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993A - 차체의 정지 부재에 대해 개방 부재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이종 재료 장치 - Google Patents

차체의 정지 부재에 대해 개방 부재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이종 재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993A
KR20140051993A KR20147005272A KR20147005272A KR20140051993A KR 20140051993 A KR20140051993 A KR 20140051993A KR 20147005272 A KR20147005272 A KR 20147005272A KR 20147005272 A KR20147005272 A KR 20147005272A KR 20140051993 A KR20140051993 A KR 20140051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opening member
closure device
edge
temporary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페르쉐
Original Assignee
엑스토 써모플라스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스토 써모플라스틱스 filed Critical 엑스토 써모플라스틱스
Publication of KR2014005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05C21/005Provisional arrangements between door and frame for holding vehicle doors closed or partially open during manufacturing 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9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devices for holding several workpieces to be sprayed in a spaced relationship, e.g. vehicle doors spac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2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for lock parts held in place before or during mounting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47Portable bars or the like, i.e. completely remov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34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정지 부재에 대해 개방 부재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이 상기 개방 부재 또는 정지 부재에 배치되고, 장치(10)는 몸체(11)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폐쇄 장치에는 정지 부재 또는 개방 부재에 연결되기 위한 수단(13, 17)이 부착되어 있고, 임시 폐쇄 장치는, 상기 개방 부재를 정지 부재에 대한 중간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 수단(19)을 포함하고, 이 유지 수단은 탄성 탭(tab; 19)으로 형성되고, 개방 부재가 자유 개방 위치에서 중간 폐쇄 위치로 움직일 때 탭(19)은 하우징의 제 1 가장자리에 의해 그 탭의 자유 단부(19a)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받아 휘어질 수 있으며, 움직임 중에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적어도 자유 단부(19a)의 일 부분은 90 쇼어(shore) 스케일 A 내지 60 쇼어 스케일 D 의 경도 및 ISO 34-1 표준에 따라 측정할 때 70 kN/m 이상의 내인열성을 갖는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진다.

Description

차체의 정지 부재에 대해 개방 부재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이종 재료 장치{BI-MATERIAL DEVICE FOR TEMPORARILY CLOSING AN OPENABLE BODY SECTION ON A STATIONARY ELEMENT OF AUTOMOBILE BODY}
본 발명은 차체의 정지 부재에 개방 부재를 임시로 닫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생산 라인은 개방부 및 특히 문이 부착되는 차체 페인팅 라인을 포함한다.
이들 개방부에는 아직 영구적인 폐쇄 장치 또는 자물쇠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그래서 페인팅 라인에서 차체가 전달되는 중에 개방부가 중간 폐쇄 위치에서 차체에 유지될 수 있게 해주는 임시의 제거가능한 폐쇄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과거에는, 예컨대 스크류와 같은 고정 부재에 의해 영구적인 자물쇠 대신에 장착되는 임시 폐쇄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들 장치는 이것이 사용되는 차량의 제조에 필요한 시간과 적어도 동일한 유효 기간을 갖는 금속 부품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 금속 부품은 설치되거나 제거될 때 차체 및/또는 페인트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정기적으로 다양한 청결화 처리를 받아야 되는데, 이러한 처리의 빈도는 페인팅 라인에서 지나갈 때 마다 상기 금속 부품이 불결하게 되는 속도에 달려 있다. 더욱이, 그러한 청결화 후에, 임시 폐쇄 장치는 제어 템플릿에서 준수 업그레이드를 받게 된다.
정지 부재에 대한 개방 부재의 임시 폐쇄 장치로서,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며,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설계되고, 어떠한 고정 부재도 필요치 않아 설치 및 제거가 더 쉽고 또한 그 속도도 더 빠르게 되는 임시 폐쇄 장치가 예컨대 문헌 EP 931 895 B1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의 단점은, 개방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는 탭(tab)으로서, 정지 부재에 개방 부재를 폐쇄하는 중에 상기 탭은 높은 스트레스와 변형을 받게 되는 탭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 폐쇄 중에 극복할 스트레스는 중요하다. 그러나, 개방 부재가 탭과 접촉하고 그 탭을 뒤로 물리면,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개방 부재에 가해진 페인트의 층(들)이 벗겨지고/벗겨지거나 탭 자체가 마멸된다.
