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840A -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840A
KR20140050840A KR1020120117146A KR20120117146A KR20140050840A KR 20140050840 A KR20140050840 A KR 20140050840A KR 1020120117146 A KR1020120117146 A KR 1020120117146A KR 20120117146 A KR20120117146 A KR 20120117146A KR 20140050840 A KR20140050840 A KR 20140050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lay
signal
value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034B1 (ko
Inventor
최수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to KR1020120117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034B1/ko
Priority to US14/054,462 priority patent/US20140111530A1/en
Priority to CN201310563609.5A priority patent/CN103777914A/zh
Publication of KR20140050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09G2360/121Frame memory handling using a cach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는, 지연 시간 값을 저장하여 신호 입력 제어부에 제공하는 지연 설정부와; 신호 입력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저장부와;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 측으로의 영상신호 입력을 제어하되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였다가 상기 지연 시간 값만큼 지연시켜서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하는 신호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완충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시간 차이를 상쇄하므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표시 시간차이에 기인한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uffering Signal Delay between Display Device in Multi-Display Environment}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완충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표시 시간차이에 기인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시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2인치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방형으로 여러 개 조합하여 표시화면을 구성한 대형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영상의 확대 및 축소, 데이지 체인(daisy-chain)을 통한 영상 전송, 영상의 스케일링(scaling)에 의해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출력 시간이 달라진다. 이 경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은 한 화면처럼 동작하지만, 실제로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기 다른 타이밍에 영상이 표시된다.
이러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표시 시간 차이에 의해 여러 문제점을 유발한다. 정지 영상에서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경계면에 걸친 세로 스크롤 바 영상(15)의 윤곽이 완만하고 자연스럽지만, 동영상에 있어서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간 경계면을 따라 영상이 움직이는 경우 경계면에 걸친 영상의 윤곽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못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표시 시간 차이만큼 세로 스크롤바 영상(25)의 윤곽이 틀어져서 표출된다. 이러한 현상은 영상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 더욱 심하게 표출되므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표시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시간 차이에 의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시선이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27)에 고정되어 있다가 인접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28)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화면을 통한 빛(light) 출력 주기가 일치하지 않아 경계면(30)에서 순간적으로 밝게 보이거나 어둡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유발하므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표시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진기나 방송카메라와 같은 영상 촬영장치로 해당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시간 차이에 의해 해당 촬영 영상이 고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완충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표시 시간차이에 기인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완충하기 위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로서, 지연 시간 값을 저장하여 신호 입력 제어부에 제공하는 지연 설정부와; 신호 입력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저장부와;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 측으로의 영상신호 입력을 제어하되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였다가 상기 지연 시간 값만큼 지연시켜서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하는 신호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저장부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에 의하면, 상기 지연 설정부는 전체 멀티 디스플레이의 구성정보(MxN)와 해당 소속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지연 값을 함께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지연 시간 값을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에 의하면, 상기 신호 입력 제어부는 이미지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전체 멀티 디스플레이의 구성정보(MxN)와, 소속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에 의거하여 지연 설정부로부터 대응되는 지연 시간 값을 읽어들여 해당 시간 지연 값만큼 영상신호를 지연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에 의하면, 상기 지연 시간 값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원본영상의 수직동기신호와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간에 발생하는 시간차를 측정한 후 가장 큰 시간차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시간차 값과 대비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지는 시간차값의 차이 만큼으로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에 의하면, 상기 지연 시간 값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원본영상의 수직동기신호와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간에 발생하는 시간차를 측정한 후 상기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 간격에서 상기 측정값을 차감한 값으로 설정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에 의하면, 상기 지연 시간 값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와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시간 차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면 이를 산출하여 가장 큰 시간차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시간차 값과 대비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지는 시간차값의 차이 만큼으로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에 의하면, 상기 지연 시간 값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와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시간 차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면 이를 산출하여 상기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 간격에서 상기 산출값을 차감한 값으로 설정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완충하기 위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방법으로서, 신호 입력 제어부가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신호 입력 제어부가 지연 설정부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신호 입력 제어부가 상기 지연 시간의 경과시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방법에 의하면, 상기 지연 설정부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신호 입력 제어부가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전체 멀티 디스플레이의 구성정보(MxN)와, 소속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식별자(ID)를 확인하는 단계와; 신호 입력 제어부가 지연 설정부로부터 상기 구성정보(MxN)와 상기 식별자(ID)에 대응되는 지연 시간 값을 읽어들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완충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시간 차이를 상쇄하므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표시 시간차이에 기인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화면 표시 시간 차이에 기인한 화면 표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멀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입력 시간 차이의 확인 및 신호 입력 지연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저장부에 저장하였다가 지연시켜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동기화하여서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로 하여금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화면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입력 제어부(110), 지연 설정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미지 프로세서(200)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데, 전체 멀티디스플레이의 구성과 해당 소속 디스플레이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GB신호,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 등을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영상을 화면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 입력 제어부(110)는 이미지 프로세서(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300) 측으로의 영상신호 입력을 제어한다. 신호 입력 제어부(110)는 이미지 프로세서(2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저장부(130)에 저장하였다가 지연시켜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출력하되, 지연 설정부(120)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 값만큼 지연시켜서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출력한다.
