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398A - 광분배함 - Google Patents

광분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398A
KR20140050398A KR1020120116758A KR20120116758A KR20140050398A KR 20140050398 A KR20140050398 A KR 20140050398A KR 1020120116758 A KR1020120116758 A KR 1020120116758A KR 20120116758 A KR20120116758 A KR 20120116758A KR 20140050398 A KR20140050398 A KR 20140050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rotrusion
engaging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752B1 (ko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12011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7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분배함에 관한 것으로, 함체; 상기 함체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덮개; 상기 함체에 형성되는 핸들;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두곳 이상에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광분배함은 이중 원터치 잠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함체에서의 덮개 고정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불필요하게 덮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광분배함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분배함{FIBER DISTRIBUTION CASE}
본 발명은 광분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구를 가지는 광분배함의 이중 원터치 잠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함체에서의 덮개 고정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불필요하게 덮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분배함은 한국공개공보 2010-0032733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종래의 광분배함은 광분배함의 내부로 인입되는 광케이블을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내장되는 광어댑터를 설치하거나 이를 해제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조를 단순화시킨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함체(20)와 이 함체(20)를 개폐하는 덮개(10)가 구비되는 광분배함에 있어서, 사각면체 형상의 몸체(52) 상하로 광케이블이 연결된 광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부(60)가 형성되고, 몸체(52)의 측부 양쪽에 지지 돌기(54a, 54b)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광어댑터(50); 상기 광어댑터(50)의 양 돌기(54a, 54b)가 삽입 가능한 홈(32a, 32b)이 각기 형성되어 상기 양 돌기(54a, 54b)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42a, 42b)가 설치되는 홀더(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광분배함에서 탄성력을 가지는 록킹 돌기는 함체의 측벽에 형성되는 록킹 구멍에 삽입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덮개가 열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함체와 덮개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함체와 덮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부품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기구를 가지는 광분배함의 이중 원터치 잠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함체에서의 덮개 고정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불필요하게 덮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광분배함은 함체; 상기 함체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덮개; 상기 함체에 형성되는 핸들;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두 곳 이상에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있는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를 진입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본체로 연장되되 상기 돌출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그루브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걸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돌기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토퍼부와, 상기 제2 돌기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스토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그루브부에 결합될 때, 상기 돌출부에 의해 1차 록킹되어지며, 상기 제1 스토퍼부 및 제2 스토퍼부에 의해 2차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분배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광분배함은 두 곳 이상에서 록킹되기 때문에 광분배함의 함체와 덮개가 불필요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분배함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핸들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걸림부재가 핸들에 쉽게 결합되기 때문에 해체 및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림부재가 핸들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부품 수를 줄여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핸들에 스토퍼부가 형성되어 걸림부재가 핸들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광분배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가 회동되어 핸들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가 핸들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가 핸들에 결합되어 스토퍼부에 걸린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분배함은 함체(100)와 함체(100)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덮개(200), 함체(100)에 형성되는 핸들(300), 덮개(200)에 설치되는 걸림부재(4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0)는 속이 빈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함체(100)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함체(100)는 전체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200)는 일측부가 힌지부(102)를 통해 함체(100)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전방이 개방될 수 있다.
함체(100) 측면에는 광케이블 인입출구(104)가 형성되며, 광옥외선은 광옥외선 인입출구(104)를 통해 함체(100)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 또는 인출된다.
함체(100)에 형성된 광케이블 인입출구(106)는 광옥외선 인입출구(104)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인입출구(106)를 통해 함체(100)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 또는 인출된다.
함체(100)는 정면부(110)에 록킹부(108,202)가 형성되어 덮개(200)는 닫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록킹부(108,202)를 통해 작업자가 필요시에만 함체(10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록킹부(108,202)는 상부 록킹부(202) 및 하부 록킹부(108)가 포함된다.
