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092A -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092A
KR20140051092A KR1020130125349A KR20130125349A KR20140051092A KR 20140051092 A KR20140051092 A KR 20140051092A KR 1020130125349 A KR1020130125349 A KR 1020130125349A KR 20130125349 A KR20130125349 A KR 20130125349A KR 20140051092 A KR20140051092 A KR 20140051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service
multimedia
terminal
service
cont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최도연
박인영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4005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콘텐츠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S DURING CALL SERVICES}
본 발명은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통신 단말에서 음원 제공, 다운로드, 아티스트 정보 제공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퍼스널컴퓨터 및 스마트 TV 등과 같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통신 단말기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각종 통신 서비스가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통신 단말기는 기존의 2세대(2G)나 3세대(3G)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대신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랜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음성 통화 중 채팅 또는 음성 채팅, 문자 채팅, 메시징 서비스, 영상 통화, 영상 채팅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사용자가 별도의 요금을 부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에 기반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른바 mVoIP(Mobile Voice over IP)서비스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IP에 기반하여 음성 통화,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 전송, 영상 통화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함께 음악이나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0753(2009.08.26.공개)를 참조하면,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공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을 저장해두었다가 재생하면서 통화중인 상대방과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을 공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을 공유하는 것 이외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에 대하여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0753(2009.08.26.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 단말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신호를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통화 서비스 이벤트에 상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통신망과는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제공, 다운로드, 동영상 제공, 아티스트 정보 제공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콘텐츠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경로 관리부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대방 단말인 제2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1 단말에 저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와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는, 음악 서비스 메뉴, 아티스트 정보 메뉴, 팬클럽 정보 메뉴 및 오디션 정보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음악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 경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서버로부터 음원 정보 리스트를 제공받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다운로드하거나 플레이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티스트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콘텐츠 서버로부터 아티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팬클럽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콘텐츠 서버로부터 팬클럽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팬클럽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오디션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녹음하고 이를 콘텐츠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콘텐츠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단말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신호를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통화 서비스 이벤트에 상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통신망과는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통신 단말로 음원 제공, 음원 다운로드, 동영상 제공, 아티스트 정보 제공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과 콘텐츠 서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콘텐츠 서버(1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기본 화면 구성의 실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가 콘텐츠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1 단말에 저장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3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음악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아티스트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팬클럽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오디션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한 경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500,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과 콘텐츠 서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 도 3 참조, 이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라 한다)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에 포함된다. 통신 단말(200,300)은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며,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버(10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도 1의 통신망은 공중 전화망(PSTN),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종래의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실제 통신망은 교환기 및 HLR 등의 통신망의 자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망을 통해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은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도 1에서 네트워크(network)라 함은, 공지의 유/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망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데이터 송수신만을 수행하는 데이터 패킷망을 의미한다.
통신 단말인 제1 단말 및 제2 단말(200,300)은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공지의 수단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의 통신 단말(200,300)은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인터넷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이른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200,300)은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200,300)은 그 내부에 단말의 전체적인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 시스템(operation system, OS)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단말(200,30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은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통화 연결 전, 통화 연결 중 또는 통화 종료 후 등과 같은 통화 서비스 이벤트 발생시 해당 통화 서비스 이벤트에 상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콘텐츠 서버(100)를 통해 통신 단말(200,300)과 콘텐츠 서버(100)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라 함은, 예컨대 제1 단말(200)이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통화 연결을 요청받는 착신 단말인 경우, 제1 단말(200)에서의 통화 서비스 이벤트는 제1 단말(200)에서 제2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상태인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 및 제2 단말(300)과 통화 연결 중인 상태인 통화 연결 중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 이벤트는 통신 단말(200,300)에 탑재되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에 포함되는 이벤트 검출부에서 검출될 수 있다.
콘텐츠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단말(200,300)과 연결되며, 통신 단말(200,300)과 콘텐츠 서버(100) 사이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고, 통신 단말(200,300)과 콘텐츠 서버(100) 사이에 형성된 데이터 경로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콘텐츠 서버(1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서버(100)는 경로 관리부(110) 및 데이터 전송부(120)를 포함한다.