또한, 개방 부재가 여러 번 조작된 후에, 임시 폐쇄 장치 자체, 특히 탭 또는 차체에서 생긴 플라스틱 또는 금속 먼지가 그 차체에 쌓일 수 있고 또한 일단 그것이 페인트 층으로 덮히면 영구적인 시각적 결함을 이룰 수 있다.
사실, 차량이 캐빈 또는 오븐에 전달되면, 이 먼지는 환기되는 공기에 의해 전달되고 중력의 영향 하에서 차체에 무작위하게 다시 쌓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완성된 차량의 외양에 유해한 결(grain)이 생기게 되는데, 이 결은 다음 페인트막 층의 아래에서 이물체의 형태로 있게 된다.
이를 피하고 페인트 작업 질의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 업체는 국부적인 사포질로 이들 결을 제거하고 새로운 페인트 코팅을 가해야 한다. 이들 세심한 작업은 정말 차체 페인트 작업 공정을 까다롭게 만들고 또한 그 작업 공정의 비용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제조 업체들은 어떻게 해서든 개방 부재와 정지 부재 모두에서의 이러한 시각적 결함을 제거하려 하고 있는데, 그 결과, 차체 재생율이 매우 높게 되고 또한 추가적인 자동차 제조 비용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에 대한 페인팅 작업 중에 결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특히 적합하고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차체의 정지 부재에 대한 개방 부재의 임시 폐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이 상기 개방 부재 또는 정지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폐쇄 장치에는 정지 부재 또는 개방 부재에 연결되기 위한 수단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임시 폐쇄 장치는, 상기 개방 부재를 정지 부재에 대한 중간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수단은 탄성 탭(tab)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 부재가 자유 개방 위치에서 중간 폐쇄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탭(19)은 상기 하우징의 제 1 가장자리에 의해 그 탭의 자유 단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받아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움직임 중에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적어도 상기 자유 단부는, 90 쇼어(shore) 스케일 A 내지 60 쇼어 스케일 D 의 경도 및 34-1 ISO 표준에 따라 측정할 때 70 kN/m 이상의 내인열성을 갖는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아주 놀랍게도, 개방 부재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되는 탭의 단부를 형성하는 상술한 폴리머 재료의 기술적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는 페인트 작업 중에 먼지를 발생시키지 않음을 알았다. 이렇게 해서 결의 형성이 회피되는데, 이는 차체에 대한 페인트 작업에 상당히 유리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의 몸체는 이러한 종류의 임시 폐쇄 장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어렵지 않게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임시 폐쇄 장치는 강한 탄성 및 개방 부재의 움직임에 중에 그 개방 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스트레스에 대한 강한 내성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임시 폐쇄 장치는 폴리아미드 6-6 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폴리아미드는, 페인트 코팅의 경화 중에 차체가 노출되는 고온(180℃ 정도)과 같은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이점을 또한 갖고 있다.
또한, 알려져 있는 임시 폐쇄 장치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는, 개방 부재의 가장자리(선택적으로 절단)와 접촉하는 몸체부는 원치 않는 입자들을 방생시키는 마찰을 견딜 수 있는 적절한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지므로 "보존되고" 또한 온전한 상태로 유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 이 폴리머 재료는 강한 내마멸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는 유리하게는 이종 재료(bi-material)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는 그러한 임시 폐쇄 장치를 장착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는 이점을 또한 갖는다. 사실, 임시 폐쇄 장치는, 이러한 종류의 임시 폐쇄 장치의 조립 시간과 동등한 조립 시간 내에서 동일한 공구를 사용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차량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의 사용은 조립 라인에서 완벽하게 잘 맞으며, 그래서 조립법에 대한 어떠한 수정도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전술한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지는 탭의 자유 단부의 상기 부분은 상기 탭의 길이의 1/4 내지 1/2 의 길이에 걸쳐 있는 돌출 노즈를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탭의 자유 단부의 이 부분은 탭에 오버몰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탭의 자유 단부의 절반은 상기 폴리머 재료를 탭에 오버몰딩하여 만들어진다.
