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639A - 상황정보 추출 - Google Patents

상황정보 추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639A
KR20140050639A KR1020147002383A KR20147002383A KR20140050639A KR 20140050639 A KR20140050639 A KR 20140050639A KR 1020147002383 A KR1020147002383 A KR 1020147002383A KR 20147002383 A KR20147002383 A KR 20147002383A KR 20140050639 A KR20140050639 A KR 20140050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omputer program
identifier
data
program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8098B1 (ko
Inventor
주시 르파넨
안띠 이로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5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95Proximity-based methods, e.g. position inferred from reception of particula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식별자(identifier)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단계, 위 검사에 기초하여,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위 검사가 이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이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위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그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하고, 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 위 메모리 및 위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위 프로세서와 함께 위 장치가 위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됨 - 가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상황정보 추출{CONTEXT EXTRACTION}
다양한 실시예들이 통상 전자 통신 기기 기술과 관련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정보(context) 추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다.
현재 및 미래의 네트워킹 기술은 모바일 전자 기기의 기능을 확장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정보전송의 용이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해왔다. 정보 전송의 편의성 증대에 대한 수요가 있을 수 있는 분야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다. 이 서비스는,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책, 문자 메시지, 이메일, 컨텐츠 공유, 웹 브라우징 등과 같이, 사용자가 희망하는 특정 미디어 또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형태일 수 있다. 이 서비스는 또한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거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네트워크 기기에게 응답할 수 있는 쌍방향(interactive) 애플리케이션의 형태일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 네트워크 기기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요구에 응답할 수 있다(예컨대, 콘텐츠 검색, 지도검색 또는 경로검색 서비스 등). 이 서비스는 네트워크 서버 또는 다른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또는 심지어 모바일폰, 모바일 네비게이션 시스템, 모바일 컴퓨터, 모바일 텔레비전, 모바일 게임 시스템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능력은 대체로 모바일 단말의 특정 상태 또는 위치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여러 센서가 모바일 단말 내에 통합되어 왔다. 센서는 통상 위치, 속도, 방향 등과 같이 모바일 단말 상태의 특정 양태와 관계된 정보를 수집한다.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그 다음 기기의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황정보는 개체의 상태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정보이다. 이 개체는 환경 내의 사용자 및 기기 둘 모두일 수 있다. 상황정보의 인식은 기기가 그 환경, 사용자의 행위 및 그 스스로의 상태를 인식하고 그 상태에 기초하여 그 작용을 조정하기 위한 능력과 관련된다.
상황정보 추출 알고리즘은 모바일폰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추론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폰의 마이크는 사용자의 현재 환경('자동차', '도로', '사무실' 등)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활동('달리는 중', '걷는 중' 등)을 인식하기 위한 가속도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록한 센서 데이터 및 그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는 상황정보 인식 알고리즘은 많은 전력을 요구한다. 알고리즘을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량은 상황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가동할 수 있는 횟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주기적 또는 지속적 센싱의 경우에, 많은 전력 소모는 곧 알고리즘이 더 긴 간격으로 동작될 것임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는 상태 변화에 신속하게 반응하는 능력을 제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수행 중인 환경 및 활동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 다음 위치를 유사 상황정보 이력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유사 위치는 특정 환경 및 활동에 관한 특정 유형의 우도(likelihood)를 가지는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예컨대, 상점, 식당 및 도로는 도심 내에서 흔한 환경이다. 클러스터 내에의 특정 상황정보 표지 분포는 상황정보를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황정보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identifier)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단계와,
- 위 검사에 기초하여, 위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 위 검사가 위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이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위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메모리 및 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위 프로세서와 함께, 이 장치가,
-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며,
- 위 검사에 기초하여, 위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고,
- 위 검사가 위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이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위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이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프로그램 인스트럭션(instructoins)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는데, 이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단계와,
- 위 검사에 기초하여,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 위 검사가 위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이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위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이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입력과,
-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제1 검사 요소와,
- 위 검사에 기초하여, 위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기에 적합한 판정기와,
- 위 검사가 위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이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위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제2 검사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기 위한 수단과,
- 위 검사에 기초하여, 위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과,
- 위 검사가 위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이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위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상황정보 추출을 사용하는 것의 이득은 절전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극히 적은 프로세싱과 에너지를 사용하여 환경 또는 활동 우도의 근사치를 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 한 이유는 기기는 어찌됐든 인근의 액세스 포인트(예컨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는데, 따라서 셀 아이디(cell-id)의 획득에는 0 또는 극히 소량의 추가 전력 소모가 야기될 뿐이라는 점이다. 셀 아이디를 확보하고 그 위치를 위한 관련 히스토그램(histogram)을 검색하는 데에는 극히 적은 계산이 요구되는 반면, 센서(예컨대, 오디오, 가속도계)를 동작하는 데에는 상당한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다음에서 여러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개시될 것인데, 이는 반드시 비율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정보 판정을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사용자가 위치 A로부터 위치 B로 이동하는 예시적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정보 판정 및 상황정보 추출을 위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b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정보 판정 및 상황정보 추출을 위한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6g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에 의해 검출된 셀 아이디의 예시적인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7a는 '이동 상태'가 알려진 이동인지 또는 알려지지 않은 이동인지를 판정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7b는 '이동 상태'가 알려진 이동인지 또는 알려지지 않은 이동인지를 판정하는 다른 일례를 도시한다.
도 8a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환경 판정 및 히스토그램 조정(adaptation)이 작동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b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환경 판정의 저전력 모드가 작동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a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 동작에서의 상황정보 판정 프로세스에 관한 개념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 동작에서의 분산된 상황정보 판정 프로세스에 관한 개념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부 실시예들은 상황정보 센싱에 있어 저전력 실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의 장치가 '이동 상태'인지 또는 '정지 상태'인지는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한 식별 정보(예컨대, 셀 아이디) 및 가속도 정보로부터 판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상태'라고 판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중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황정보는 처음에 '정지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이동 중인 동안 상황정보는 '이동 상태'라고 검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른 장소에 도착하면 상황정보는 '정지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지 상태'라고 판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전에 같은 장소에 있었던 적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방문한 상이한 '정지 상태 위치'에 관하여, 환경 및 활동 히스토그램이 수집될 수 있다. '정지 상태 위치'에 관한 일부 데이터를 수집한 이후, 이 히스토그램은 환경 및 활동 인식기 및 기기의 센서(예컨대, 오디오, 가속도계)를 동작하지 않고 사용자의 환경 및 활동에 관한 추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전력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 인식기는 현재의 '정지 상태 위치'가 잘 알려진 경우에는 보다 긴 간격으로, 이 '정지 상태 위치'가 자주 방문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다 높은 빈도로 동작될 수 있다.