경로 관리부(110)는 통신 단말(200,300)과 콘텐츠 서버(100) 사이에서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신 단말(200,300)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경로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200,300)과 콘텐츠 서버(100) 간의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형성된 데이터 경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수행되는 경로(path)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데이터 전송부(120)는 통신 단말(200,300)과 콘텐츠 서버(100) 사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데이터 경로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신 단말(200,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로 관리부(110)에 의해 통신 단말(200,300)과 콘텐츠 서버(100) 사이에서 데이터 경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는데, 콘텐츠 서버(100)의 데이터 전송부(12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수행될 때 콘텐츠 서버(100)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필요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인 경우 콘텐츠 서버(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의 전송이 필요한 통신 단말(200,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데, 예컨대 통신 단말(200,300)의 운영 시스템(OS)의 일부로서 포함되거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의 형태로 설치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200,300) 내부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통신 단말(200, 300)에 공통으로 구비되거나 어느 하나의 단말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통신 단말(200,300)의 구성으로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만을 나타내었으며 통신 단말(200,300)의 기타 일반적인 구성은 생략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520)를 포함한다.
우선,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는, 콘텐츠 서버(100)와의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신 단말(200,3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콘텐츠 서버(100)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콘텐츠 서버(100)와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대방 단말인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단말(200,300) 자신의 식별자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식별자는 예컨대 전화 번호 또는 ID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는 콘텐츠 서버(100)에서 수신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들에 의해 콘텐츠 서버(100)와 데이터 경로를 형성해야 할 단말들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520)는 통신 단말(200,3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 중 제1 단말(200)의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콘텐츠 서버(100)와 함께 수행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 위에 예컨대 겹치도록(overlay)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일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실제 예로서, 제1 단말(200)이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착신 단말인 경우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로 전화를 연결하는 중인 경우 제1 단말(2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 전 또는 통화 중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이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는 부호 1 ~ 6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부호 1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예를 들어 티저(Teaser) 또는 신규 앨범의 영상 등을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 발생시 콘텐츠 서버(100)와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이를 통해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티저 또는 신규 앨범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재생하게 된다.
부호 2는 메뉴 숨기기 펼치기 버튼으로서 이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에서 사라지도록 하거나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부호 3은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1 단말(200)에 저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catch)이다.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수신되는 영상 또는 이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되어 단말에 저장될 수 있다.
부호 4는 부호 1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다른 단말 즉,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gift)로서, 사용자가 이를 선택한 경우 콘텐츠 서버(100)는 해당 콘텐츠에 상응하는 영상이나 음원을 해당 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을 수행한다.
부호 5는 멤버쉽(Membership)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이를 통해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다양한 멤버쉽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부호 6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로서 음악 서비스 메뉴, 아티스트 정보 메뉴, 팬클럽 정보 메뉴 및 오디션 정보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의 (b)는 통화 전 또는 통화 중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스피커 폰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스피커 폰 활성화 인터페이스가 통신 단말 디스플레이부의 최상층에 위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c)는 스피커 폰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피커 폰을 활성화시킨 경우 스피커 폰 활성화 인터페이스가 닫힌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가 콘텐츠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5의 (a)는 통화 전 또는 통화 중 상기 도 4의 부호 1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해당 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부호 1의 인터페이스에서 동영상이 선택되어 통신 단말(200,300)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예를 들어 티저(Teaser) 또는 신규 앨범의 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1 단말에 저장하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1 단말에 저장하는 경우 MP3 등으로 구현된 음원이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1 단말에 직접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단말에 직접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것이 아니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플레이 리스트에 추가하는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나, 도 6은 MP3로 구현된 음원을 다운로드 받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도 4의 부호 1의 인터페이스에서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1 단말에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도 4의 부호 3을 선택하면, MP3로 구현된 음원을 제1 단말로 직접 다운로드 받을 것인지 플레이 리스트에 추가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MP3 다운로드를 선택하면(도 6의 (b)), MP3 미리 듣기 및 저장하기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저장하기를 선택하면(도 6의 (c)),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팝업창)가 제공되고((도 6의 (d)), 사용자가 결제를 완료하면 MP3 파일이 제1 단말로 다운로드되어 저장된다(도 6의 (e)).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3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3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MP3로 구현된 음원이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나, 도 7은 MP3로 구현된 음원을 제3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7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도 4의 부호 1의 인터페이스에서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3 단말로 전송하기 위하여 도 4의 부호 4를 선택하면, 제3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MP3 파일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제3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MP3 파일을 선택하면(도 7의 (b)), MP3 미리 듣기 및 선물하기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선물하기를 선택하면(도 7의 (c))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팝업창)가 제공되고((도 7의 (d)), 사용자가 결제를 완료하면 MP3 파일이 제3 단말로 전송된다(도 7의 (e)). 이때 MP3 파일이 전송되는 제3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부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MP3 파일이 전송될 때 메시지를 함께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통화 연결 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며, 도 8에서 제1 단말(200)은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은 제1 단말(200)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받는 착신 단말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제1 단말(200)에서 제2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게 되면, 제1 단말(200)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고, 제1 단말(200)의 이벤트 검출부(미도시)에서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검출하고(S100),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의하여 통화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하고 통화 연결 요청 신호는 통신망의 교환기 등의 자원을 통해 제2 단말(300)로 전달된다(S110).
