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503A - 선형진동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선형진동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503A
KR20140051503A KR1020120117288A KR20120117288A KR20140051503A KR 20140051503 A KR20140051503 A KR 20140051503A KR 1020120117288 A KR1020120117288 A KR 1020120117288A KR 20120117288 A KR20120117288 A KR 20120117288A KR 20140051503 A KR20140051503 A KR 2014005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linear vibration
vibration generator
inner diameter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순구
정영빈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2011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1503A/ko
Publication of KR2014005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H02K33/0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with polarised arm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5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having an annular coil, e.g. of the claw-po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베이스와, 외형 케이스와, 코일과, 중심 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자석과,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내경면에 단차부를 구비하여 상기 자석이 수용된 상태로 밀착고정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외경은 상기 자석 외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선형진동 발생장치{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음의 착신장치로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무음의 착신장치로 사용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이동부의 행정거리가 짧고,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기존의 편심 회전형 진동모터에 비해, 시작과 정지 시에 빠른 진동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자석을 포함하는 진동자와, 진동자를 지지하는 고정자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된 전자기력과, 자석에서 발생된 자력과의 상호 동작으로, 진동자가 상하로 이동하여 진동이 발생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선형 진동 발생장치(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선형 진동 발생장치(10)는 진동자와, 고정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자는 중심 요크(14)와, 자석(15) 및 중량체(16)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외형 케이스(12)와, 베이스(11)와, 코일(13)을 포함한다.
상기 선형진동 발생장치(10)는 상기 중심 요크(14)가 베이스(11)에 압입 또는 삽입 구조로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11)는 중심, 즉 진동축 중심에 상기 중심 요크(14) 하부가 압입되는 중공형 고정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중심 요크(14)는 금속 재질과 같은 자성체 기능을 하는 재질로서, 상기 코일(13) 상단을 보호하면서, 상기 베이스(11)에 고정되며, 상기 자석(15)과 코일(13)과의 동심을 잡기 유리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 요크(14)는 상기 베이스(11) 상에 압입되어서, 상기 자석(15)과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중심 요크(14)는 원통형 몸통부(141)와, 원통형 상부(142)와, 원통형 하부(143)와, 원통형 상단부(144)와, 원통형 상단 폴(145)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 요크(14)는 상기 원통형 상부(142)에서 중심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13)과 중심 요크(14) 간의 동심(또는 자석과 중심 요크 간의 동심)을 잡아주는데 기여하는 원통형 상단부(144)와 상단 폴(14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형 케이스(12)는 상면에 상기 상단 폴(145)이 걸리는 동심용 개구(12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원통형 상단부(243)와 상기 동심용 개구(220)는 상기 중심 요크(240)의 동심을 잡아주는데 기여하여, 동심 불량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외형 케이스(22)는 상기 베이스(21)과 함께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10)의 코인형 외형을 이루는 부재로서, 단순한 덮게 형상으로 구성되고, 자성 또는 비자성으로 구성가능하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형 케이스(12) 상면 중심에는 원형의 동심용 개구(120)가 구비된다.