상이한 '정지 상태 위치'에 관한 히스토그램을 저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지 상태 위치'들 간에 발생하는 상이한 '이동'에 관한 유사한 히스토그램을 저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일부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할 것인데, 이는 일부이지 전부는 아닌 실시예들을 기술할 뿐이다. 실제로 여러 실시예들이 많은 상이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만 하며, 오히려 이 실시예들은 이 개시물에 적용되는 법률 요건을 충족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동일 참조 번호는 전체에 걸쳐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데이터, 콘텐츠, 정보 및 유사 용어는 실시예들에 따라 송신, 수신 및/또는 저장 가능한 데이터를 지칭하기 위해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의 사용이 다양한 실시예들의 목적과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취급되지 않아야만 한다. "세트"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요소의 집합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식별자 데이터 세트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 데이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회로망(circuitry)라는 용어는 (a) 하드웨어로만 된 회로 실시예(예컨대, 아날로그 회로망 및/또는 디지털 회로망 구현)와, (b) 회로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장치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께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인식가능 메모리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명령(instructions)을 포함함-의 결합 및 (c)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일부와 같은 회로-이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을 위해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필요로 함-를 지칭한다. 위 '회로망'의 정의는 어떤 특허청구범위이든지 포함하여 본 명세서 내 위 용어의 모든 사용에 적용된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회로망'이라는 용어는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소프트웨어이고/이거나 펌웨어 내이고 그에 수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회로망'이라는 용어는 또한 예컨대, 모바일 폰을 위한 기저대역(baseband) 집적회로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집적회로 또는 서버, 셀룰러 네트워크 기기, 다른 네트워크 기기 및/또는 다른 컴퓨팅 기기 내의 유사 집적회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비일시적인 물리 저장매체(예컨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기)를 지칭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전자기 신호를 지칭하는 컴퓨 판독가능 전송 매체와 구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상황정보 센싱 및 추출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기기에 장착된 센서(예컨대, 모바일 단말)는 많은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센서의 동작 시간을 줄이는 것이 이득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 기능이 있는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가 기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동작하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에 기반한 위치를 수집하는 중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황정보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사무실에 있는 그의 업무용 책상에 앉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또는 어떤 센서들은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이들은 동작이 중단되거나 저전력 모드로 세팅되고/되거나 샘플링 레이트가 낮추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기기가 '정지 상태'인지 이동 중인지 판정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의 셀 또는 셀들의 식별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기기가 예컨대 정지 위치에 있는 것과 같이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위 식별 정보 이상의 물리 센서 데이터 및/또는 가상 센서 데이터가 센서로부터 요청되지 않을 수 있거나, 센서 데이터는 하나의 또는 이동 상태인 경우보다 더 긴 간격인 센서들로 이루어진 한정된 세트로부터 요청될 수 있다. '정지 상태(static)'라는 용어는 기기가 전혀 이동 중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필요가 없고, 기기는 예컨대, 사무실에서, 방에서, 건물에서와 같이 한 지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여전히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될 수 있다. 기기가 정지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 기기는 '이동 상태'이거나 다른 상태일 수 있고, 위 기기는 센서로부터 물리 센서 데이터 및/또는 가상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 기기가 이동 상태라고 판정되는 경우, 위 기기는 어떤 위치를 떠나 이동 중 일 수 있고 따라서 위 기기는 '정지 상태'라고 판정되지 않는다.
센서 테이터의 예시들은 예컨대, 오디오 샘플로 표현되거나 적응형 멀티레이트 와이드밴드(Adaptive Multi-Rate Wideband; AMR-WB) 또는 MP3(MPEG-1 Audio Layer 3)와 같은 어떤 인코딩 기법을 사용하는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예컨대,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포맷}, 가속도계 데이터(예컨대, 3개의 직교 방향 x, y, z의 값과 같은 데이터), 위치{예컨대,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는 투플(tuple)같은 데이터}, 환경광 센서의 측정값, 자이로스코프의 측정값, 근접 센서 측정값, 블루투스(Bluetooth) 기기 식별자,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기지국 식별자와 신호 세기, 셀룰러 통신{2G,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같은 것}의 셀룰러 타워 식별자와 그 신호 세기 등을 포함한다. 블루투스 기기 식별자,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기지국 식별자, 셀룰러 통신의 셀룰러 타워(또는 셀) 식별자 등은 또한 본 출원에서 셀 식별자(셀 아이디)라 지칭되고, 이는 가상 센서 데이터의 한 형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인 도 1은 여러 실시예들로부터 이익을 얻는 모바일 단말(1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시되고 후술되는 모바일 단말(10)은 단지 여러 실시예들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한 유형의 기기의 실례일 뿐이고, 따라서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취급되지 않아야만 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PDA, 모바일 폰, 무선 호출기(pagers), 모바일 텔레비전, 게임기, 랩톱 컴퓨터, 카메라, 비디오 레코더,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라디오, 여러 유형의 모바일 단말, 포지셔닝 기기{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기} 또는 전술한 기기들의 임의의 결합 및 다른 유형의 보이스 및 텍스트 통신 시스템과 같은 여러 유형의 모바일 단말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송신기(14) 및 수신기(16)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안테나(12)(또는 다중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제어기(20) 또는 다른 프로세싱 기기 같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각각 송신기(14) 및 수신기(16)에게 신호를 제공하고 이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는 적용가능한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에 따라 신호화된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사용자의 말, 수신된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생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점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 통신 프로토콜, 변조 유형 및 접근(access) 유형으로 동작 가능하다. 실례로써 모바일 단말(10)은 제1, 2, 3 및/또는 4세대 통신 프로토콜 등 중 어느 것이든지에 따라 동작가능하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10)은 2세대(2G) 무선 통신 프로토콜인 IS-136{시분할 다중접속방식(TDM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및 IS-95{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CDMA2000, 광대역 CDMA(WCDMA) 및 시분할연동 CDMA(TD-SCDMA) 같은 3세대(3G) 무선 통신 프로토콜, E-UTRAN 같은 3.9G 무선 통신 프로토콜, 4세대(4G) 무선 통신 프로토콜 등에 따라 동작가능하다. 대안으로(또는 추가적으로), 모바일 단말(10)은 비-셀룰러 통신 메커니즘에 따라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210)은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WLAN) 또는 도 2와 관련하여 다음에서 기술되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20)는 모바일 단말(10)의 오디오 및 논리 기능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2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기기와 여러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및 다른 지원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의 제어 및 신호 프로세싱 기능은 이 기기들 각각의 기능에 따라 이 기기들 사이에 할당된다. 이와 같이 제어기(20)는 변조 및 전송 전에 메시지 및 데이터를 컨볼루션 인코딩 및 인터리빙하기 위한 기능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0)는 내부 음성 부호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내부 데이터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0)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20)는 통상의 웹 브라우저 같은 연결 프로그램을 가동시킬 수 있다. 연결 프로그램은 그 다음 모바일 단말(10)이 위치 기반 콘텐츠 및/또는 예컨대 무선 응용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등에 따른 다른 웹 페이지 콘텐츠 같은 웹 콘텐츠를 송수신하게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또한 종래의 이어폰 또는 스피커(24), 신호기(22), 마이크로폰(26), 디스플레이(28)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같은 출력 기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모두는 제어기(20)와 연결된다. 모바일 단말(10)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키패드(30), 터치 디스플레이(미도시) 또는 다른 입력 기기와 같이, 모바일 단말(10)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여러 기기들 중 어느 것이든지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30)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키패드(30)는 종래의 숫자(0~9) 및 관련 키(#,*)와 모바일 단말(10)을 동작시키는데 사용되는 다른 하드 및/또는 소프트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키패드(30)는 종래의 QWERTY 키패드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30)는 또한 관련 기능을 가진 여러 소프트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모바일 단말(10)은 조이스틱 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같은 인터페이스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10)을 동작시키는데 요구되는 여러 회로에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옵션으로 감지가능한 출력으로서 기계적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배터리 팩같은 배터리(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은 하나 이상의 물리 센서(physical sensor)(36)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 센서(36)는 모바일 단말(10)의 현재 상황정보를 기술하는 특정 물리 파라미터를 센싱하거나 판정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경우에 있어서 물리 센서(36)는 속도, 가속도, 방향, 방위, 시작점에 대한 관성 위치, 다른 기기나 물체에 대한 근접성, 조명 조건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 환경 관련 파라미터를 판정하기 위한 각기 다른 송신 기기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 식별 모듈(user identity module; UIM)(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IM(38)은 내장형 프로세서를 가진 메모리 기기일 수 있다. UIM(38)은 예컨대,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집적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착탈식 사용자 식별 모듈(R-U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IM(38)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가입자에 관한 정보 요소들을 저장한다. UIM(38)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10)은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10)은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위한 캐쉬 영역을 포함하는 휘발성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또한 내장될 수 있고/있거나 착탈식일 수 있는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4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모바일 단말(1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1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정보의 조각 및 데이터 중 어느 것이든지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모바일 단말(10)을 유일한 것으로 식별 가능한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fication; IMEI) 코드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여러 실시예들로부터 이익을 얻는 한 유형의 시스템의 예시가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 기기{예컨대, 모바일 단말(10)}를 포함하고 일부 경우에 네트워크(50)와 통신 가능한 추가적인 통신 기기를 더 포함한다. 시스템 통신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 또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50)는 해당 유선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 가능한 여러 상이한 노드, 기기 또는 기능의 집합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 2의 예시는 시스템의 특정 구성요소의 거시적 모습의 일례이지,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50)의 모든 것을 망라하거나 상세한 모습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50)는 1세대(1G), 2세대(2G), 2.5G, 3세대(3G), 3.5G, 3.9G, 4세대(4G) 모바일 통신 프로토콜 LTE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른 통신을 지원 가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 및 다른 통신 기기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50)를 통해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 가능할 수 있고, 기지국에 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또는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셀룰러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의 부분인 기지국 또는 근거리 통신망(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및/또는 원거리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접속점일 수 있다. 결국, 프로세싱 기기 또는 구성요소(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등) 같은 다른 기기들은 네트워크(50)를 통해 모바일 단말(10)에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 및 다른 기기를 직간접적으로 네트워크(50)에 연결함으로써, 모바일 터미널(10) 및 다른 기기는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될 수 있고/있거나 예컨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등을 포함하는 여러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네트워크는 그렇게 함으로써 여러 통신이나 모바일 단말(10) 및 다른 통신 기기의 다른 기능을 각기 수행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모바일 단말(10)은 예컨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블루투스(BT), 적외선(Infrared; IR) 또는 LAN, 무선 LAN(WLA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Fi, 초광대역 무선(ultra-wide band; UWB), Wibree 기술 등을 포함하는 여러 상이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술 중 어떤 것이든지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10)은 네트워크(50) 및 여러 상이한 접속 메커니즘 중 어떤 것을 따르는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W-CDMA), CDMA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등과 같은 모바일 접속 메커니즘이 WLAN, WiMAX 등과 같은 무선 접속 메커니즘 및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케이블 모뎀, 이더넷 등과 같은 고정 접속 메커니즘과 함께 지원될 수 있다.