사용되는 오버몰딩 몰드, 그의 범위 및 몰딩법의 전문성에 따라 당업자는 전술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폴리머 재료로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의 어느 부부분을 오버몰딩하는 것이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의 경도는 90 쇼어 스케일 A 내지 97 쇼어 스케일 A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 재료의 내인열성은 80 kN/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kN/m 이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폴리머 재료는 유리하게는 170℃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의 용융점 온도를 갖는다. 이렇게 해서, 폴리머 재료는, 건조 터널 내에서의 차체 페인팅 작업 중에 그 차체가 받게 되는 일반적인 온도인 180℃ 에서의 노출에도 견딜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재료는 탄성중합체(elastomer),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및 열경화성 탄성중합체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 재료는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스티렌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및 폴리실록산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오버몰딩은 사출법, 침지(dipping)법 또는 분사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몰딩의 유지는 화학적 결합 또는 기계적 파지로 보장될 수 있다. 물론, 몰딩 기술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상기 장치는, 상기 개방 부재가 자유 개방 위치에서 중간 폐쇄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하우징의 제 2 가장자리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받침부를 더 포함한다.
- 상기 몸체에 있어서 상기 탭의 기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영역에서 그 몸체는 오목 영역의 위쪽에서 현가되어 있는 플레이트에 의해 연장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와 상기 탭은 가요적인 연결을 보장해주는 아치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 상기 아치부는 실질적으로 탭의 중간부에서 그 탭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자유 단부에서 그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장치의 제 1 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 상기 탭과 플레이트는 예각을 이룬다.
- 상기 탭, 플레이트 및 아치부는 상기 장치의 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 상기 돌출 노즈는 탭의 단부에 위치된다.
- 상기 돌출 노즈의 두께는 2 mm 미만이다.
- 상기 탭은 그의 기부에서 오목부를 포함한다.
- 상기 받침부는 개방 부재가 정지 부재에 대해 닫힐 때 그 개방 부재의 제 1 가장자리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 상기 흡수 수단은 개방 부재의 제 1 가장자리의 스트레스 하에서 국부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몸체에 대해 현가되어 있는 재료의 일 부분으로 되어 있다.
- 상기 장치의 몸체를 끝에서 끝까지 관통하는 개구가 그 몸체에 있다.
- 상기 몸체는 그의 하측면 아래에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데, 이 플레이트는 몸체의 양측에서 그 몸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고, 플레이트의 하측 표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와 정지 부재의 대응하는 지지 표면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패드가 부착된다.
- 상기 패드의 길이는 1 mm 정도이며, 이에 상당하는 간격이 상기 플레이트와 정지 부재의 대응하는 지지 표면 사이에 유지된다.
- 상기 패드들은 플레이트의 하측 표면의 주변에 분산된다.
- 상기 장치의 몸체는, 강성 와이어를 통과시키고 그 와이어의 일 단부를 유지시킬 수 있는 부착 공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그의 다른 단부에서 개방 부재를 반 열림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 상기 몸체는 핀을 포함하며, 이 핀은 나사 구멍(tapped orifice)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상기 공동부는 상기 핀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그 핀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의 사사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정지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개방 부재가 접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그 개방 부재는 중간 폐쇄 위치에 있다.
도 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문으로 이루어진 개방 부재(1)는 자물쇠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2)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2)은 개방 부재(1)의 내측에 형성된 절개부로 형성되며, 특히, 개방 부재(1)의 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가장자리(3) 및 개방 부재(1)의 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가장자리(4)를 포함한다. 이들 가장자리(3, 4)는 임시 폐쇄 장치(10)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지 부재(5)는 서로 평행한 2개의 나사 구멍(tapped orifice; 6)을 포함한다.
또한, 정지 부재(5)는 각각의 나사 구멍(6)의 축선에서 오목부(도 3 에는 미도시)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상기 임시 폐쇄 장치(10)는 폴리아미드 6-6로 만들어진 일체형 몸체(11)를 포함하는데, 이 몸체에는 나사 구멍(6) 안에 들어가게 되는 연결 수단(아래에서 상술함)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임시 폐쇄 장치는, 개방 부재(1)가 폐쇄될 때 하우징(2)의 가장자리(3)와 협력하게 되는 받침부(18), 및 개방 부재의 중간 폐쇄 위치에서 정지 부재(5)에 접촉하게 되는 개방 부재(1)의 탭(19)의 형태로 된 유지 수단을 포함하며, 가장자리(4)를 넘어 하우징(2) 안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탭(19)은 평평한 돌출 노즈(19a)를 가지며, 이 노즈는 탭(19)의 면에 수직하고 받침부(18) 쪽으로 향해 있다. 개방 부재(1)가 그의 자유 개방 위치에서 중간 폐쇄 위치로 움직일 때 돌출 노즈(19a)는 그의 슬롯(19b)으로 하우징(2)의 가장자리(4)와 접촉해 협력하게 된다.