상기 자석(15)은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일(13) 및 중심 요크(14)와 동축으로 상기 코일(13)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자석(15)은 상면 및 하면에 상부 플레이트(180)와 하부 플레이트(182)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80)는 금속 재질의 링 형상으로, 상기 자석(15) 상면에 접착 고정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82)는 금속 재질의 링 형상으로, 상기 자석(15) 하면과 상기 탄성체(17)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자석(15) 하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80)(182)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거나, 자성체 역할을 하는 재질로 되어서 외부 자계 누설 방지 및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는 데 기여한다. 즉,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80)(182)는 자성체 재질로 활동하기 때문에 상기 중심 요크(14)와 자석(15)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 회로가 코일(13)이 있는 중심쪽으로 집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자석(15) 외주 방향으로 고비중 중량체(16)를 더 구비한다. 상기 중량체(16)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자석(15)을 내경부로 감싸고, 상부 플레이트(180)와 하부 플레이트(182)에 의해 내경부 일부가 감싸지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특히, 상기 중량체(16) 내경면은 상기 자석(15) 외경면과 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10)의 자기회로가 중심쪽으로 집중하도록 상기 자석(15) 외경면은 비자성체 재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7)는 상기 베이스(11)과 상기 자석(15) 사이에서 상기 코일(13) 외주를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17)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82)와 밀접한 상태를 항시 유지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11)과 항시 밀착한 상태를 항시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10)에서 발생하는 구성 요소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 장치(10)는 다수 개의 충돌 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중량체(16)와 상부 플레이트(180) 사이에는 제1수직 충돌 방지부(19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수직 충돌 방지부(190)는 자성 유체를 도포하여 구비된다. 상기 자성 유체는 점 도포 또는 링 형 도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 충돌 방지부(190)는 상기 진동자와 상기 외형 케이스(12) 간의 충격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 상에 제2수직 충돌 방지부(192)를 구비한다. 상기 제2수직 충돌 방지부(192)는 러버나 실리콘 또는 스폰지와 같은 발포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 충돌 방지부(192)는 상기 탄성체(17)와 베이스(11) 간의 충격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182) 외주면과 중량체(16) 저면 사이에는 제3수직 충돌 방지부(194)를 구비한다. 상기 제3수직 충돌 방지부(194)는 자성 유체를 도포하여 구비된다. 상기 자성 유체는 점 도포 또는 링 형 도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10) 동작 시, 상기 하부 플레이트(182)와 상기 베이스(11) 간의 충격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자석(15)과 중심 요크(14)의 원통형 상부(142) 사이에는 수평 충돌 방지부(196)를 더 구비한다. 상기 수평 충돌 방지부(196)는 자성 유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 유체는 점 도포 또는 링 형 도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충돌 방지부(196)는 자석의 상단 내경면과 원통형 상부(142) 외주면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10) 동작 시, 상기 수평 충돌 방지부(196)는 상기 원통형 상부(142)와 자석(15) 간의 충격을 최소화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형진동 발생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의 선형진동 발생장치(10)의 동작 시, 진동자의 최대 행정거리 이동시, 돌출된 상부 플레이트(180)와 외형 케이스(12) 간의 접촉 현상이 발생하여, 진동 동작 시에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진동자 최대 행정거리 이동 시, 돌출된 상부 플레이트와 외형 케이스 간의 접촉에 따라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한 선형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베이스와, 외형 케이스와, 코일과, 중심 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자석과,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내경면에 단차부를 구비하여 자석이 밀착고정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외경은 상기 자석 외경보다 같거나 작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는 링형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단차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의 내경보다 하부의 내경이 크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의 외주면은 상기 하부 내경면과 밀착고정되고, 상기 자석의 상면 외곽 외주영역은 상기 상부 저면 외곽 외주영역과 밀착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경 케이스 천정면에 상기 중심 요크와 동심으로 제1수직 충돌 방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자석 상면과 직접 대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수직충돌 방지부는 러버나, 실리콘 또는 발포수지 스폰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디스크형 또는 링형으로, 외경이 상기 중량체 상부 내경/자석 외경보다 작게 구성되고, 내경이 상기 자석 내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상에 제2수직 충돌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수직 충돌 방지부는 러버나, 실리콘 또는 발포수지 