전술한 통신 기술 중 일부는 통신하는 기기간의 거리가 몇 센티미터에서 몇 백 미터에 이를 수 있는 단거리 통신이라 지칭될 수 있고, 이 기술 중 일부는 통신하는 기기 간의 거리가 몇 백 미터에서 수십 킬로미터 혹은 그 보다 훨씬 긴 장거리 통신 기술이라 지칭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WiFi, WLAN 및 적외선은 단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고 있고, 셀룰러 및 다른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장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동작을 주관하거나(host) 그렇지 않으면 이를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단말(10)에 적용될 수 있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제 예시적인 일 실시예가 상황정보 판정(센싱)을 제공하는 장치의 특정 구성요소가 도시되는 도3 및 통신 네트워크 셀의 일부의 일례가 도시되는 도 4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3의 장치는, 예컨대, 모바일 단말(10)에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위 장치는 대안적으로 모바일 및 고정된 형태의(예컨대, 전술한 기기들 중 어떤 것이든지) 여러 가지의 다른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후술되는 기기 또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포함되는 것이 아닐 수 있고 따라서 일부는 특정 실시예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만 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상황정보 센싱을 제공하는 장치가 기술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70), 통신 인터페이스(74) 및 메모리 기기(76)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들과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 기기(76)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예컨대, 메모리 기기(76)는 기계(예컨대, 컴퓨팅 기기)에 의해 복구될 수 있는 데이터(예컨대, 비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게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저장 기기(예컨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메모리 기기(76)는 장치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여러 기능을 수행 가능토록하기 위한 정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명령(instructions)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 기기(76)는 프로세서(70)에 의한 프로세싱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메모리 기기(76)는 프로세서(70)의 실행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여러 상이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DSP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프로세싱 기기 또는 예컨대 ASIC(주문형 반도체,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마이크로 제어기 유닛(microcontroller unit; MCU), 하드웨어 가속기, 특수 목적 컴퓨터칩, 프로세싱 회로망 등과 같이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여러 다른 프로세싱 기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프로세싱 수단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0)는 메모리 기기(76)에 저장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서(70)가 접근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프로세서(70)는 하드 코딩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든지 또는 이들의 결합이든지 간에, 프로세서(70)는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수행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구성된 개체(예컨대, 회로망에서 물리적으로 실시됨)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컨대, 프로세서(70)가 ASIC, FPGA 등으로 실시되는 경우, 프로세서(7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로 특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써, 대안적으로, 프로세서(70)가 소프트웨어 명령의 실행기로 실시되는 경우, 위 명령은 명령이 실행되면 프로세서(70)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알고리즘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특정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경우에, 프로세서(7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알고리즘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에 의한 프로세서(70)에 대한 추가 구성으로 여러 실시예들에 적용되도록 맞춰진 특정 기기{예컨대, 모바일 단말(10) 또는 다른 통신 기기}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여러 가지 중에서 프로세서(70)의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시계, 산술 논리 유닛(arithmetic logic unit; ALU) 및 논리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74)는 네트워크로부터/에게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중 하나로 실시되는 기기나 회로망이고/이거나 위 장치와 통신하는 어떤 다른 기기 또는 모듈과 같은 어떤 수단일 수 있다. 이 점에서, 통신 인터페이스(74)는 예컨대,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지원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74)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유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74)는 케이블,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범용 직렬 버스(USB)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뎀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2)에서 프로세서(70)가 사용자 입력 지시를 수신하고/하거나 사용자에게 청각의, 시각의, 기계적인 또는 다른 형태의 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서(7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72)는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소프트 키, 마이크로폰, 스피커 또는 다른 입출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가 서버 또는 다른 네트워크 기기의 일부로서 실시되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72)는 제한적이거나 제외될 수 있다. 하지만, 장치가 통신 기기{예컨대, 모바일 단말(10)}로서 실시되는 일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72)는 다른 기기나 구성요소 중에서도 스피커, 마이크로폰,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 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컨대, 프로세서(70)는 예를 들어 스피커, 신호기, 마이크로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기능들을 적어도 제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 및/또는 프로세서(7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망은 프로세서(70)에게 접근 가능한 메모리{예컨대, 메모리 기기(76) 등}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예컨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0)는 예컨대, 가속기(501)(도 5a), 자력계(502), 근접 센서(503), 환경광 센서(504), 자이로스코프(505), 마이크로폰(26) 및/또는 여러 다른 가능한 센서 중의 어떤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물리 센서(예컨대, 물리 센서 1, 물리 센서 2, 물리 센서 3, ..., 물리 센서 n, n은 물리 센서의 개수와 동일한 정수임)를 가진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따라서 예컨대, 프로세서(70)는 프로세서(70)가 물리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센서용 펌웨어(140)를 통해 물리 센서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70)는 물리 센서(어쩌면 일부 경우에는 버퍼에 있는 정보를 저장함)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물리 센서를 위한 관리 기능(135)을 수행하며, 센서 데이터의 전처리(134)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0)는 또한 추출된 물리 센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황정보 판정(131)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장치는 센서 프로세서(78)(도 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프로세서(78)는 (어쩌면 의미상이든 스케일상이든 상이하지만)프로세서(70)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와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0)는 가상 센서 데이터를 물리 센서 데이터와 결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가상 센서(520)(예컨대, 가상 센서 1, 가상 센서 2, ..., 가상 센서 m, m은 가상 센서의 개수와 동일한 정수임)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가상 센서는 물리 파라미터를 측정하지 않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이, 예컨대, 가상 센서는 RF 활동, 즉 기기(10) 중 송신기(14)의 활동 또는 수신기(16)의 활동, 시간, 캘린더 이벤트, 기기 상태 정보, 활동 중인 프로파일, 알람, 배터리 상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웹 서비스로부터의 데이터, 시간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특정 위치 정보(예컨대, GPS 위치) 또는 다른 비-물리 파라미터(예컨대, 셀 아이디) 등과 같은 그러한 가상 파라미터를 모니터할 수 있다. 가상 센서는 하드웨어 또는 각각의 가상 센서와 관련된 해당 비-물리 파라미터 데이터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70)가 그 자체로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프로세서인 경우, 프로세서(70)에서 구동하는 가상 상황정보 결합 프로세스는 상황정보 및 물리 센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또한 물리 데이터 소스 및 가상 센서를 가진 다른 서브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계층(160), 미들웨어 계층(170)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180) 같은 다수의 상이한 운영 계층(layers)을 가진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프로세서의 동작은 같은 계층에서 또는 상이한 계층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황정보 모델 데이터베이스(116)는 이 계층들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황정보 판정(131)은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계층에서 실시될 수 있다.