하부 록킹부(108)는 함체(100)의 정면부(110) 중앙에 형성되며, 상부 록킹부(202)는 덮개(200)의 정면부(110) 중앙에 하부 록킹부(108)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부 록킹부(202) 및 하부 록킹부(108)는 볼트(미도시) 등으로 구비되어 덮개(200)의 록킹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록킹부(108)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핸들(300)이 본체(350)에 형성되며, 상부 록킹부(202)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걸이부(204)가 덮개에 형성된다.
걸이부(204)는 핸들(300)의 상측에 위치되며, 걸림부재(400)는 걸이부(204)에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00)은 함체(100)의 정면부(110)에 접하는 본체(350)와 본체(350)에 돌출되어 있는 제1 돌기(360)와 제2 돌기(370), 걸림부재(400)에 제1 돌기(360)와 제2 돌기(370) 사이를 진입하는 돌출부(380), 돌출부(380)에서 본체(100)로 연장되되 돌출부(380)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그루브부(390)가 포함된다.
본체의 제1 면(302)과 제2 면(304)은 함체(100)와 수직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면(302)과 제2 면(304)은 제3 면(306)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 면(302)을 이루는 제1 모서리(301)와 제2 면(304)을 이루는 제2 모서리(303)는 함체(100) 정면부(110)에 접한다.
제3 면(306)은 제1 면(302) 및 제2 면(304)과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3 면(306)은 제1 면(302) 및 제2 면(304)을 사이에 두고 함체(100)의 정면부(110)와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제1 돌기(360)의 제4 면(308)은 제3 면(306) 하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3 면(306)과 제4 면(308)이 이루는 각은 예각 또는 직각 또는 둔각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1 돌기(360)의 제5 면(310)은 제1 면(302)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며, 제5 면(310)은 제1 면(30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6 면(312)은 함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6 면(312)은 제5 면(310)과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7 면(314)은 제6 면(312)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제4 면(308)과 일정 각도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7 면(314)에서 연장되게 제8 면(316)이 형성되며, 제8 면(316)은 제7 면(314)보다 제5 면(310) 방향으로 안쪽에 형성된다.
제2 돌기(370)의 제9 면(318)은 제3 면(306)의 하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3 면(306)과 제9 면(318)이 이루는 각은 예각 또는 직각 또는 둔각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10 면(320)은 제3 면(306) 하측에 형성되며, 제1 돌기(360)와 제2 돌기(370) 사이에 형성된다.
제11 면(322)은 제8 면(316)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8 면(316)과 제11 면(322) 사이는 그루브부(390)가 형성된다.
제11 면(322)은 제12 면(324)이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2 면(324)는 제11 면(322)보다 제7 면(314)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2 면(324)과 제7 면(314)은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형성되며, 제12 면(324)과 제7 면(314) 사이는 돌출부(380)가 형성된다.
제13 면(326)은 함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12 면(324)과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제13 면(326)은 제14 면(328)과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제13 면(326)은 제2 면(304)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제1 돌기(360)의 하면(330)에는 제1 스토퍼부(340)가 형성되며, 제2 돌기(370)의 하면(330)에는 제2 스토퍼부(345)가 형성된다.
제1 스토퍼부(340) 및 제2 스토퍼부(345)는 스토퍼부(340,345)의 하측이 평평한 제2 모서리(342) 및 제3 모서리(347)로 되어 있으며, 이는 걸림부재(400)가 핸들(300)에 결합되어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핸들(300)은 돌출부(380)와 돌출부(380)에서 본체(350)로 연장되되 돌출부(380)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그루브부(390)가 포함되어, 걸림부재(400)를 끼워 두곳 이상에서 록킹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400)는 걸이부(204)에 설치된다.
걸림부재(400)는 걸이부(204)에 설치되는 회동체결부(410), 회동체결부(410)에 연장되며 핸들(300)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420), 회동부(420)의 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된 제1 걸림부(430) 및 제1 걸림부(430)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걸림부(440)가 포함된다.
걸림부재(400)가 핸들(300)로 회동할 때 미끄러짐 이동할 수 있도록 굴곡된 형상을 가진다.
회동체결부(410)는 중앙에 사각구멍(412)이 형성되며, 회동부(420)는 회전체결부(410)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회동부(420)의 일면에는 보강리브(422)가 형성되어 있어 걸림부재(400)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회동부(420)와 제1 걸림부(430) 사이에는 둔턱부(424)가 형성되며, 제1 걸림부(430)는 회동부(420)보다 좌우 폭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걸림부(430)의 양쪽 측면에는 좌면(432) 및 우면(434)가 포함된다.
제1 걸림부(430)와 제2 걸림부(440) 사이에는 제1 걸림면(442) 및 제5 걸림면(450)이 형성되며, 제2 걸림부(440)는 제1 걸림부(430)보다 폭이 넓은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 걸림면(442)은 제2 걸림면(444)과 굴곡지게 형성되며, 제2 걸림면(444)은 제3 걸림면(446)과 수직되게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3 걸림면(446)은 걸림부재(400)의 하단면에 위치하며, 제1 걸림면(442) 및 제5 걸림면(45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3 걸림면(446)은 제4 걸림면(448)과 수직되게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4 걸림면(448)은 제5 걸림면(450)과 굴곡지게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분배함은 걸림부재(400)가 핸들(300)에 끼워져 록킹되어 광분배함이 개방되지 않게 결합된다.
걸림부재(400)가 핸들(300)에 결합될 때, 제1 걸림부(430)는 돌출부(380)에 진입하여 그루브부(390)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1 걸림부(430)의 좌면(432)은 제8 면(316)에 우면(434)은 제11 면(322)에 접하며, 돌출부(380)는 그루브부(39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걸림부(430)는 돌출부(380)에 의해 1차 록킹되어 진다.
제2 걸림부(440)는 핸들(300)의 하면에 위치하며, 제2 걸림부(440)의 일면이 제1 스토퍼부(340)의 제2 모서리(342) 및 제2 스토퍼부(345)의 제3 모서리(347)에 접하여 2차 록킹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분배함은 그루브부(390)에서 1차 록킹이 걸리고, 제1 스토퍼부(340) 및 제2 스토퍼부(345)에서 2차 록킹됨에 따라 광분배함의 함체(100)와 덮개(200)가 불필요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분배함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함체 200 : 덮개
204 : 걸이부 300 : 핸들
340 : 제1 스토퍼부 345 : 제2 스토퍼부
350 : 본체 360 : 제1 돌기
370 : 제2 돌기 380 : 돌출부
390 : 그루브부 400 : 걸림부재
430 : 제1 걸림부 440 : 제2 걸림부