제1 단말(200)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단말(200)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콘텐츠 서버(100)로 전송한다(S120). 이 때, 도면에는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제1 단말(200)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서비스 상태 신호를 콘텐츠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 이벤트의 상대방 단말의 식별자, 예컨대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100)는 상대방 단말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콘텐츠 서버(100)와 데이터 경로를 형성할 상대방 단말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대방 단말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자신의 식별자, 예컨대 전화 번호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텐츠 서버(100)가 경로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단말(200)과 콘텐츠 서버(1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경로를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한다(S1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의 네트워크는 통신망과는 별도의 데이터 패킷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520)에 의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S140). 이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 중 서비스를 선택하면(S150), 제1 단말(200)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520)는 제1 단말(200)과 콘텐츠 서버(100) 사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한다(S160).
한편, 도 8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단말(300)에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이벤트로서 검출하고 콘텐츠 서버(100)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콘텐츠 서버(100)와 데이터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 사이에 콘텐츠 서버(100)를 통해 데이터 경로가 형성되므로 이를 통해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이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음악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9의 (a)는 통화 전 또는 통화 중 도 4의 부호 6의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에서 음악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b)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 스트리밍 서비스 가입부 및 플레이리스트(PlayList)에 곡을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화면이고, 도 9의 (c)는 앨범별 보기의 예시 화면이며, 도 9의 (d)는 음악 재생이 가능한 플레이어의 모습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전 또는 통화 중에 음악을 듣는 것이 가능하고, 통화 중에는 함께 듣기도 가능하며, 음악을 듣지 않고 음원 정보의 검색 및 플레이리스트의 정리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아티스트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10의 (a)는 통화 전 또는 통화 중 도 4의 부호 6의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에서 아티스트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b)는 선택 가능한 아트스트가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화면이고, 도 10의 (c)는 아트스트를 선택한 화면이며, 도 10의 (d)는 선택된 아트스트의 상세 정보가 제공된 모습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팬클럽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11의 (a)는 통화 전 또는 통화 중 도 4의 부호 6의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에서 팬클럽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의 (b)는 팬클럽 추가 및 원하는 아티스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화면이고, 도 11의 (c)는 팬클럽 선택시 표시되는 메뉴가 표시된 모습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오디션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12의 (a)는 통화 전 또는 통화 중 도 4의 부호 6의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에서 오디션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2의 (b)는 오디션 투표 참여가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화면이고, 도 12의 (c)는 오디션과 관련된 UCC가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모습이며, 도 12의 (d) 역시 오디션과 관련된 UCC가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모습이다.
도 9 내지 도 12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제1 단말(2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콘텐츠 서버(100)와 자동으로 접속하여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1 단말(200)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통해 제공되는 메뉴로부터 선택한 메뉴에 상응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콘텐츠 서버(100)와 연동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200,300)을 실제 구현하는 방식에 대해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운영 시스템에 통합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사후적으로 통신 단말(200,300)에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의 형태로 설치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와 같은 운영 시스템은 단말기 제조사나 응용 프로그램 제조업체가 운영체제(OS)로부터 통화 서비스 이벤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하다. 예컨대, 안드로이드 운영 시스템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단말(200,300)의 운영 시스템의 이벤트 검출부에서 이를 검출한 후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구성을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한 경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200,300)은 운영 시스템(OS) 내에 이벤트 전송부(51)와 응용프로그램 관리부(52)를 구비한다. 도 13의 구성은 안드로이드 운영 시스템을 실제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다른 운영 시스템에서도 용어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인 원리는 유사하다.
이벤트 전송부(51)는 통신 단말(200,300)의 하드웨어 또는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벤트를 전송할 응용 프로그램을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응용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은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에 등록된다.