도 9a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정보 센싱 프로세스의 개념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방문하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식별자 기반 데이터(예컨대, 셀 아이디)는 사용자가 (사무실, 집, 식품점에 있는 것처럼)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사용자의 현재 셀 아이디를 일정한 간격으로, 예를 들어 매 분 마다 한 번 기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사용자 및 폰이 이동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 기기는 단일 셀 아이디에 연결될 것이다. 실제로, 폰은 심지어 이동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몇 개의 값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정지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이동 분석 윈도우 내의 셀 아이디를 검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동작이 도 4에 개시된 예시적 상태 및 도 9a의 흐름도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개시될 것이다. 도 4에서 육각형은 셀(51) 즉, 통신 네트워크(50)의 기지국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52)의 서비스 영역을 도시한다. 육각형내의 원은 통신 네트워크(50)의 액세스 포인트(52)를 도시한다. 화살 점선(400)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의 일례를 도시한다. 여기서 셀은 동일한 육각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제로 셀의 형태는 동일하지 않고 육각형 모양이 아니며 지형, 기상 조건 등이 셀의 형태와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특히 기기(10)가 액세스 포인트(52)에서 멀리 위치할 경우 기기(10)는 기기(10)에서 가장 가까운 액세스 포인트가 아니라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전술하였듯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기기(10)가 이동 상태가 아니거나 상당히 느리게 이동하더라도 이따금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 사용자는 처음에 위치 A에 위치하고 기기(10)는 이동하지 않는다. 전화가 없거나 다른 통신 활동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더라도, 기기(10)는 간격을 두고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고 통신 네트워크(50)로부터 위치 정보(예컨대, 셀 아이디)를 수신한다(도 9a의 블록 106 및 108). 기기(10)는 위치 정보가 정지 상태가 아니고 통신 네트워크가 예컨대 기기(10)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고/하거나 액세스 포인트가 기기(1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 세기의 변화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52)(따라서 위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그러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셀 아이디는 분석을 위해 N개의 샘플로 된 윈도우에 수집될 수 있다. 윈도우 내에 미리 정해진 유일한 셀 아이디의 개수보다 작은 개수가 있는 경우, 윈도우는 정지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이는 도 9a의 블록 110, 112 및 114에 도시되어 있다. 윈도우 내에 미리 정해진 유일한 셀 아이디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가 있는 경우, 윈도우는 이동 상태 윈도우로 판정할 수 있다. 이는 도 9a의 블록 110, 112 및 126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 상태 윈도우 사이에 상당한 정지 상태 윈도우가 있는 경우(예컨대, 20분 정도의 정지 상태 윈도우), 이 윈도우 동안 기록된 셀 아이디는 하나의 단일 정지 상태 위치의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윈도우 또는 이동 분석 윈도우라는 용어는 동작의 기술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맥락에서 이는 메모리 내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 셀 아이디 또는 다른 식별자의 연속적인 샘플 세트를 의미하고 제어기(50)는 버퍼 내 윈도우의 위치를 기록한다. 제어기(50)는 그 다음 기기(10)의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윈도우에 내에 위치한 버퍼의 이러한 샘플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윈도우가 다음 위치로 전위되는 경우, 제어기는 버퍼 내 원도우를 전진시키고 이로써 윈도우의 기점은 다음 메모리 위치로 이동되고 윈도우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버퍼는 소위 원형 버퍼일 수 있는데, 이 버퍼의 종단에서 윈도우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이로써 첫 번째 부분은 버퍼의 종단으로부터의 일부 값을 포함하고 두 번째 부분은 버퍼의 기점으로부터의 일부 값을 포함하며 첫 번째 및 두 번째 부분을 합한 전체 길이는 윈도우의 길이와 동일하다.
윈도우를 실시하는 다른 예는 시프트 레지스터라고 알려진 구조이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적어도 윈도우 길이만큼의 셀 아이디를 위한 저장 공간을 가진다. 새로운 셀 아이디가 입력되는 경우, 시프트 레지스터 내의 값은 한번 시프트되고, 시프트 레지스터 내의 가장 오래된 값은 제외될 수 있다.
셀 아이디 시퀀스의 일례가 도 6a 내지 6g에 도시된다. 숫자는 일정한 간격으로(예컨대, 매분 마다 한번) 기록된 셀 아이디를 나타낸다. 괄호는 셀 아이디 데이터 상의 이동 분석 윈도우를 나타낸다. 일례로서, 기기(10)가 정지 상태인지 또는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10개의 셀 아이디(즉, N=10)를 가진 이동 분석 윈도우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6a에서 기기(10){예컨대, 기기의 프로세서(70)}는 첫 번째 10개의 셀 아이디를 검사하고 해당 시퀀스는 '0000111000'이다. 따라서 이 시퀀스에는 단지 2개의 셀 아이디만이 존재한다. 그러면 변수 Nunique는 값 2로 설정될 수 있다. 기기(10)는 기기가 정지 상태인지 또는 이동 상태인지 판정하기 위하여 또는 아마도 이동하기 시작했는지 또는 정지 상태로 들어왔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Nunique와 하나 이상의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도 6a의 예시에서 Nunique 값은 2이고 임계값은 3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Nunique 값은 임계값 미만이다. 그러므로 기기(10)는 기기가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기기는 계속해서 셀 아이디를 수신하고, 도 6b의 예시에 따르면, 다음 검사 단계에서 새로운 셀 아이디(0)가 수신된다. 이동 분석 윈도우는 또한 전위로 진행되어(advanced forwards) 이동 분석 윈도우의 첫 번째 값은 제외되고(dropped) 새로운 셀 아이디가 이동 분석 윈도우 내에서 마지막 아이디 값으로 설정된다. 그러면 이동 분석 윈도우는 다음과 같은 셀 아이디 시퀀스, '0001110000'를 포함한다. 변수 Nunique는 여전히 값 2이고 기기는 여전히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다.
이 프로세스는 전술한 것처럼 지속될 수 있고 셀 아이디 시퀀스 및 이동 분석 윈도우는 도 6c 내지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시점에 이동 분석 윈도우 내의 셀 아이디 시퀀스는 '0011100000'이고 변수 Nunique 값은 2이다. 따라서 기기(10)는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시점에 이동 분석 윈도우 내의 셀 아이디 시퀀스는 '0011111112'이고 변수 Nunique 값은 3이다. 따라서 Nunique 값은 임계값 미만이 아니어서 기기(10)는 이동 상태에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도 6e에 도시된 시점에 이동 분석 윈도우 내의 셀 아이디 시퀀스는 '1112234567'이고 변수 Nunique 값은 7이다. 따라서 Nunique 값은 임계값 미만이 아니어서 기기(10)는 이동 상태에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도 6f에 도시된 시점에 이동 분석 윈도의 내의 셀 아이디 시퀀스는 '7888877777'이고 변수 Nunique 값은 2이다. 따라서 Nuniuqe 값은 임계값 미만이어서 기기(10)는 정지 상태에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f의 이동 분석 윈도우 내의 셀 아이디들의 차이 때문에 기기(10)가 이동하기 시작한 장소와는 상이한 장소에 도착하였다고 판정될 수 있다. 이는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10)가 있는 위치가 이전에 이미 방문된 적이 있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116) 위치 히스토그램이 사용될 수 있는바, 기기(10)는 기기가 정지 상태라고 판정된 위치에 관한 히스토그램(위치 히스토그램)을 산출할 수 있고, 위치 히스토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새로운 위치 히스토그램은 현재 위치가 이전에 방문된 적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 저장된 위치 히스토그램과 비교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일단 정지 상태가 검출되면, 셀 아이디 히스토그램은 정지 상태 윈도우 동안 감지된 셀 아이디로부터 판정된다. 이 히스토그램은 그 다음 정규화될 수 있고 그러면 히스토그램의 값이 하나 더해진다. 이 정규화된 히스토그램은 기 존재하는 위치 히스토그램(존재 하는 경우에)과 비교될 수 있다. 기 저장된 위치 히스토그램 중에서 부합하는 위치 히스토그램이 검출되는 경우, 새로운 히스토그램의 카운트는 일치하는 히스토그램에 더해진다(118). 부합하는 히스토그램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새로운 히스토그램은 메모리 내에 새로운 위치로서 저장된다(122).