개방 부재(1)의 움직임 중에 접촉 영역은 거의 점의 형태이며, 그래서 가장자리(4)의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장치(10)에 이미 페인트가 칠해져 있을때 그 페인트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개방 부재(1)가 새로 닫히면 그것은 개방 부재와 다시 접촉하게 된다.
보다 중요하게는, 탭(19)의 자유 단부의 절반, 그 탭의 돌출 노즈(19a)는 폴리에스테르형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탭(19)에 오버몰딩되어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 적절한 폴리머 재료를 통해, 돌출 노즈(19a)가 보호되고, 개방 부재(1)가 그의 자유 개방 위치에서 중간 폐쇄 위치로 움직일 때 개방 부재(1)의 가장자리(4)에 의해 깎이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개방 부재(1)가 움직이더라도 재료로부터 어떠한 먼지도 발생되지 않는데, 이 먼지는 차체에 대한 페인팅 작업시 결(grain) 형성의 원인이 된다.
상기 몸체(11)는 플레이트(12)를 포함하며, 이 플레이트는 몸체(11)의 양측에서 이 몸체(11)에 수직하게 뻗어 있어, 장치(10)를 정지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측방 날개부를 형성한다.
임시 폐쇄 장치(10)를 정지 부재(5) 상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한편으로 상기 플레이트(12) 아래에 배치되는 핀(13) 및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장치(10)의 몸체(11)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고 스퍼(spur)(캡티브 스크류)에 의해 그 몸체에 연결되는 스크류(17)로 형성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스크류(17)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12) 위에 위치되어, 그 플레이트(12)의 면에 나사 결합되고 그 면을 통과할 준비가 된다. 핀(13) 및 스크류(17)는 실질적으로 팽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은 플레이트(12)의 대응하는 날개부에 배치되고 몸체(11)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핀(13) 및 스크류는 플레이트(12)의 측방 날개부의 단부에 배치된다.
핀(13)은 그의 자유 단부에서, 대응하는 나사 구멍(6)에 들어가는 중심 맞춤 원추부(15), 또는 동일한 효과를 갖는 라운딩된 표면(20)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스크류(17)는 그의 선단에서, 동일한 목적의 중심 맞춤 원추부 또는 라운딩된 표면을 갖는다.
연결 수단은 또한 상기 오목부 안에 있게 되는 인터로킹 부재들(미도시)을 포함하는데, 이들 부재는 두개의 숄더(16)로 구성되며, 각각의 숄더는 핀(13)과 스크류(17)의 대응하는 축선에서 플레이트(12) 아래에 배치된다.
핀(13)은 완전한 원통형이거나 또는 반원통형일 수 있다.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핀(13)은 반원통형이다.
탄성 탭(19)은, 핀(13)과 스크류(17)의 축선으로 규정되는 수직면에 대해 약 15 ∼ 30°의 기울기로 몸체(11)의 위쪽에서 연장되어 있다(도 1). 상기 탭의 기울기는 장치(10)의 받침부(18)와 반대 방향으로 규정된다.
장치(10)의 몸체(11)는 탭(19)의 기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영역에서 플레이트(20)에 의해 연장되어 있는데, 이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12)에 평행하고 오목 영역의 위쪽에서 현가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20)는 탭(19)의 스트레스 및 변형을 어느 정도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이차 탭을 구성한다.
이를 위해, 가장자리(19)와 플레이트(20)는 가요적인 연결을 보장해주는 아치부(2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아치부(21)는 탭(19)의 중간부에서 그 탭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플레이트(20)의 자유 단부에서 그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다. 탭(19)의 휘어짐이 더욱 제한되고 그래서 스트레스와 변형이 장치(10)의 다양한 부분에 분산된다.
