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612B1 - 선형 진동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선형 진동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612B1
KR101163612B1 KR20100121445A KR20100121445A KR101163612B1 KR 101163612 B1 KR101163612 B1 KR 101163612B1 KR 20100121445 A KR20100121445 A KR 20100121445A KR 20100121445 A KR20100121445 A KR 20100121445A KR 101163612 B1 KR101163612 B1 KR 101163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vibration generating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934A (ko
Inventor
심순구
박봉주
정경양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2010012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6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브라켓에 고정된 코일 및 제1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제2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제1,2요크와 함께 자기 회로를 제공하고, 상기 코일과 함께 진동힘을 제공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형 진동 발생장치{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어 무음의 착신장치로 사용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무음의 착신장치로 채용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진동자의 행정거리가 짧고,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기존의 편심 회전형 진동 발생장치에 비해, 시작과 정지 시에 빠른 진동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반응 및 리드믹스 기능의 추세에 부응하여 왔다.
이러한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진동자와, 진동자를 지지하는 고정자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정자에 배치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된 전자기력과 영구자석에서 발생된 자력과의 상호 동작으로 영구 자석이 상하로 이동하여 진동이 발생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선형 진동 발생장치(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선형 진동 발생장치(10)는 진동자와 고정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자는 버링부(141)를 구비한 요크(14)와, 영구자석(15) 및 중량체(16)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외형 케이스(12)와, 브라켓(11)과, 코일(13)을 포함한다.
상기 영구자석(15)은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링부(141)는 요크(14)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영구자석(15) 외주면에는 중량체(16)가 구비된다. 상기 영구자석(15)은 상기 코일(13)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상기 요크(14)와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진동자와 상기 브라켓(11) 사이에는 탄성체(18)가 구비되어 상기 진동자의 동작 시에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참조부호 17은 플레이트를 지칭한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는 낙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서, 낙하 시에 가해진 충격은 선형 진동 발생장치에 전달되어서, 결국은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동작 및 비동작 시에 상관없이 코일이 단선되는 현상이 자주 일어난다.
즉, 휴대 단말기 낙하 시,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진동자의 상/하 운동 이외에 진동자가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자의 이동은 코일과 충돌하게 되어서 코일이 단선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요크의 구조를 자계 형성에 유리하게 고정자쪽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코일 단선 문제를 해결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선형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크를 고정자에 고정하게 구성되어서, 자계 형성에 유리한 구조이고, 잔진동이 감소하고, 응답 특성이 개선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에 폴이 구비되어서, 요크의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 향상에 기여한 선형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에 요크가 단순 끼움식으로 고정되어서 조립성 향상에 기여한 선형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브라켓에 고정된 코일 및 제1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제2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제1,2요크와 함께 자기 회로를 제공하고, 상기 코일과 함께 진동힘을 제공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코일과, 상기 코일에 끼워져서 상기 코일에 고정되는 제1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제2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제1,2요크와 함께 자기 회로를 제공하고, 상기 코일과 함께 진동힘을 제공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코일을 보호하여 코일 단선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요크가 브라켓 또는 코일과 같은 고정자에 고정되어서 자계 특성이 향상되고, 응답 특성이 개선되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요크 조립의 관점에서 조립성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1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선형 진동 발생 장치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20)는 셀룰러 폰이나 스마트 폰 등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 채용되어 무음의 착신 장치로 사용되는 소형이고, 슬림한 진동 모터로서, 코인형으로 외관이 이루어진다. 상기 코인형 외관은 후술하는 브라켓과 외형 케이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는 진동자와,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고정자 및 탄성체(26)로 구성되고, 특히 상기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26)가 상기 진동자의 전체 중량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자는 영구자석(M)과 제2요크(25)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외형 케이스(22)와, 브라켓(21)과, 코일(C) 및 제1요크(2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와 진동자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진동자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고정자에 대해서 진동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제1요크(24)는 금속 재질로서, 상기 브라켓(21) 상에 고정되어서 상기 영구자석(M)과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원통형으로 내부가 충만한게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21) 상에서 수직 상방으로 향하는 진동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제1요크(24)는 상기 코일(C) 내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영구자석(M)을 관통하게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21) 상에 고정된다. 상기 코일(C) 외경면과 상기 제1요크(24) 내경면은 서로 면-대-면으로 마주보거나, 접하게 배치가능하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M) 내경면과 상기 제1요크(24) 외경면은 일정하게 간견져 갭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는 영구자석(M) 상면에 제2요크(25)를 구비한다. 상기 제1요크(24)가 고정성인데 비하여, 상기 제2요크(25)는 이동성으로서, 상기 진동자와 함께 진동힘을 제공받아서 진동축을 중심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요크(25)는 자기 회로를 제공하고, 후술하는 중량체 역할도 일부 할 수 있다.