도 14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의 종류(521) 및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5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14에서는 이벤트의 종류로서 "통화 연결 요청", "통화 종료" 이벤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는 전화를 발신하기 위한 이벤트로서 키패드에서의 전화 번호 입력, 주소록에서 연락처의 선택, 응용 프로그램에서 전화 발신 요청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검출부(미도시)가 이를 검출하여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리게 되고, 이벤트 전송부(51)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 목록(522)에서 확인하여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4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목록은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의 2가지가 등록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이 등록되어 있음을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리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로 "통화 연결 요청"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이벤트 전송부(51)는 이벤트를 응용 프로그램 #1, #2로 전송할 때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전부에 대해 동시에 이벤트를 알릴 수도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우선 이벤트를 알리고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완료되거나 실행이 중지된 경우 다음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벤트를 알리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 내부에 어떠한 방식으로 이벤트를 알릴 것인가를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응용 프로그램 #1으로 먼저 이벤트를 알리도록 하고 응용 프로그램 #1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 응용 프로그램 #2로 이벤트를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 전송부(51)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먼저 알려주게 된다.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로부터 해당 이벤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로서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수신하면 응용 프로그램 #1으로 이벤트를 전송하게 되고 응용 프로그램 #1은 이벤트의 수신에 따라 운영 시스템으로 로드되어 실행되게 된다.
한편,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응용 프로그램 #1과 응용 프로그램 #2로 동시에 이벤트를 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 전송부(51)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응용 프로그램 #1 및 응용 프로그램 #2의 정보를 모두 알려주게 된다.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 및 #2의 정보를 수신하고 응용 프로그램 #1 및 #2로 동시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응용 프로그램 #1 및 #2가 병행하여 함께 실행되게 된다.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원리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520)를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화 연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통신 단말(200,300)에서의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예컨대 콜 매니저(call manager)라고 하면, 일반적인 경우에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러한 콜 매니저만이 도 13 및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서 응용 프로그램 #1으로 등록되어 실행되어 통화 연결 과정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520)를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통신 단말(200,300)에 설치하면서 도 14의 응용 프로그램 목록(522)에서 응용 프로그램 #2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순서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설정해 둔다.
즉,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 #2로 등록되도록 하고 응용 프로그램 #1과 동시에 실행되도록 설정하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 #1과 응용 프로그램 #2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이벤트 중의 하나로서 통화 요청 신호(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로 통화 요청 신호가 검출되었다는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정보를 요청하고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1(기존 콜 매니저)과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가 구현된 응용 프로그램 #2의 정보를 동시에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려주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콜 매니저)과 응용 프로그램 #2(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동시에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520)를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 #2로서 실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200,300)에서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500)가 실행되어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며, 운영 시스템의 종류나 운영 시스템의 내부 구성에 따라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200,30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아니면서 유선 전화 단말기이거나 m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는 유선 단말인 경우에도 단말 내부의 운영 시스템에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0...콘텐츠 서버
200...제1 단말
300...제2 단말

Claims (11)

  1.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콘텐츠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경로 관리부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대방 단말인 제2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부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1 단말에 저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와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는, 음악 서비스 메뉴, 아티스트 정보 메뉴, 팬클럽 정보 메뉴 및 오디션 정보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음악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 경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서버로부터 음원 정보 리스트를 제공받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다운로드하거나 플레이리스트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아티스트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콘텐츠 서버로부터 아티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팬클럽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콘텐츠 서버로부터 팬클럽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팬클럽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오디션 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녹음하고 이를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11.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콘텐츠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30125349A 2012-10-19 2013-10-21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51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337 2012-10-19
KR20120116337 2012-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92A true KR20140051092A (ko) 2014-04-30

Family

ID=5065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349A KR20140051092A (ko) 2012-10-19 2013-10-21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10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1345B2 (en) Media out interface
US8442521B2 (en) Carrier configuration at activation
JP6101861B2 (ja) グループ作成方法、グループ脱退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929887B2 (en) Shared book reading
TWI458326B (zh) 媒體/語音繫結協定及相關的使用者介面
CN106126685B (zh) 页面加载方法及装置
JP5032576B2 (ja) 携帯通信デバイス上で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再生している間に実行されるユーザー主導の通信(user−initatedcommunicationsduringmultimediacontentplaybackonmobilecommunicationsdevice)
JP2017512352A (ja) デバイスバインディング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3411793A (zh) 一种蓝牙通信的方法及终端
EP4336331A1 (en) Application continu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494123B2 (en) On-hold visual menu from a user's communications device
TW201328309A (zh) 受信呼叫管理方法與系統與資料存取方法
CN108833585A (zh) 信息交互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08130856A1 (en) Device-to-device sharing of digital media assets
CN104158854B (zh) 资源共享方法及装置
CN105763601A (zh) 文件分享方法及装置
CN110945467B (zh) 一种免打扰方法和终端
CN108965413A (zh) 信息交互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5141880A (zh) 呼叫应答方法及装置
JP6184589B2 (ja) 携帯端末のボイストーク制御方法
CN10988536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475323B1 (ko)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실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039054B (zh) 录音方法及装置
CN105956489B (zh) 远程控制方法及装置
KR20140051092A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