개방 부재(1)가 미리 장착되어 있는 차체가 페인트 라인을 통과하기 전에, 개방 부재(1)가 닫히고 있을 때 그 개방 부재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이 차체 구조의 정지 부재(5) 각각에는 임시 폐쇄 장치(10)가 구비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작업자는 핀(13)의 중심 맞춤 원추부(15)를 정지 부재(5)의 대응하는 나사 구멍(6) 안으로 넣고 몸체(11)를 누르면, 한편으로 핀(13)이 나사 구멍(6) 안으로 들어가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지 부재(5)에 있는 오목부(도면에는 미도시) 안으로 각각의 숄더(16)가 끼워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도면에는 미도시)는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숄더(16)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작업자는 먼저 핀(13)을 대응하는 나사 구멍(6) 안에 끼우고 그런 다음 스크류(17)를 돌려 다른 나사 구멍(6) 안으로 결합시킨다.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 부재(1)를 닫는 중에, 이 개방 부재(1)에 있는 하우징(2)의 가장자리(3)는 장치(10)의 몸체(11)와 겹쳐 그 장치의 받침부(18)와 서서히 접촉하게 되며, 그래서 하우징(2)에 대한 몸체(11)의 자동적인 조절이 보장된다.
그런 다음에, 개방 부재(1)를 계속 누르면, 하우징(2)의 가장자리(4)가 탭(19)을 휘어지게 하고 그래서 이 가장자리(4)가 상기 탭(19)의 뒤를 지나게 된다.
또한, 하우징(2)의 가장자리(3)는 몸체(11)의 받침부(18)에 눌려지게 된다.
그리고, 탭(19)은 그의 탄성 때문에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가장자리(4)와 개방 부재(1)의 차단을 보장해 준다.
상기 임시 폐쇄 장치(10)로 정지 부재(5)에 대한 개방 부재의 잠금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탄성 탭(19)의 강성을 증가시켜야 한다. 다시 말해, 탭(19)의 폭, 두께 및 길이의 치수는 그 탭이 적절한 강성을 갖도록 하는데 적합할 필요가 있다.
수동 또는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는 개방 부재(1)의 열림 중에, 탄성 탭(19)은, 이 가장자리(4)를 지나 개방 부재(1)를 열리게 할 수 있도록 역방향으로 휘어진다.
정지 부재(5)에서 임시 폐쇄 장치(10)를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는 먼저 스크류(17)를 풀고 다음에 몸체(11)를 잡아 당겨 핀(13)을 나사 구멍(6)에서 빼낸다.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폐쇄 장치는 그의 설치 또는 제거 중에 페인트 및/또는 차체에 대한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이 임시 폐쇄 장치 덕분에, 차체에 대한 페인팅 작업 중에 결이 생기지 않게 된다.

Claims (10)

  1. 차량 차체의 정지 부재(5)에 대한 개방 부재(1)의 임시 폐쇄 장치(10)로서,
    하우징(2)이 상기 개방 부재(1) 또는 정지 부재(5)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10)는 몸체(11)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폐쇄 장치에는 정지 부재(5) 또는 개방 부재(1)에 연결되기 위한 수단(13; 16; 17)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임시 폐쇄 장치는, 상기 개방 부재(1)를 정지 부재(5)에 대한 중간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 수단(19)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수단은 탄성 탭(tab; 19)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 부재(1)가 자유 개방 위치에서 중간 폐쇄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탭(19)은 상기 하우징(2)의 제 1 가장자리(4)에 의해 그 탭의 자유 단부(19a)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받아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움직임 중에 상기 제 1 가장자리(4)와 접촉하는 적어도 상기 자유 단부(19a)는, 90 쇼어(shore) 스케일 A 내지 60 쇼어 스케일 D 의 경도 및 34-1 ISO 표준에 따라 측정할 때 70 kN/m 이상의 내인열성을 갖는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지는 임시 폐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단부(19a)는 상기 탭(19)의 길이의 1/4 내지 1/2 의 길이에 걸쳐 있는 돌출 노즈를 형성하는 임시 폐쇄 장치(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19)의 자유 단부(19a)는 상기 탭(19)에 오버몰딩되어 형성되는 임시 폐쇄 장치(1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탭(19)의 자유 단부(19a)의 절반은 상기 폴리머 재료로 탭(19)에 오버몰딩되어 만들어지는 임시 폐쇄 장치(1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재료는 170℃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갖는 임시 폐쇄 장치(1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재료는 탄성중합체(elastomer),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및 열경화성 탄성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임시 폐쇄 장치(10).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재료는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스티렌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및 폴리실록산 중에서 선택되는 임시 폐쇄 장치(1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몰딩은 사출법, 침지(dipping)법 또는 분사법으로 수행되는 임시 폐쇄 장치(1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는, 상기 개방 부재(1)가 자유 개방 위치에서 중간 폐쇄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하우징(2)의 제 2 가장자리(3)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받침부(18)를 더 포함하는 임시 폐쇄 장치(1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에 있어서 상기 탭(19)의 기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영역에서 그 몸체는 오목 영역의 위쪽에서 현가되어 있는 플레이트(20)에 의해 연장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20)와 상기 탭(19)은 가요적인 연결을 보장해주는 아치부(2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임시 폐쇄 장치(10).
