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610A -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610A
KR20140052610A KR1020120118917A KR20120118917A KR20140052610A KR 20140052610 A KR20140052610 A KR 20140052610A KR 1020120118917 A KR1020120118917 A KR 1020120118917A KR 20120118917 A KR20120118917 A KR 20120118917A KR 20140052610 A KR20140052610 A KR 20140052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patient
unit
data
biometri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470B1 (ko
Inventor
조면균
윤달환
김형준
한용대
Original Assignee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4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4Oxygen tents ; Oxygen ho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3Measuring rate of metabolism by using breath test, e.g. measuring rate of oxygen consum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7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besit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2 개의 생체 센서들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 상기 생체 센서들로부터 발생 된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냉증의 경중을 결정하기 위한 냉증 판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냉증 판별 유닛; 상기 냉증 판별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는 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환자가 수용되어 상기 산소 제공 시간 동안 상기 산소압으로 산소를 제공되는 산소 챔버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SYSTEM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LD HYPERSENSITIV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증(cold hypersensitivity)은 냉각과민증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도 신체의 특정 부위가 차고 시려서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곤란한 상태를 일컫는다.
특히 냉증은 인종과 성별에 따라 유병율의 차이가 많이 나는데 서양인에게는 거의 없고 동양인에게 주로 나타나며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2배 이상 많이 발병하여 전체여성의 30~50%인 다수가 냉증을 호소한다.
냉증은 환자의 주관적인 감각이기 때문에 냉증의 진단 및 평가는 환자의 주관적인 통증, 냉감, 열감 등의 불편한 정도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며, 냉증 진단에 있어 환자의 주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냉증의 진단의 정확성이 크게 떨어진다.
종래 냉증의 진단 및 치료는 환자의 정확한 생체 측정 데이터에 근거하지 않고 환자의 주관적인 감각과 의사의 경험에 의하여 판단되었다.
종래 냉증의 진단은 한방에서 맥을 집어 판단하고, 냉증의 치료로서는 쑥뜸, 침 치료 등에 의존하여 정확한 냉증의 진단 및 치료가 어려우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진 및 오진에 따른 부정확한 진료가 수행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환자의 열화상체열, 심박변위도, 이산화탄소 대사량 및 산소 포화도와 같은 환자의 생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냉증의 심각 정도를 단계별로 정확하게 진단하고, 냉증의 진단 단계에 따라 환자의 치료에 사용할 산소량(산소압 및 산소 제공시간)을 산출하여 적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냉증을 치료 및 호전시키는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2 개의 생체 센서들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 상기 생체 센서들로부터 발생 된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냉증의 경중을 결정하기 위한 냉증 판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냉증 판별 유닛; 상기 냉증 판별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는 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환자가 수용되어 상기 산소 제공 시간 동안 상기 산소압으로 산소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산소 챔버 유닛을 포함한다.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은 적외선으로 체열을 영상 진단하는 열화상체열 측정 유닛; 시간에 따른 심박의 주기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심박변위도 측정 유닛; 환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여 기초대사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측정 유닛; 및 혈액 내 산소와 결합 된 헤모글로빈의 양을 측정하여 신진대사를 측정하는 산소 포화도 측정 유닛을 포함한다.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상기 산소 챔버 유닛은 상기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 발생 유닛 및 환자가 들어갈 밀폐된 챔버 유닛을 포함한다.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은 상기 제1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에 의하여 상기 냉증 치료 후 생성된 제2 생체 데이터 및 처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환자의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한다.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상기 산소 챔버 유닛 내의 상기 산소압은 1.1 기압 내지 1.6 기압이고, 상기 산소 제공 시간은 30분 내지 90분이다.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상기 냉증 판별 데이터(Dn)는 상기 제1 생체 데이터에 임상실험에서 결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발생 된 냉증 환자 데이터(Val)를 임상실험에서 결정된 임계치(Th)와 비교하여 결정된다.
일실시예로서,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환자의 냉증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복수개의 생체 센서들을 이용하여 환자의 제1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냉증의 경중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냉증 치료를 위한 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를 수용한 산소 챔버 유닛 내부에 상기 산소압으로 상기 산소 제공 시간 동안 산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는 적외선으로 체열을 영상 진단하는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 시간에 따른 심박의 주기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심박변위도 측정 유닛, 환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여 기초대사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대사량 측정 유닛 및 혈액 내 산소와 결합 된 헤모글로빈의 양을 측정하여 신진대사를 측정하는 산소 포화도 측정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다.