2개의 히스토그램 H i H j 의 유사도는 다음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M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된 별개의 셀 아이디의 개수이고 H k i 는 히스토그램 i 내의 셀 아이디 k의 (정규화된) 카운트이다.
전술한 '정지 상태' 위치에 더하여, '이동 상태'에도 또한 저전력 센싱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맥락에서 '이동 상태'는 두 '정지 상태' 위치 사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 이동하는 동안 기기(10)는 이 기기가 이동하는 동안 통신한 액세스 포인트의 셀 아이디를 수신한다. 두 개의 연속적인 '정지 상태'인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 이 장소들 사이의 셀 아이디 목록은 '이동 상태'를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동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 새로운 이동인지 아니면 전에 발생했던 이동인지 여부가 검사될 수 있다(128). 정지 상태 위치를 처리하는 경우 이를 위해 히스토그램 접근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동 상태의 경우 셀 아이디의 순서가 중요하므로, 이와 같은 히스토그램 접근은 최적화된 방법이 아닐 수 있다. 대신에 마르코프(Markov) 모델 또는 편집 거리(edit distance) 기반 접근과 같은 일부 다른 모델들이 상이한 이동을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마르코프 체인의 경우에, 알려진 이동에 관한 마르코프 모델은 메모리에 유지된다. 이 모델은 셀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태 및 상태 간의 전이(확률을 가짐)로 구성된다. 이동을 위한 셀 아이디 스트링이 획득되는 경우, 이 스트링이 기 저장된 모델(즉, 셀 아이디 스트링을 사용하는 모델을 통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함) 중 어느 것에 부합하는지가 검사될 수 있다(130). 부합하는 모델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새로운 모델이 생성되고(312) 이는 셀 아이디 스트링과 부합한다.
둘 이상의 모델이 셀 아이디 스트링에 부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최대 확률로 산출된(전이 확률에 기반함) 스트링인 모델이 선택된다. 부합하는 모델이 검출되는 경우 부합하는 모델의 전이 확률은 셀 아이디 목록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다. 예시들은 도 7a 및 7b에서 확인될 수 있다.
전술한 접근 방식에서 획득되는 우도 대신에, 편집 거리가 두 이동 간의 거리를 판정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리벤슈타인 거리(Levenshtein distance)가 두 개의 셀 아이디 스트링 간의 거리를 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이동 상태'가 알려진 이동인지 알려지지 않은 이동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두 예시들을 도시한다. 도 7a 및 7b에서 원은 상태(셀 아이디)를 나타내고, 화살은 상이한 전이 확률을 나타낸다. 예컨대, 도 7a에서 첫 번째 상태(701)(셀 아이디=1)에 관하여, 같은 상태 내에(같은 셀 내에) 머무르기 위한 제1 확률(702), 두 번째 상태로(즉, 셀 아이디 2로)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2 확률(703) 및 세 번째 상태로(즉, 셀 아이디 3으로)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3 확률(704)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예컨대 이동 상태 동안 검출된 셀 아이디의 목록을 사용하여 이동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셀 아이디 목록은 1,1,2,3,3,4이다. 이는 도 7a에서 이동 a로 표시된다. 그 다음, 검출된 셀 아이디 목록은 기존의 이동 모델에 대하여 검사된다. 도 7a의 예시에서 두 개의 이동 모델, 즉 모델 #1 및 모델 #2가 존재한다. 이 예시에서 검출된 셀 아이디 목록은 모델 #1에 부합하고 이 이동은 실제로 알려진 이동이라고 결론지어질 수 있다. 이에, 부합하는 모델의 파라미터(전이 확률)가 갱신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두 번째 예시에서 (도 7b에서 이동 b라고 표시된) 셀 아이디 1,1,5,5,3,3,5,4,4,6,6의 목록은 기존의 모델 어느 것과도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이동은 새로운 이동으로 판정될 수 있고 위 스트링에 부합하는 새로운 모델(모델 #3)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정지 상태' 위치 또는 '이동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환경 인식기(802) 및 활동 인식기(804)는 주기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환경 및 활동이 인식되는(104) 횟수는 현재 위치를 위한 환경 히스토그램 및 활동 히스토그램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문하는 위치에 관하여, 환경 및 활동의 발생 카운트를 기술하는 두 개의 히스토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도 8a는 이 동작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위치 검출기(806)는 기기가 위치 '1' 내에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환경 인식기(802)가 동작되는 경우, 다음의 산식이 환경 히스토그램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예컨대 환경 업데이터(808)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C i a 는 위치 a에서 환경 i가 나타난 횟수이다. 예컨대, 환경 인식기(802)가 현재 위치 a의 최대 확률이 사무실이라 나타내는 경우, C a office 값이 하나 증가된다. 마찬가지로, 환경 i에서 검출된 활동의 활동 히스토그램은 활동 R i a 에 값 1을 더함으로써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도 8a의 예시에서 위치 검출기(806)는 기기(10)의 상태에 관한 지시(810)를 제공하고 기기(10)가 정지 상태라고 판정되는 경우, 위치 검출기(806)는 또한 기기(10)의 현재 위치에 관한 지시(위치 ID)를 제공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 업데이터(808)는 검출된 위치에 관한 환경 히스토그램을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120). 히스토그램 업데이터(808)는 히스토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경우 환경 인식기(802)의 출력(803)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a의 예시에서 환경 인식기(802)는 인식 가능한 환경에 대한 확률을 출력한다. 이 예시에서 확률은 사무실 50%, 자동차 20%, 집 10%, 도로 10% 및 상점 10%이다. 따라서 히스토그램 업데이터(808)는 위치 1의 히스토그램(812) 중 '사무실'의 값을 하나 증가 시킨다(도 8a 중 820에 도시됨). 통상의 동작 상태에서 확률은 시스템으로부터의 출력(822)일 수 있다. 배후에서 위치 검출 작업이 지속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기기(10)가 정지 상태라고 판정되나 현재 위치가 전에 방문한 적이 없는 경우, 기기(10)는 현재 위치를 위한 새로운 환경 히스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124).
최대 확률의 환경이나 활동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환경 인식기(802) 및 활동 인식기(804)는 통상 모든 인식 가능한 환경 및 활동을 위한 우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우도는 인식기 출력을 카운트하는 대신 히스토그램을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업데이트 산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P i 는 환경 i의 우도(또는 확률)이고 V는 환경의 총수이다.
도 8b는 환경 인식기(802)가 작동 중단된 경우 시스템이 저전력 모드에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블록 106, 108, 110, 112, 114 및 126에 도시된 동작은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의 블록 106, 108, 110, 112, 114 및 126과 유사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b의 실시예에서, 기기가 정지 상태 모드에 있다고 판정되면 위치 검출기(806)는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사용하고 기기가 위치 '1'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150). 인식 출력(152)은 이제 오디오 기반 환경 분류기 또는 다른 환경 인식기(802) 대신에, 이 위치를 위한 환경 히스토그램으로부터 획득된다. 위치를 위한 이 히스토그램은 정규화 될 수 있고 그러면 그 값이 하나 더해지고 정규화된 히스토그램 값이 시스템 출력(822)로서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황정보 추정이 상황정보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황정보 히스토그램 값은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 이는 시스템이 히스토그램 카운트에 오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오직 센서 기반 분류만이 히스토그램 카운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절전은 셀 아이디 획득이 기기 센서가 동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무시해도 될 정도의 추가적인 전력 소모만을 야기하기 때문에 이 경우 달성될 수 있는데, 기기는 어쨌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셀 아이디 히스토그램화 동작 및 히스토그램 비교 동작은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경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계산보다 현저히 적을 수 있다. 예컨대, 통상 8000Hz ~ 16000Hz에 이르는 오디오 데이터 레이트는 예컨대 초당 1회인 셀 아이디 인식 데이터 레이트보다 현저히 클 수 있다.