상기 제2요크(25)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면과, 하면과, 내경면(25b)과, 외경면(25a)을 구비한다. 상기 제2요크(25)는 상기 영구자석(M) 상면에 저면이 부착되는 방식으로 평행하게 자성에 의해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요크(25)는 금속 재질이라서, 상기 영구자석(M)과의 자력으로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 때, 상기 제1요크(24)는 상기 제2요크(25)까지 연장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요크(24) 상면과 상기 제2요크(25) 상면은 동일 평면 또는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요크(25)의 외경은 상기 영구자석(M) 외경보다 같거나 크고, 상기 제2요크(25)의 내경은 상기 영구자석(M) 외경보다 같거나 작게 구성된다. 또한, 또한, 상기 제2요크(25)의 외경은 상기 영구자석(M) 외경보다 같거나 크고, 상기 제2요크(25)의 내경은 상기 영구자석(M) 외경과 같거나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요크(25)의 내경면과 상기 제1요크(24)의 외경면 상단 사이에는 일정한 갭이 존재하고 대면한다. 아울러, 상기 제2요크(25)의 내경면(25b) 영역이 상기 영구자석(M) 내경면에서 진동축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자기회로 형성에 유리하다.
상기 외형 케이스(22)는 상기 브라켓(21)과 함께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의 코인형 외형을 이루는 부재로서, 단순한 덮게 형상으로 구성되고, 자성 또는 비자성으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브라켓(21)은 상기 외형 케이스(22)의 바닥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진동자의 진동 시에 상기 탄성체(26)와 함께 진동자 전체 중량을 지지한다. 상기 코일(C)은 상기 브라켓(21) 상에 상기 영구자석(M)과 함께 배치되어서 상기 제1,2요크(24,25)와 영구자석(M)이 제공하는 자기회로에 기인하여 진동힘을 제공한다.
상기 영구자석(M)은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상면과 하면과, 외경면과 내경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M)은 상기 코일(C) 및 제1요크(24)와 동축으로 상기 코일(C)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영구자석(M) 외주면에 고비중 중량체(W)를 더 구비한다. 상기 중량체(W)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면과, 하면과, 내경면과, 외경면을 구비한다. 상기 중량체(W)는 상기 영구자석(M) 및 제2요크(25)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특히, 상기 중량체(W) 내경면은 상기 영구자석(M) 외경면과 면접촉하게 배치된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20)의 자기회로가 중심쪽으로 집중하도록 상기 영구 자석(M) 외경면은 비자성체 재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체(W)의 내경은 상기 제2요크(25)의 외경과 같거나 작고, 상기 제2요크(25)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26)는 상기 브라켓(21)과 상기 영구자석(M) 사이에서 상기 코일(C) 외주를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26)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상단보다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 크기가 커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탄성체(26)의 상단은 후술하는 플레이트(27)와 밀접한 상태를 항시 유지하고, 하단은 상기 브라켓(21)과 항시 밀착한 상태를 항시 유지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M)과 브라켓(21) 사이에는 플레이트(27)가 더 구비된다. 상기 플레이트(27)는 상기 영구자석(M)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체(26)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플레이트(26)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거나, 자성체 역할을 하는 재질로 되어서 외부 자계 누설 방지 및 자기 폐회로를 구성한다. 즉, 상기 플레이트(27)는 자성체 재질로 활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1요크(24)와 영구자석(M)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 회로가 코일(C)이 있는 중심쪽으로 집중되도록 한다. 상기 플레이트(27)는 내경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외경부는 상기 영구자석(M)의 외경보다 같거나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7)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영구자석(M) 저면에 동축으로 밀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20)와 비교하여 제2요크(31)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제2요크(31)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30)의 제2요크(31)는 링 형상으로, 상면, 저면, 외경면, 내경면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제2요크(31)의 내경은 상기 영구자석 내경보다 같거나 작게 구성된다. 도 3에는 상기 제2요크(25)의 내경이 상기 영구자석(M) 내경과 같은 상태가 도시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40)는 도 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와 비교하여 제1요크(41)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제1요크(41)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40)의 제1요크(41)는 중공형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요크는 상단(41a)이 개방되고, 하단(41b)이 개방되며,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30)와 비교하여 제1요크(51)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제1요크(51)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50)의 제1요크(51)는 외관이 원통형이나, 상기 제1요크는 상단(51a)이 폐쇄되고, 하단(51b)이 개방되며, 내부는 빈 공간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되어 설명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20)와 비교하여,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60)는 도 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30)와 비교하여 제1요크(61)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제1요크(61)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60)의 제1요크(61)는 상단(61a)이 폐쇄되고, 하단(61b)이 개방되고, 내부 상부는 충만하고, 내부 하부는 빈 공간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7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7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되어 설명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30)와 비교하여,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70)는 도 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와 비교하여 제1요크(71)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제1요크(71)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70)의 