3 (en) 2013-06-06
JP2014529938A (ja) 2014-11-13
CA2842886C (en) 2020-08-25
US9277057B2 (en) 2016-03-01
CA2842886A1 (en) 2013-02-21
EP2745499B1 (en)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3311A (ko) 인코더 역량의 동적인 시그날링 매카니즘
CN101212459B (zh) 控制媒体编码速率的方法、系统和设备
JP3936290B2 (ja) モード選択手順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EP1782644B1 (en) Interoperability for wireless user devices with different speech processing formats
CN109729552B (zh) 语音传输方法和装置
RU2732178C2 (ru)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режима кодека
US6978130B2 (en) Method for changing voice coding mod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 terminal
WO20060257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rame size adaptation in real-time transport protocol
JP2007510324A (ja) 音声符号化装置選択方法
CN106576271B (zh) 语音编码速率调整的方法和设备
US10568023B1 (en) Selection of wireless coverage areas and media codecs
JP5307493B2 (ja) 無線通信装置
CN101558670B (zh) 改变业务选项到电路数据的方法
US9031043B1 (en) Selection of wireless coverage areas and operating points of media codecs
JP4199057B2 (ja) 通信端末及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
US200901616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frame size adaptation in real-time transport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