본 발명을 변형하기 위한 여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만 한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지 상태" 또는 "이동 상태"보다 더 많은 상태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이 다른 상태가 사용되는 지를 판정할 수 없는 경우 '이동 상태' 또는 '정지 상태' 사이의 것인 중간 상태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히스토그램 외의 일부 다른 상황정보 모델이 상태와 결부될 수 있다. 예시들은 정규 밀도(normal density) 같은 연속 확률 밀도 또는 각 상태를 위한 최대 확률 상황정보 값을 단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중단하기 위한 여러 선택이 있다. 절전 모드는 사용자가 기기 센서를 사용하여 산출된 꽤 충분한 개수의 상황정보 분류를 가진 위치에 있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 그 스스로 자동으로 중단될 수 있다. 절전 모드가 개시되기 전에 이 위치에서 행해질 것이 필요한 상황정보 분류의 임계값, 예컨대 10이 존재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의 상황정보 분류의 횟수는 상황정보 i에 대한 위치 a에서의 비-정규화된 히스토그램 카운트 C a i 를 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심지어 이 위치에 대한 단 하나의 상황정보 분류가 있은 후이더라도 추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분류를 산출할 우도는 더 많은 실제 분류 결과가 누적된 이후에 증가할 수 있다.
절전 모드는 또한 한 위치에 관한 일정 개수의 분류가 이루어진 경우 그 스스로 주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위치를 위한 10회의 상황정보 분류를 획득한 이후, 기기는 곧바로 저전력 모드를 사용하는 상황정보 분류를 수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예컨대, 10회의 상황정보 분류 이후 시스템은 매 4회의 상황정보 분류를 저전력 모드(히스토그램 카운트를 사용함)에서 동작 하도록 할 수 있고, 20회의 상황정보 분류 이후, 매 3회의 상황정보 분류가 히스토그램 카운트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30회의 상황정보 분류 이후, 매 2회의 상황정보 분류가 히스토그램 카운트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고, 40회의 상황정보 분류 이후, 예컨대 10회의 히스토그램 기반 저전력 분류 마다 1회의 센서 기반 상황정보 분류가 있도록 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를 사용하는 빈도는 저전력 모드를 사용하여 도출된 추정의 성공여부를 분석하여 판정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히스토그램 기반 분류가 정확하다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는 저전력 히스토그램 기반 분류를 보다 자주 사용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시스템이 저전력 분류가 부정확하다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는 센서 기반 분류에 보다 의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또한 셀 아이디 내에서 검출된 변화의 빈도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를 사용하는 빈도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된 셀 아이디 목록이 '0100101100101'인 경우, 기기(10)는 이 목록 상에 단지 두 개의 상이한 셀 아이디만이 있음에도 이 기기가 정지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셀 아이디 목록이 유사한 '0000111100000'인 경우, 기기(10)는 셀 아이디가 전혀 변화하지 아니한 꽤 긴 기간이 있기 때문에 이 기기가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배터리 레벨이 미리 정한 임계값(예컨대 총용량의 50%)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가동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중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저전력 모드의 동작 빈도는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이 낮을수록, 시스템이 더 빈번하게 기기 센서를 동작하는 대신에 히스토그램에 기초한 인식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정 예시로서, 시스템은 기기가 충전되고 있는 경우 저전력 모드를 완전히 중단할 수 있다. 이는 기기가 충전되는 중인 위치에 관하여 많은 센서 기반 상황정보 분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특히 이점이 될 수 있다. 기기가 충전되는 중인 경우 센서 기반 분류의 동작은 기기가 이 위치의 상황정보 분류에 관한 양질의 히스토그램을 확보하도록 하고, 이에 다음 분류는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전력 모드를 수동으로 가동/중단할 수 있다.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는 또한 기기의 절전 옵션에 연결될 수 있어, 이에 절전 모드가 동작하는 경우, 상황정보 센싱 역시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한다.
도 5a는 시스템 구현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마이크로폰(26)을 포함하는 모든 센서는 프로세서(70)와 인터페이싱된다.
기기(10)가 동작하는 경우, 센서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센서 데이터가 프로세서(70)에게 적합한 형태로 변환될 수 있는 센서용 펌웨어 모듈(140)에게 센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변환은 아날로그 센서 데이터의 디지털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환 및 센서 데이터 샘플을 형성하기 위한 디지털 형태의 샘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 샘플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거나 이들은 관리 모듈(120)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이와 같이 센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 전처리 모듈(134)은 필요한 경우 센서 데이터를 미리 프로세싱할 수 있다.
상황정보 센싱 모듈(131)이 환경 및 활동 분류를 수행하는 경우 이는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해당 상황정보 모델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황정보 센싱 모듈(131)은 기기(10)가 어떤 종류의 환경에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에 의해 확보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황정보 센싱 모듈(131)은 기기(10) 사용자의 현재 활동을 판정하기 위해 다른 센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황정보 센싱 모듈(131)은 사용자가 이동 상태인지, 예컨대, 뛰는 중인지, 자전거를 타는 중인지 또는 앉아있는 중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가속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유사한 상황정보 유형, 예컨대, 사용자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버스 또는 기차에 앉아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센서 데이터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황정보 센싱 모듈(131)은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성 추출을 수행한다. 특성 추출의 세부사항은 그 중에서도 센서 데이터의 유형에 의존한다. 예컨대, 센서 데이터가 가속도 데이터인 경우 추출된 특성은 가속도 값 또는 가속도 값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데이터의 경우 추출된 특성 데이터는 거리 값 또는 이전 거리와 현재 거리의 거리 값 간의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추출된 특성은 예컨대,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시퀀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된 특성들은 단지 특성 추출이 산출할 수 있는 결과의 비-제한적인 예시들에 불과하고 또한 다른 유형의 특성 역시 산출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만 한다.
특성이 추출되는 경우 상황정보 센싱 모듈(131)은 예를 들어 상이한 환경 및/또는 활동 대안에 관한 확률 목록을 평가하기 위하여 예컨대 상황정보 모델 데이터 베이스(116)(도 5a)에 저장된 상황정보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같은 센서 데이터가 상이한 상황정보 모델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상이한 환경/활동에 관한 확률이 획득될 수 있다. 상황정보 센싱 모듈(131)은 환경 및/또는 활동을 충분히 높은 신뢰도로 결론짓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확률 목록을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목록 내의 두 최대 확률 상황정보에 관한 확률(신뢰도 값)이 서로 비교되고 이 두 값 간의 차이가 충분히 큰 상태 즉, 제1 임계값보다 더 큰 상태인 경우, 상황정보 센싱 모듈(131)은 상황정보가 충분히 높은 신뢰도를 가진다고 판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황정보 센싱 모듈(131)은 확률이 충분히 높은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확률 목록 내의 최대 확률 값을 평가한다. 그러므로 최대 확률 상황정보 값은 최대 확률 상황정보의 신뢰도가 얼마나 되지는 판정하기 위하여 제2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다. 더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기준 모두가 즉, 최대 확률이 충분히 높은 값인지 그리고 차이가 충분히 큰 차이인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사용자 기기 인근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기기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한 식별자가 사용자 기기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인근에 유일한 식별자를 가진 여러 블루투스 기기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가 이러한 기기들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하고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가 사무실과 같은 환경 또는 유사한 식별자 세트가 검출될 수 있는 다른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사용자는 그가 집 또는 사무실 외부의 다른 위치에서 몇몇 사무실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여서 상황정보 센싱을 수행하는 사용자 기기가 사용자가 사무실 환경 내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는 경우, 모바일 폰 및 랩톱 컴퓨터 같은 특정 장치를 함께 가질 수 있다.
기기의 동일한 상태에 관하여 복수의 상이한 상황정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만 한다. 예컨대, 복수의 상황정보는 '정지 상태'(예컨대, 상이한 종류의 사무실 환경, 식품점, 집 등) 및 '이동 상태'로 판정될 수 있다.