상기 산소압 및 상기 산소 제공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생체 데이터에 임상실험을 통해 산출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 냉증 환자 데이터(VAL) 및 냉증의 경중을 구분하기 위해 임상 실험에서 결정된 임계값(Th)을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냉증의 경중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산소 제공 시간 동안 산소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치료가 진행된 상기 환자의 제2 생체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제1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제2 생체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환자의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냉증 환자의 진료를 주관적이고 감성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냉증 환자의 체온, 심박수,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산소 포화도를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진료하여 냉증 유무 및 냉증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객관적으로 판단된 냉증 환자의 냉증 정도에 대응하여 냉증 환자에 지정된 산소압 및 지정된 산소 제공 시간을 제공하여 환자의 냉증을 치료함으로써 냉증의 정확한 진단 및 치료할 수 있는 의료기기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의 냉증 판별 유닛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의 냉증 판별 유닛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800)은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 냉증 판별 유닛(200), 제어 유닛(600) 및 산소 챔버 유닛(3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800)은 산소 발생 유닛(400) 및 데이터 전송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은 적어도 2 개의 생체 센서(160)들을 포함한다. 생체 센서(160)들은 냉증 환자의 체온, 심박수,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산소 포화도와 같은 생체 데이터들을 생성한다.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은, 예를 들어, 4 개의 생체 센서(160)들을 포함한다.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에 포함되는 생체 센서(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 DITI; 110), 심박 변이도 측정 유닛(Heart Rate Variability, HRV; 120), CO2 배출량 측정 유닛(CO2 Basal metabolic rate; 130) 및 산소포화도 측정 유닛(Saturation of partial Pressure Oxygen, SpO2 ;140)을 포함한다.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110)은 컴퓨터 적외선 체열 영상진단을 수행하며, 환자의 피부 표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 되는 미세한 적외선을 감지하여 촬영, 동통 부위나 질병부위의 미세한 온도변화와 체온 변화를 컴퓨터 그래픽화를 통해 냉증에 따른 환자의 피부 표면 온도 데이터를 천연색 영상으로 나타낸다.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110)은 손, 발 및 복부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제어 유닛(600)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생체 데이터를 생성한다.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110)은 수부의 냉증 진단을 위한 신체 내외부의 온도차 또는 족부의 냉증 진단을 위하여 족배부전면과 전대퇴중심부의 온도차를 센싱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100)은 여성의 복토혈과 태충혈 사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100)은 찬물에 손을 10분간 담근 후에 꺼냈을 때 일정시간 후에 수장부위와 정상 중심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110)은 환자의 피부 표면 또는 피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환자의 신체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심박 변이도 측정 유닛(HRV; 120)은 시간에 따른 심박의 주기적인 변화를 측정하며 환자의 내외적인 환경요인, 스트레스에 대한 자율신경계의 항상성 조절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환자의 제1 생체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심박 변이도 측정 유닛(120)은 연속적으로 심전도를 맥파계를 이용하여 심장 박동사이의 간격을 시간에 따라 센싱 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심박 변이도 측정 유닛은 심장 박동 사이의 간격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CO2 배출량 측정 유닛(130)은 환자의 CO2 배출량을 측정하고 CO2 배출량에 대응하는 제1 생체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즉, CO2 배출량 측정 유닛(130)은 환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여 기초 대사량을 측정함으로써 냉증 판단 및 진단에 필요한 제1 생체 데이터를 생성한다.