스폰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디스크형 또는 링형으로, 외경이 상기 자석 외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 상부는 상면에 제1충돌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충돌 방지부는 자성유체나 구리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과 중심 요크의 상부 사이에는 제2충돌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충돌 방지부는 자성 유체나 구리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 하부와 하부 플레이트 외경면 사이에는 제3충돌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충돌 방지부는 상기 자석의 최외각 외주영역을 감싼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형 케이스와 중심요크 사이에 동심으로 스토퍼가 밀착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는 원통형으로, 하드 재질의 폼 러버로 구성되며, 상면은 상기 외형 케이스 천정면과 밀착고정되고, 저면은 상기 중심요크 상면과 밀착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외경은 상기 자석 내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는 상기 제1수직충돌 방지부에 삽입된 상태로 외형 케이스와 밀착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심 요크는 상기 코일 내로 배치되는 원통형 몸통부; 상기 몸통부 상에서 외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상기 스토퍼 저면과 밀착고정되는 원통형 상부; 및 상기 몸통부보다 직경 크기가 작고, 상기 몸통부에서 중심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브라켓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는 고정자; 및 자석과,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자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외경은 상기 자석 외경보다 같거나 작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는 고정자; 자석과, 상기 자석에 구비된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내외경을 가지는 상부; 및 내외경을 가지되, 상기 상부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하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상부 내경에 둘러싸인 수용 공간에 상부 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 상기 중량체 상부 내경에 둘러싸인 개방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과 탄성체 사이에는 하부 플레이트가 장착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 외경은 상기 자석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 외경은 자석 외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상부 플레이트와 외형 케이스 간의 접촉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에 기여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선형 진동 발생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 장치에 대해서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고정자는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중요 부품들 중 진동을 하지 않는 부품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진동자는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중요 부품들 중 진동을 하는 부품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2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는 종래의 선형 진동 발생장치(10)와 비교하여, 진동 운동 시, 진동자와 고정자 간에 발생하는 소음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는 진동자와, 고정자 및 탄성체(27)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27)가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자와 진동자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진동자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고정자에 대해서 진동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선형진동 발생장치(20)는 외관적으로 외형 케이스와 베이스 간의 결합으로 코인형 외관이 이루어지고, 내부는 진동축 중심으로 외주 방향을 따라서 대략적으로 중심 요크(24), 코일(23), 자석(25), 중량체(26) 순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선형진동 발생장치(20)는 중심 요크(24)가 코일(23)을 보호하는 배치로 이루어지고, 상하 기준으로 중량체(26), 자석(25), 하부 플레이트(30) 및 탄성체(27) 순으로 배치된다.
상기 진동자는 자석(25)과, 중량체(26)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외형 케이스(22)와, 베이스(21)와, 코일(23) 및 중심 요크(24)를 포함한다. 상기 자석(25)은 상기 코일(23) 상부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보호하는 형상이고, 상기 중량체(26)는 자석(25)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코일(23)은 베이스(21)에 삽입되는 구조로 고정되고, 상기 중심 요크(24)는 상기 베이스(21)에 삽입 고정 또는 압입 고정되어 상기 코일(23) 내부 공간에 동심으로 고정된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는 상기 중심 요크(24)가 베이스(21)에 압입 또는 삽입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중심 요크(24)가 외형 케이스(22)에 압입, 삽입 또는 용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는 중심, 즉 진동축 중심에 상기 중심 요크(24) 하부(242)가 삽입 또는 압입 고정되는 고정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10)는 중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10)는 소정의 높이로 상기 베이스(21) 상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210)는 내경면과 외경면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210)의 돌출 높이는 상기 중심 요크(24)를 삽입/압입하여 고정될 정도의 높이면 충분하다.