지연 설정부(120)는 미리 설정되는 지연 시간 값을 저장하고, 해당 지연 시간 값을 신호 입력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저장부(130)는 신호 입력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되, 신호 입력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신호 입력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였다가 신호 입력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저장부(130)는 메모리 소자로 구현할 수 있는데, 입력 영상신호의 주파수보다 빠르게 기록/판독(write/read) 하여야 하므로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100)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개별로 구비되는데,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와 해당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시간 차이를 미리 확인하여 영상신호 입력을 동기화하기 위한 지연 시간을 지연 설정부(120)에 설정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신호 입력 제어부(110)에 의해 지연 설정부(120)에 설정된 지연 시간 값만큼 영상신호를 지연시켜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입력함으로써, 해당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화면 표시케 한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의 타이밍을 측정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모듈(300)과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간의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확인할 수 있는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신호 입력을 동기화하도록 영상신호가 가장 느리게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대한 영상신호의 입력 시간 차이를 디지털 값으로 정량화하여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지연 설정부(120)에 지연 시간 값으로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3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번 내지 9번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을 구현하는 경우에,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원본영상신호를 동일하게 수신한 후, 이를 전체 멀티디스플레이 구성에 따른 영상으로 확대하고, 확대된 영상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영역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멀티디스플레이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체 멀티디스플레이의 구성(MxN)이 결정되는데, 상기 제어신호는 예를 들어 RS232C나 이더넷 등과 같은 통신규격을 사용하는 제어컨트롤러(PC등)로부터 송수신된다. 동시에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설치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를 가지는데, 예로써 3x3의 구성에서는 1번 내지 9번에 해당하는 식별자(ID)가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설정되어야 하며, 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내에 포함되는 스위치를 사용자가 조정함에 따라 설정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자신은 전체의 구성과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원본영상이 수신되면 이를 전제 멀티디스플레이의 구성정보(MxN)과 자신의 위치정보(ID)에 해당하는 부분을 판단한 후 확대하여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원본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확대하고 해당 영역의 영상으로 처리하는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이미지 프로세서(200)에서 담당한다. 이미지 프로세서(20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는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디스플레이 모듈(300)로 전송되어 영상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때, 이미지 프로세서(200)로 입력되는 원본영상의 수직동기 신호와,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입력되는 수직동기 신호 사이에 시간 지연이 발생되고 이런 현상이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발생되어 멀티디스플레이 구성시 전체 영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간 세로 스크롤바 영상의 윤곽이 틀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원본영상의 수직동기신호와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간에 발생하는 시간차를 측정한 후 가장 큰 시간차를 가지는 모듈의 시간차 값과 대비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지는 시간차값의 차이만큼을 지연 시간 값으로 하여 이를 지연 설정부(120)에 저장한다.