KR20147005272A 2011-07-29 2012-07-12 차체의 정지 부재에 대해 개방 부재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이종 재료 장치 KR201400519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6968 2011-07-29
FR1156968A FR2978473B1 (fr) 2011-07-29 2011-07-29 Dispositif de fermeture provisoire bi-matieres d'un element ouvrant sur un element fixe d'une carrosserie d'un vehicule automobile
PCT/FR2012/051652 WO2013017761A1 (fr) 2011-07-29 2012-07-12 Dispositif de fermeture provisoire bi-matières d'un élément ouvrant sur un élément fixe d'une carrosserie d'un vé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993A true KR20140051993A (ko) 2014-05-02

Family

ID=4661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05272A KR20140051993A (ko) 2011-07-29 2012-07-12 차체의 정지 부재에 대해 개방 부재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이종 재료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159389A1 (ko)
EP (1) EP2737144B1 (ko)
JP (1) JP2014527930A (ko)
KR (1) KR20140051993A (ko)
BR (1) BR112014001524A2 (ko)
ES (1) ES2612656T3 (ko)
FR (1) FR2978473B1 (ko)
WO (1) WO2013017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4412B1 (fr) * 2013-04-16 2016-12-09 Exsto Thermoplastics Interface de protection d’un dispositif de fermeture provisoire
KR102335664B1 (ko) * 2013-04-16 2021-12-03 엑스토 써모플라스틱스 차량 도어를 조금 열린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
FR3072706B1 (fr) * 2017-10-19 2019-10-18 Exsto Thermoplastics Dispositif d’ecartement d’un element ouvrant par rapport a un element fixe, notamment d’un vehicule automobile
US11739565B2 (en) * 2020-09-24 2023-08-29 Elbee Pty Ltd. Latch assembly to secure opening of an enclosure
USD993015S1 (en) 2020-09-24 2023-07-25 Elbee Pty Ltd. Latch
CN112403735B (zh) * 2020-11-13 2021-12-07 界首市海德龙渔具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不同型号鱼钩喷漆的夹具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4254A (en) * 1960-09-27 Door fastener
US3313564A (en) * 1964-11-18 1967-04-11 Honeywell Inc Fastening apparatus
US4264647A (en) * 1979-04-17 1981-04-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ference electrode printing process and mask for exhaust gas oxygen sensor
US4917413A (en) * 1985-08-08 1990-04-17 Donald M. Jason Resilient latching device
US5121952A (en) * 1988-07-20 1992-06-16 Elastolatch, Inc. Slam latch
FR2773838B1 (fr) * 1998-01-16 2000-04-07 Peugeot Dispositif de fermeture provisoire d'un element ouvrant sur un element fixe d'une carrosserie d'un vehicule automobile
FR2826393B1 (fr) * 2001-06-22 2003-10-03 Alcyon Dispositif d'ecartement et de verrouillage provisoire d'un ouvrant sur une caisse de vehicule automobile
CN1277622C (zh) * 2001-06-29 2006-10-04 普罗-技术顾问和发展股份有限公司 车辆结构的屏蔽装置
US6656278B2 (en) * 2001-07-23 2003-12-02 Howard Baisch Door positioning article
DE20311091U1 (de) * 2003-07-18 2003-10-16 Pro Tech Beratungs & Entwicklungs Gmbh Kunststoff-Distanzelement
FR2874580B1 (fr) * 2004-08-26 2006-10-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utee de fermeture provisoire entre-baillee d'un element ouvrant, tel qu'une porte, sur un element de carrosserie d'un vehicule automobile.