상기 중심 요크(24)는 금속 재질과 같은 자성체 기능을 하는 재질로서, 상기 코일(23)을 보호하는 형상(하기의 원통형 상부에 의해 코일 상단이 보호됨)이면서, 상기 베이스(21) 및/또 외형 케이스(22)에 고정되며, 상기 자석(25) 및 코일(23)과의 동심을 잡기 유리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 요크(24)는 상기 베이스(21) 상에 삽입되어서, 상기 자석(25)과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중심 요크(24)는 내부가 충만한게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21) 상에서 수직 상방으로 향하는 진동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상기 중심 요크(24)는 원통형 몸통부(240)와, 원통형 상부(241)와, 원통형 하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몸통부(240)와, 상기 원통형 상부(241) 및 원통형 하부(242)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상부(241)는 상기 코일(23)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상기 원통형 상부(241)는 상기 원통형 몸통부(240) 상에서 외주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코일(23) 상에 배치되며, 이러한 구조는 상기 코일(23) 상단부를 진동 시에 자석(25)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원통형 하부(242)는 상기 원통형 몸통부(240)보다 직경 크기가 작고, 상기 원통형 몸통부(240)에서 중심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210) 내에 삽입/압입된다. 이러한 중심 요크(24)와 중공부(210)와 코일(23) 간의 결합 구조를 보면, 상기 코일(23)은 상기 고정부(210) 외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중심 요크(24)는 원통형 하부(242)가 상기 코일(23) 내부 공간에 삽입된 채로 상기 고정부(210) 내측으로 압입되는 구조다. 또한, 상기 코일(23) 내부에 원통형 몸통부의 압입 시, 상기 코일(23) 손상에 의한 절연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추가 도포하여 상기 코일(23)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중심 요크(24)는 상기 원통형 상부(241)에서 중심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23)과 중심 요크(24) 간의 동심(또는 자석과 중심 요크 간의 동심)을 잡아주는데 기여하는 원통형 상단부(243)와 상단 폴(244)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형 케이스(22)는 상면에 상기 상단 폴(244)이 걸리는 동심용 개구(22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상단 폴(244)과, 상기 동심용 개구(220)는 상기 중심 요크(240)의 동심을 잡아주는데 기여하여, 동심 불량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원통형 상부(241)는 상기 베이스(21) 상에서 상기 자석(25)까지 대략적으로(substantially) 연장되고, 특히 상기 중심 요크(24) 원통형 상부(241)는 상기 영구자석(25) 상면과 대략적으로 동일 평면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코일(23) 내경면과 상기 원통형 몸통부(240) 외경면은 서로 면대면으로(face-to-face) 근접하게 마주보거나, 접하게 배치가능하다. 또한, 상기 자석(25) 내경면과 상기 원통형 상부(241) 외경면은 일정하게 간격져서 갭을 제공하거나, 접착제에 의해 코일 상부에 원통형 상부(241)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형 케이스(22)는 상기 베이스(21)과 함께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의 코인형 외형을 이루는 부재로서, 단순한 덮게 형상으로 구성되고, 자성 또는 비자성으로 구성가능하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형 케이스(22) 상면 중심에는 원형의 상기 동심용 개구(220)가 구비된다.
상기 자석(25)은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상면과 하면과, 외경면과 내경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석(25)은 상기 코일(23) 및 중심 요크(24)와 동축으로 상기 코일(23)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자석(25)은 하면에 하부 플레이트(30)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금속 재질의 링 형상으로, 상기 자석(25) 저면과, 상기 탄성체(27)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자석(25) 하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거나, 자성체 역할을 하는 재질로 되어서 외부 자계 누설 방지 및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는 데 기여한다. 즉,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자성체 재질로 활동하기 때문에, 상기 중심 요크(24)와 자석(25)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 회로가 코일(23)이 있는 중심쪽으로 집중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종래에 비해서, 대략적인 반경 크기가 작게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내경이 상기 자석(25) 내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외경이 상기 자석(25) 외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종래의 하부 플레이트(182)(도 1에 도시됨)와 비교하여, 외경 크기가 대폭 작아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탄성체(27) 상단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서, 진동 동작 시에 소음 발생이 최소화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 상면은 자석(25) 저면과 밀착되고, 저면은 상기 탄성체(27) 상단과 밀착되는 배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탄성체(27) 상단과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야 소음 감소에 효과적이다.
상기 진동자는 상기 자석(25) 외주 방향으로 고비중 중량체(26)를 더 구비한다. 상기 중량체(26)는 대략적으로 링 형상으로, 상부(260)와, 하부(262)와, 단차부(26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260)와, 하부(262)와, 단차부(264)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중량체(26) 구성의 설명 편의를 위해 구분한다. 상기 상부(260)는 외경면과 내경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262)는 외경면과 내경면을 구비한다. 상기 단차부(264)는 상기 상부(260) 저면과 하부(262) 내경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260)는 링형으로, 외경면은 외형 케이스(22)와 대면한다. 상기 하부(262)는 대략적으로 링 형상으로, 외경면은 상기 외형 케이스(22)와 대면하고, 내경면은 상기 자석(25) 외주면과 밀착고정된다.