도 6을 기준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60Hz로 구동된다고 가정할 때, 각각의 수직동기신호의 간격은 16.67ms마다 반복되는데, 원본 영상신호와 대비하여 가장 큰 지연 시간차를 가지는 모듈 8이 만약 10ms의 시간차를 가진다고 하고, 가장 작은 시간차를 가지는 모듈 1이 2ms의 시간차를 가진다면, 모듈1의 지연 시간 값은 8ms의 값으로 설정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연 시간 값을 설정하고, 구동시에 신호 입력 제어부(110)에 의해 영상신호를 해당 지연 시간 값만큼 지연시켜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입력케 한다. 상기 지연 시간 값 설정 방법은 원본영상의 수직동기신호에 대비하여 가장 느리게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직동기신호를 기준으로 전체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 타이밍을 동기화하여 구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원본영상의 수직동기신호와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간에 발생하는 시간차를 측정한 후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 간격에서 상기 측정값을 차감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6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60Hz로 구동된다고 가정할 때, 각각의 수직동기신호의 간격은 16.67ms마다 반복되는데, 원본영상신호와 대비하여 가장 큰 지연 시간차를 가지는 모듈 8이 만약 10ms의 시간차를 가진다고 하고, 가장 작은 시간차를 가지는 모듈 1이 2ms의 시간차를 가진다면, 모듈 8의 구동타이밍을 원본영상의 수직동기신호의 다음 신호에 맞추어 6.67ms만큼 추가로 지연시켜 구동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모듈 1의 구동타이밍은 14.67ms를 지연시켜 구동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경우도 원본영상신호의 다음 수직동기신호와 동기화하여 동시 구동이 가능하도록 지연값을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지연 시간 값 설정 방법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개별 디스플레이의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원본영상의 다음 수직동기신호와 동기화하여 구동하는 방법이 된다.
아울러, 상기의 2가지 방법에 의한 지연값 설정방법 외에, 전체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직동기신호를 동기화할 수만 있으면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도 지연값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1번~9번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동기화하여서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1번~9번 디스플레이 모듈에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1번~9번 디스플레이 모듈로 하여금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화면 표시케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연값을 설정하고 저장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지연 설정부(120)에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멀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에 따른 지연 시간 값을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 형태로 저장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멀티 디스플레이의 구성별(MxN, 예를 들어, 2×2, 3×3, 4×4, 3×2, 4×3,....등등)로 해당 멀티 디스플레이에 소속되어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위치(ID)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별 지연 시간 값을 모두 테이블 형태로 지연 설정부(120)에 저장하되, 예를 들어 도 5와 같은 구성에서는 (3X3)로 표현되는 전체 멀티 디스플레이의 구성정보(MxN)와, 1번 내지 9번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와, 해당 1번 내지 9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지연 값을 함께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지연 시간 값을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멀티 디스플레이이의 다른 구성(MxN)들(예를 들어, 2×2, 4×4, 3×2, 4×3,....등등)에 대해서도 해당 멀티 디스플레이에 소속되어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위치(ID)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별 지연 시간 값을 모두 테이블 형태로 지연 설정부(120)에 저장한다.
이를 토대로, 구동시에는 신호 입력 제어부(110)가 이미지 프로세서(200)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영상신호를 저장부(130)에 저장하였다가, 해당 영상신호에 포함된 전체 멀티디스플레이의 구성(MxN)과 해당 소속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에 의거하여, 지연 설정부(120)로부터 대응되는 지연 시간 값을 읽어들여 해당 시간 지연 값만큼 지연시켜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출력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직 동기신호의 지연 시간 값을 직접 측정하여 지연 설정부(120)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멀티 디스플레이의 구성(MxN)과 소속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성 위치(ID)에 따른 수직 동기신호의 시간 지연 값이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경우에는 시간 지연 값을 계산하여 지연 설정부(120)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100)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별 설치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이미지 프로세서(200)와 디스플레이 모듈(300)을 구비한다.
이미지 프로세서(200)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100)의 신호 입력 제어부(110)는 이미지 프로세서(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300)로의 영상신호 입력을 제어하되, 이미지 프로세서(20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저장부(130)에 저장하였다가 지연 설정부(120)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 값만큼 지연시켜서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입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100)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영상신호의 입력 지연을 완충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한다.
먼저, 신호 입력 제어부(110)는 이미지 프로세서(200)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700), 해당 영상신호를 저장부(130)에 저장한다(S710).