Claims (5)

  1. 함체;
    상기 함체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덮개;
    상기 함체에 형성되는 핸들;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두곳 이상에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있는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를 진입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본체로 연장되되 상기 돌출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그루브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걸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돌기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토퍼부와,
    상기 제2 돌기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스토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그루브부에 결합될 때,
    상기 돌출부에 의해 1차 록킹되어지며,
    상기 제1 스토퍼부 및 제2 스토퍼부에 의해 2차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KR1020120116758A 2012-10-19 2012-10-19 광분배함 KR10140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758A KR101400752B1 (ko) 2012-10-19 2012-10-19 광분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758A KR101400752B1 (ko) 2012-10-19 2012-10-19 광분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398A true KR20140050398A (ko) 2014-04-29
KR101400752B1 KR101400752B1 (ko) 2014-05-29

Family

ID=5065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758A KR101400752B1 (ko) 2012-10-19 2012-10-19 광분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75A (ko) 2015-01-21 2016-07-29 (주)에이피텔레텍 광전 복합케이블 분배함
CN114063232A (zh) * 2021-11-24 2022-02-18 深圳市飞速创新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便捷开合式前面板的配线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1184B2 (ja) * 1995-11-30 2002-06-10 矢崎総業株式会社 蓋体のロック構造
JP2001258121A (ja) 2000-03-14 2001-09-21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へのブラケット取付構造
KR100970228B1 (ko) * 2008-06-12 2010-07-16 주식회사 해진아이엠피 광가입자망용 광케이블 접속함
KR20100032733A (ko) * 2008-09-18 2010-03-26 김민호 Fdf 광분배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75A (ko) 2015-01-21 2016-07-29 (주)에이피텔레텍 광전 복합케이블 분배함
CN114063232A (zh) * 2021-11-24 2022-02-18 深圳市飞速创新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便捷开合式前面板的配线箱
CN114063232B (zh) * 2021-11-24 2024-03-22 深圳市飞速创新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便捷开合式前面板的配线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752B1 (ko)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045B1 (en) Splice tray for use in splicing fiber optic cables and housing therefor
US7462777B2 (en) Dual hinge recess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US7619162B2 (en) Dual-hinge recessed outdoor box and cover
US8097805B2 (en) Pivoting while-in-use electrical box and cover
US8633385B2 (en) Weatherproof cover having bidirectional hinge
CA2592830C (en) Universal recessed while-in-use box and cover
US8598456B2 (en) Cover and hinge assembly for electrical device
US9203222B2 (en) While in use weatherproof cover for an electrical box
US20210084781A1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with modular locking system
KR20130081087A (ko) 광케이블 단자함
RU2562958C2 (ru) Передняя панель для розетки
US11817689B2 (en) Watertight box and adapter
KR101400752B1 (ko) 광분배함
US8414197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shutter
JP5937046B2 (ja) 係止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CA2925312A1 (en) Low profile while-in-use electrical box and cover
WO2020015370A1 (zh) 一种电气设备快装结构
JP4550108B2 (ja) 長物保持装置
JP4986872B2 (ja) マルチメディアポート用ボックス
US8690361B2 (en) Case structure and optical device having such case structure
US8550275B2 (en) Housing assembly
KR102146238B1 (ko) 유에스비 케이블 장착구 및 이를 구비하는 가방
KR101285334B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101315492B1 (ko) 도어래치장치
CA2588158C (en) Dual hinge recess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6