상기 상부(260)와 하부(262)의 외경은 동일하지만, 상기 상부(260)의 내경보다 하부(262)의 내경이 커서, 상기 상부(260)와 하부(262) 사이에는 단차부(264)가 구비된다. 즉, 상기 단차부(264)는 상기 상부(260)의 저면과 상기 하부(262)의 내경면 사이에 위치하는데, 상기 단차부(264)에 상기 자석의 일부(외주 부분)가 밀착 고정된다. 상기 단차부(264)에 상기 자석(25)이 고정되면, 상기 자석(25)은 상단 일부가 상기 상부(260)에 의해 보호되고, 외경면은 상기 하부(262) 내경면과 밀착고정되어 감싸진다. 상기 중량체(26)와 자석(25)의 결합 구조는 휴대 단말기 낙하 시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결합구조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20)는 상부 플레이트 부품이 삭제되어서, 원가 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중량체(26)는 자석(25)을 내부공간에 완전히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의 자기회로가 중심쪽으로 집중하도록 상기 자석(25) 외경면은 비자성체 재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7)는 상기 베이스(21)와 자석(25) 사이에서 상기 코일(23) 외주를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27)는 판 스프링으로서, 상단보다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 크기가 커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탄성체(27)의 상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와 밀접 고정된 상태를 항시 유지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21)와 항시 밀착한 상태를 항시 유지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체(27)는 용접 등의 수단을 통해서 고정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는 자석(25)과 요크(24)가 제공하는 자기회로에 의해서 상기 코일(23)과 함께 상기 진동자의 진동힘을 제공하게 된다. 참조번호 'FPCB'는 상기 코일(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 회로를 지칭하고, 상기 연성 회로(FPCB)는 상기 외형 케이스(22) 외부로 인출되어, 미도시된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에서 발생하는 구성 요소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 방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 장치(20)는 다수 개의 수직충돌 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외형 케이스(22) 천정면에 제1수직 충돌 방지부(28)를 구비한다. 상기 제1수직 충돌 방지부(28)는 디스크형(중심 요크의 상단부와 상단폴이 제거된 경우에는 구성가능함. 즉 도 4에 있는 중심 요크에 적용 가능) 또는 링형으로, 러버나, 실리콘, 또는 스폰지와 같은 발포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 충돌 방지부(28)는 상기 진동자, 구체적으로 자석(25)과 외형 케이스(22) 간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양자 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직 충돌 방지부(28)는 외경(외경면)과 내경(내경면)을 구비하는데, 상기 외경이 중량체 상부(260)의 내경보다 작고, 내경이 상기 자석(25) 내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상기 제1수직 충돌 방지부(28)는 이러한 내외경의 크기를 가지게 되어서, 소음 방지에 매우 효과적인 배치이다. 즉, 상기 선형진동 발생장치(20) 동작 시, 종래에 비해서 상기 제1수직 충돌 방지부(28)가 중량체(26)와는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자석(25) 상면 외부 에지와의 충돌을 흡수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21) 상에 제2수직 충돌 방지부(29)를 구비한다. 상기 제2수직 충돌 방지부(29)는 링형으로, 러버나 실리콘 또는 스폰지와 같은 발포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 충돌 방지부(29)는 상기 탄성체(27)와 베이스(21) 간의 충격을 최소화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중심 요크(24)와, 자석(25)과, 중량체(26) 및 제1수직충돌 방지부(28) 간의 상호 간의 배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심 요크 상부(241)의 상면은 상기 중량체 상부(260)의 저면이나 자석(25)의 상면과 대략적으로 동일평면상에 놓인다. 또한, 상기 자석(25) 내경면은 중심 요크의 상부(241) 외경면과, 코일(23) 상단 외경면과 대면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직충돌 방지부(28) 상하 두께는 상기 중량체 상부(260) 두께보다 약간 더 두껍게 구성하여, 상기 자석(25)과의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3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300)에 대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선형진동 발생장치(20)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고, 그 구성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상기 차이점은 충돌 방지부의 구성이 상이하여, 이하에서는 충돌 방지부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의 설명은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300)는 중요 구성부품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충돌 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개의 충돌 방지부(310,320,330)는 중요 구성부품 간에 접촉이 발생하는 부위에 자성 유체 또는 그리스(grease)를 도포하며, 진동 시에 충돌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는 소음 감소에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중량체(26)에 제1충돌 방지부(310)가 구비된다. 