산소포화도 측정 유닛(140)은 혈액 내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의 양이 전체 헤모글로빈의 양과 비교하여 차지하는 비율로서, 산소포화도 측정 유닛(140)은 신진대사의 정도를 나타내는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환자의 냉증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 환자의 상태를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110), 심박 변이도 측정 유닛(HRV; 120), CO2 배출량 측정 유닛(130) 및 산소포화도 측정 유닛(140)을 통해 측정하여 각각 서로 다른 제1 생체 데이터들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110), 심박 변이도 측정 유닛(HRV; 120), CO2 배출량 측정 유닛(130) 및 산소포화도 측정 유닛(140)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을 통해 측정된 제1 생체 데이터는 환자가 치료 받기 이전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한편, 생체 센서(160)들에는 각각 계수로서 작용하는 가중치(a1,a2,a3,a4)가 부여되며, 각 생체 센서(160)들에 부여되는 가중치(a1,a2,a3,a4)들은 임상실험을 통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냉증 판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110) 및 심박 변이도 측정 유닛(120)의 가중치(a1,a2)는 CO2 배출량 측정 유닛(130) 및 산소포화도 측정 유닛(140)의 가중치(a3,a4) 보다 크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생체 센서(160)들에 적용되는 가중치(a1,a2,a3,a4)들은 임상실험 결과에 따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600)는 생체 센서(160)들에 의하여 측정된 제1 생체 데이터에 가중치(a1,a2,a3,a4)가 적용된 제1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환자별로 서로 다른 냉증 환자 데이터(Val)를 산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증 판별 유닛(200)은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의 각 생체 센서(160)들에 의하여 각각 수집된 제1 생체 데이터 및 가중치(a1,a2,a3,a4)들을 근거로 하여 발생 된 냉증 환자 데이터(Val)를 이용하여 환자의 냉증의 유무 또는 냉증의 경중(또는 심각 정도)에 대한 냉증 판별 데이터(D1,D2,D3; Dn)들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냉증의 심각 정도는, 예를 들어, 4 단계로 구분되고, 이로 인해 냉증 판별 데이터(D1,D2,D3)는 3 단계로 구분된다. 이와 다르게 냉증의 삼각 정도는 4 단계 이하 또는 4 단계 이상으로 구분되어도 무방하다.
냉증의 심각 정도를, 예를 들어, 4 단계로 구분하여 3 개의 냉증 판별 데이터(D1,D2,D3)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냉증을 판별하기 위한 임계치(Th)가 임상실험을 통해 먼저 산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냉증 판별 데이터(D1,D2,D3)가, 예를 들어, 4 단계로 구분될 경우, 임상실험에 의한 임계치(Th)들은 3 개(Th1, Th2, Th3)으로 구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임상실험에 의한 임계치(Th1,Th2,Th3)들 중 하나인 임계치(Th1) 정상단계를 의미하는 냉증 판별 데이터(D1)와 경증의 냉증 단계를 의미하는 냉증 판별 데이터(D2)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임계치(Th1,Th2,Th3)들 중 하나인 임계치(Th2)는 경증의 냉증 단계를 의미하는 냉증 판별 데이터(D2)와 중증의 냉증 단계를 의미하는 냉증 판별 데이터(D3)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임계치(Th1,Th2,Th3)들 중 하나인 임계치(Th3)는 중증의 냉증 단계를 의미하는 냉증 판별 데이터(D3) 보다 심각한 중증의 냉증 단계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즉, 냉증 판별 유닛(200)은 냉증 환자 데이터(Val)를 각 임계치(Th1,Th2,Th3)와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환자가 냉증의 유무 및 경중을 판단한다.
냉증 판별 유닛(200)에 의하여 환자의 냉증 정도를 나타내는 냉증 판별 데이터(D1,D2,D3)들 중 어느 하나가 결정되면, 제어부(600)는 냉증 판별 데이터(D1,D2,D3)에 근거하여 산소 챔버 유닛(300)의 밀폐된 챔버 유닛 내에 수용된 냉증 환자에게 제공될 산소량(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600)에서 산출되는 산소량(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은 역시 임상실험을 통해 결정된다.
[표 1]에서는 제어부에서 냉증 판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산소압 및 치료 시간이 예시되고 있다.
냉증의 단계 산소압(ATA) 치료 시간 비고
D1(정상) 1.1 30분 피로 회복
D2(경증의 냉증) 1.3 40분 냉증 완화
D3(중증의 냉증) 1.4 60분 냉증 치료
D3 이상(심각한 중증의 냉증) 1.6 90분 냉증 치료
제어부(600)는 선택된 냉증 판별 데이터(D1,D2,D3)에 근거하여 냉증 환자가 수용된 산소 챔버 유닛(300)으로 산소를 제공한다.
산소 챔버 유닛(300)에는 산소를 발생 및 발생 된 산소를 지정된 압력 및 지정된 치료 시간 동안 제공하는 산소 발생 유닛(400)이 연결될 수 있다.
산소 챔버 유닛(300)에서 지정된 산소압 및 지정된 치료 시간 동안 치료된 냉증 환자의 냉증 치료가 종료된 후,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에 의하여 생체 센서(160)들에 의하여 치료가 종료된 냉증 환자의 체온, 심박수,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산소 포화도와 같은 생체 데이터들이 다시 측정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치료가 종료된 환자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는 "제2 생체 데이터"로서 정의된다.