제1요크(71)는 상단(71a)이 개방되고, 하단(71b)이 폐쇄되며,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8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8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되어 설명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30)와 비교하여,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80)는 도 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와 비교하여 제1요크(81)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제1요크(81)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80)의 제1요크(81)는 상단(81a)이 개방되고, 하단(81b)이 폐쇄되며, 내부 상부는 빈 공간이 존재하고, 내부 하부는 충만하게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9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9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되어 설명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30)와 비교하여,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90)는 도 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와 비교하여 탄성체(96)의 장착 위치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탄성체(96)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90)의 탄성체(96)는 진동자와 외형 케이스(9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96)는 제2요크(95)와 외경 케이스(9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96)는 영구자석을 중심으로 상방쪽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96)의 상단은 상기 외형 케이스(92) 천정면과 항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탄성체(96)의 하단은 상기 진동자,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자를 구성하는 제2요크(95)의 상면과 항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탄성체(96)의 상단이 하단보다 직경 크게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되어 설명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30)와 비교하여,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와 비교하여 제1요크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제1요크(104)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100)의 제1요크(104)는 내부가 충만한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진동축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요크(104)는 상기 브라켓(101)과 외형 케이스(102)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요크(104)의 하부는 코일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1요크(104)의 상부는 영구자석을 관통하고, 이어서 상기 제2요크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형 케이스(102) 천정면까지 연장되고, 상단이 상기 외형 케이스(102) 천정면에 고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11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110)는 도 6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60)와 비교하여 브라켓(113)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113)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110)의 브라켓(113)은 상기 제1요크(111)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부(115)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15)는 상기 브라켓(113) 중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 폴로 구성된다. 양자 간의 결합구조를 보면. 상기 원통형 폴에 상기 제1요크(111)가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조립성 향상(요크와 브라켓의 조립 시에 위치를 잡아주는 준다)에 기여하고, 상기 제1요크(111) 장착 상태를 견고히 한다. 상기 원통형 폴과 제1요크(111) 간의 결합 위치는 상기 탄성체와 코일 내부에 위치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1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12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120)는 도 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30)와 비교하여 제1요크(121)의 장착 구성만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들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제1요크(121)의 장착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크(121)는 부착형 요크로서, 브라켓에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코일(C)에 단순 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요크(121)는 상기 코일 내로 끼워서 상기 코일(C)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121)는 상기 코일(C)에 강제적으로 끼워지면, 상기 제1요크(121)의 외경면은 상기 코일(C) 내경면과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2의 요크(21)과, 도 3의 요크(31)과, 도 4의 요크(41)과, 도 5의 요크(51)과, 도 6의 요크(61)과, 도 7의 요크(71)과, 도 8의 요크(81)과, 도 9의 요크(91)과, 도 10의 요크(101)는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코일(C)에 단순 끼움 방식으로 코일(C)에 고정되게 구성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선형 진동 발생장치(13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130)는 도 3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30)와 비교하여 제1요크(131)와 브라켓(133)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133)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130)의 제1요크(131)는 하단에 결합 돌기(13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돌기(135)는 원통형으로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133)은 상기 제1요크(131)의 결합 돌기(135)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부(134)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34)는 상기 브라켓(133) 중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중공형 폴로 구성된다. 양자 간의 결합구조를 보면. 상기 중공형 폴에 상기 제1요크(131) 결합 돌기(135)가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양자 간의 결합 위치는 상기 탄성체(137) 내부 위치하고, 또한, 코일(C) 내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조립성 향상(요크와 브라켓의 조립 시에 위치를 잡아주는 준다)에 기여하고, 상기 제1요크(131) 장착 상태를 견고히 한다.