상세하게 상기 중량체의 상부(260) 상면에 제1충돌 방지부(3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충돌 방지부(310)는 상기 중량체 상부(260) 상면에 다수 개의 간격진 점 도포 또는 링형으로 도포되어서, 상기 외형 케이스(22) 천정면과 중량체(26) 간의 충돌을 최소화한다. 상기 제1충돌 방지부(310)의 대략적인 반경 크기는 상기 중량체 상부(260)의 내경보다 약간 큰 곳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수직충돌 방지부 외경보다 큰 직경크기를 가지게 구성되는 것이 충돌 방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자석(25)과 중심 요크(24) 사이에는 제2충돌 방지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충돌 방지부(34)는 자성 유체 또는 그리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충돌 방지부(320)는 자석의 내경부 상단에 있는 모서리 영역과, 중심 요크(24)의 상부(241) 외경면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300) 동작 시, 상기 제2충돌 방지부(320)는 상기 원통형 상부(241)와 자석(25) 간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소음 감소에 기여한다. 상기 충격은 주로 수평 방향으로 발생하는 충돌을 의미한다. 상기 제2충돌 방지부(320)는 다수 개 간격진 점 도포 또는 링형으로 도포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충돌 방지부(320)는 자석(25)과 중심 요크의 상부(241)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량체(26) 하부(262)와, 하부 플레이트(30) 외주면 사이에 있는 자석(25)의 에지 영역(250)(자석 저면과 외주면이 만나는 최외각 외주영역)에는 제3충돌 방지부(3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3충돌 방지부(330)는 자성 유체 또는 그리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충돌 방지부(330)는 자석의 하부 에지 영역을 깜싸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300) 동작 시, 상기 제3충돌 방지부(330)는 자석(25)과 탄성(27)체 간의 충격을 최소화한다. 상기 충격은 주로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충돌을 의미한다. 상기 제3충돌 방지부(330)는 다수 개 간격진 점도포 또는 링형으로 도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4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400)에 대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선형진동 발생장치(20)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고, 그 구성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400)는 중심 요크(44)와 외경 케이스(42) 사이에 스토퍼(50)가 장착된다. 상기 중심 요크(44)는 선형진동 발생장치(20)에 구성된 중심 요크(24)와 비교하여, 상단부(243)(도 2에 도시됨)와, 상단 폴(244)(도 2에 도시됨)이 삭제된 구조이다. 즉, 상기 중심 요크(44)는 대략적으로 영문 알파벳 'T'자형으로서, 몸통부(442)와, 상부(441)와, 하부(44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442), 몸통부(441) 및 하부(443)는 일체형인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분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441)에서 직경 크기가 작게 하방으로 몸통부(442)가 연장되고, 상기 몸통부(442)에서 직경 크기가 약간 작게 하부(443)가 연장되는 구성이다. 상기 몸통부(442), 상부(441) 및 하부(443)는 각각 내외경을 가지고, 각각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441)는 상면이 평탄하다. 상기 상부(441)와 외경 케이스(42) 천정면 사이에 상기 스토퍼(50)가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원통형으로서, 동심으로 중심 요크 상부(441)와 외형 케이스(42) 천정면 사이에 장착되되, 상면이 상기 외형 케이스(42) 천정면과 밀착고정되고, 저면이 상기 중심 요크 상부(441)의 상면에 동심으로 밀착고정된다. 상기 스토퍼(50)는 하드성 재질로, 포 러버(foam rubber)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중심 요크 상부(441)와 외형 케이스(42) 사이에 타이트하게 장착되어, 외력에 의한 외형 케이스(42)의 변경이 방지되고, 휴대 단말기 낙하 등의 충격발생 시, 상기 중심 요크(44)의 이탈 현상도 방지하였고, 특히 선형진동 발생장치(400)의 동작 시, 중요 구성부품 변형에 의한 소음 감소에 기여한다.