그리고, 신호 입력 제어부(110)는 지연 설정부(120)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확인하되 전체 멀티 디스플레이의 구성(MxN)과 소속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에 의거하여 지연 설정부(120)로부터 대응되는 지연 시간 값을 읽어들여 해당 지연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하고(S720), 지연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해당 영상신호를 읽어들여 디스플레이 모듈(300)에 출력한다(S730).
그 후에, 신호 입력 제어부(110)는 이미지 프로세서(200)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S740),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S710으로 귀환하여 반복 처리를 수행하고, 영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처리 종료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100)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속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동기화하여서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영상신호를 입력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모듈로 하여금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화면 표시케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완충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시간 차이를 상쇄하므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표시 시간차이에 기인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완충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시간 차이를 상쇄하므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표시 시간차이에 기인한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110; 신호 입력 제어부
120; 지연 설정부
130; 저장부
200; 이미지 프로세서
300;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0)

  1.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완충하기 위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로서,
    지연 시간 값을 저장하여 신호 입력 제어부에 제공하는 지연 설정부와;
    신호 입력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저장부와;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 측으로의 영상신호 입력을 제어하되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였다가 상기 지연 시간 값만큼 지연시켜서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하는 신호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설정부는 전체 멀티 디스플레이의 구성정보(MxN)와, 해당 소속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지연 값을 함께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지연 시간 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 제어부는 이미지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전체 멀티 디스플레이의 구성정보(M×N)와, 소속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에 의거하여, 상기 지연 설정부로부터 대응되는 지연 시간 값을 읽어들여 해당 시간 지연 값만큼 영상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값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원본영상의 수직동기신호와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간에 발생하는 시간차를 측정한 후 가장 큰 시간차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시간차 값과 대비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지는 시간차값의 차이 만큼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값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원본영상의 수직동기신호와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간에 발생하는 시간차를 측정한 후 상기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 간격에서 상기 측정값을 차감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값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와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시간 차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면 이를 산출하여 가장 큰 시간차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시간차 값과 대비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지는 시간차값의 차이 만큼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값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와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시간 차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면 이를 산출하여 상기 원본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 간격에서 상기 산출값을 차감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9.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영상신호 입력 시간차를 완충하기 위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방법으로서,
    신호 입력 제어부가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신호 입력 제어부가 지연 설정부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신호 입력 제어부가 상기 지연 시간의 경과시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설정부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신호 입력 제어부가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전체 멀티 디스플레이의 구성정보(MxN)와 해당 소속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식별자(ID)를 확인하는 단계와;
    신호 입력 제어부가 지연 설정부로부터 상기 구성정보(MxN)와 상기 식별자(ID)에 대응되는 지연 시간 값을 읽어들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방법.
KR1020120117146A 2012-10-22 2012-10-22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 KR102036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46A KR102036034B1 (ko) 2012-10-22 2012-10-22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
US14/054,462 US20140111530A1 (en) 2012-10-22 2013-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buffering signal delay between display device in multi-display environment
CN201310563609.5A CN103777914A (zh) 2012-10-22 2013-10-22 用于缓冲多显示环境中显示设备之间的信号延迟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46A KR102036034B1 (ko) 2012-10-22 2012-10-22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840A true KR20140050840A (ko) 2014-04-30
KR102036034B1 KR102036034B1 (ko) 2019-10-24

Family

ID=5048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146A KR102036034B1 (ko) 2012-10-22 2012-10-22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111530A1 (ko)
KR (1) KR102036034B1 (ko)
CN (1) CN10377791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006A (ko) * 2015-02-09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명령 전송 방법