치료가 종료된 환자로부터 측정된 제2 생체 데이터에 근거하여 냉증 환자는 치료 상태를 확인 및 치료를 다시 받을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냉증 환자가 냉증 치료 전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에 의하여 측정된 제1 생체 데이터, 냉증 환자가 냉증 치료를 받은 후 데이터 수집 유닛(100)에 의하여 측정된 제2 생체 데이터 및 처방 데이터는 통신망에 연결된 데이터 전송 유닛(500)에 의하여 냉증 환자의 휴대 통신 기기로 전송되어 냉증 환자는 언제 어디서나 쉽게 치료 전 및 치료 후 치료 결과를 휴대 통신 기기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냉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 먼저, 냉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제1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가 수행된다.(단계 S10)
냉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제1 생체 데이터는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의 생체 센서(160)들을 통해 환자의 체온, 심박수,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산소 포화도를 각각 측정하여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생체 데이터는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의 생체 센서(160)인 적외선으로 체열을 영상 진단하는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110), 시간에 따른 심박의 주기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심박변위도 측정 유닛(120), 환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여 기초대사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측정 유닛(130) 및 혈액 내 산소와 결합 된 헤모글로빈의 양을 측정하여 신진대사를 측정하는 산소 포화도 측정 유닛(140)에 의하여 각각 수행된다.
환자의 제1 생체 데이터가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의 생체 센서(160)들에 의하여 수집되면, 환자의 제1 생체 데이터에 근거하여 환자의 냉증 유무 및 냉증의 경중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냉증 치료를 위한 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이 결정된다.(단계 S20)
냉증 치료를 위한 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생체 데이터에 임상실험을 통해 산출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생성된 냉증 환자 데이터(Val)를 산출하고(단계 S22), 냉증의 경중을 구분하기 위해 임계값(Th)들을 상기 냉증 환자 데이터(Val)와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냉증의 경중을 판단(단계 S24)하고, 환자의 냉증의 경중이 판단되면 환자의 냉증의 경중에 대응하는 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을 제어부(600)에서 산출한다.(단계 S24)
이어서, 제어부(600)에서 환자의 냉증의 경중에 따라 산출된 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에 의하여 산소 발생 유닛(400)은 산소를 환자가 수용된 산소 챔버 유닛(300)으로 제공하여 냉증 치료를 수행한다. (단계 S30)
이후, 산소 챔버 유닛(300)에서 냉증 치료가 수행된 후, 냉증 치료가 수행된 환자는 다시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100)의 생체 센서(160)에 의하여 제2 생체 데이터가 측정된다.(단계 S40)
이어서, 제어부(600)는 데이터 전송 유닛(500)을 통해 냉증 환자의 치료 받기 전 생체 데이터인 제1 생체 데이터 및 냉증 환자의 치료 후 생체 데이터인 제2 생체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환자의 휴대 통신 기기로 전송한다.(단계 S50)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냉증 환자의 진료를 주관적이고 감성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냉증 환자의 체온, 심박수,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산소 포화도를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진료하여 냉증 유무 및 냉증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객관적으로 판단된 냉증 환자의 냉증 정도에 대응하여 냉증 환자에 지정된 산소압 및 지정된 산소 제공 시간을 제공하여 환장의 냉증을 치료함으로써 냉증의 정확한 진단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800...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100...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
200...냉증 판별 유닛 300...산소 챔버 유닛
400...산소 발생 유닛 500...데이터 전송 유닛
600...제어 유닛

Claims (10)

  1. 환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여 제1 생체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2 개의 생체 센서들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
    상기 생체 센서들로부터 발생 된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냉증의 경중을 결정하기 위한 냉증 판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냉증 판별 유닛;
    상기 냉증 판별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는 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환자가 수용되어 상기 산소 제공 시간 동안 상기 산소압으로 산소를 제공되는 산소 챔버 유닛을 포함하는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은 적외선으로 체열을 영상 진단하는 열화상체열 측정 유닛;
    시간에 따른 심박의 주기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심박변위도 측정 유닛;
    환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여 기초대사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측정 유닛; 및
    혈액 내 산소와 결합 된 헤모글로빈의 양을 측정하여 신진대사를 측정하는 산소 포화도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챔버 유닛은 상기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 발생 유닛 및 환자가 들어갈 밀폐된 챔버 유닛을 포함하는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유닛에 의하여 상기 냉증 치료 후 생성된 제2 생체 데이터 및 처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환자의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챔버 유닛 내의 상기 산소압은 1.1 기압 내지 1.6 기압이고, 상기 산소 제공 시간은 30분 내지 90분인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증 판별 데이터는 상기 제1 생체 데이터에 임상실험에서 결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발생 된 냉증 환자 데이터(Val)를 임상실험에서 결정된 임계치(Th)들과 비교하여 결정되는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7. 