상기 스토퍼(50)의 외경은 상기 중심 요크 상부(441)의 외경보다 동일하게 또는 작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50)는 자석(25)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50)는 제1수직충돌 방지부(28)의 내부 개구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50)는 하드 재질(hard material)의 폼 러버(foam rubber)가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스토퍼(50)는 선형진동 발생장치(400)의 동작시, 상기 중심 요크(44)를 지지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자기 누설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상기 스토퍼(50)가 상기 중심 요크(44)와 외형 케이스(42) 사이에 밀착되게 장착되어서, 상기 외형 케이스(42)와 중심 요크(44)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비자성체 재질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선형진동 발생장치(4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충돌 방지부)52,54)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52'는 자석(25)과 중심 요크 상부(441)에 구비된 제2충돌 방지부이고, 참조부호 '54'는 하부 플레이트(30;도 3에 도시됨) 외주면에 구비된 제3충돌 방지부이다. 상기 제2충돌 방지부(320)는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상기 제3충돌 방지부(330)는 필수적으로 적용된다.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6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60)에 도 2에 도시된 선형진동 발생장치(20)와 비교하여, 중복된 구성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60)는 소음 감쇄를 추구한 장치로서, 고정자에서 지지된 진동자와의 소음 감쇄를 추구한다. 상기 선형진동 발생장치(60)는 자석(65)과, 중량체(66)와, 상하 플레이트(70,72)를 포함한다. 상기 선형진동 발생장치(60)는 자석(65)을 중심으로 외주방향으로 중량체(66)가 구비되고,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70)가 구비되며, 하면에 하부 플레이트(72)가 구비된다.
상기 선형진동 발생장치(60)에 채용된 중량체(660)는 자석(65)에 구비되어 진동자로 동작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중량체(66)는 상부(660)와 하부(662)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660)와 하부(662)는 각각 링-형으로 구성되어서, 각각 내경과 외경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660)와 하부(662)의 외경은 동일하지만, 상기 상부의 내경(660)은 상기 하부(662)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660) 내경과 하부(662) 사이에는 상기 상부(660) 내경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이 존재한다. 상기 수용 공간에 상부 플레이트(70)가 장착되는데, 소음 감쇄를 위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70)는 상기 상부(660) 상하 두께보다 박형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70)는 상방으로 상기 상부(660) 상하 두께와 상부 플레이트 두께 차이만큼, 개방 공간(664)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 개방 공간(664)은 진동자의 진동 시에 고정자와의 충동을 최소화하여, 진동소음 감쇄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70)는 링-형으로서, 외경은 상기 상부(660) 내경면과 접하고, 상기 자석(65) 외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70) 내경은 상기 자석(65) 내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자석(65)과 탄성체 사이에 하부 플레이트(72)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72)는 링-형으로서, 내경과 외경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72) 외경은 상기 자석(65) 외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작고, 내경은 상기 자석(65) 내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72)는 탄성체 상단과 밀착하는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자석(65) 외경 이하(동일하거나 작게)로 구성되는 것이 소음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진동 발생장치(6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충돌 방지부(80,82)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80'는 자석(65)과 중심 요크 상부에 구비된 제2충돌 방지부이고, 참조부호 '82'는 하부 플레이트(72) 외주면에 구비된 제3충돌 방지부이다. 상기 제2충돌 방지부(80)는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상기 제3충돌 방지부(82)는 필수적으로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상에 개방 공간이 존재하여, 종래에 비해서 고정자를 구성하는 외형 케이스와의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소음 감쇄에 효과적이다.