Claims (3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선형 진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브라켓에 고정된 코일 및 제1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제2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제1,2요크와 함께 자기 회로를 제공하고, 상기 코일과 함께 진동힘을 제공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크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영구자석 상면에 평행하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는 상기 제2요크까지 연장되어서, 상기 제1요크 상면은 상기 제2요크 상면과 동일 평면 또는 하방으로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는 상기 제2요크 중심을 관통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크의 외경은 상기 영구자석 외경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요크의 내경은 상기 영구자석 외경과 같거나 작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크의 외경은 상기 영구자석 외경보다 같거나 크고, 상기 제2요크의 내경은 상기 영구자석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서, 상기 제2요크의 내경면은 상기 제1요크의 외경면 상단과 대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서 상기 코일 외주를 감싸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상단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영구자석 저면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를 수용하는 외형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외형 케이스와 상기 진동자 사이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외경면에 중량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량체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량체의 내경은 상기 제2요크의 외경보다 같거나 작고, 상기 제2요크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는 내부가 충만한 원통형으로 상기 제2요크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외형 케이스에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23. 선형 진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코일과, 상기 코일에 끼워져서 상기 코일에 고정되는 제1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제2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제1,2요크와 함께 자기 회로를 제공하고, 상기 코일과 함께 진동힘을 제공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요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 중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 폴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 하단은 상기 원통형 폴에 삽입되어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 중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중공형 폴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는 하단에 결합 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중공형 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중공형 폴 간의 결합 위치는 상기 탄성체와 코일 내부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00121445A 2010-12-01 2010-12-01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163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1445A KR101163612B1 (ko) 2010-12-01 2010-12-01 선형 진동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1445A KR101163612B1 (ko) 2010-12-01 2010-12-01 선형 진동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934A KR20120059934A (ko) 2012-06-11
KR101163612B1 true KR101163612B1 (ko) 2012-07-09

Family

ID=4661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1445A KR101163612B1 (ko) 2010-12-01 2010-12-01 선형 진동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6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889A (ko) 2019-06-14 2020-12-23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US10892674B2 (en) 2017-10-25 2021-01-12 Mplus Co., Ltd. Linear vibration generator including plate type spring having bent por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290B1 (ko) * 2016-04-08 2017-09-26 니 시찌엔 선형 진동자
KR101855335B1 (ko) * 2016-07-01 2018-05-08 주식회사 예일전자 차체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
KR102034761B1 (ko) * 2016-07-15 2019-10-22 주식회사 엠플러스 선형 진동 발생장치.
CN106329870A (zh) * 2016-09-30 2017-01-11 歌尔股份有限公司 线性振动马达
KR101943569B1 (ko) * 2017-08-25 2019-01-30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음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2026401B1 (ko) * 2017-09-29 2019-09-27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2037777B1 (ko) * 2017-11-21 2019-11-29 (주)파트론 진동 모터
KR102167407B1 (ko) 2018-02-28 2020-10-19 주식회사 이엠텍 와이드 밴드 선형 진동 모터
KR102306513B1 (ko) 2018-03-05 2021-09-30 주식회사 이엠텍 와이드 밴드 선형 진동 모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7161A (ja) 2004-06-29 2006-01-12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7161A (ja) 2004-06-29 2006-01-12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2674B2 (en) 2017-10-25 2021-01-12 Mplus Co., Ltd. Linear vibration generator including plate type spring having bent portion
KR20200142889A (ko) 2019-06-14 2020-12-23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934A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612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142284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9800126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9219401B2 (en)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50123498A1 (en) Linear vibra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8941272B2 (en) Linear vib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54867B1 (ko) 리니어진동장치
KR101250288B1 (ko) 햅틱 엑추에이터
US8937411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101228294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060813B1 (ko) 선형 진동자
US8536745B2 (en) Linear vibrator
KR100995000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278418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506556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133422B1 (ko) 선형 진동자
KR101115253B1 (ko) 선형 진동 발생기
KR20120090925A (ko) 선형진동모터
KR100994999B1 (ko)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KR20190038068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163611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321000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198077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266793B1 (ko) 햅틱 엑추에이터
KR101130131B1 (ko) 선형 진동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