도 9a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모드 동작의 방법 및 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제1 모드 동작은 환경 판정 및 히스토그램 조정 모두가 동작하는 통상의 동작 모드일 수 있다. 도 9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모드 동작의 방법 및 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제2 모드 동작은 히스토그램 조정이 동작하지 않고 환경 판정이 물리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저전력 동작 모드일 수 있다. 흐름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 내의 블록의 결합이 하드웨어, 펌웨어, 프로세서, 회로망 및/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과 관련된 다른 장치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절차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술한 절차를 실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실시예를 적용하는 장치의 메모리 기기에 의해 저장되고 이 장치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어떠한 이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이든 컴퓨터 또는 기계를 생산하기 위한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예컨대 하드웨어)에 로드될 수 있고, 이에 그 결과인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는 이 흐름도의 블록(들) 내에 명시된 기능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가 특정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데, 이에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은 제작물-그 실행으로 이 흐름도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을 실시함-을 산출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또한 컴퓨터 또는 일련의 동작이 컴퓨터상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 또는 컴퓨터에서 실시되는 프로세스를 산출하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 상에 로드될 수 있고, 이에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은 흐름도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동작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흐름도의 블록은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결합,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의 결합 및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수단을 뒷받침한다. 이 흐름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 및 이 흐름도의 블록의 결합이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 기반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 및 컴퓨터 명령의 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9a 및 9b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상술한 동작의 일부 또는 각각을(100 내지 152)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예컨대, 프로세서(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거나 이 동작들 각각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하드웨어로 실시되는 논리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 동작들을(100 내지 152)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장치는 전술한 동작들 전부 또는 각각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들(100 내지 152)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예시들은 예컨대, 프로세서(70) 및/또는 명령을 실행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기기 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작되는 여러 변형 및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고, 이는 전술한 설명 및 관련 도면에 개시된 교훈의 혜택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그 변형 및 다른 실시예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전술한 설명 및 관련 도면이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의 특정 예시적인 조합이라는 맥락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기술했다고 하더라도,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의 상이한 결합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컨대 명시적으로 전술한 것들 외의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의 상이한 조합은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일부에서 시작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용어가 적용되었지만, 이들은 포괄적이고 기술적인 관점으로만 사용된 것이고 제한을 두기 위한 목적을 가지지 않는다.
다음에서 일부 실시예들이 제공될 것이다.
1. 방법으로서,
-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단계와,
- 상기 검사에 기초하여,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실시예 1에 있어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 또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에 추가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는 과거 상황정보와 관련되는 방법.
4. 실시예 1, 2, 또는 3에 있어서, 위치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실시예 4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에 관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실시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는,
- 과거 상황정보의 히스토그램과,
- 활동 데이터 및
- 환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실시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환경, 활동 또는 둘 모두의 히스토그램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실시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장치는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방법.
9. 실시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2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는 이동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방법.
10.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이동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이동 경로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방법.
11. 실시예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와 제1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상태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실시예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를 검사하는 단계와,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의 상기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상태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실시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실시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서 일정 수의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 일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자 세트로부터 다른 식별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실시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데이터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셀 식별자인 방법.
18. 실시예 16 또는 17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다음의
-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와,
-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및
- 단거리 통신 기기 중에 적어도 하나인 방법.
19. 실시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 상기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단계와,
- 상기 현재 위치를 이전 위치 정보 세트와 비교하는 단계와,
- 상기 비교가 상기 현재 위치가 새로운 위치라고 나타내는 경우, 조건부로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실시예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실시예 20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되어지는 횟수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 또는 중단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가 획득되어지는 상기 횟수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실시예 20,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동작 빈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실시예 20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의 정확도에 관한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상기 동작 빈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지시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실시예 20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실시예 20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상기 동작 빈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실시예 20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충전되는 중인 경우에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실시예 20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수동으로 가동 또는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9. 실시예 20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절전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며,
- 상기 검사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고,
-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1. 실시예 30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또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에 추가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2. 실시예 30 또는 3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는 과거 상황정보와 관련되는 장치.
33. 실시예 30, 31 또는 32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위치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4.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장치의 상기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에 관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5. 실시예 30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는 다음의
- 과거 상황정보의 히스토그램과
- 활동 데이터 및
- 환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6. 실시예 30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환경, 활동 또는 둘 모두의 히스토그램을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7. 실시예 30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장치는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장치.
38. 실시예 30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2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는 이동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장치.
39.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이동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장치의 이동 경로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도록 더 구성되는장치.
40. 실시예 30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와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상태라고 또한 판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1. 실시예 30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를 더 검사하고,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의 상기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상태라고 판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2. 실시예 30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식별자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3. 실시예 30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서 일정 수의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4.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더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 일 식별자를 삽입하고, 상기 식별자 세트로부터 다른 식별자를 제거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5. 실시예 30 및 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식별자 데이터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더 사용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6.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셀 식별자인 장치.
47. 실시예 45 또는 46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다음의
-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와,
-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및
- 단거리 통신 기기 중에 적어도 하나인 장치
48. 실시예 30 내지 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또한,
- 상기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세트를 사용하고,
- 상기 현재 위치를 이전 위치 정보 세트와 비교하며,
- 상기 비교가 상기 현재 위치가 새로운 위치라고 나타내는 경우, 조건부로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9. 실시예 30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장치의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정의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0. 실시예 49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상황정보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되어지는 횟수를 판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1. 실시예 50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 또는 중단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가 획득되어지는 상기 횟수를 사용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2. 실시예 49, 50 또는 5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동작 빈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3. 실시예 49 내지 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의 정확도 지시를 획득하고,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상기 동작 빈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표시를 사용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4. 실시예 49 내지 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5. 실시예 49 내지 5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상기 동작 빈도를 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6. 실시예 49 내지 5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충전되는 중인 경우에 상기 장치가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중단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7. 실시예 49 내지 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가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수동으로 가동 또는 중단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8. 실시예 49 내지 5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절전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장치가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9.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단계와,
- 상기 검사에 기초하여,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60. 실시예 59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 또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에 추가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1. 실시예 59 또는 60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는 과거 상황정보와 관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62. 실시예 59, 60 또는 61에 있어서, 위치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3.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상기 현재 상태 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에 관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4. 실시예 59 내지 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는 다음의
- 과거 상황정보의 히스토그램과
- 활동 데이터 및
- 환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5. 실시예 59 내지 6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환경, 활동 또는 둘 모두의 히스토그램을 수집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6. 실시예 59 내지 6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장치는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67. 실시예 59 내지 6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2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는 이동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68. 실시예 67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이동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이동 경로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9. 실시예 59 내지 6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와 제1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가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상태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0. 실시예 59 내지 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를 검사하는 단계와,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의 상기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상태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1. 실시예 59 내지 7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식별자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2. 실시예 59 내지 7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서 일정 수의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3.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 일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자 세트로부터 다른 식별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4. 실시예 59 내지 7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식별자 데이터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5. 실시예 74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셀 식별자인 컴퓨터 프로그램.
76. 실시예 74 또는 75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다음의
-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와,
-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및
- 단거리 통신 기기 중에 적어도 하나인 컴퓨터 프로그램.
77. 실시예 59 내지 7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 상기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단계와,
- 상기 현재 위치를 이전 위치 정보 세트와 비교하는 단계와,
- 상기 비교가 상기 현재 위치가 새로운 위치라고 나타내는 경우, 조건부로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8. 실시예 59 내지 7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정의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9. 실시예 78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상황정보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되어지는 횟수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0. 실시예 79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 또는 중단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가 획득되어지는 상기 횟수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1. 실시예 78, 79 또는 80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동작 빈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2. 실시예 78 내지 8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의 정확도에 관한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상기 동작 빈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지시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3. 실시예 78 내지 8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4. 실시예 78 내지 8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상기 동작 빈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5. 실시예 78 내지 8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가 충전되는 중인 경우에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중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6. 실시예 78 내지 8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수동으로 가동 또는 중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7. 실시예 78 내지 8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절전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8. 실시예 59 내지 8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포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89. 장치로서,
-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입력과,
-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제1 검사 요소와,
- 상기 검사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기에 적합한 판정기 및
-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제2 검사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90. 장치로서,
-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기 위한 수단과,
- 상기 검사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 및
-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91. 실시예 30 내지 58, 89 또는 9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무선 통신 기기인 장치.

Claims (91)

  1.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identifier data)를 수신하는 단계와,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에 기초하여,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a current context)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 또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에 추가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는 과거 상황정보와 관련되는
    방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위치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에 관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는,
    과거 상황정보의 히스토그램(histogram)과,
    활동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경, 활동 또는 둘 모두의 히스토그램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장치는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2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는 이동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이동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이동 경로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와 제1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상태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를 검사하는 단계와,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의 상기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상태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서 일정 수의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 일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자 세트로부터 다른 식별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데이터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셀(cell) 식별자인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다음의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액세스 포인트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base station) 및
    단거리 통신 기기 중에 적어도 하나인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위치를 이전 위치 정보 세트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가 상기 현재 위치가 새로운 위치라고 나타내는 경우, 조건부로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되어지는 횟수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 또는 중단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가 획득되어지는 상기 횟수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0항,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동작 빈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의 정확도에 관한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상기 동작 빈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지시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에서의 동작 빈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충전되는 중인 경우에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수동으로 가동 또는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20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절전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며,
    상기 검사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에 추가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는 과거 상황정보와 관련되는
    장치.