Claims (18)

  1. 선형진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외형 케이스와, 코일과, 중심 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자석과,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내경면에 단차부를 구비하여 상기 자석이 수용된 상태로 밀착고정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외경은 상기 자석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구성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링형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단차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의 내경보다 하부의 내경이 크게 구성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외주면은 상기 하부 내경면과 밀착고정되고, 상기 자석의 상면 외곽 외주영역은 상기 상부 저면 외곽 외주영역과 밀착고정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 케이스 천정면에 상기 중심 요크와 동심으로 제1수직 충돌 방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자석 상면과 직접 대면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충돌 방지부는 러버나, 실리콘 또는 발포수지 스폰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디스크형 또는 링형으로, 외경이 상기 중량체 상부 내경/자석 외경보다 작게 구성되고, 내경이 상기 자석 내경보다 작게 구성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 제2수직 충돌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수직 충돌 방지부는 러버나, 실리콘 또는 발포수지 스폰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디스크형 또는 링형으로, 외경이 상기 자석 외경보다 크게 구성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 상부는 상면에 제1충돌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충돌 방지부는 자성유체나 구리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중심 요크의 상부 사이에는 제2충돌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충돌 방지부는 자성 유체나 구리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 하부와 하부 플레이트 외경면 사이에는 제3충돌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충돌 방지부는 상기 자석의 최외각 외주영역을 감싸는 선형진동 발생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케이스와 중심요크 사이에 동심으로 스토퍼가 밀착고정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원통형으로, 하드 재질의 폼 러버로 구성되며, 상면은 상기 외형 케이스 천정면과 밀착고정되고, 저면은 상기 중심요크 상면과 밀착고정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외경은 상기 자석 내경보다 작게 구성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수직 충돌 방지부에 삽입된 상태로 외형 케이스와 밀착고정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요크는
    상기 코일 내로 배치되는 원통형 몸통부;
    상기 몸통부 상에서 외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상기 스토퍼 저면과 밀착고정되는 원통형 상부; 및
    상기 몸통부보다 직경 크기가 작고, 상기 몸통부에서 중심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는 원통형 하부로 구성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15. 선형진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고정자; 및
    자석과,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자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외경은
    상기 자석 외경과 같거나 작게 구성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
  16. 고정자; 자석과, 상기 자석에 구비된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내외경을 가지는 상부; 및
    내외경을 가지되, 상기 상부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하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상부 내경에 둘러싸인 수용 공간에 상부 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 상기 중량체 상부 내경에 둘러싸인 개방 공간이 마련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탄성체 사이에는 하부 플레이트가 장착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 외경은 상기 자석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구성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외경은 자석 외경보다 크게 구성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KR1020120117288A 2012-10-22 2012-10-22 선형진동 발생장치 KR20140051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288A KR20140051503A (ko) 2012-10-22 2012-10-22 선형진동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288A KR20140051503A (ko) 2012-10-22 2012-10-22 선형진동 발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606A Division KR20140071996A (ko) 2014-05-19 2014-05-19 선형진동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03A true KR20140051503A (ko) 2014-05-02

Family

ID=5088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288A KR20140051503A (ko) 2012-10-22 2012-10-22 선형진동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15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58A (ko) * 2016-09-28 2018-04-06 자화전자(주) 진동 발생장치
WO2019029054A1 (zh) * 2017-08-11 2019-02-14 歌尔股份有限公司 线性振动马达
US20190103796A1 (en) * 2017-09-29 2019-04-04 Jahwa Electronics Co., Ltd.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20190112688A (ko) * 2019-09-20 2019-10-07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58A (ko) * 2016-09-28 2018-04-06 자화전자(주) 진동 발생장치
WO2019029054A1 (zh) * 2017-08-11 2019-02-14 歌尔股份有限公司 线性振动马达
US20190103796A1 (en) * 2017-09-29 2019-04-04 Jahwa Electronics Co., Ltd.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20190038068A (ko) * 2017-09-29 2019-04-08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10637340B2 (en) 2017-09-29 2020-04-28 Jahwa Electronics Co., Ltd.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20190112688A (ko) * 2019-09-20 2019-10-07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162B1 (ko) 선형진동 발생장치
KR101547572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142284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228297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055508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0995000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WO2015141648A1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20140132089A1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163612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10637340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JP7501840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KR101157396B1 (ko) 선형 진동 장치
US20130140918A1 (en) Linear vibration motor
KR20140051503A (ko) 선형진동 발생장치
KR20180010288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50053106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321000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40040897A (ko)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
JP2016101075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20110047520A (ko) 선형 진동 발생기
KR101163611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40071996A (ko) 선형진동 발생장치
KR101362392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397816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88873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