WO2016195409A1 (ko) * 2015-06-03 2016-12-08 어드밴인터내셔널코프 수직 동기 지연 계산 방법 및 장치
KR101724430B1 (ko) * 2016-09-20 2017-04-10 (주)베이직테크 Led 영상 장치의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20170077546A (ko) * 2015-12-28 2017-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20054984A1 (en) * 2018-09-14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15B1 (ko) * 2014-12-04 2021-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월 시스템
WO2017130353A1 (ja) * 2016-01-28 2017-08-03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
KR20180075732A (ko) * 2016-12-26 2018-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TWI679895B (zh) * 2017-12-15 2019-12-11 宏正自動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影像同步方法
WO2019176046A1 (ja) * 2018-03-15 2019-09-1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2315618B1 (ko) * 2018-06-14 202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0458B1 (ko) 2018-06-14 202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061785A1 (zh) * 2018-09-26 2020-04-02 西安诺瓦电子科技有限公司 视频帧同步系统、视频处理设备和视频帧同步方法
EP3629340A1 (de) * 2018-09-28 2020-04-01 Siemens Healthcare GmbH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mit einer medizinischen scannereinheit und zumindest einem display sowie ein verfahren zu einem ansteuern zumindest eines displays einer medizinischen bildgebungsvorrichtung
CN109947868A (zh) * 2019-03-22 2019-06-28 晶晨半导体(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存储系统的信号显示方法
CN112783458B (zh) * 2019-11-08 2022-04-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同步显示方法、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11195452B1 (en) 2020-05-14 2021-12-07 Cisco Technology, Inc. Sub-frame synchronization of multiple displays with independent vertical refresh rat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1441B1 (en) * 1998-06-18 2002-12-3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artitioning, scaling and displaying video and/or graphics across several display devices
KR20060080370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호스트 디바이스
KR20080110083A (ko) * 2007-06-14 2008-12-1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동기화방법
JP2012078393A (ja) * 2010-09-30 2012-04-19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映像信号発生装置
WO2012077392A1 (ja) * 2010-12-10 2012-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画面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6949B2 (en) * 2005-04-20 2013-12-10 Jupiter Systems Interconnection mechanism for multiple data strea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1441B1 (en) * 1998-06-18 2002-12-3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artitioning, scaling and displaying video and/or graphics across several display devices
KR20060080370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호스트 디바이스
KR20080110083A (ko) * 2007-06-14 2008-12-1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동기화방법
JP2012078393A (ja) * 2010-09-30 2012-04-19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映像信号発生装置
WO2012077392A1 (ja) * 2010-12-10 2012-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画面表示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006A (ko) * 2015-02-09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명령 전송 방법
WO2016195409A1 (ko) * 2015-06-03 2016-12-08 어드밴인터내셔널코프 수직 동기 지연 계산 방법 및 장치
KR20160142924A (ko) * 2015-06-03 2016-12-14 어드밴인터내셔널코프 수직 동기 지연 계산 방법 및 장치
KR20170077546A (ko) * 2015-12-28 2017-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724430B1 (ko) * 2016-09-20 2017-04-10 (주)베이직테크 Led 영상 장치의 동기화 장치 및 방법
WO2020054984A1 (en) * 2018-09-14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11530A1 (en) 2014-04-24
CN103777914A (zh) 2014-05-07
KR102036034B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0840A (ko)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신호 지연 완충 장치 및 방법
US9830884B2 (en) Multi-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626742B1 (ko)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KR101260426B1 (ko) 프레임 데이터 정렬 방법 및 시스템
WO2018156273A1 (en) Adjustment for cameras for low power mode operation
CN102117595B (zh) 用于对齐帧数据的技术
CN109309857B (zh) 调整输出影像的方法与多画面显示系统
US9414043B2 (en) Image adjus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TWI391905B (zh) 多影像訊號共存系統及其方法
KR20150057421A (ko) 다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영상신호 보정방법
US20100302352A1 (en) Video data sign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utter glasses
KR102229927B1 (ko) 멀티스크린 시스템, 영상분할서버 및 그 영상분할방법, 분할영상단말기 및 멀티스크린 제어방법
KR20220137053A (ko) 노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2457748A (zh) 同步装置以及同步方法
JP2012078393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映像信号発生装置
US2014017651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frame thereof
JP2014219572A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2309311B (zh) 显示控制方法、装置和显示控制卡以及计算机可读介质
KR101506030B1 (ko)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화면 구현 방법
KR2015011481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6038514A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838183B (zh) 時序控制方法及其相關時序控制電路
JP5896642B2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33966A (ja) 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098130B1 (ko) 일체형 입체영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