환자의 냉증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생체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의 제1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냉증의 경중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냉증 치료를 위한 산소압 및 산소 제공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를 수용한 산소 챔버 유닛 내부에 상기 산소압으로 상기 산소 제공 시간 동안 산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생체 데이터는 적외선으로 체열을 영상 진단하는 열화상 체열 측정 유닛, 시간에 따른 심박의 주기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심박변위도 측정 유닛, 환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여 기초대사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대사량 측정 유닛 및 혈액 내 산소와 결합 된 헤모글로빈의 양을 측정하여 신진대사를 측정하는 산소 포화도 측정 유닛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압 및 상기 산소 제공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생체 데이터에 임상실험을 통해 산출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 냉증 환자 데이터(VAL) 및 냉증의 경중을 구분하기 위해 임상 실험에서 결정된 임계값(Th)을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냉증의 경중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제공 시간 동안 산소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치료가 진행된 상기 환자의 제2 생체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제1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제2 생체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환자의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20118917A 2012-10-25 2012-10-25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56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17A KR101456470B1 (ko) 2012-10-25 2012-10-25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17A KR101456470B1 (ko) 2012-10-25 2012-10-25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610A true KR20140052610A (ko) 2014-05-07
KR101456470B1 KR101456470B1 (ko) 2014-10-31

Family

ID=5088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917A KR101456470B1 (ko) 2012-10-25 2012-10-25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036A (ko) * 2017-09-11 2019-03-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 산소 치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23B1 (ko) * 2014-11-26 2016-02-04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소 챔버를 구비하는 산소 치료 시스템
KR102532919B1 (ko) * 2021-01-06 2023-05-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냉증 분류 방법 및 냉증 분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5460B2 (ja) 2002-12-24 2008-11-05 洋一郎 山野邉 可搬式減圧室
KR100877971B1 (ko) * 2007-05-07 2009-0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한열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US20120184829A1 (en) 2010-05-06 2012-07-19 Jms Co., Ltd. Apparatus for exercise therapy and diagnosis apparatus for lower extremity limb arterial occlusive disease
KR101200339B1 (ko) * 2010-07-27 2012-11-1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핑크팝 보리수 열매를 이용한 와인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036A (ko) * 2017-09-11 2019-03-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 산소 치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470B1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g et al. A chair–based unobtrusive cuffless blood pressu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pulse arrival time
US9603521B2 (en) Medical measuring device
CN105120751B (zh) 用于确定在感兴趣对象中的二氧化碳分压的设备和方法
US201502871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vital parameters
WO2020099218A1 (en) Self-monitoring and care assistant for achieving glycemic goals
US20200146567A1 (en) Pulse wave device and method of discriminating and quantifying fatigue
AU2016234986A1 (en) Biosignal measurement apparatus utiliz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biosignal measurements as touch sensors
JP7057284B6 (ja) 被検者の1又は複数の生理的特徴の基準を決定する機器の作動方法及び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8135505A (zh) 用于利用标准化的局部氧饱和度值监测自动调节的系统和方法
CN106503479A (zh) 一种体质辨识系统及辨识方法
US11234643B2 (en) Jugular venous assessment
CN106156532A (zh) 三级预防健康管理系统和方法
US20140309519A1 (en) Magnetic resonance thermography: high resolution imaging for thermal abnormalities
CN103932680A (zh) 一种人体肿瘤复发监测及热疗一体系统
KR101456470B1 (ko) 냉증 진단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4207788A (zh) 便携式血氧检测监护系统及其使用方法
Philip et al. Continous monitoring of blood glucose using photophlythesmograph signal
JP2016214563A (ja) 生体情報測定装置
CN117442163A (zh) 一种基于智能穿戴设备的术后淋巴水肿预警方法及装置
JP2008212179A (ja) ストレス強度演算方法、及びストレス強度演算装置
KR20130129637A (ko) 근지구력 재활 치료를 위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KR101602716B1 (ko) 맥파, 조갑모세혈관폭, 및 조갑모세혈관 혈류속도에 기반하여 한열을 구분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53393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산소 치료 시스템 및 방법
Taib et al. Primary Diagnosis of Thyroid Stimulating Hormone Using a Non-Invasive Method
US2024002132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estimating hydration and heat stress physiological lev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