  33. 제30항,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위치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장치의 상기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에 관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5. 제30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는 다음의
    과거 상황정보의 히스토그램과
    활동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6. 제30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환경, 활동 또는 둘 모두의 히스토그램을 수집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7. 제30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장치는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장치.
  38. 제3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2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는 이동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이동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장치의 이동 경로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0. 제30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와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상태라고 또한 판정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1. 제30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를 더 검사하고,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의 상기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상태라고 판정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2. 제30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식별자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3. 제3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서 일정 수의 식별자를 사용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더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 일 식별자를 삽입하고, 상기 식별자 세트로부터 다른 식별자를 제거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5. 제30항 및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식별자 데이터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더 사용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셀 식별자인
    장치.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다음의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및
    단거리 통신 기기 중에 적어도 하나인
    장치
  48. 제30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또한,
    상기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세트를 사용하고,
    상기 현재 위치를 이전 위치 정보 세트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가 상기 현재 위치가 새로운 위치라고 나타내는 경우, 조건부로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생성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9. 제30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장치의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정의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황정보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되어지는 횟수를 판정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 또는 중단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가 획득되어지는 상기 횟수를 사용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2. 제49항,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동작 빈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3. 제49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의 정확도 지시를 획득하고,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상기 동작 빈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표시를 사용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4. 제49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5. 제49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에서의 동작 빈도를 조정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6. 제49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충전되는 중인 경우에 상기 장치가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중단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7. 제49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수동으로 가동 또는 중단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8. 제49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절전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9. 프로그램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에 기초하여,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 또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된 상황정보 데이터에 추가하여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1.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는 과거 상황정보와 관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62. 제59항, 제60항 또는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위치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상기 현재 상태 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에 관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4. 제59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는 다음의
    과거 상황정보의 히스토그램과
    활동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5. 제59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환경, 활동 또는 둘 모두의 히스토그램을 수집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6. 제59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장치는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67. 제59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2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는 이동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이동 상태에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이동 경로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9. 제59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와 제1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가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상태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0. 제59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를 검사하는 단계와,
    식별자 데이터 내에서의 상기 검출되는 변화의 개수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상태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1. 제59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식별자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2. 제59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서 일정 수의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식별자 세트 내에 일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자 세트로부터 다른 식별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4. 제59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식별자 데이터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셀 식별자인
    컴퓨터 프로그램.
  76. 제74항 또는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다음의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및
    단거리 통신 기기 중에 적어도 하나인
    컴퓨터 프로그램.
  77. 제59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위치를 이전 위치 정보 세트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가 상기 현재 위치가 새로운 위치라고 나타내는 경우, 조건부로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8. 제59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정의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상황정보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되어지는 횟수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 또는 중단하기 위하여 상기 상황정보가 획득되어지는 상기 횟수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1. 제78항, 제79항 또는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동작 빈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2. 제78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의 정확도에 관한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상기 동작 빈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지시를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3. 제78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4. 제78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배터리 내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의 상기 동작 빈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5. 제78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가 충전되는 중인 경우에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중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6. 제78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수동으로 가동 또는 중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7. 제78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절전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저전력 상황정보 센싱 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8. 제59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포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89. 장치로서,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입력과,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제1 검사 요소와,
    상기 검사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기에 적합한 판정기 및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제2 검사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90. 장치로서,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식별자 데이터 세트 내의 상이한 식별자 데이터 개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 데이터 세트를 검사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검사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검사가 상기 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라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의 현재 상황정보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태에 관련된 상황정보 데이터를 검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91. 제30항 내지 제58항, 제89항 또는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무선 통신 기기인
    장치.
KR1020147002383A 2011-06-28 2011-06-28 상황정보 추출 KR101568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I2011/050615 WO2013001134A1 (en) 2011-06-28 2011-06-28 Context extr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639A true KR20140050639A (ko) 2014-04-29
KR101568098B1 KR101568098B1 (ko) 2015-11-10

Family

ID=4742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383A KR101568098B1 (ko) 2011-06-28 2011-06-28 상황정보 추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36696A1 (ko)
EP (1) EP2727324A4 (ko)
KR (1) KR101568098B1 (ko)
CN (1) CN103748862A (ko)
WO (1) WO20130011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292A (ko) * 2014-08-13 2016-02-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상황인지 서비스를 위한 활동의 정확도 산정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98136A1 (pl) * 2012-02-17 2013-08-19 Binartech Spólka Jawna Aksamit Sposób wykrywania kontekstu urzadzenia przenosnego i urzadzenie przenosne z modulem wykrywania kontekstu
US9191442B2 (en) 2012-04-03 2015-11-17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Adaptive sensor data selection and sampling based on current and future context
US9730145B2 (en) 2013-03-15 2017-08-08 Qualcomm Incorporated In-transit detection using low complexity algorithm fusion and phone state heuristics
KR102114613B1 (ko) * 2013-07-10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427513B (zh) * 2013-08-30 2018-04-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识别方法、装置、网络设备及网络系统
JP6221573B2 (ja) * 2013-09-27 2017-11-01 富士通株式会社 場所モデル更新装置、位置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22177B2 (en) * 2015-08-06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aware system with multiple power consumption modes
US10824955B2 (en) 2016-04-06 2020-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window size segmentation for activity recognition
CN105657192A (zh) * 2016-04-06 2016-06-08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基于定位数据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0567B2 (en) * 2004-09-24 2009-01-20 Nokia Corporation Displaying a map having a close known location
US20080136752A1 (en) * 2005-03-18 2008-06-12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onitor and Television Receiver
US7903087B2 (en) * 2006-02-13 2011-03-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facilitating navigation and selection functionalities of a trackball incorporated upon a wireless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8325088B2 (en) * 2009-02-04 2012-12-04 Google Inc. Mobile device battery management
US8676976B2 (en) * 2009-02-25 2014-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croprocessor with software control over allocation of shared resources among multiple virtual servers
US8611326B2 (en) * 2009-09-03 2013-12-17 Apple Inc. Location histories for location aware devices
US8737961B2 (en) * 2009-09-23 2014-05-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mentally determining location context
US8655371B2 (en) * 2010-01-15 2014-02-18 Apple Inc.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cached location area cod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292A (ko) * 2014-08-13 2016-02-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상황인지 서비스를 위한 활동의 정확도 산정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7324A4 (en) 2015-01-28
US20140136696A1 (en) 2014-05-15
CN103748862A (zh) 2014-04-23
WO2013001134A1 (en) 2013-01-03
KR101568098B1 (ko) 2015-11-10
EP2727324A1 (en)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098B1 (ko) 상황정보 추출
US9443202B2 (en) Adaptation of context models
KR101437757B1 (ko) 콘텍스트 감지 및 융합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제품
EP2962171B1 (en) Adaptive sensor sampling for power efficient context aware inferences
US9071939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ext determination
US9740773B2 (en) Context labels for data clusters
US2011019000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context-based navigation services
KR20150087253A (ko) 전력 효율적인 분류를 위한 순차적인 특징 컴퓨팅
KR20130054327A (ko) 센서의 호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9678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 accurate energy-efficient outdoor localization on a mobile device
CN107341226B (zh) 信息展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1006238B1 (en) Method for profiling based on foothold and terminal using the same
CN111881242B (zh) 一种轨迹点的基础语义识别方法及相关设备
EP27517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environmental context utilizing features obtained by multiple radio receivers
KR101588177B1 (ko) 상황 인지 기반의 상황 정보 추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u et al. Seamless positioning and navigation system based on GNSS, WiFi and PDR for mobile devices
Boukhechba et al. Hybrid battery-friendly mobile solution for extracting users’ visited places
WO2023005864A1 (zh) 一种位置语义指纹库构建方法以及相关装置
CN116432090A (zh) 场景识别方法、系统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