FR2885633B1 (fr) * 2005-05-12 2011-12-1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fermeture provisoire d'un element ouvrant sur un element fixe d'une carrosserie, comportant un moyen de contact avec l'element ouvrant a surface reduite
US8047581B2 (en) * 2005-05-12 2011-11-01 Exsto Temporary closure device for an opening element on a fixed chassis part of a motor vehicle, comprising an improved return means
FR2887912B1 (fr) * 2005-06-30 2008-12-12 Exsto Thermoplastiques Soc Par Dispositif d'ecartement provisoire d'un element ouvrant sur un element fixe
FR2889227B1 (fr) * 2005-07-27 2007-10-19 Exsto Thermoplastiques Soc Par Dispositif d'ecartement provisoire a embase clipsable
FR2892140B1 (fr) * 2005-10-17 2008-01-11 Exsto Soc Par Actions Simplifi Dispositif d'ecartement et de verrouillage provisoire d'un element ouvrant sur un element fixe
FR2893969B1 (fr) * 2005-11-30 2013-03-29 Exsto Dispositif de verrouillage
FR2898147B1 (fr) * 2006-03-02 2011-12-09 Boulay Plastiques Dispositif de retenue provisoire d'une element ouvrant sur la carrosserie d'un vehicule automobile
FR2926102B1 (fr) * 2008-01-07 2010-01-01 Boulay Plastiques Dispositif de fermeture provisoire d'un element ouvrant sur un element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12656T8 (es) 2017-05-30
JP2014527930A (ja) 2014-10-23
ES2612656T3 (es) 2017-05-18
BR112014001524A2 (pt) 2017-02-14
US20140159389A1 (en) 2014-06-12
WO2013017761A1 (fr) 2013-02-07
EP2737144A1 (fr) 2014-06-04
FR2978473B1 (fr) 2013-08-09
EP2737144B1 (fr) 2016-11-02
FR2978473A1 (fr)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1993A (ko) 차체의 정지 부재에 대해 개방 부재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이종 재료 장치
US8047581B2 (en) Temporary closure device for an opening element on a fixed chassis part of a motor vehicle, comprising an improved return means
CN109306830B (zh) 组装到车顶纵梁的可拆卸式举升门铰链盖
DE102018217222B4 (de) Durchführungshülse
KR20120117866A (ko) 일체형 플라스틱 부재 및 패스너
US20100066105A1 (en) Locking Device
US20060168896A1 (en) Cursor assembly for a window regulator, in particular for vehicles
JP6423859B2 (ja) 自動車の一時閉鎖装置のための保護接続器
US20090127761A1 (en) Spacing Device Secured Against Extraction
MXPA06014936A (es) Placa guia angulada y sistema para fijar rieles para vehiculos ferreos.
WO2010033907A2 (en) Hinged clamp
EP3145762A1 (de) FAHRZEUGTEIL FÜR DEN AUßENBEREICH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KR100861018B1 (ko) 전동차용 측출입문 포켓부의 방풍구조
DE10016225A1 (de) Halterungsvorrichtung für Schläuche, Kabel oder Rohre
DE102017105641B4 (de) Bremsträger und Scheibenbremse
DE102008063139A1 (de) Gurtschlossgehäuse
JP2015009692A (ja) 自動車ドアの固定用治具
US20100192652A1 (en) Temporary spacer device equipped with locking means
KR20110005365U (ko) 전동차 다이어프램용 고정부재 커버장치
DE4413906C2 (de) Anordnung zum Ausrichten einer schloßseitigen Abschlußkante eines Kofferraumdeckels auf einen gegenüberliegenden Rahmenrand eines Kraftfahrzeug-Heckmittelstückes
CN204323527U (zh) 车门安装防撞块
US11180003B2 (en) Support for a vehicle window
RU200253U1 (ru) Фиксатор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CN112739576B (zh) 车辆用内饰部件
DE202014008020U1 (de) lsolier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Fahrzeug mit der lsolierungs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